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482B1 -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482B1
KR102635482B1 KR1020187018255A KR20187018255A KR102635482B1 KR 102635482 B1 KR102635482 B1 KR 102635482B1 KR 1020187018255 A KR1020187018255 A KR 1020187018255A KR 20187018255 A KR20187018255 A KR 20187018255A KR 102635482 B1 KR102635482 B1 KR 10263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conductor
bus bar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760A (ko
Inventor
마사시 카나자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용할 수 있는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를 단부에 갖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을 갖춘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띠모양 도체(101)를 갖는 FFC(10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커넥터(10)에 다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핀부(41)을 가지는 버스 바(40)와, 버스 바(40)를 유지하는 수지 홀더(20)가 구비되고, 버스 바(40)에 띠모양 도체(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43) 및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를 연결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가 구비되어 저항 소자(80)를 배치 가능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과,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대한 저항 소자(80)의 배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를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선택 분리부(54)를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설치했다.

Description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플랫(평면)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을 갖춘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 본체에 장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상대 회전 자유롭게 조립해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수용 공간에 감아 돌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하에서는, 플랫 케이블이라고 함)을 수용하고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은, 양단부에 접속 커넥터를 갖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이며, 상기 회전체에 설치한 접속 커넥터와 고정 측에 설치한 접속 커넥터로 외부의 전자 기기의 도체(이하에서 외부 기기의 외부 도체라고 함)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플랫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한 접속 커넥터는, 외부 도체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버스 바와, 버스 바를 유지하는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스 바에는 플렛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 및 그 도체 접속부와 상기 접속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요즘의 사양의 다양화에 따라 회전 커넥터 장치를 통해서 조명용의 LED 등 여러 외부 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 예를 들면 LED 회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등에 기인하는 과대한 전류(이하에서는 과전류라 함)가 유입해서, 플랫 케이블의 도체를 통전하는 전기 회로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버스 바의 연결부의 일부를 분단하고, 해당 부분을 저항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전자 부품 배치부로 하고, 전자 부품 배치부에 전자 부품을 배치해서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를 전자 부품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써 전자 부품을 통전하기 위해 전기 회로에 대한 과전류의 유입이 방지되어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취급이나 사양에 따라서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외부 기기만 접속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도 있고, 그럴 경우 저항 등의 전자 부품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전자 부품 배치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접속 커넥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3-1914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용할 수 있는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를 단부에 갖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을 갖춘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도체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커넥터이며, 다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버스 바와, 그 버스 바를 유지하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 바에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 및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그 연결부에는, 연결부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버스 바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드 배치부와,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를 연결하는 선택 분리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한 부분을,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전자 부품 배치부로 하고,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 중 한쪽은 상기 접속 단자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도체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분리부는,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대하여 상기 도체 접속부가 배치된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리드 부분을 상기 리드 배치부에 접속하는 경우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과, 상술한 접속 커넥터로 구성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인 것, 게다가 환상의 회전측 링 판과 그 회전측 링 판의 내주연(內周緣)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주통부(內周筒部)로 구성하는 회전체와, 환상의 고정측 링 판과 그 고정측 링 판의 외주연(外周緣)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주통부(外周筒部)로 구성하는 고정체가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측 링 판 및 내주통부와, 상기 고정체의 고정측 링 판 및 외주통부로 구성하는 수용 공간에, 상술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이 수용되고, 상기 회전체 측의 상기 접속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 측의 상기 접속 커넥터로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다른 단자란, 회전 커넥터 장치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의 전자기기의 도체에 접속된 접속 단자이다.
상술한 선택적으로 분리란, 전자 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는 분리하지 않고, 배치하는 경우에 분리한다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전자 부품은, 저항 소자나 다이오드, 혹은 서미스터 등의 전기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보호 부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자 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을 경우라도 접속 커넥터를 공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접속 커넥터를 구성하는 버스 바의 연결부에, 예를 들면 저항 소자와 같은 전자 부품을 배치 가능한 전자 부품 배치부와, 그 전자 부품 배치부로의 상기 전자 부품의 배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해서,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선택 분리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전자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는 선택 분리부를 분리함으로써 전자 부품 배치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을 통해서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배치하는 경우에는 전자 부품을 통한 전기 회로가 구성되어 과전류의 유입에 의한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면,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외부 기기만 접속되는 등의 이유로 전자 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는 선택 분리부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가, 분리되지 않는 선택 