KR102636759B1 -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759B1
KR102636759B1 KR1020187020336A KR20187020336A KR102636759B1 KR 102636759 B1 KR102636759 B1 KR 102636759B1 KR 1020187020336 A KR1020187020336 A KR 1020187020336A KR 20187020336 A KR20187020336 A KR 20187020336A KR 102636759 B1 KR102636759 B1 KR 10263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ail
elevator
rail foo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689A (ko
Inventor
데 알메이다 호제리오 마두레이라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9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4Lateral support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에 관한 것으로, 체결 모듈은, 조립시,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및 조립시,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17A) 는,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이러한 체결 모듈들 (1) 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체결 모듈 (1) 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 (rail foot) 를 체결 평면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및 이런 유형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유형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층 건물들에 설치되고 다수의 층들에 걸쳐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DE-AS 1 139 254 는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지지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건물들이 침강 (settle) 될 때 가이드-레일부들의 상대 상향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건물 및 가이드 레일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롯들 형태의 체결 홀들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을 위한 볼트들이 삽입되도록 지지 플레이트에 만들어지고, 이 클램프들은 그것의 종방향 축선들에 의해 상향 방향으로 인접한 리지 (ridge) 벽으로부터 제거되고,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은 탄력적으로 가이드 레일의 플랜지들과 접촉한다.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열 팽창으로 인해 증가한다면, 볼트들에 전달된 힘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과 가이드 레일 사이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정렬된 레일-체결 장치를 위로 이동시키고, 이것은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에 대해 수직으로 위로 이동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DE-AS 1 139 254 로부터 공지된 가이드-레일 체결 장치는, 방향에 의존하는 마찰 변화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의 온도 관련 수축으로 인해, 대향한 상대 운동이 반대로 발생한다면, 볼트들은 슬롯들로 하향 이동되고, 이것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과 가이드 레일 사이 마찰을 증가시키고, 체결 장치와 레일 사이 상대 수직 운동을 방지한다. 게다가, 슬롯 내 볼트의 각각의 운동은 또한 체결 장치 상의 가이드 레일에서 유지력 또는 유극 (play) 변화를 이끌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CH-PS 484 826 은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개시한다. 이 체결 장치는,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체결할 때,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가이드 레일들의 길이가 변하고, 샤프트의 브릭워크 (brickwork) 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축할 수도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종방향 조절은 가이드 레일들과 샤프트의 브릭워크 사이에서 허용된다. 제안된 체결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들을 충분히 유지하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레일을 단단히 클램프 고정하지 않는다. 이 목적으로, 레일 클램프는 가이드 레일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다. 레일 클램프는 서로의 위에 동축으로 놓여 있고 원추형으로 서로 천이하는 다른 직경의 두 개의 원형 디스크들로 구성된다. 유극을 설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스페이서 디스크들이 지지 플레이트와 레일 클램프 사이에 삽입된다.
CH-PS 484 826 에 공지된 체결 장치에서, 그것은 복수의 부품들로부터 조립될 필요가 있고, 기술자는 스페이서 디스크들에 의해 유극을 설정해야 한다.
US 3,982,692 는 지지부에 T-형 프로파일을 갖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측면들을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수단을 개시하고, 이것은, 예를 들어 건물 침강을 보상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레일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발생한다. 여기에서, 측방향 운동이 방지되고, 스프링 탭의 예비부하력에 맞서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제한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US 3,982,692 에 공지된 체결은, 제한되지만 가능한 조절 운동이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엘리베이터 레일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단점을 가지고, 이것은, 예를 들어, 작동 중 횡방향 힘이 엘리베이터 카 또는 평형추로부터 엘리베이터 레일로 전달될 때 엘리베이터 레일에 제공된 가이드 트랙들의 대응하는 곡률을 유발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EP 0 448 839 A1 은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개시한다. 공지된 체결 장치에서, 레일 클램프들의 예비부하력으로 변화는 다른 두께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을 위한 라이닝으로서 사용되는 반원형 프로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설치되기 전 어느 반원형 프로파일이 요구되고 이송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US 6371249 B1 은,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배치된 슬롯에 가이드되는 클램핑 브래킷이 가이드 레일의 푸트에 의해 외부로부터 피봇선회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들이 양측에서 클램프 고정될 수 있는 레일 클램프를 개시한다. 장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측방향 슬롯들은 45° 의 각도로 배치된다. 비스듬히 연장되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슬롯들은 많은 공간을 요구하고 대응하는 벽 플레이트의 단면을 약화시킨다.
