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155B1 -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155B1
KR102448155B1 KR1020187036360A KR20187036360A KR102448155B1 KR 102448155 B1 KR102448155 B1 KR 102448155B1 KR 1020187036360 A KR1020187036360 A KR 1020187036360A KR 20187036360 A KR20187036360 A KR 20187036360A KR 102448155 B1 KR102448155 B1 KR 10244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older
rail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586A (ko
Inventor
마르틴 디미트로브
마리오 마륵스
마르틴 슈목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파에 게엠베하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파에 게엠베하,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파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4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01B7/08Other constructions of tongues, e.g. til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ail, movable tongue blocks 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2Special sleepers for switches or crossings; Fasten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52)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일(14)을 스톡 레일(12)로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 레일 위에 롤러 요소가 놓여 있다. 상기 홀더는 쐐기 형상의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톡 레일 또는 스위치 레일(12, 14)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톡 레일 또는 스위치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수평 및 수직 모두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단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본 발명은 텅 레일에 대한 지지부인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는, 텅 레일(tongue rail)을 스톡 레일(stock rail)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는 스톡 레일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대응하는 장치는 DE 10 2004 013 347 A1에서 확인된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를 수용하는 홀더는 스톡 레일로부터 필요한 거리에 롤러 요소를 갖는 홀더를 위치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개구를 갖는 인서트에 연결 가능하다.
DE 10 2005 032 417 B4에 따라 스위치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롤링 장치에서,지지 롤러 홀더는 텅 레일을 향한 방향으로 이어지는 치형 레일을 통해 스톡 레일의 레일 풋(rail foot)에 고정 가능한 클램핑 장치에 연결된다.
DE 10 2008 052 152 A1에 따른 스위치 블레이드 리프팅 및 롤링 장치는 롤러 지지부가 경사면을 갖는 높이로 조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EP 1 627 954 A2는 텅 레일을 지지하는 롤러 장치를 제공하며,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은 프레임의 결합된 수평 조정을 허용하는 치형 스트립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DE 10 2004 004 784 B4의 주제는 텅 레일을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커버와 일체로 설계된 베이스 몸체로부터 나오는 2 개의 롤러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단순한 설계 수단에 의해 스톡 레일에 수평 및 수직으로 롤러 요소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술한 형태의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는 문제없는 조정을 가능하게 해야 하지만 동시에 홀더의 비제어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홀더가 쐐기 형상의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홀더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쐐기 형으로 설계된 영역에 연결되는 것, 베이스 플레이트가 스톡 또는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게 이어지는 방향으로 안내 방식으로 조정 가능한 것, 그리고 홀더가 상기 스톡 또는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는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여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홀더의 안내를 허용한다. 이는 홀더가 결합 기구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확실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스톡 레일에 대한 홀더의 간단한 위치 설정 및 정렬을 허용한다.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홀더의 회전 또는 비제어 조정을 동시에 방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홀더를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영역의 쐐기 형상 기하학적 형태는 스톡 레일에 대한 홀더의 그리고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의 수평 및 수직 조정을 문제 없이 보장한다.
간단한 설계 수단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 장치 자체의 안내를 허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리브형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에 연결되고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 안내되는 것을 제공한다.
제 1 대안에 따르면,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또는 직각으로 이동하는 제 1 안내 요소는 그 단부에서 지지부로부터 나오고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조정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나오는 제 2 안내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 안내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단일 스트립이고 제 2 안내 요소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 측 상에 이어지는 홈형의 길이방향 리세스인 것 또는 그 반대가 본원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텅 레일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 이어지는 리세스는 지지부의 제 1 안내 요소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에 대응하는 제 1 안내 요소로서 제공되어, 베이스 플레이트가 텅 레일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직각 방향으로 안내 변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지지부에 의해서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웨브형 또는 스트립형 돌출부가 지지부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저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고, 텅 레일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가로방향으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가 마찬가지로 이용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폭 범위가 지지부에 제공되는 리세스로 조정되는 가능성이 있다.