분리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접속 커넥터는, 전자 부품 배치부에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을 경우라도 1종류의 접속 커넥터를 공용할 수 있어 부품 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의 리드 부분의 접속 작업성이 향상되고, 리드 부분을 리드 배치부에 확실하게 접속해서, 한층 더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홀더의 측방에 배치된 선택 분리부는 홀더에서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선택 분리부의 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를, 상기 홀더의 측방(側方)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홀더의 측방은, 홀더의 내측이 아니고 홀더의 외연(外緣)보다 외측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는 홀더에 대해서 개방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가 홀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대한 전자 부품의 배치 및 전자 부품의 전기적 접속, 그리고 상기 선택 분리부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를, 상기 홀더의 측방에 배치하고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를 홀더의 일부 등으로 둘러싸는 경우에 비해 접속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홀더에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가 배치된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출부(延出部)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접촉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배치한 전자 부품이나 전자 부품의 접속 부분 혹은 상기 선택 분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을 확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연결부에서의 상기 선택 분리부보다 상기 도체 접속부 쪽에 도통 검사 기구가 접속되는 검사 접속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버스 바의 접속 단자부와 검사 접속부를 연결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도통 검사기구를 접속함으로써 전자 부품의 도전성, 즉 전자 부품의 고장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의 도체 접속부에 접속된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검사 접속부를 연결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도통 검사 기구를 접속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거치지 않고 도체의 도통성, 즉 도체의 손상 등을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스체가 설치되고, 상기 검사 접속부를 수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보다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케이스체에 접속 커넥터를 수용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 검사 접속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검사 접속부 접촉 등의 외부로부터의 접촉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서, 버스 바와 도체의 접속부의 도통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용할 수 있는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를 단부에 갖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을 갖춘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접속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에 따른 설명도이고,
도 4는, 접속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에 따른 설명도이고,
도 5는, 접속 커넥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6은, 접속 커넥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7은, 회전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하는 접속 커넥터(10A)의 분해 사시도에 따른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접속 커넥터(10B)의 분해 사시도에 따른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도 1은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일단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a)는 접속 커넥터(10A)의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가 장착된 접속 커넥터(1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는 접속 커넥터(10A)의 정면 측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접속 커넥터(10A)의 배면 측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a)는 접속 커넥터(10B)의 정면 측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접속 커넥터(10B)의 배면 측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접속 커넥터(10A)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도 5(a)는 플랫 케이블(100)(이하에서 FFC100이라 함)이 접속되고, 저항 소자(80)가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장착된 상태의 접속 커넥터(10A)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5(b)는 이 상태에서 수지 홀더(20)를 투과시킨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a)는 저항 소자(80)가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장착된 상태의 접속 커넥터(10A)에 대한 도통 검사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저항 소자(80)가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장착되지 않고, 선택 분리부(54)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접속 커넥터(10A)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접속 커넥터(10)의 방향을 상하 방향 역방향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장착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200)(이하에서는 SRC200라고 함)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SRC(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다른 쪽에 마련된 접속 커넥터 및 FFC(10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후술하는 SRC(200)에 장착되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장의 FFC(100;100A,100B)과, 각 FFC(100)의 단부에 구비된 접속 커넥터(10;10A,10B)와, 접속 커넥터(10)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90)로 구성하고, 두 장의 FFC(100) 및 접속 커넥터(10A,10B)가 전후 방향(두께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FFC(100)는, 복수의 띠모양 도체(101)와, 병행 배치한 띠모양 도체(101)를 사이에 끼워넣고 절연하는 절연 피복(102)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0A)에 접속하는 FFC(100A)는 8개의 띠모양 도체(101)를 구비하고, 접속 커넥터(10B)에 접속하는 FFC(100B)는 7개의 띠모양 도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FFC(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에 접속하는 쪽의 일부의 절연 피복(102)이 벗겨져서 소정 길이의 띠모양 도체(101)가 노출하는 도체 노출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FFC(100)을 구성하는 띠모양 도체(101)는, 예를 들면, 에어백용 회로를 구성하는 광폭의 도체라도 좋고, 여러 개의 띠모양 도체(101)가 모두 광폭의 도체로 구성된 FFC(100)라도 좋고, 복수 개 중 몇 개의 띠모양 도체(101)가 광폭의 도체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FFC(100A) 및 FFC(100B) 양쪽, 혹은 한쪽만 띠모양 도체(101)를 광폭의 도체로 구성해도 좋다.
접속 커넥터(10;10A,10B)는, 수지 홀더(20;20A,20B)와, 수지 홀더(20)에 대해서 FFC(100)를 고정하는 몰드 커버(3)와, 버스 바(40)로 구성하고 있다.
몰드 커버(30;30A,30B)는, FFC100(100A,100B)보다 폭이 넓고(도 2에서는 높이 방향으로 넓음), 후술하는 수지 홀더(20)에 걸리는 걸림부를 상하 양단에 구비한 측면으로 보아 대략 C형이며, 수지 홀더(20)에 장착한 FFC(10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수지 홀더(20;20A,20B)는, 후술하는 여러 개의 버스 바(40)를 일체적으로 유지하는 수지제 부재이지만, 절연성을 가지면 수지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커넥터(10A)를 구성하는 수지 홀더(20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폭이 넓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복수의 버스 바(40)를 절연 가능하게 장착하는 버스 바 장착부(29)를 내부에 가지면서 동시에 정면 쪽에 FFC(100A)를 장착하는 오목형상의 FFC장착부(21)와, 상단측에 있어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측방 연출부(24)와, 후술하는 수용 케이스(90의 계지(係止,걸림) 테두리부(93)에 걸리게 하여 고정하는 계지 손톱부(25)와, 측방 연출부(24)에 대해서 폭 방향 반대측의 상단에서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배면 돌출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 손톱부(25)는 정면 쪽으로 돌출하는 측면시(側面視) 삼각 형상이다.