EP 2174902 A1 은 복수의 레일들을 상호 연결하기에 적합한 다른 레일 클램프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레일 클램프는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만들어진 슬롯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측방향 유지력은 이 경우에 체결 부품들의 단지 마찰력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공지된 구성들은 만족스럽지 않다. 그 구성들은 예를 들어 많은 공간을 요구하고, 그 구성들은 요구되는 힘을 불충분하게 전달하거나 그 구성들은 현장에서 조립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복잡하고, 또는 그 구성들은 엘리베이터 레일을 삽입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될 필요가 있다.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건물 벽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들로서 사용된, 엘리베이터 레일들 또는 평형추는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전체 주행 경로에 걸쳐 연장될 수도 있고, 이것은 종종 건물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그것들이 신뢰성있게 가이드력을 흡수할 수 있는 건물 내에서 충분히 단단히 체결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건물의 높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건물은, 예를 들어, 그것이 건조 및 침강되기 때문에 수축된다. 건물의 온도 및 태양 복사는 또한 건물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건물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건물의 높이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에 대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일부들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엘리베이터 레일들 상의 체결 지점들은, 길이 보상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가이드력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체결이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한 가지 과제는, 엘리베이터 레일을 위한 체결 모듈,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들은 전부 개선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한 가지 과제는, 개선된 체결을 허용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을 위한 체결 모듈,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것은 엘리베이터 레일이 그것의 연장부를 따라 상대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연장부에 직각인 가상 평면에서 운동 또는 회전을 방지하고, 기술자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방식으로 조립을 실시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기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들을 해결하는 대응하는 체결 모듈,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을 위한 해결책들 및 제안들이 이하 제공된다. 게다가, 유리한 부가적 또는 대안적 개선예들 및 실시형태들이 명시된다.
일 해결책에서,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 평면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및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상기 레일 푸트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 위에서,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과 상호작용한다.
엘리베이터 레일 그 자체는 이 경우에 체결 모듈의 부분이 아니다. 체결 모듈은 제조 공장에서 사전 조립되고, 유닛으로서 생산되어 분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조립할 때, 복수의 체결 모듈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조립 중, 연속 엘리베이터 카 레일, 평형추 가이드 레일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조립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체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는 단일 엘리베이터 레일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체결 모듈을 사용해 체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레일의 일반적인 일체형 부분은 전형적으로 길이가 대략 5 미터이다. 각각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1 ~ 2 개의 체결 모듈들, 또는 더 많은 체결 모듈들에 의해 샤프트 벽에 체결되고, 부분들은 플레이트들을 연결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서, 밀착된 (cohesive) 열의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제조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조립한 후, 이런 유형의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 또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은,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체결 모듈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에 체결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으로부터 유발된다.
일 해결책에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및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되고, 상기 체결 모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레일 피트를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서, 체결 모듈은 샤프트 벽에 장착되거나 미리 장착된다.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체결 모듈의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삽입되고,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이 제 2 체결 기기의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 2 체결 기기가 회전하여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레일이 체결 모듈에 배치되기 전 체결 모듈은 지지 구조체, 샤프트 벽 등에 반드시 단단히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이 고정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거나, 적어도 미리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엘리베이터 레일은 그 후 이런 하나의 체결 모듈, 또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체결 모듈들에 위치결정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의 제 1 측면은 제 1 체결 기기 또는 복수의 체결 모듈들의 제 1 체결 기기들에 끼워맞추어진다. 유리하게도, 복수의 체결 모듈들의 제 2 체결 기기 또는 제 2 체결 기기들은 그 후 제안된 방식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기술자가 용이하게 더 적은 수의 도구들을 사용해 실시할 수 있는, 유리한 조립 옵션을 유발한다.
제 2 체결 기기의 요소는 지지 요소이고 이 요소는 조립시 레일 푸트의 상단 측과 상호작용하고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은 조립시 체결 평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레일 푸트의 상단 측은 제 2 체결 기기의 지지 영역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 1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에 의해 배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레일들, 특히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헤드에서 트랙들이 또한 공간에 배향된다.
