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422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422B1
KR102634422B1 KR1020237032886A KR20237032886A KR102634422B1 KR 102634422 B1 KR102634422 B1 KR 102634422B1 KR 1020237032886 A KR1020237032886 A KR 1020237032886A KR 20237032886 A KR20237032886 A KR 20237032886A KR 102634422 B1 KR102634422 B1 KR 10263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short
signal
car
det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4105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사키
아키라 후미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송신부(51)는, 오동작 검출부(41)가 오동작을 검출하고 또한 갇힘 검출부(42)가 갇힘을 검출하면, 정보 센터(4)에 제1 신호를 송신한다. 단락부(53)는,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정보 센터(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킴으로써 권상기(9)에 전력을 공급한다. 권상기 제어부(45)는, 단락부(53)에 의해서 안전 회로(18)가 단락된 후에 정보 센터(4)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하면, 권상기(9)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5)을 구동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에 갇혔을 때에 안전 장치가 동작하고 있으면, 원격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안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했는지를 스스로 판단하고, 안전 회로를 단락시킨다.
일본 특개 2001-22007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원격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안전 장치의 정상 동작과 오동작을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크다. 또한, 해당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오퍼레이터가 판단을 잘못하면, 안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경우라도 안전 회로가 단락되어 버린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칸에 갇힌 승객을 구출할 때의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전 회로의 단락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검출기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 권상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 회로와, 검출기의 오동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갇힌 것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제1 검출 수단이 오동작을 검출하고 또한 제2 검출 수단이 갇힘을 검출하면, 오퍼레이터가 있는 정보 센터에 특정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정보 센터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안전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권상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락 수단과, 단락 수단에 의해서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3 신호를 수신하면, 권상기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승강장의 정지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구출 존(zone)에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제1 제어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킨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이면, 엘리베이터 칸에 갇힌 승객을 구출할 때의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 회로의 단락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장치 및 감시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정보 센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장치(1)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오퍼레이터(3)가 있는 원격의 정보 센터(4)에 접속된다.
일례로서, 네트워크(2)는 IP 네트워크이다. IP 네트워크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2)는 클로즈드 네트워크여도 되고, 오픈 네트워크여도 된다.
정보 센터(4)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관리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정보 센터(4)가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이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5)은 승강로(7)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추(6)는 승강로(7)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로프(8)에 의해서 승강로(7)에 매달린다. 로프(8)는 예를 들면 와이어 로프이다.
권상기(9)는 엘리베이터 칸(5)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이다. 권상기(9)는 시브(10), 모터(11), 인코더(12)(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및 브레이크 장치(13)를 구비한다.
시브(10)는 권상기(9)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시브(10)에, 로프(8)가 감겨 걸려져 있다. 모터(11)는 시브(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모터(11)는 시브(10)를 회전시킨다. 인코더(12)는 시브(10)의 회전각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인코더(12)는 예를 들면 리졸버이다. 브레이크 장치(13)는 시브(10)를 정지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권상기(9)는 제어 장치(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은, 제어 장치(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장치(14)에, 감시 장치(15)가 접속된다. 감시 장치(15)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정보 센터(4)와 통신한다.
도 1은 권상기(9) 및 제어 장치(14)가 승강로(7)의 상방의 기계실(16)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권상기(9) 및 제어 장치(14)는, 승강로(7)에 설치되어도 된다. 권상기(9)가 승강로(7)에 설치되는 경우, 권상기(9)는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되어도 되고, 승강로(7)의 피트에 설치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5)과 제어 장치(14)는, 제어 케이블(17)에 의해서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칸(5)에 구비된 기기는, 제어 장치(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칸(5)은 도어(21), 모터(22), 저울 장치(23), 카메라(24), 및 조작반(25)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5)의 출입구는, 도어(21)에 의해서 개폐된다. 모터(22)는 도어(2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저울 장치(23)는 엘리베이터 칸(5)의 적재 하중을 측정한다. 도 1은 저울 장치(23)가 엘리베이터 칸(5)의 하부에 마련되는 예를 나타낸다. 저울 장치(23)는 로프(8)의 단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조작반(25)은 표시기(26), 인터폰(27), 스피커(28), 및 버튼(29)을 구비한다. 인터폰(27)은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이 정보 센터(4)에 있는 오퍼레이터(3)와 통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이 인터폰(27)에 의해서 오퍼레이터(3)와 대화를 하기 위한 회선은, 감시 장치(15)를 통해서 정보 센터(4)에 접속되는 회선과는 다른 회선이어도 된다. 버튼(29)으로는, 행선지 버튼, 도어 개방 버튼, 및 도어 폐쇄 버튼이 포함된다. 버튼(29)에 다른 버튼이 포함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엘리베이터 칸(5)이 특정 착상 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착상 장치를 구비한다. 착상 존은 각 승강장(31)의 높이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N층의 승강장(31)의 높이에 맞추어 설정된 착상 존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N층의 승강장(31)에 정지하는 위치가 포함된다. 엘리베이터 칸(5)이 N층의 승강장(31)에 정지하는 위치란, N층의 승강장(31)의 바닥면과 엘리베이터 칸(5)의 바닥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5)의 위치이다.