스트립 또는 리세스와 같은 제 1 안내 요소가 볼트 요소와 결합하는 개구에 의해 통과되고 홀더가 상기 볼트 요소를 통해서 베이스의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인 수평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홀더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홀더와 베이스 플레이트 모두가 텅 레일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 이어지고 볼트 요소에 의해 관통되는 슬롯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요소가 홀더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즉 슬롯의 전후 모두에 장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홀더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또는 계단식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홀더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이들이 접촉하는 일부 영역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치형체 결합 기구 또는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문제없는 조립을 보장하고 동시에 고정을 확보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홀더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고 홀더 상에 지지되는 단일 볼트 요소에 의해서 베이스에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홀더,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와 홀더 모두가 플라스틱, 특히 예를 들어 15 내지 30 중량 %의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홀더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리브형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 상에 고정된 슬라이드 체어(slide chair)의 섹션들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범위 및 거기에서 발견될 특징들로부터 단독으로 및/또는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도면에서 발견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도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스위치의 텅 장치 영역에서 레일 고정 요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섹션의 요소들을 분해도.
도 3은 롤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롤러 장치를 분해도.
도 5는 대체 안내와 함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
스위치는 화물 또는 여객 교통을 위한 철도 기술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스위치의 기능은 소정의 트랙을 따라 열차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분기부와 교차부를 포함한다. 기차의 형성, 분할, 횡단 및 추월은 스위치의 주요 작업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텅 롤러 장치는 수평 및 수직으로 스톡 레일에 대해 텅 레일을 지지하는 롤러를 조정하는 가능성을 생성하여 문제없이 조립 및 유지보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큰 수고없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재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텅 레일을 지지하는 롤러의 명확한 위치가 보장된다.
도 1은 스위치의 텅 장치의 레일 고정 점으로부터의 단면을 도시하는데, 텅 레일(14)은 텅 레일(14)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를 지나가는 차량을 필요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스톡 레일(12)에 대하여 조정된다.
섹션은 강성 또는 탄성일 수 있고 스톡 레일(12)이 통상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리브형 플레이트(18)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슬리퍼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놓인 중간 플레이트(16)(도 2)를 도시한다. 한편으로는, 인장 클램프(20) 및 다른 한편으로는 인장 스프링(22, 24)이 그렇게 하도록 사용된다. 인장 스프링(22, 24)은 여기서 한편으로 리브형 플레이트(18)로부터 나오는 카운터 베어링(32, 34)과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체어(36)의 섹션들 사이에 체결되고, 도면에 따른 슬라이드 체어는 U자형을 나타내고 스톡 레일(12)의 레일 풋(30)의 섹션(28) 상의 그 가로방향 레그(38)의 영역에 놓여진다. 인장 클램프(20)는 대향 섹션(26) 상에 지지된다. 그러나, 그 정도까지, 충분히 잘 알려진 디자인을 참조한다.
또한, 도면에서, 예를 들어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중간층(40)이 레일 풋(30)과 리브형 플레이트(18)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간 층(47, 49)은 또한 U 자형의 슬라이드 체어(36) 및 리브형 플레이트(18)의 길이방향 레그들(42, 44)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스톡 레일(12)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인장 클램프(20)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체어(36)의 가로방향 레그(38)에 의해 아래로 눌러진다. 그렇게 하기 위해, 인장 클램프(20)는 스위치의 지지부에 연결된 볼트(46)에 의해서 관통된다.
관련된 구성요소 및 설계는 기본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또한 참조 문헌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은 DE 10 2004 013 347 A1에 일반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텅 레일(14)의 전환 중에, 이는 슬라이드 체어(36)의 길이방향 레그들(42, 44) 사이에서 연장되고 리브형 플레이트(18)에 연결된 롤러 장치(10)의 도움으로 들어올려진다. 롤러 장치(10)는 본 발명에 따라서 롤러(50, 52)를 지지하며 마찬가지로 쐐기 형상을 갖는 캐리어(54) 및 쐐기형 베이스 플레이트(48)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8) 및 캐리어는 종래 기술에 따라 금속, 특히 구형 흑연 철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48) 및/또는 홀더(54), 특히 플라스틱, 예를 들어 15 내지 30 중량 %의 유리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는, 특히 폴리아미드의 베이스 플레이트(48) 및 홀더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들, 즉 한편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하측에 비스듬히 이어지는 표면(56) 및 다른 한편으로는 홀더(54)의 대면 표면(58)은 단계별 조정을 허용하고 실시예에서 치형체 결합기구(60, 62)로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단계별 조정을 허용하는 다른 구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쐐기 형상으로 인해, 롤러 카세트라고도하는 홀더(54)의 수직 조정은 베이스 플레이트(48)의 길이방향으로의 조정 동안, 즉 롤러(50, 52)의 수직 조정 동안 발생한다. 동시에, 롤러(50, 52)와 스톡 레일(12) 사이의 수평 거리가 변경된다.