또한 제 2 체결 기기는 접촉 요소를 가지는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이 상기 접촉 요소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조립시, 상기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 요소를 가지는 보상 수단은 제 1 체결 기기에 제공될 수 있고, 접촉 영역은 또한 이 접촉 요소에 형성되고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조립시,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과 제 1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레일 피트로 조절은 여기에서 보상 수단을 사용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보상 수단은 레일 푸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레일 푸트는 이 경우에 어떠한 부가적 도구들도 사용하지 않고 체결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듈식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체결 모듈은 특정 레일 유형에 대해 제조 공장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레일 유형의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조립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여기에서, 특히 레일 유형의 레일 피트에서 제조 관련 편차로부터 유발되는, 특정 수준의 공차 보상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상 수단은,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조립시,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므로, 제 1 체결 기기를 위한 보상 수단은,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가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조립시,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유지된다. 필요한 유지 치수의 변화는 예를 들어 공차 관련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특정 레일 유형의 개별 엘리베이터 레일들간 제조 공차들에 관련된다. 체결 모듈의 설계에 따라, 하지만, 적합화가 가능하고 실현 가능하다면, 상이한 레일 유형들에 대한 적합화가 보상 수단을 사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수단이 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요소 및 상기 쐐기 요소는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고, 상기 접촉 요소 및 상기 쐐기 요소는,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각으로 보이는 유지 치수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유지 치수는,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이 조립시 유극 없이 체결될 수 있게 하도록 변화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쐐기 요소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상기 체결 평면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된다. 그러므로, 제 1 체결 기기의 보상 수단이 쐐기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요소 및 쐐기 요소는 체결 평면과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제 1 체결 기기의 보상 수단 및 쐐기 요소는, 유리하게도,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각으로 보이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이 조립시 유극 없이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치수가, 제 1 체결 기기의 쐐기 요소에 대해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체결 평면에 대해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기에서, 설계로 인해, 레일 푸트를 장착하기 위해서 접촉 요소가 조절될 때 쐐기 요소는 접촉 요소의 조절 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기술자에 의한 간단한 취급을 허용한다. 또한, 잠재적으로 체결되는 접촉 요소 때문에 레일 푸트가 접촉 요소와 직접 접촉할 때, 예를 들어 레일 푸트가 이동할 때 접촉 요소는 위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적어도 요소는, 상기 레일 푸트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 위에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대략 90° 만큼 회전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제 2 체결 기기는 전체적으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일 푸트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은 레일 푸트가 그리핑되거나 포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체결 모듈에 의해 요구되는 설치 공간이 최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도, 제 1 체결 기기는 이런 식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것은 체결 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또한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이 어느 정도까지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의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 기기들이 이용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레일 푸트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기기에 제 1 측면을 가지도록 위치결정될 때, 조립은 제 2 측면에서 계속될 수 있다. 적절한 시점에,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서, 예를 들어 알맞은 보상 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 레일 푸트를 유지 및 체결하는 조립 단계들이 실시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서 가이드 트랙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를 포함한다.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는 여기에서 조립 중 도달되거나 도달될 예정인 엘리베이터 레일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레일 푸트의 상단 측의 위치 및 배향과 관련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레일 헤드에 형성된 트랙들의 배열과 관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 트랙의 전진부에 의해, 먼저, 가이드 트랙의 짧은 섹션에 대해, 제 2 체결 기기가 레일 푸트에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서 가이드 트랙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또한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레일 푸트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유사하게 제공되는 전진부와는 대조적으로, 레일 푸트로 접근이 이루어지고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따라서 가이드 트랙의 더 긴 섹션에 대해 더많이 포위된다. 이 구성은 또한 제 1 체결 기기와 제 2 체결 기기 사이에 레일 푸트를 삽입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 기기는 체결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것은 제 1 체결 기기가 이동할 수 없고 바람직하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평면에 투영하여 볼 때, 가이드 트랙은 전진부를 따라 적어도 대략 90°인 제 1 경사를 가지고 그리고/또는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레일 푸트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접근부를 따라 항상 45° 미만인 제 2 경사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제 2 경사가 또한 접근부에서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또한 제 2 경사는 접근부를 따라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접근부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도, 가이드 트랙은 전진부와 접근부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가이드를 설계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이것은 또한 조립 중 가이드 트랙을 따라 제 2 체결 요소의 직선 운동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진부와 접근부 사이에 곡선 천이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요구되는 체결의 치수들이 따라서 최적화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체결 평면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L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체결 평면은 하나의 레그에 제공될 수 있고, 지지 구조체 등에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옵션들이 다른 레그에 제공된다. 제 2 체결 기기를 위한 가이드는 유리하게도 가이드 컷아웃의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만들어진 가이드 컷아웃은 라운딩된 천이부들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 2 체결 기기의 체결 수단은 예를 들어 이런 유형의 슬롯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안내 목적으로 가이드 컷아웃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L 형상으로 만곡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체결 모듈은 샤프트 벽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로 구부러진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에 배치되는 홀들은 샤프트 벽에서 체결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전부는 체결 모듈에 체결된 후 직선으로 배향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슬롯은 가이드 트랙을 따라 만곡부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슬롯은 서로에 대해 회전된 적어도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로 적어도 대략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직사각형 형상들은 체결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전진부 및 접근부는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을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을 기반으로 하기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작동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는데 사용된 체결 모듈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2 는 조립 준비 위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에 도시된 체결 모듈의 3 차원도이다.
도 3 은 조립 중 도 2 에 도시된 체결 모듈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도시한다.
도 4 는 조립시 Ⅳ 로 표시된 관찰 방향에서 본 도 3 에 도시된 체결 모듈 및 엘리베이터 레일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체의 도 5 에서 Ⅵ 으로 표시된 세부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부분 개략도이고, 체결 모듈 (1)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체결 평면 (4) 은 이 경우에 L 형상으로 만곡된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될 때 체결 평면 (4)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의 측면 (4) 과 일렬로 배열된다.