일례로서, 착상 장치는 광전 센서(32), 및 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광전 센서(32)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다. 플레이트(33)는 승강로(7)에 마련된다. 플레이트(33)는 각 승강장(31)의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N층의 승강장(31)의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플레이트(33)를 광전 센서(32)가 검출할 수 있는 범위가, N층의 착상 존이다. 광전 센서(32)가 플레이트(33)를 검출하면, 광전 센서(32)로부터 제어 장치(14)에, 검출된 플레이트(33)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조속기(34)를 구비한다.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특정 기준 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을 초과한 것을 검출한다. 기준 속도 V1은 미리 설정된다.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을 초과하면, 엘리베이터 칸(5)을 전기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2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다. 기준 속도 V2는 미리 설정된다. 기준 속도 V2는 기준 속도 V1보다 크다.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2를 초과하면, 엘리베이터 칸(5)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킨다.
조속기(34)는 조속기 풀리(35), 인장 풀리(36), 로프(37), 연결 부재(38), 및 스위치(39)를 구비한다. 인코더(12)가 가지는 기능은, 조속기(34)에 구비되어도 된다.
조속기 풀리(35)는 기계실(16)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조속기 풀리(35)는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인장 풀리(36)는 승강로(7)의 피트에, 회전 가능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인장 풀리(36)는 조속기 풀리(35)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로프(37)는 고리 모양이다. 로프(37)는 조속기 풀리(35)와 인장 풀리(36)에 감겨 걸려져 있다. 연결 부재(38)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다. 로프(37)는 연결 부재(38)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5)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38)가 로프(37)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5)이 이동하면, 로프(37)가 이동한다. 로프(37)가 이동하면, 조속기 풀리(35)가 회전한다. 조속기 풀리(35)에, 플라이웨이트(도시하지 않음)가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다. 조속기 풀리(35)가 회전하면, 플라이웨이트는 원심력에 의해서 조속기 풀리(3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한다.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가 스위치(39)를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34)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을 초과한 것을 검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는 안전 회로(18)를 구비한다. 안전 회로(18)는 복수의 상폐 접점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에는,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기가 구비된다. 검출기가 이상을 검출하면, 안전 회로(18)의 상폐 접점이 열린다. 안전 회로(18)에 포함되는 상폐 접점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권상기(9)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조속기(34)는 상기 검출기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39)가 동작하면, 상폐 접점(19)이 열린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된다.
도 2는 제어 장치(14) 및 감시 장치(1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는 오동작 검출부(41), 갇힘 검출부(42), 알림 제어부(44), 권상기 제어부(45), 속도 검출부(46), 위치 검출부(47), 도어 제어부(48), 및 승객 검출부(49)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15)는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어댑터(50)를 포함한다. 감시 장치(15)는 송신부(51), 요구부(52), 및 단락부(53)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 3 내지 도 7도 참조하여,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제어 장치(1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 및 도 4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14)에서는, 검출기가 오동작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검출기의 오동작은, 오동작 검출부(41)에 의해서 검출된다. 일례로서, 오동작 검출부(41)는 조속기(34)의 오동작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가 스위치(39)를 동작시킨다.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에 도달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39)가 동작했을 경우는, 조속기(34)의 오동작이다.
조속기(34)에서는, 로프(37)로부터 배어 나온 기름이 조속기 풀리(35)로 이동한다. 조속기 풀리(35)에서 기름이 고화(固化)되면, 조속기 풀리(35)에서 고화된 기름이 스위치(39)를 동작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화된 기름이 조속기 풀리(35)로부터 벗겨져 로프(37)에 부착되면, 로프(37)에 부착된 고화 기름이 스위치(39)를 동작시키는 경우도 있다.