롤러(50, 52)는 텅 레일(14)과의 접촉 영역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8)에 대한 홀더(54)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홀더(54)는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쐐기 형상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거나 또는 필요한 수평 정렬이 항상 존재하도록 액슬(78, 80)이 홀더(54) 내에 위치된다.
특히, 결합 치형체(60, 62)는 3mm의 간격(a)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하측과 그 상측[표면(56)] 사이의 각도는 약 6 °의 영역 내에 있어서, 홀더(54)의 상승 및 하강과 그에 따른 치형체에서 치형체까지의 간격은 대략 +/- 0.3 mm이 된다. 물론 다른 치수 구성도 가능한다.
롤러 장치(10)의 비제어 회전이 값 비싼 설계 수단을 취할 필요없이 이루어 지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대안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8)가 베이스 플레이트(48)가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면 직사각형의 길이방향 홈(64)을 저부측 상에 갖고 리브형 플레이트(18)로부터 나오고 그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롤러 베이스로 지칭되는 스트립(66)으로 기하학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48) 및 그에 따른 롤러 장치(10)가 기본적으로 실질적으로 그 길이방향으로만, 즉 스톡 레일(1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 조정 가능함을 보장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안내를 위해, 단일 안내 요소, 특히 단일 스트립(66)만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스트립(66)은 또한 개구를 가지며, 그 일부는 도면부호(68, 70)의 예로서 식별된다. 고정 볼트(72)는 개구 중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홀더(54) 및 베이스 플레이트(48) 모두를 통과하여, 볼트(72)가 조여질 때 롤러 장치(10)가 리브형 플레이트(18)에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48)와 홀더(54)는 서로에 대해 강제 끼워맞춤 및 포지티브 방식으로 연결된다.
롤러 장치(10)의 필요한 정도의 수평 조정, 즉 롤러(50, 52)의 높이 조정을하지 않고서 스톡 레일(12)에 대한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허용하기 위해, 고정 볼트는 베이스 플레이트(48)의 그리고 홀더(54)의 슬롯들(74, 76)을 통과한다. 스톡 레일(12)에 대한 롤러 장치(10)의 위치는 여기서 고정 볼트(72)가 스트립(66) 내로 나사 결합되는 개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미세 조정은 슬롯들(74, 76)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실린더로서 설계된 롤러(50, 52)는 롤러 카세트 또는 홀더(54)의 레그(자세하게는 식별되지 않음)에 차례로 장착되는 액슬(78, 80)을 통과한다. 그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했듯이, 도면에 자명하다.
따라서, 스트립(66) 및 홈(64)은 스톡 레일(1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또는 직각으로 실질적으로 배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롤러 장치(10)에 대한 안내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 볼트가 리브형 플레이트(18)에 대해 그리고 따라서 스톡 레일(12)에 대해 롤러 장치(10)를 확실하게 그리고 명확하게 고정시키기에 충분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롤러(50, 52)는 홀더(54)로부터 나오며 홀더(54)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롯들(76)은 롤러(50, 52) 사이에서 이어지고 그 길이방향은 액슬(78, 8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또는 직각으로 이어진다.
필러 게이지를 사용하여 롤러 장치(10)를 조립하는 동안, 예를 들어 텅 풋 저부 에지로부터 롤러(50, 52)까지의 거리가 약 1mm로 설정될 수 있다. 롤러(50, 52)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것으로 밝혀지면, 표면(56)의 경사면과 결합 치형체(60)의 도움으로 롤러(50, 52)를 동시에 수평으로 조정하여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필요한 치수가 설정되면, 롤러 장치(10)는 고정 볼트(72) 및 예를 들어 로킹 와셔에 의해 고정된다.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안내의 그리고 이에 따른 홀더(54)의 안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는 리브형 플레이트(18)로부터 나오는 스트립형 돌출부(66)에 의해 달성된다.