레일 푸트 (6) 는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축선 (9) 에 대한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의 선택은 여기에서 임의적이고,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측면들 (7, 8) 은 그러므로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말단면 (11) 을 가지는 레일 헤드 (10) 를 포함한다. 체결 평면 (4) 을 향하는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의 측면 (4) 은 레일 헤드 (10) 의 말단면 (11) 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또한, 레일 푸트 (6) 는, 2 개의 측면들 (7, 8) 에 걸쳐 연장되고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으로부터, 조립시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단 측 (13) 을 갖는다.
체결 모듈 (1) 은 제 1 체결 기기 (15) 및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체결 평면 (4) 에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체결 기기 (15) 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조립시 그것들의 구성 면에서 축선 (9) 에 대해 거울 대칭이다. 하지만, 차이점은 제 1 체결 기기 (15) 는 조립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평면 (4) 에 대해 고정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배치되고, 반면에 제 2 체결 기기 (16) 는 조립 중 체결 평면 (4) 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측면들 (7, 8) 이 교환되는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따라서 체결 기기들 (15, 16) 도 또한 교환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L-형 지지 요소 (17) 를 포함하고, 그것의 말단면 (18) 은 체결 평면 (4) 을 규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돌출부 (20) 의 형태인 지지 영역 (20) 은 지지 요소 (17) 의 부분 (19) 에 형성된다. 지지 요소 (17) 는 또한 클리어런스 (21) 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 (17) 에서 다른 클리어런스 (22) 는 홀 (22) 로서 설계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요소들 (24, 25) 을 포함하는 보상 수단 (23) 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요소 (24) 는 접촉 요소 (24) 로서 설계된다. 요소 (25) 는 쐐기 요소 (25) 로서 설계된다. 돌출부 (26) 형태의 접촉 영역 (26) 은 접촉 요소 (24) 에 형성된다.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배향된 조절 방향 (27) 은 접촉 요소 (24) 에 대해 미리 정해진다. 또한, 기술자가 조절 방향 (27) 으로 접촉 요소 (24) 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탭 (28) 이 접촉 요소 (24) 에 형성된다. 접촉 요소들 (24, 25) 은 지지 요소 (17) 에서 클리어런스 (21) 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쐐기 요소 (25) 는 체결 평면 (4) 에 대해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접촉 요소 (24) 는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체결 기기 (15) 는 그것의 주연에 대해 환형으로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슬리브 (29) 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 (17) 는 말단면 (18) 에 의해 체결 평면 (4)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에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슬리브 (29) 에 의해 체결 평면 (4)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에서 지지된다. 또한 슬리브 (29) 에 레일 푸트 (6) 를 위한 측방향 지지 영역 (30) 이 존재한다.
변형예에서, 쐐기 요소 (25) 는 또한 슬리브 (29)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 (29) 의 높이는 이 경우에 쐐기 요소 (25) 의 두께만큼 감소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또한 체결 수단 (31) 을 포함하고, 이것은 예를 들어 스크류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체결 수단 (31) 을 사용하여, 지지 요소 (17) 는 슬리브 (29) 및 바람직하게 그 아래에 위치결정된 쐐기 요소 (25) 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에 단단히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 2 체결 기기 (16) 는, 말단면 (18A) 이 형성되는 지지 요소 (17A) 를 포함한다. 돌출부 (20A) 형태의 지지 영역 (20A) 은 지지 요소 (17A) 의 부분 (19A) 에 형성된다. 홀 (22A) 형태인 클리어런스 (21A) 및 클리어런스 (22A) 는 또한 지지 요소 (17A) 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는 요소들 (24A, 25A) 을 구비하는 보상 수단 (23A) 을 포함한다. 요소 (24A) 는 접촉 요소 (24A) 로서 설계된다. 요소 (25A) 는 쐐기 요소 (25A) 로서 설계된다. 또한, 돌출부 (26A) 형태의 접촉 영역 (26A) 은 요소 (24A) 에 형성된다. 조절 방향 (27A) 은 접촉 요소 (24A) 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 조절 탭 (28A) 은 접촉 요소 (24A) 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는 슬리브 (29A) 를 포함한다. 지지 영역 (30A) 은 슬리브 (29A) 에 생성된다. 쐐기 요소 (25A) 는 또한 간혹 슬리브 (29A)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게다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수단 (31A) 을 포함한다.
체결 기기들 (15, 16) 중 하나에 대해 설명한 작동 모드들 및 특성들은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다른 체결 기기 (15, 16)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옮겨질 수 있음은 분명하다.