속도 검출부(46)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를 검출한다. 속도 검출부(46)는 인코더(12)로부터의 신호, 즉 시브(10)의 회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를 검출한다. 오동작 검출부(41)는, 스위치(39)가 동작했을 때, 즉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 V1을 초과한 것을 조속기(34)가 검출했을 때에 속도 검출부(46)에 의해서 검출된 속도가 기준 속도 V3보다 작은 경우에, 오동작을 검출한다(S101의 Yes). 기준 속도 V3는 미리 설정된다. 기준 속도 V3는, 기준 속도 V1보다 작다.
S101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에 승객이 갇혔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2). 엘리베이터 칸(5)에 승객이 갇힌 것은, 갇힘 검출부(42)에 의해서 검출된다. 갇힘 검출부(42)는 저울 장치(23)가 측정한 적재 하중을 이용하여 승객의 갇힘을 검출해도 된다. 갇힘 검출부(42)는 카메라(24)가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승객의 갇힘을 검출해도 된다.
오동작 검출부(41)가 오동작을 검출하면, S1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갇힘 검출부(42)가 갇힘을 검출하면, S1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2의 판정은, S101의 판정보다 전에 행해져도 된다. S101 및 S102 양방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14)로부터 감시 장치(15)에 대해서, 경보 발행 요구가 송신된다(S103).
해당 경보 발행 요구가 송신되는 조건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S101 및 S102 양방에서 Yes로 판정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5)이 도어 존 밖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해당 경보 발행 요구가 송신되어도 된다. 도어 존은 승강장(31)의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5)의 도어(21)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존이다.
도 5는 감시 장치(15)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감시 장치(15)에서는, 제어 장치(14)로부터 경보 발행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1). S103에서 제어 장치(14)로부터 송신된 경보 발행 요구를 감시 장치(15)가 수신하면, S2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201에서 Yes로 판정되면, 즉 S101 및 S102 양방에서 Yes로 판정되면, 송신부(51)는 정보 센터(4)에 대해서 특정 제1 신호를 송신한다(S202).
도 6은 정보 센터(4)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보 센터(4)는 통화 장치(61), 표시기(62), 입력 장치(63), 및 제어 장치(64)를 구비한다.
통화 장치(61)는 정보 센터(4)에 있는 오퍼레이터(3)가 엘리베이터 칸(5) 내에 있는 승객과 통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퍼레이터(3)는 통화 장치(61)로 엘리베이터 칸(5) 내에 있는 승객과 대화를 하고, 표시기(62)를 보면서 입력 장치(63)를 조작한다. 일례로서, 입력 장치(63)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63)로서, 다른 장치가 구비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기(62)에, 화상(A), 화상(B), 모드 선택란(C), 확인 사항란(D), 실행 버튼(E), 및 중지 버튼(F)이 표시된다.
화상(A)은 카메라(24)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이다. 오퍼레이터(3)는, 화상(A)을 봄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 내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화상(B)은 표시기(26)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이다. 오퍼레이터(3)는, 화상(B)을 봄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이 보고 있는 화상을 알 수 있다.
모드 선택란(C)에는, 선택 가능한 구출 운전 모드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3)는, 입력 장치(63)를 조작함으로써, 구출 운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확인 사항란(D)에는, 선택된 구출 운전 모드를 실행할 때에 오퍼레이터(3)가 확인해야 할 사항이 표시된다. 실행 버튼(E)은 선택된 구출 운전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3)가 누르는 버튼이다. 중지 버튼(F)은 실행되고 있는 구출 운전 모드를 중지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3)가 누르는 버튼이다.
도 7은 제어 장치(6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어 장치(64)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1). S202에서 감시 장치(15)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제어 장치(64)가 수신하면, S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1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64)에서는, 선택 가능한 구출 운전 모드 중 하나로 「안전 회로 마스크」가 추가된다(S302). 그리고, 제어 장치(64)에서는, 「안전 회로 마스크」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3). 오퍼레이터(3)는 모드 선택란(C)에 표시된 풀다운을 조작하여, 「안전 회로 마스크」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S303에서 Yes로 판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64)가 엘리베이터 장치(1)로부터 해당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 모드 선택란(C)에 「안전 회로 마스크」는 표시되지 않거나, 혹은 「안전 회로 마스크」는 선택할 수 없는 상태로 표시된다. 모드 선택란(C)에 있어서, 「안전 회로 마스크」는 제어 장치(64)가 해당 제1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선택 가능하게 된다.