또한, FFC장착부(21)에는, 버스 바 장착부(29)에 장착한 버스 바(40)의 도체 접속부(43)를 노출시키는 버스 바 노출부(27)가 형성되고, 버스 바 노출부(27)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버스 바(40)의 세로 방향 연결부(42)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간격 유지부(28)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접속되는 FFC(100)의 띠모양 도체(101)의 꼬임 고정으로서도 기능한다.
접속 커넥터(10B)를 구성하는 수지 홀더(20B)는, 배면 돌출부(26)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 및 계지 손톱부(25)가 배면 쪽으로 돌출하는 것 외에는 수지 홀더(20A)와 비교해서 형상이나 배치는 다르지만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버스 바(40)는 개략적으로 선단에 접속 핀부(41)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 (42)와,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대해서 직교하여 띠모양 도체(101)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43)로 구성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 혹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L자형 금속제이다.
상술하면, 버스 바(40)로서 도 3,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홀더(20A)에 장착하는 8개의 버스 바(40A~40H)와, 수지 홀더(20B)에 장착하는 6개의 버스 바(40I~40N)가 있고, 개략적으로는 어느 버스 바(40)도 상술한 것처럼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도체 접속부(4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0A)에 배치되는 8개 중, 도 3(a)에서 버스 바(40A~40C)는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되는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이며, 나머지 버스 바(40D~40H)는,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배치되는 정면시 대략 L자형이다.
버스 바(40A)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A)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오른쪽에 배치되고,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대해서 정면시 좌측으로 연장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바(40A)는 저항 소자(80)를 장착할 수 있는 저항 소자 장착부(50)가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마련되어 있다.
저항 소자 장착부(5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 소자(80)를 배치하는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과,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의 상하에 구비한 리드 배치부(52,53)와,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보다 정면시 우측에서 리드 배치부(52,53)를 연결하는 선택 분리부(54)와, 선택 분리부(54)보다 아래쪽에서 리드 배치부(53)보다 우측으로 돌출하는 검사 접속부(5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 분리부(54)는, 예를 들면 도 3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절단 라인 (56)을 절단함으로써 저항 소자 장착부(50)에서 분리되고, 선택 분리부(54)가 분리됨으로써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리드 배치부(52)와 리드 배치부(53)는 전기적으로 분단된다.
버스 바(40B)는 도 3(a)에서 버스 바(40A)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A)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고, 버스 바(40B)의 접속 핀부(41)의 하방에는 왼쪽 아래쪽을 향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구부린 굴곡부(44)가 마련되어 있다.
버스 바(40C)는, 도 3(a)에서 버스 바(40B)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B)보다 상방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긴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고, 도체 접속부(43)의 선단에 하방으로 구부린 절곡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A)에서 정면시 좌측에 배치되는 5개 중 가장 우측, 또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40D)는 접속 핀부(41)의 하방에서 왼쪽 하측을 향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44)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우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E)는 버스 바(40D)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접속 핀부(41)의 하방에서 왼쪽 하측을 향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44)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D)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고, 버스 바(40F)는 버스 바 (40E)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직선 형태의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E)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고, 버스 바 (40G)는 버스 바(40F)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접속 핀부(41)의 하방에서 오른쪽 하측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44)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E)보다 하방으로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스 바(40H)는, 도 3(a)에서, 버스 바(40G)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접속 핀부(41)의 하방에서 왼쪽 하측을 향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구부리는 굴곡부(44) 및 구부려서 접속 핀부(41)를 배면 측으로 시프트시키는 절곡부(46)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D)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0A)의 좌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40D~40H)에서의 도체 접속부(43)는 모두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그 우측 단부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버스 바(40D)에서 버스 바(40H)를 향해서 점점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있다. 또, 도체 접속부(43)는, 위에서부터 버스 바(40D, 40E, 40F, 40G, 40H, 40C, 40B, 및 40A)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버스 바(40A~40H)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A)에 장착되어 접속 핀부(41)가 수지 홀더(20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면서 동시에 도체 접속부(43)가 상술한 순서로 버스 바 노출부(27)에서 정면 쪽에 노출하게 된다.