조립시,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은 일측에서 제 1 체결 기기 (15) 의 지지 영역 (20) 과 접촉하고 타측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 영역 (20A) 과 접촉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배향을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레일 헤드 (10) 에 형성된 트랙들 (36, 37) 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한 연장 관점에서 설정된다. 설계에 따라, 체결 모듈 (1) 에 대응하는 다른 체결 모듈은 또한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 (1) 이 엘리베이터 레일 (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는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요소들 (24, 24A) 의 접촉 영역들 (26, 26A) 은 또한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과 접촉한다. 그렇게 할 때, 각각,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일종의 클램핑 그립이 존재하고, 이 그립에서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이 각각 파지된다.
유지 치수 (38) 는,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에 생성된다. 이 유지 치수 (38) 는, 접촉 요소 (24) 가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때 쐐기 요소 (25) 의 쐐기 형상으로 인해 감소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치수 (38) 는 레일 푸트 (6) 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유지 치수 (38) 가 제 2 체결 기기 (16) 에서 또한 생성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다른 유지 치수들 (38) 이 체결 기기들 (15, 16) 에서 또한 생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관련된 레일 푸트에 의존하는,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는 제조 공차들로 인해 하나의 엘리베이터 레일 (2) 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레일 (2) 로 달라진다. 설명한 적합화 메커니즘을 사용해, 유지 치수 (38) 는 각각의 경우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지지 요소 (17, 17A) 의 지지 영역 (20A, 20) 과 체결 평면 (4) 사이 간격 (33) 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유지 치수 (38) 는 보상 수단 (23, 23A) 에 의해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조립 중 설정될 수 있다.
도 2 는 조립 준비 위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의 3 차원도이다. 체결 모듈 (1) 은 이런 형태로 제조 공장에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을 샤프트 벽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이 간혹 포함되거나 필요하다면 사전 조립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는 레그들 (40, 41)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슬롯들 (42) 등의 형태의 적합한 조립 옵션들 (42) 이 레그 (40) 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이것을 지지 구조체에 나사고정할 수 있다. 도 2 는 축선 (43) 및 종방향 축선 (44) 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종방향 축선 (44) 은, 조립된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연장되는 축선이다. 종방향 축선 (44) 은 실질적으로 체결 평면 (4) 에 평행하고, 이것은 종방향 축선 (44) 이 체결 평면 (4) 에 놓여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게다가, 축선 (43) 은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그리고 종방향 축선 (44) 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준비된 위치에서, 조절 방향 (27) 이 축선 (43) 에 평행하도록 제 1 체결 기기 (15) 는 축선 (43) 에 대해 배향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이 경우에 체결 수단 (31) 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연결되고, 회전 또는 운동은 가능하지 않다. 잠금 수단 (32) 이 느슨해졌을 때, 접촉 요소 (24) 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잠금 수단 (32) 을 조일 때, 접촉 요소 (24) 도 또한 잠금된다.
준비된 위치에서, 하지만, 관련된 조절 방향 (27A) 이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하도록 제 2 체결 기기 (16) 는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배향된다. 이것은 조절 방향 (27A) 으로 축선 (46) 과 축선 (43) 사이 각도 (45) 가 적어도 대략 90° 인 것을 의미한다. 사전 조립 중, 대략 90°의 각도 (45) 는 미리 정해진 값이 아니다. 그 대신에, 체결 기기 (16) 는 느슨해지고, 즉 체결 평면 (4) 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잠금 수단 (32A) (도 4) 이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에 제공되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유형의 잠금 수단 (32A) 은 또한 필요하다면 나중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잠금 수단 (32A) 은 또한 조립을 위해 준비된 체결 모듈 (1) 에서 미리 제 2 체결 기기 (16) 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은 조립 중 도 2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체결 기기들 (15, 16) 사이에 삽입된다. 90° 만큼 회전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의 위치 및 특정 양의 간격 때문에, 레일 푸트 (6) 는 제 1 체결 기기 (15) 를 분해하지 않고 도시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은 조절 방향 (27) 으로 또는 축선 (43) 을 따라 어느 정도까지 제 1 체결 기기 (15) 의 지지 영역 (20) 과 접촉 영역 (26) 사이 클램프들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제 1 측면 (7) 은 지지 요소 (17) 의 지지 영역 (30) 과 접촉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처음에, 또한 도 2 에 도시된 대로, 준비된 위치에서 느슨하게 유지된다.
도 4 는 조립시 Ⅳ 로 표시된 관찰 방향에서 본 도 3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개략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5) 는 슬롯 (50) 형태의 가이드 컷아웃 (50) 을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50) 가 형성된다. 가이드 트랙 (51) 은 가이드 컷아웃 (50) 의 기하학적 구조 및 체결 수단 (31A) 과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대해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이 실시형태에서 체결 수단 (31A) 의 축선 (52) 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축선 (52) 은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배향된다.