S3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64)에서는, 실행 버튼(E)이 눌렸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4). 오퍼레이터(3)는 확인 사항란(D)에 표시된 내용을 읽고, 필요한 동작을 행한 다음에 실행 버튼(E)을 누른다(S304의 Yes).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3)는 실행 버튼(E)을 누르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에 대해서 이하의 사항을 전달한다.
· 지금부터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킨다는 것.
· 도어가 열릴 때까지, 통화를 끊지 않을 것.
·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릴 때에 단차를 조심할 것.
· 엘리베이터 칸에 타는 사람이 있다면, 하차를 촉구할 것.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64)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1)에 대해,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제2 신호가 송신된다(S305).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장치(15)에서는, S202에서 제1 신호를 정보 센터(4)에 송신하면, 그 응답으로서 정보 센터(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3). S305에서 제어 장치(64)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감시 장치(15)가 수신하면, S203에서 Yes로 판정된다. 예를 들어, S202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한 기록이 없으면, 제어 장치(6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다고 해도, S203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는다. S203에서 Yes로 판정되면, 단락부(53)는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킨다(S204). 이것에 의해, 권상기(9)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재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에서는, S103에서 경보 발행 요구를 감시 장치(15)에 송신하면, 안전 회로(18)가 단락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4). S204에서 단락부(53)가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키면, S1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알림 제어부(44)는 스피커(28)로부터 승객에 대한 음성 안내를 행한다(S105). 일례로서, 알림 제어부(44)는, S105에 있어서, 이상을 감지하면 외부에 알리는 취지를 스피커(28)로부터 알린다. 알림 제어부(44)는, S105에 있어서, 다른 내용을 스피커(28)로부터 알려도 된다. 음성 안내가 종료된 후, 알림 제어부(44)는 스피커(28)로부터 경고음을 발생시켜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64)에서는, S305에서 제2 신호를 감시 장치(15)에 송신하면, 실행 버튼(E)이 눌렸는지 여부가 다시 판정된다(S306). 오퍼레이터(3)는, S105에 나타내는 음성 안내가 엘리베이터 칸(5)에서 행해진 것을 확인하면, 실행 버튼(E)을 누른다(S306의 Yes). S306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64)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1)에 대해서 제3 신호가 송신된다(S307).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장치(15)에서는, S204에서 단락부(53)가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키면, 정보 센터(4)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5). S307에서 제어 장치(64)로부터 송신된 제3 신호를 감시 장치(15)가 수신하면, S205에서 Yes로 판정된다. S205에서 Yes로 판정되면, 요구부(52)는 제어 장치(14)에 대해서 구출 요구를 송신한다(S206). 구출 요구에, 제3 신호가 포함되어도 된다. 요구부(52)는 수신한 제3 신호를 구출 요구로 하여 제어 장치(14)에 전송해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에서는, S105에서 음성 안내가 행해지면, 감시 장치(15)로부터 구출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6). S206에서 요구부(52)로부터 송신된 구출 요구를 제어 장치(14)가 수신하면, S106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6에서 Yes로 판정된다, 즉 단락부(53)에 의해서 안전 회로(18)가 단락된 후에 엘리베이터 장치(1)가 정보 센터(4)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하면, 권상기 제어부(45)는 권상기(9)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을 구동한다(S107). 예를 들어, S107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5)은 가장 가까운 층의 승강장(31)을 향해서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구출 요구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이 일정 거리 이동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8). 해당 일정 거리는 예를 들면 1m이다. S108에서 Yes로 판정되면, 권상기 제어부(45)는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킨다(S109).
S108에서 No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의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 기준 속도는 미리 설정된다. S107에서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개시된 후, 속도 검출부(46)가 검출한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S110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0에서 Yes로 판정되면, 권상기 제어부(45)는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킨다(S112).
또한, S107에서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개시된 후, 제어 장치(14)에서는, 감시 장치(15)로부터 중지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1).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64)에서는, S305에서 제2 신호를 감시 장치(15)에 송신하면, 중지 버튼(F)이 눌렸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8). 일례로서, 오퍼레이터(3)는, 엘리베이터 장치(1)에서 이상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중지 버튼(F)을 누른다(S308의 Yes). 다른 예로서, 오퍼레이터(3)는,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이 이상을 알려 왔을 경우에, 중지 버튼(F)을 누른다(S308의 Yes). S3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제어 장치(64)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1)에 대해서, 제4 신호가 송신된다(S309).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장치(15)에서는, S204에서 단락부(53)가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키면, 정보 센터(4)로부터 제4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7). S309에서 제어 장치(64)로부터 송신된 제4 신호를 감시 장치(15)가 수신하면, S207에서 Yes로 판정된다. S207에서 Yes로 판정되면, 요구부(52)는 제어 장치(14)에 대해서 중지 요구를 송신한다(S208). 중지 요구에, 제4 신호가 포함되어도 된다. 요구부(52)는 수신한 제4 신호를 중지 요구로 하여 제어 장치(14)에 전송해도 된다.