도 5의 예시에 따르면, 폭이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리세스(67)가 제공되어, 스트립(66)에 의한 안내에 대응하는 텅 레일의 길이방향 축(14)에 대한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8)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하측으로부터 돌출한다는 점에서 안내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폭에 대응하여, 텅 레일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가로방향 또는 직각으로의 필요한 안내가 또한 보장되도록, 리세스가 리브형 플레이트(18)에 제공된다. 모든 다른 관점에서, 레일 고정점의 설계 특징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Claims (17)

  1. 텅 레일에 대한 지지부인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50, 52)를 갖는 홀더(54)를 포함하는, 텅 레일(14)을 스톡 레일(12)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톡 레일에 대해서 조정가능하고,
    상기 홀더(54)는 쐐기 형상의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8)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기 홀더가 지지되는 쐐기 형상으로 설계된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톡 또는 텅 레일(12, 14)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안내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톡 또는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한,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는 상기 스톡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안내 요소(66,67)를 갖는 지지부(18)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안내 요소는 상기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조정을 위한 제 2 안내 요소(64)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요소(66)는 적어도 단일 스트립이고 상기 제 2 안내 요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의 저부 측에서 이어지는 홈형의 길이방향 리세스(64)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전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고 그 폭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폭에 대응하는 리세스(67)는 상기 지지부의 제 1 안내 요소로서 상기 지지부(18)에 제공되는, 전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요소(66, 67)는 각각 내부 나사산을 갖는 개구들(68, 70)을 가지며, 상기 개구들 중 하나에 볼트 요소(72)가 결합하고 상기 홀더(54)가 상기 볼트 요소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18)의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는, 전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요소(66, 67)는 스트립 또는 리세스인, 전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4) 및/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는 상기 텅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고 상기 볼트 요소(72)에 의해서 관통되는 슬롯(74, 76)을 구비하는, 전환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롤러 요소(50, 52)가 상기 홀더(54)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장착되는, 전환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는 이들이 접촉하는 영역들 중 일부에서 치형체 결합 기구(60, 62)를 갖는, 전환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는 상기 홀더(54)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단일 볼트 요소(72)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18)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더에 지지되는, 전환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4)는 4 ° ≤α ≤ 8 °의 각도(α)로 수평으로부터 경사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의 표면 상에 놓이는, 전환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결합기구(60, 62)의 연속 치형체의 간격(a)은 2.5 mm ≤ a ≤ 3.5 mm인, 전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3 mm인, 전환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8) 및/또는 상기 홀더(54)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전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인, 전환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15 내지 30 중량 %의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 전환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8)는 리브형 플레이트인, 전환 장치.
KR1020187036360A 2016-06-20 2017-06-09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KR102448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1210.0A DE102016111210A1 (de) 2016-06-20 2016-06-20 Anordnung zum Umstellen einer Zungenschiene
DE102016111210.0 2016-06-20
PCT/EP2017/064114 WO2017220345A1 (de) 2016-06-20 2017-06-09 Anordnung zum umstellen einer zungenschi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586A KR20190044586A (ko) 2019-04-30
KR102448155B1 true KR102448155B1 (ko) 2022-09-29

Family

ID=5905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60A KR102448155B1 (ko) 2016-06-20 2017-06-09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3472386B1 (ko)
KR (1) KR102448155B1 (ko)
CN (1) CN109415876B (ko)
AU (1) AU2017283047B2 (ko)
DE (1) DE102016111210A1 (ko)
DK (1) DK3472386T3 (ko)
MY (1) MY191831A (ko)
SG (1) SG11201811041RA (ko)
TW (1) TWI752042B (ko)
WO (1) WO2017220345A1 (ko)