가능한 조립 단계에서, 도 3 에 도시된 위치에서 진행하여,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처음에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는 회전 방향 (53) 으로 회전된다 (도 3). 동시에, 제 2 체결 기기 (16) 는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트랙 (51) 은 전진부 (54) 및 접근부 (55) 를 포함한다. 종방향 축선 (44) 의 돌출부와 체결 평면 (4) 으로 전진부 (54) 에 대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90° 의 제 1 경사 (각도) (56) 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그 사이에 생성된다. 그러므로, 체결 평면 (4) 으로 돌출부에서, 종방향 축선 (44) 에 대한 접근부 (55) 의 제 2 경사 (각도) (57) 가 생성되고,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서, 90° 보다 상당히 작고 심지어 45° 미만이다. 전진부 (54) 를 통하여, 제 2 체결 기기는 짧은 조절 경로에 대해 제 2 측면 (8) 에 매우 가까워지도록 접근한다. 그런 후에, 접근부 (55) 를 통하여,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조절 경로에 대해 더 느린 접근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의 측면 (58) 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기술자가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한 방향 (59) 으로 제 2 체결 기기 (16) 를 가압할 때 체결 수단 (31A) 에 의해 제 2 체결 기기 (16) 가 측면 (58) 에서 지지됨으로써 조립은 간단하게 된다. 이런 전진 운동에 의해,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오게 된다. 여기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는 맨 처음 회전 방향 (53) 으로 90° 만큼 회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향하여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체결 기기 (16) 를 전전시킴으로써, 지지 영역 (30A) 이 제 2 측면 (8) 과 느슨하게 접촉할 때까지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30A)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제 2 측면 (8) 을 향하여 전진된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측방향으로 가이드된다.
특히, 지지 요소 (17A) 는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대로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수단 (31, 31A) 이 조여진 후, 레일 푸트 (6) 는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한 한 적은 유극을 가지고, 원하는 대로 도 1 에 도시된 체결 기기들 (15, 16) 의 측방향 지지 영역들 (30, 30A)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가능한 조립 프로세스에서, 기술자는 체결 수단 (31A) 이 조여진 후 각각의 조절 방향들 (27, 27A) 로 접촉 요소들 (24, 24A) 을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잠금 수단 (32, 32A) 을 사용해 잠금을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레일 푸트 (6) 는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된다.
이런 체결은 체결 모듈 (1) 에 대해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특정 양의 길이 보상 또는 운동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건물 침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체결 기기들 (15, 16) 에 의해 인가된 유지력이 특히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체결 모듈 (1) 을 통하여 어느 정도까지 미끄러지도록 허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트랙 (51) 은 만곡부 (60) 를 포함한다.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하지만, 가이드 컷아웃 (50) 은 또한 만곡될 수도 있고, 이것은 이런 종류의 만곡부 (60) 가 생략되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은 에지들 (61) 을 포함하고,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그 중 단 하나의 에지 (61) 만 표시된다. 알맞은 라운딩에 의해, 이런 유형의 하나 이상의 에지들 (61) 을 생략할 수 있고, 또는 에지들 (61) 은 그러면 라운딩된 천이부들에 의해 대체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은 2 개의 직사각형들 (62, 63) 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직사각형들 (62, 63) 은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체결 평면 (4) 에 관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이런 회전은 다른 경사들 (56, 57) 로 나타난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의 부분 개략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2B, 2C)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조립체 (70) 의 부분이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B, 2C)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B, 2C) 의 다른 이런 조립체 (71) 의 부분이다. 제동 및/또는 가이드 트랙들 (36, 37) 은, 예를 들어, 조립체 (70) 에 생성되고, 이 트랙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전체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런 유형의 트랙들 (36, 37) 은 개별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에 대해 연속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은 또한 엘리베이터 카 (72) 와 평형추 (73) 를 포함하고, 그것들은 지지 및 견인 수단 (74) 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조립체들 (70, 71) 및 가능하다면 이런 종류의 다른 조립체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72) 와 평형추 (73) 가 특히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6 은 조립체 (70) 및 체결 모듈들 (1, 1') 과 함께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의, 도 5 에서 VI 으로 표시된, 세부를 도시한다. 체결 모듈들 (1, 1') 은 지지 구조체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들 (5, 5') 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계면 (80) 에서 서로 맞대기 결합된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예를 들어 계면 (80) 에서 연결 플레이트들 (81) 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 트랙들 (36, 37)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조립체 (70) 에 생성된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레일 피트 (6, 6A) 는, 예를 들어, 제조 공차 때문에 상이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다른 요구되는 유지 치수들 (38) 로부터 명백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을 조립하는데 동일한 체결 모듈들 (1, 1') 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치수 (38) 는 조립 중 각각의 개별 체결 모듈 (1, 1') 에서 맞춤 방식으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foot;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로서,
    상기 체결 모듈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및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17A) 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하고,