S208에서 요구부(52)로부터 송신된 중지 요구를 제어 장치(14)가 수신하면, S1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1에서 Yes로 판정되면, 즉 엘리베이터 장치(1)가 정보 센터(4)로부터 제4 신호를 수신하면, 권상기 제어부(45)는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킨다(S112).
또한, S107에서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개시된 후, 제어 장치(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이 특정 구출 존에 배치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3). 구출 존은 미리 설정된다. 위치 검출부(47)는 엘리베이터 칸(5)이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검출한다. 구출 존은 착상 존과 동일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위치 검출부(47)는, 광전 센서(3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5)이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검출한다. S107에서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이 개시된 후, 엘리베이터 칸(5)이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위치 검출부(47)가 검출하면, S113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3에서 Yes로 판정되면, 권상기 제어부(45)는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킨다(S114).
한편, S108에서 Yes로 판정됨으로써 S109에서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되면, 감시 장치(15)로부터 구출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6).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110, S111, 또는 S113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권상기 제어부(45)는, 엘리베이터 장치(1)가 정보 센터(4)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엘리베이터 칸(5)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정보 센터(4)에 있는 오퍼레이터(3)는, S306에서 실행 버튼(E)을 누른 후, 엘리베이터 칸(5)이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정지된 것을 확인하면, 실행 버튼(E)을 다시 누른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을 다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S113에서 Yes로 판정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되면, 도어 제어부(48)는 모터(22)를 제어하여 도어(21)를 개방시킨다(S115). 이것에 의해, 승객은 엘리베이터 칸(5)으로부터 내릴 수 있다. 또한, S112에서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되었을 경우, 도어 제어부(48)는 도어(21)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S115에서 도어(21)가 개방되면, 제어 장치(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이 무인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116). 승객 검출부(49)는 엘리베이터 칸(5)이 무인인 것을 검출한다. 승객 검출부(49)는, 저울 장치(23)가 측정한 적재 하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5)이 무인인 것을 검출해도 된다. 승객 검출부(49)는, 카메라(24)가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5)이 무인인 것을 검출해도 된다. S115에서 도어(21)가 개방된 후, 엘리베이터 칸(5)이 무인인 것을 승객 검출부(49)가 검출하면, 도어(21)가 닫힌다.
그 후, 현장에 도착한 보수원에 의한 특정 수동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이 금지된다(S117). 또한, S117에서는, 구출 처리가 종료된 취지의 신호가 정보 센터(4)에 송신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S2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310에서 Yes로 판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엘리베이터 장치(1)에 있어서 검출기의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칸(5)에 갇힌 승객을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다. 이때, 원격에 있는 오퍼레이터(3)는, 안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자신의 책임만으로 행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3)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락부(53)는,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제2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안전 회로(18)를 단락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전 회로(18)의 단락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속기(34)가 오동작하는 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 다른 예로서, 검출기에 종단 스위치(20)가 포함되어도 된다. 종단 스위치(20)는 엘리베이터 칸(5)에 마련된 캠(도시하지 않음)이 접촉함으로써 동작한다. 종단 스위치(20)가 동작하면, 안전 회로(18)에 포함되는 상폐 접점 중 하나가 열린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해당 캠이 종단 스위치(20)에 접촉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5)의 위치는, 예를 들면 최상층의 승강장(31)의 정지 위치보다 높다. 이 때문에, 오동작 검출부(41)는, 종단 스위치(20)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5)의 위치가 최상층의 승강장(31)의 정지 위치보다 낮으면, 오동작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S114에서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되면, 도어(21)가 자동으로 열리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S115에서의 도어(21)의 개방은, 승객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41, 42, 44~49에 나타내는 각 부는, 제어 장치(14)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8은 제어 장치(14)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14)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71)와 메모리(7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7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4)는, 메모리(7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7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41, 42, 44~49에 나타내는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메모리(72)로서, 반도체 메모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9는 제어 장치(14)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14)는 프로세서(71), 메모리(72), 및 전용 하드웨어(7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70)를 구비한다. 도 9는 제어 장치(14)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7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14)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7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73)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장치(15)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8 혹은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감시 장치(15)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15)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51~53에 나타내는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감시 장치(15)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감시 장치(15)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제어 장치(64)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8 혹은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제어 장치(64)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64)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장치(64)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 장치(64)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개시는 안전 회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엘리베이터 장치 2 : 네트워크