또한, 구부린 굴곡부(46)를 가지는 버스 바(40H)의 접속 핀부(41)는, 배면 돌출부(26)의 상면 측에서 버스 바(40G)의 접속 핀부(41)의 폭 방향의 위치와 같은 위치에서 돌출한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A)의 저항 소자 장착부(50)는, 접속 커넥터(10A)의 수지 홀더(20A)에서의 측방 연출부(24)의 하방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수지 홀더(20B)에 배치되는 6개의 버스 바(40I~40N)에 대해서,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수지 홀더(20B)에 배치되는 6개 중, 도 4(a)에 있어서, 버스 바(40I~40K)는 정면시 우측에 배치되는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이며, 나머지 버스 바(40L~40N)는 정면시 좌측에 배치되는 정면시 대략 L자형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I)는 접속 커넥터(10B)에서 가장 폭 방향 우측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대해서 정면시 좌측으로 연장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체 접속부(43)의 도중에 세로방향으로 확장된 확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40J)는, 도 4(a)에 있어서, 버스 바(40I)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I)보다 상방에 배치되면서 길이가 짧은 도체 접속부 (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체 접속부(43)의 도중에 세로방향으로 확장된 확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40K)는, 도 4(a)에 있어서, 버스 바(40J)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J)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길이가 짧은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역 L자형으로 구성되면서 동시에, 도체 접속부(43)의 도중에 세로 방향으로 확장된 확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40I~40K)의 도체 접속부(43)의 선단 및 확대부(47)는 폭 방향에서 그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B)에서 정면시 좌측에 배치되는 3개 중 가장 우측, 또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40L)는, 접속 핀부(41)의 하방에 있어서 왼쪽 하측을 향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44)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우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두 개의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바(40L)에서의 두 개의 도체 접속부(43) 중 상측은 우측의 일부가 분단되고,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둔 분단 도체 접속부(43a)를 구성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M)는, 버스 바(40L)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접속 핀부(41)의 하방에서 왼쪽 하측을 향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44)를 가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L)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고, 버스 바(40N)는 버스 바(40M)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직선 형태의 세로 방향 연결부(42)와, 버스 바(40M)보다 하방으로 배치되는 도체 접속부(43)로 정면시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B)의 좌측에 배치되는 버스 바(40L~40N)에서의 도체 접속부(43)는 모두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그 우측 단부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버스 바(40L)에서 버스 바(40N)를 향해서 점차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있다. 또, 도체 접속부(43)는, 위에서부터 버스 바(40K,40J,40I, 40L,40M, 및 40N)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버스 바(40I~40N)는, 접속 커넥터(10B)에 장착되어 접속 핀부(41)가 수지 홀더(20B)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도체 접속부(43)가 상술한 순서로 버스 바 노출부(27)에서 정면 쪽으로 노출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수지 홀더(20)에 버스 바(40)를 장착해서 구성하는 접속 커넥터(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노출부(27)와 도체 노출부(103)가 서로 마주하도록 FFC장착부(21)에 FFC(100)를 배치한다.
그리고, 도체 노출부(103)에서 노출되는 띠모양 도체(101)와, 버스 바 노출부(27)에서 노출되는 도체 접속부(43)를 각각 접합하는 동시에 몰드 커버(30)를 결합시켜서 FFC(100)에 접속 커넥터(10)를 장착한다.
이때, 수지 홀더(20B)의 버스 바(40L)의 2개의 도체 접속부(43) 중 상측의 분단 도체 접속부(43a)에도 FFC(100B)의 띠모양 도체(101)가 접속된다.
또한, 도 2(a)에서는 저항 소자(80)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접속 커넥터(10A)을 이용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2(b)에서 도시하는 저항 소자(80)를 장착한 접속 커넥터(10A)를 조립해도 좋다.
또, FFC(100;100A,00B)에 장착된 접속 커넥터(10A) 및 접속 커넥터(10B)는 전후 방향(두께방향)으로 조립되어, 후술하는 수용 케이스(90)에 수용해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0A)와 접속 커넥터(10B)가 전후 방향(두께방향)으로 조립되면, 접속 커넥터(10A)의 배면 돌출부(26)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버스 바(40H)의 접속 핀부(41)는 접속 커넥터(10B)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버스 바(40N)의 접속 핀부(41)의 좌측에 배치되고, 버스 바(40I~40N)의 접속 핀부(41)와 대략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수지 홀더(20B)의 버스 바(40L)의 두 개의 도체 접속부(43) 중 상측의 분단 도체 접속부(43a)는 어떤 접속 핀부(41)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아서 분단 도체 접속부(43a)에 접속된 FFC(100B)의 띠모양 도체(10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통전되지 않는, 즉 전기 회로로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FFC(100B)에서의 해당하는 띠모양 도체(101)를 분단 도체 접속부(43a)에 접속하고 있어서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FFC(100)에 구비한 7개의 띠모양 도체(101) 중 전기 회로로서 사용하는 6개의 띠모양 도체(101)뿐만 아니라 전기 회로로서 사용되지 않는 띠모양 도체(101)를 버스 바(40)와 접속함으로써 접속 커넥터(10)와 FFC(100)의 접속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띠모양 도체(101)와 버스 바(40)와의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수용 케이스(90)는, 다른 외부 기기에 접속된 도시 생략하는 암형(雌型) 커넥터가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부(91)와, 커넥터 하우징부(91)의 상방에 있어서, 접속 커넥터(10;10A,0B)를 장착하는 커넥터 장착부(92)와, 커넥터 장착부(92)에 장착된 접속 커넥터(10)의 계지 손톱부(25)와 결합해서 접속 커넥터(10)를 고정하는 계지 테두리부(93)가 구비되어 있고, 커넥터 하우징부(91)에 의해 후술하는 SRC(200)의 스테이터측 커넥터(224)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0A)와 접속 커넥터(10B)를 전후 방향(두께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핀부(41)가 돌출하는 쪽에서 커넥터 장착부(92)에 삽입하여, 계지 손톱부(25)와 계지 테두리부(93)를 걸리게 해서 접속 커넥터(10)를 수용 케이스(9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커넥터 장착부(92)에 장착한 접속 커넥터(10)의 접속 핀부 (41)는, 도 2에서 바닥면 측이 개방된 커넥터 하우징부(91)의 내부로 돌출하게 되고, 접속 커넥터(10)가 조립된 수용 케이스(90)는, 7개×2줄의 접속 핀을 가진 수형(雄型)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케이스(90)에 조립된 접속 커넥터(10A)에서의 검사 접속부(55)는 수용 케이스(90)보다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해서 FFC(100)에 고정한 접속 커넥터(10)를 수용 케이스(90)에 조립해서 구성하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에 있어서, 저항 소자(80)를 장착하는 경우와 장착하지 않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에 저항 소자(80)를 장착할 경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하는 접속 커넥터(10A)의 저항 소자 장착부 (50)에 장착하게 된다.