ZA (1) ZA201808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5522C1 (ru) * 2021-03-05 2022-01-3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ркут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ФГБОУ ВО ИрГУП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вижения остряка стрелочного перевод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06Y1 (ko) 2000-05-04 2000-09-15 박장묵 철도 분기기용 베이스 플레이트
KR100874181B1 (ko) 2007-08-27 2008-12-1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일체형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7093B2 (ja) * 1995-12-07 1999-02-10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転てつ減摩装置
JP2000257001A (ja) * 1999-03-04 2000-09-19 Yamato Kogyo Co Ltd 分岐器用床板の締結構造
JP2002004203A (ja) * 2000-06-22 2002-01-09 West Japan Railway Co 転てつ減摩器
DE20316886U1 (de) * 2002-12-06 2004-03-04 Schreck-Mieves Gmbh Zungenhebe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Weichenzungen
DE102004013347A1 (de) * 2003-08-15 2005-04-14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Umstellen einer Zungenschiene zu einer Backenschiene
DE102004004784B4 (de) * 2004-01-30 2007-05-10 Cdp Bharat Forge Gmbh Vorrichtung zum Verschieben einer Zungenschiene
DE102004040176C5 (de) 2004-08-18 2011-01-13 Deutsche Bahn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Backenschiene auf einer gleisinneren Seite einer Zungenvorrichtung einer Weiche
DE102005032417B4 (de) 2005-07-12 2014-12-11 Jörg Lorenz Rollvorrichtung zur Abstützung einer Weichenzunge
CN100575606C (zh) * 2006-03-10 2009-12-30 中铁宝桥股份有限公司 楔形调整新型弹片式扣件及扣压方法
DE102007038653B4 (de) * 2006-10-13 2017-01-05 Schwihag Ag Vorrichtung zum Umstellen von Weichenzungen
DE102008052152B4 (de) 2008-10-20 2014-01-23 Hansi Renc Weichenzungenhebe- und Rollvorrichtung
DE102009041833B4 (de) * 2009-09-18 2011-06-22 Vossloh-Werke GmbH, 58791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DE102010025770A1 (de) * 2010-07-01 2012-01-05 Schwihag Ag Rollvorrichtung für eine Zungenschiene einer Weiche
DE102014218125B3 (de) * 2014-09-10 2015-12-31 Schwihag Ag Rollvorrichtung zum Umstellen einer Weichenzun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06Y1 (ko) 2000-05-04 2000-09-15 박장묵 철도 분기기용 베이스 플레이트
KR100874181B1 (ko) 2007-08-27 2008-12-1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일체형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2386A1 (de) 2019-04-24
TWI752042B (zh) 2022-01-11
DE102016111210A1 (de) 2017-12-21
EP3472386B1 (de) 2020-09-23
MY191831A (en) 2022-07-18
WO2017220345A1 (de) 2017-12-28
CN109415876B (zh) 2021-10-29
BR112018074991A2 (pt) 2019-03-12
TW201804050A (zh) 2018-02-01
AU2017283047A1 (en) 2018-11-29
DK3472386T3 (da) 2020-12-14
ZA201808457B (en) 2019-08-28
KR20190044586A (ko) 2019-04-30
CN109415876A (zh) 2019-03-01
SG11201811041RA (en) 2019-01-30
AU2017283047B2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864B (zh) 钢轨安装系统
RU2239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упругого закрепл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рельсов на стандартных бетонных шпалах
CN101952513B (zh) 用于将钢轨紧固在基座上的系统
US8408477B2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tensioning clamp for a system of this type
US20090308943A1 (en) Laterally displaceable rail fastening
US8602317B2 (en) Support for a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a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U2009268236B2 (en) Angular guide plate and system for fixing a rail
CA2790323A1 (en) System for fixing a rail onto a foundation and support plate for such a system
KR102448155B1 (ko) 스위치 레일을 전환하기 위한 조립체
US20160145812A1 (en) Rail Fastening Arrangement and Shim for Such a Rail Fastening Arrangement
CN101387090B (zh) 用于将轨道紧固到刚性基座上的系统
RU26708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A2682168C (en) Guide rail arrangement
US5158253A (en) Railway track mounting arrangement
US6220176B1 (en) Travelling mechanism, especially for lifting devices
JPH06239560A (ja) 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CN220410546U (zh) 索道车行走轮组及索道车
CA1273273A (en) Saw carriage stabilizer
CN107614413A (zh) 乘客输送机的梯级流动调整装置
KR200154261Y1 (ko) 매거진 탑재장치
DE102004040176A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Backenschiene auf einer gleisinneren Seite einer Zungenvorrichtung einer Weiche
KR20240019355A (ko) 시공 이음부 영역에서 선로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지지하는 가교 구조 및 이러한 가교 구조를 포함하는 선로 구조
KR20190084994A (ko) 스위치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