    가이드 (50) 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서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 (54)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체결 평면 (4) 에 투영하여 볼 때, 상기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종방향 축선 (44) 에 대해 적어도 제 1 및 제 2 경사 (56, 57)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평면 (4) 에서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를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50) 는,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기 제 2 측면 (8) 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또한 상기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레일 푸트 (6) 의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접근부 (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부 (55) 를 따라 상기 제 2 경사 (57) 는 항상 45° 미만이고 상기 전진부 (54) 를 따라 상기 제 1 경사 (56) 는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 (56, 57) 사이 또는 상기 전진부 (54) 와 상기 접근부 (55) 사이에 만곡부 (60)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평면 (4) 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위치결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50) 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만들어진 가이드 컷아웃 (50) 은 에지들 (61) 에 라운딩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슬롯 (50) 을 가지고,
    상기 슬롯 (50) 은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만곡부 (60) 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슬롯 (50) 은 서로에 대해 회전된 적어도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 (62, 6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요소 (17A) 는 지지 요소 (17A) 이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20A) 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3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접촉 요소 (24A) 를 가지는 보상 수단 (23A) 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 (26A) 이 상기 접촉 요소 (24A) 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조립시, 상기 접촉 요소 (24A) 의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2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 (23A) 은,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 (38)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조립시,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 (23A) 은 쐐기 요소 (25A)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요소 (24A) 및 상기 쐐기 요소 (25A)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고, 상기 접촉 요소 (24A) 및 상기 쐐기 요소 (25A) 는,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보이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이 조립시 유극 (play) 없이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치수 (38) 가, 상기 쐐기 요소 (25A) 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 (24A) 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상기 체결 평면 (4) 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 (24A) 를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요소 (17A) 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90° 만큼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13.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으로서,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70)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각각 설계된 복수의 체결 모듈들 (1)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모듈들 (1) 은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레일 피트 (6, 6A) 를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체결 모듈 (1) 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 모듈 (1) 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이 제 1 체결 기기 (15) 의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이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20336A 2015-12-17 2016-12-15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KR102636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0954.4 2015-12-17
EP15200954 2015-12-17
PCT/EP2016/081306 WO2017103017A1 (de) 2015-12-17 2016-12-15 Befestigungsmodul zum befestigen von aufzugsschie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689A KR20180096689A (ko) 2018-08-29
KR102636759B1 true KR102636759B1 (ko) 2024-02-14

Family

ID=549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336A KR102636759B1 (ko) 2015-12-17 2016-12-15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80345B2 (ko)
EP (1) EP3390260B1 (ko)
KR (1) KR102636759B1 (ko)
CN (1) CN108698794B (ko)
AU (1) AU2016372444B2 (ko)
BR (1) BR112018012224B1 (ko)
CA (1) CA3007748A1 (ko)
HK (1) HK1259140A1 (ko)
MX (1) MX2018007183A (ko)
MY (1) MY192437A (ko)
PL (1) PL3390260T3 (ko)
WO (1) WO2017103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151B1 (en) * 2015-07-17 2019-06-12 KONE Corporation Elevator guide rail bracket and method for securing a guide rail
KR102213646B1 (ko) * 2015-09-11 2021-0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US10407279B2 (en) * 2015-12-22 2019-09-10 Inventio Ag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WO2018104435A1 (de) * 2016-12-07 2018-06-14 Inventio Ag Schienenfusshalter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einer aufzugsanlage
US20230135086A1 (en) * 2016-12-07 2023-05-04 Inventio Ag Rail foot holder for fastening a rail of an elevator system
ES2727504B2 (es) * 2018-04-16 2020-10-16 S A De Vera Savera Brida ajustable al espesor del ala de una guía de ascensor