저항 소자(80)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고, 원통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각각 연장되는 리드부(81)로 구성하고 있다.
버스 바(40A)의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형성한 저항 소자 장착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 소자(80)를 배치하는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의 상하에 구비한 리드 배치부(52,53)와,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보다 정면시 우측에 있어서 리드 배치부(52,53)를 연결하는 선택 분리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항 소자 장착부(50)에 저항 소자(8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절단 라인(56)을 절단해서 선택 분리부(54)를 분리한 뒤,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하고, 리드 배치부(52,53)에 리드부(81)를 접속한다.
버스 바(40A)는, 선택 분리부(54)가 분단되지 않는, 즉 저항 소자(8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는, 선택 분리부(54)를 통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저항 소자(80)가 장착되는, 즉 선택 분리부(54)가 분단되면, 저항 소자(80)를 통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래서, 버스 바(40A)의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는, 저항 소자 장착부(50)에 배치된 저항 소자(80)를 통해서 통전된다.
따라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A)의 접속 핀부(41)와 검사 접속부(55)를 연결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도통 검사 장치(M)를 접속함으로써, 저항 소자(80)의 도전성, 즉 저항 소자(80)의 고장 등을 띠모양 도체(101)를 통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접속부(55)와 버스 바(40A)의 도체 접속부(43)에 접속된 FFC(100A)의 띠모양 도체(101)의 타단부를 연결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도통 검사 장치(M)를 접속함으로써, 띠모양 도체(101)의 도통성, 즉 띠모양 도체(101)의 손상 등을 저항 소자(80)를 통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 소자(80)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는 버스 바(40A)의 접속 핀부(41) 혹은 검사 접속부(55)와, 버스 바(40A)의 도체 접속부(43)에 접속된 FFC(100A)의 띠모양 도체(101)의 타단부를 연결해서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도통 검사 장치(M)을 접속함으로써, 띠모양 도체(101)의 도통성, 즉 띠모양 도체(101)의 손상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은, FFC(100)의 일단부에 접속 커넥터(10)가 장착되고, 반대측의 타단부에 도시 생략되는 접속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SRC(200)에 장착된다.
SRC(2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로테이터(210)와, 하방에 위치하는 스테이터(220)와, 로테이터와 일체가 되어서 고정되는 슬리브(230)를 조립해서 구성하며, 조립상태에서의 로테이터(210)와 스테이터(220)의 내부에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환상의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2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 중앙부분에 대략 원형의 관통홀을 가지는 대략 환상의 회전측 링 판(211)과, 회전측 링 판(211)의 내주연부(內周緣部)에서 하방을 향해서 형성되는 내주통부(21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측 링 판(211)의 윗면에는, 상방으로 돌출해서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214A,21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측 커넥터(214A,214B)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FFC(100A)와 FFC(100B)의 각각의 타단부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도시생략)가 각각 장착되면서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는 혼 스위치, 에어 백 장치 등의 전기 회로에서 인출된 스티어링 측 케이블(도시생략)과 접속된다.
스테이터(22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 중앙 부분에 대략 원형의 관통홀을 가지는 대략 환상의 고정측 링 판(221)과, 고정측 링 판(221)의 외주연부에서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주연부(222)로 구성하고 있다.
고정측 링 판(221)의 고정측 링 판(221)보다 더 외경 측에는, 아래로 돌출하고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스테이터측 커넥터(22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외주통부(22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210)의 회전측 링 판(211)의 외주 직경보다 조금 소경(小徑)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어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테이터(210)와 스테이터(220)를 조립한 조립상태에서 회전측 링 판(211)의 외주연부의 하방에 배치된다.
스테이터 측 커넥터(224)는,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칼럼 커버 내에서, 차체 측의 전기 회로에서 인출된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이며, 상술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수용 케이스(90)가 조립되어 있다.
슬리브(23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20)의 하방에서 장착되어서 로테이터(210)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부재이며, 평면시 중앙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로테이터(210)와 스테이터(220)에 있어서, 회전측 링 판(211)의 아랫면과 고정측 링 판(221)의 윗면과 내주통부(212)의 외주면과 외주통부(222)의 내주면으로, 감아 돌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수용 공간(S)이 형성된다(도8 참조).
자세하게는, 두 장의 FFC(100A,100B)를 가진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은, 2장의 더미 케이블과 겹쳐져서 4장의 케이블로 하고, 수용 공간(S)에 감아 돌려서 수용된다. 이때,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의 접속 커넥터(10)가 스테이터 측 커넥터(224)에 접속되고, 반대 측의 접속 커넥터가 로테이터측 커넥터(214)에 접속된다.
또한, 4장의 케이블 중 스테이터측 커넥터(224) 측이 수용 공간(S)에서 외주측, 즉 외주통부(222)의 내면을 따라서 감아 돌려져 수용된다.
그리고, 4장의 케이블 각각에 있어서, 중간 부분을 U턴 형태로 구부려 되돌리고, 로테이터측 커넥터(214) 측의 케이블은 수용 공간(S)에 있어서 내측, 즉 내주통부(2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역방향으로 감아 돌려서 수용된다.
또한, 4장의 케이블 각각의 중간 부분에서 형성되는 U턴 형태의 구부려 되돌린 부분은, 수용 공간(S)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 위치에 배치되고, U턴 형태의 구부려 되돌린 부분의 반발력에 의해서 수용 공간(S)에서 외측 및 내측으로 감아 돌려서 수용된 FFC(100)를 지름 방향으로 힘을 더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SRC(200)의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하는 접속 커넥터(10A)는, 복수의 띠모양 도체(101)를 가지는 FFC(100A)의 단부에 배치되고, SRC(200)의 로테이터측 커넥터(214)에 접속되는 스티어링측 케이블 등의 다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핀부(41)를 가지는 복수의 버스 바(40;40A~40H)와, 버스 바(40)를 유지하는 수지 홀더(20A)가 구비되어, 버스 바(40)에, 띠모양 도체(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43) 및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를 연결하는 세로 방향 연결부(42)가 구비되고, 버스 바(40A)의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저항 소자(80)를 배치 가능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과,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대한 저항 소자(80)의 배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를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선택 분리부(54)가 설치되어 있어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접속 커넥터(10A)를 공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접속 커넥터(10A)를 구성하는 버스 바(40A)의 세로방향 연결부(42)에 저항 소자(80)를 배치 가능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과,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대한 저항 소자(80)의 배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를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선택 분리부(54)가 마련되어 있어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하는 경우는 선택 분리 장치(54)를 분리함으로써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배치된 저항 소자(80)를 통해서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측 커넥터(224)에 접속된 조명용의 LED 등의 외부 기기의 노이즈 등에 기인해서 과전류가 생겼다 해도 저항 소자(80)를 통전하기 때문에 SRC(200)의 전기 회로나 접속된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보다 상류 쪽에서 방지할 수 있다.
역으로 스테이터 측 커넥터(224)를 통해서,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외부 기기만 접속된 경우 등,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는 선택 분리부(54)를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 핀부(41)와 도체 접속부(43)는 분리되지 않는 선택 분리부(54)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접속 커넥터(10A)는, 예를 들면 조명용 LED 등의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있는 외부 기기가 장착되는 등의 사양에 따라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저항 소자(80)를 배치하는 경우라도,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외부 기기만 장착되는 등 사양에 따라 저항 소자(80)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1종류의 접속 커넥터(10A)를 공용할 수 있어서 부품 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를, 수지 홀더(20A)의 측방, 즉 수지 홀더(20A)의 내측이 아니고 수지 홀더(20A)의 외연보다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수지 홀더(20A)에 대해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가 수지 홀더 (2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대한 저항 소자(80)의 배치 및 전기적 접속, 그리고 선택 분리부(54)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를, 수지 홀더(20A)의 측방에 배치하고 있어서,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를 수지 홀더 (20A)로 둘러싸는 경우에 비해 소형의 접속 커넥터(10A)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홀더(20A)에,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 및 선택 분리부(54)가 배치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출부(24)가 마련되어 있어서 외부에서의 접촉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배치한 저항 소자(80)나 저항 소자 (80)의 리드부(81)와 리드 배치부(52,53)의 접속부분 혹은 선택 분리부(5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 연결부(42)에서의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의 양측에,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배치되는 저항 소자(80)의 리드부(8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 배치부(52,5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소자(80)의 리드부(81)의 접속 작업성이 향상되어, 리드부(81)를 리드 배치부(52,53)에 확실하게 접속해서 한층 더 안정된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분리부(54)는, 리드 배치부(52,53)끼리 연결하면서 동시에 리드 배치부(52,53)에 있어서 수지 홀더(20A)와 떨어진 쪽에 배치되고, 선택 분리부(54)보다 수지 홀더(20A)에 가까운 쪽에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을 형성함으로써 수지 홀더(20A)의 정면시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선택 분리부(54)를 수지 홀더(20A)에서 이격시킬 수 있어서 선택 분리부(54)의 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 연결부(42)에서의 선택 분리부(54)보다 도체 접속부(43)에 가까운 쪽에 도통 검사 기구가 접속되는 검사 접속부(55)를 설치함으로써,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40A)의 접속 핀부(41)와 검사 접속부(55)를 연결해서 저항 소자(80)의 도전성, 즉 저항 소자(80)의 고장 등을 띠모양 도체(101)를 통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다.