US11673772B2 (en) * 2019-03-26 2023-06-13 Inventio Ag Aligning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 guide rail of an elevator system
CA3163632A1 (en) * 2019-12-05 2021-06-10 Inventio Ag Fixing a lift component to a shaft wall
EP3858777B1 (en) * 2020-02-03 2023-08-23 KONE Corporation A fastening arrangement for elevator guide rails
CN114084773A (zh) 2020-08-24 2022-02-25 奥的斯电梯公司 模块化电梯组件和导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12A (en) * 1899-03-14 Rail-fastener
US1505345A (en) 1924-03-20 1924-08-19 Leopold F Heptner Rail clamp
US1925867A (en) * 1931-11-21 1933-09-05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guide-rail supporting device
US2451414A (en) * 1946-11-08 1948-10-12 Snyder Jacob Rush Rail holding device
DE1139254B (de) 1956-01-24 1962-11-08 Otis Elevator Co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Fuehrungsschienen von Aufzuegen
US2848077A (en) * 1956-01-24 1958-08-19 Otis Elevator Co Elevator guide rail fastener
CH484826A (de) 1969-06-04 1970-01-31 Inventio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Führungsschienen von Aufzügen
US3982692A (en) 1974-07-19 1976-09-28 R. Stahl Aufzuege Gmbh Clamping means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the like
US4431087A (en) * 1981-05-29 1984-0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Guide rail clamping method and assembly
US4572431A (en) * 1981-06-22 1986-02-25 Penta Construction Corp. Rail fastener assembly
US4577729A (en) * 1984-12-05 1986-03-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Guide rail clamping assembly
GB8620832D0 (en) * 1986-08-28 1986-10-08 Cranequip Ltd Rail clip assembly
US4844338A (en) * 1986-12-05 1989-07-04 Lord Corporation Rail fastener
CH680786A5 (ko) 1990-03-26 1992-11-13 Inventio Ag
US6371249B1 (en) * 2000-06-02 2002-04-16 Otis Elevator Company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US6830133B2 (en) * 2002-03-06 2004-12-14 Terryle L. Sneed Connector brackets
JP4992719B2 (ja) * 2006-03-22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支持装置
ES2341071B1 (es) 2008-10-09 2011-06-06 Orona S. Coop Dispositivo para unir guias de aparatos elevadores, aparato elevador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y metodo para montar guias de aparatoselevadores.
FI20090502A (fi) * 2009-12-22 2011-06-23 Kone Corp Hissi, johdekiinnike ja menetelmä
US20120133164A1 (en) * 2010-11-29 2012-05-31 S.A. De Vera (Savera) Adjustment flange for lift guides
ES2421083B1 (es) 2012-02-22 2014-11-04 S.A. De Vera (Savera) Sistema de brida adaptable, para guías de ascensor
FR2996216B1 (fr) 2012-10-03 2015-04-17 Sodimas Fixation d'un guide d'ascenseur a une paroi
ES2492791B1 (es) 2013-03-08 2015-05-28 S.A. De Vera (Savera) Brida para guías de ascensor
JP6182404B2 (ja) 2013-09-11 2017-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S2557505B1 (es) 2014-07-24 2016-11-03 S.A. De Vera (Savera) Brida adaptable para guías de ascensor
CN108367893B (zh) * 2015-12-17 2020-04-28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固定电梯轨道的固定装置
EP3231757B1 (en) * 2016-04-15 2020-04-08 Otis Elevator Company Guide rail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12224A2 (pt) 2018-11-27
EP3390260B1 (de) 2020-08-19
AU2016372444A1 (en) 2018-07-05
MX2018007183A (es) 2018-08-01
BR112018012224B1 (pt) 2022-07-19
EP3390260A1 (de) 2018-10-24
CA3007748A1 (en) 2017-06-22
MY192437A (en) 2022-08-19
CN108698794A (zh) 2018-10-23
US20180370766A1 (en) 2018-12-27
WO2017103017A1 (de) 2017-06-22
HK1259140A1 (zh) 2019-11-29
AU2016372444B2 (en) 2019-09-19
US11180345B2 (en) 2021-11-23
PL3390260T3 (pl) 2021-02-08
KR20180096689A (ko) 2018-08-29
CN108698794B (zh)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759B1 (ko)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모듈
US20180362299A1 (en) Fastening devices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EP1313661B1 (en)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assembly
US9103073B2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fastening of a rail on a substrate
EP2516311B1 (en) Elevator, guide rail bracket, arrangement and method
US11939775B2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panel in a rail by tightening outer wedges from an inner side of the panel
US11292694B2 (en) Elevator guide rail support assemblies
CN207258956U (zh) 电梯导轨连接板、导轨和导轨支架的安装结构
US20190316351A1 (en)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3544072B (zh) 用于排齐电梯设备的导轨的排齐装置和方法
EP2799653B1 (en) Automatic sliding door power drive assembly
EP0654136B1 (en) A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radiator
CN110462135A (zh) 轨道固定系统
KR102448155B1 (ko)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CN106315344A (zh) 一种电梯导轨安装组件
CN204689303U (zh) 电梯导轨安装组件
CN110049938B (zh) 用于固定电梯系统的轨道的轨道脚保持件
KR101844578B1 (ko) 비계파이프의 하부 고정부재
CN115768710A (zh) 轨道固定系统
KR10084473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세팅 지그
CN221099909U (zh) 一种用于库房货架悬挂温度记录仪的挂表装置
WO2017103014A1 (de) Befestigungseinrichtungen zum befestigen von aufzugsschienen
KR101939999B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JPS6228626Y2 (ko)
AU2021408345A1 (en) Rail fastening device for guide rail sections of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