또, 검사 접속부(55)와 버스 바(40A)의 도체 접속부(43)에 접속된 FFC(100A)의 띠모양 도체(101)의 타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저항 소자(80)를 거치지 않고, 띠모양 도체(101)의 도통성, 즉 띠모양 도체(101)의 손상 등을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수지 홀더(20A)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90)가 설치되고, 검사 접속부(55)는 수용 상태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90)보다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용 케이스(90)에 접속 커넥터(10A)를 수용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 검사 접속부(55)가 노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사 접속부(55)의 접촉 등의 외부로부터의 접촉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서, 버스 바(40A)나 띠모양 도체(101)의 접속부의 도통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0A)에 의한 상술의 효과는, 접속 커넥터(10A)를 FFC(100A)에 설치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 그리고 환상의 회전측 링 판(211)과 회전측 링 판(211)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주통부(212)로 구성한 로테이터(210)와, 환상의 고정측 링 판(221)과 고정측 링 판(221)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주통부(222)로 구성하는 스테이터(220)가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테이터(210)의 회전측 링 판(211) 및 내주통부(212)와, 스테이터(220)의 고정측 링 판(221) 및 외주통부(222)로 구성하는 수용 공간(S)에, 상술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이 수용되고, 로테이터측 커넥터(214)와 스테이터측 커넥터(224)로 외부 띠모양 도체(10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SRC(20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도체는 띠모양 도체(101)에 대응하고,
플랫 케이블은 FFC(100)에 대응하고,
접속 단자부는 접속 핀부(41)에 대응하고,
연결부는 세로 방향 연결부(42)에 대응하고,
전자 부품은 저항 소자(80)에 대응하고,
전자 부품 배치부는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대응하고,
홀더의 측방에 배치하는 것은, 수지 홀더(20A)의 우측에 돌출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대응하고,
연출부는 측방 연출부(24)에 대응하고,
리드 부분은 리드부(81)에 대응하고,
케이스체는 수용 케이스(90)에 대응하고,
회전체는 로테이터(210)에 대응하고,
고정측 링 판은 고정측 링 판(221)에 대응하고,
고정체는 스테이터(220)에 대응하고,
회전 커넥터 장치는 SRC(200)에 대응하는데,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저항 소자(80)를, 전자 부품 배치부로서 기능하는 저항 소자 배치 공간(51)에 장착했는데, 저항 소자(80) 이외에, 다이오드, 혹은 서미스터 등의 전기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보호 부품 등을 장착해도 좋다.
또한, SRC(200)에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해서 이용했지만, SRC(200)에 수용하지 않고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하는 FFC(100)의 양쪽에 접속 커넥터(10)를 구비해도 좋고, 전후 방향(두께 방향)으로 접속 커넥터(10A)끼리 겹쳐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두 장의 FFC(100A,100B)를 가지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2장의 더미 케이블과 겹쳐서 4장의 케이블로 해서, 수용 공간(S)에 감아 돌려서 수용했으나, 2장의 FFC(100A,100B)를 가진 2세트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조립해서, 4장의 FFC(100)을 수용 공간(S)에 감아 돌려서 수용해도 좋고, 게다가 1장의 FFC(100)과 3장의 더미 케이블을 겹쳐서 4장의 케이블로서, 수용 공간(S)에 감아 돌려서 수용해도 좋다.
또, SRC(200)의 수용 공간(S)에 있어서, 2장의 더미 케이블과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1)을 겹쳐서, 중간 부분을 U턴 형태로 구부리고, 그것을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였는데, 구부려 되돌림부를 수용 공간(S)에 배치된 리테이너에 구비한 롤러에 걸리게 해도 좋다.
1;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10A; 접속 커넥터
20A; 수지 홀더
24; 측방 연출부
40A; 버스 바
41; 접속 핀부
42; 세로 방향 연결부
43; 도체 접속부
51; 저항 소자 배치 공간
52,53; 리드 배치부
54; 선택 분리부
55; 검사 접속부
80; 저항 소자
81; 리드부
90; 수용 케이스
100; 플랫 케이블(FFC)
101; 띠모양 도체
200; SRC
210; 로테이터
211; 회전측 링 판
212; 내주통부
220; 스테이터
221; 고정측 링 판
222; 스테이터측 외주통부
S; 수용 공간

Claims (9)

  1. 복수의 도체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커넥터이며,
    다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버스 바와,
    그 버스 바를 유지하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 바에,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 및 상기 접속 단자부와 상기 도체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그 연결부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버스 바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드 배치부와,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를 연결하는 선택 분리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한 부분을,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전자 부품 배치부로 하고,
    한 쌍의 상기 리드 배치부 중 한쪽은 상기 접속 단자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도체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택 분리부는,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대하여 상기 도체 접속부가 배치된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에 상기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리드 부분을 상기 리드 배치부에 접속하는 경우에, 분리되는 접속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가,
    상기 홀더의 측방에 배치된 접속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전자 부품 배치부 및 상기 선택 분리부가 배치된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출부(延出部)가 설치된 접속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의 상기 선택 분리부보다 상기 도체 접속부 쪽에, 도통 검사 기구가 접속되는 검사 접속부가 설치된 접속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스체가 설치되고,
    상기 검사 접속부가, 수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커넥터.
  6. 복수의 도체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속 커넥터로 구성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7. 환상의 회전측 링 판과 그 회전측 링 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주통부로 구성하는 회전체와, 환상의 고정측 링 판과 그 고정 측 링 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주통부로 구성하는 고정체가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측 링 판 및 내주통부와, 상기 고정체의 고정측 링 판 및 외주통부로 구성하는 수용 공간에,
    제6항에 기재된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이 수용되고, 상기 회전체 측의 상기 접속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측의 상기 접속 커텍터로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전 커넥터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87018255A 2016-02-17 2017-02-14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63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7835 2016-02-17
JP2016027835A JP6696791B2 (ja) 2016-02-17 2016-02-17 接続コネクタ、接続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PCT/JP2017/005285 WO2017141898A1 (ja) 2016-02-17 2017-02-14 接続コネクタ、接続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760A KR20180112760A (ko) 2018-10-12
KR102635482B1 true KR102635482B1 (ko) 2024-02-13

Family

ID=5962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255A KR102635482B1 (ko) 2016-02-17 2017-02-14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1083B2 (ko)
EP (1) EP3432423B1 (ko)
JP (1) JP6696791B2 (ko)
KR (1) KR102635482B1 (ko)
CN (1) CN108496280B (ko)
WO (1) WO2017141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047A1 (ja) * 2019-09-05 2021-03-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用フラットケーブル組立体
CN112345971B (zh) * 2020-10-27 2022-03-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Ffc线材检测电路及检测工装
EP4379975A1 (en) * 2021-09-03 2024-06-05 Furukawa Electric Co., Ltd. Lead block, and rotating connector device
WO2023228861A1 (ja) * 2022-05-24 2023-11-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組立体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871A (ja) * 2001-07-17 200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6107809A (ja) * 2004-10-01 2006-04-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をアース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アース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8479A (en) * 1968-06-11 1970-11-03 Mc Graw Edison Co Protector for electric circuits
US3744003A (en) * 1971-11-12 1973-07-03 3 B & D Prod Inc Fuse adapter
EP0224965A3 (en) * 1985-11-30 1988-06-22 Du Pont Japan Ltd. Electric connector device
JPH067593Y2 (ja) 1989-05-16 1994-02-2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ー用端子
JP2747877B2 (ja) * 1993-10-28 1998-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遅断ヒ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3794608B2 (ja) * 1999-12-01 200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導通検査具
JP2002184532A (ja) 2000-12-14 2002-06-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JP4682096B2 (ja) * 2006-03-23 2011-05-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03036B2 (ja) * 2008-05-08 2013-06-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
CN102196703B (zh) * 2010-03-16 2015-10-14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电子设备
KR101322593B1 (ko) * 2011-03-14 2013-10-2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JP5802156B2 (ja) * 2012-03-14 2015-10-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114135B2 (ja) * 2013-07-30 2017-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保護カバー構造
CN203630267U (zh) * 2013-12-30 2014-06-04 盛地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Fpc排线导通测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871A (ja) * 2001-07-17 200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6107809A (ja) * 2004-10-01 2006-04-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をアース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アース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96791B2 (ja) 2020-05-20
EP3432423B1 (en) 2021-01-27
EP3432423A1 (en) 2019-01-23
EP3432423A4 (en) 2019-12-11
KR20180112760A (ko) 2018-10-12
CN108496280A (zh) 2018-09-04
WO2017141898A1 (ja) 2017-08-24
US20190047490A1 (en) 2019-02-14
JP2017147110A (ja) 2017-08-24
US10351083B2 (en) 2019-07-16
CN108496280B (zh)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5482B1 (ko) 접속 커넥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121997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US9472914B2 (en) Rotary connector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EP3072748A1 (en) Protector, assembly of wire with prot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5833522B2 (ja) 回転コネクタ
JPH01313863A (ja) 接続又は分離列用の保護プラグ
JP2002334763A (ja) 回転コネクタ
KR20160117184A (ko) 플러그
JP5802156B2 (ja) 回転コネクタ
US7878813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electric current, in particular for a steering wheel heater of a vehicle
TWI663804B (zh) 理線裝置及理線方法
US8882309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contacting a lighting means, a lighting module, or lamp
JP5833523B2 (ja) 回転コネクタ
JP5746541B2 (ja) スペアヒューズの保持構造
US10763629B1 (en) Integrate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ductor, a fuse and a connector
JP201621310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872933B2 (ja) 回転コネクタ
JP2020087632A (ja) ヒューズホルダ
JP2007329032A (ja) 接続部材
JPH08171969A (ja) 端子接続構造
JP2016162668A (ja) 多枝線用グロメット
JP2009059517A (ja) ハーネス接続部材
JP2014207071A (ja) 電線スプライス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