3 : 오퍼레이터 4 : 정보 센터
5 : 엘리베이터 칸 6 : 균형추
7 : 승강로 8 : 로프
9 : 권상기 10 : 시브
11 : 모터 12 : 인코더
13 : 브레이크 장치 14 : 제어 장치
15 : 감시 장치 16 : 기계실
17 : 제어 케이블 18 : 안전 회로
19 : 상폐 접점 20 : 종단 스위치
21 : 도어 22 : 모터
23 : 저울 장치 24 : 카메라
25 : 조작반 26 : 표시기
27 : 인터폰 28 : 스피커
29 : 버튼 31 : 승강장
32 : 광전 센서 33 : 플레이트
34 : 조속기 35 : 조속기 풀리
36 : 인장 풀리 37 : 로프
38 : 연결 부재 39 : 스위치
41 : 오동작 검출부 42 : 갇힘 검출부
44 : 알림 제어부 45 : 권상기 제어부
46 : 속도 검출부 47 : 위치 검출부
48 : 도어 제어부 49 : 승객 검출부
50 : 어댑터 51 : 송신부
52 : 요구부 53 : 단락부
61 : 통화 장치 62 : 표시기
63 : 입력 장치 64 : 제어 장치
70 : 처리 회로 71 : 프로세서
72 : 메모리 73 : 전용 하드웨어

Claims (8)

  1.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 회로와,
    상기 검출기의 오동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갇힌 것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오동작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갇힘을 검출하면, 오퍼레이터가 있는 정보 센터에 특정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안전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락 수단과,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권상기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승강장의 정지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구출 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과,
    제4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상기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한 것을 검출하는 조속기이며,
    상기 안전 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한 것이 상기 조속기에 의해서 검출되면,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권상기는 상기 로프가 감겨 걸려 있는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4 검출 수단은 상기 시브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한 것을 상기 조속기가 검출했을 때에 상기 제4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에 오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속도는 상기 제1 기준 속도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4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스피커와,
    상기 정보 센터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통화하기 위한 인터폰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되면, 이상을 감지하면 외부에 알리는 취지를, 상기 제3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구동되기 전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알리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3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상기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무인인 것을 검출하는 제5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제3 제어 수단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킨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무인인 것을 상기 제5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특정 수동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을 금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 회로와,
    상기 검출기의 오동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갇힌 것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오동작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갇힘을 검출하면, 오퍼레이터가 있는 정보 센터에 특정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안전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락 수단과,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권상기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승강장의 정지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구출 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과,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스피커와,
    상기 정보 센터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통화하기 위한 인터폰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상기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4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되면, 이상을 감지하면 외부에 알리는 취지를, 상기 제3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구동되기 전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알리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와,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 회로와,
    상기 검출기의 오동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갇힌 것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오동작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갇힘을 검출하면, 오퍼레이터가 있는 정보 센터에 특정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의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안전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락 수단과,
    상기 단락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전 회로가 단락된 후에 상기 정보 센터로부터 특정 제3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권상기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승강장의 정지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구출 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것을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과,
    제3 제어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무인인 것을 검출하는 제5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상기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3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출 존에 배치된 것을 상기 제3 검출 수단이 검출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제3 제어 수단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킨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무인인 것을 상기 제5 검출 수단이 검출하면, 특정 수동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을 금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37032886A 2021-03-05 2021-03-05 엘리베이터 장치 KR102634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08606 WO2022185511A1 (ja) 2021-03-05 2021-03-05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105A KR20230144105A (ko) 2023-10-13
KR102634422B1 true KR102634422B1 (ko) 2024-02-06

Family

ID=8315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886A KR102634422B1 (ko) 2021-03-05 2021-03-0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87589B2 (ko)
KR (1) KR102634422B1 (ko)
CN (1) CN116897135B (ko)
WO (1) WO20221855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424A (ja) 2007-02-02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155021A (ja) 2007-12-26 2009-07-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緊急脱出装置
JP2015224116A (ja)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602B2 (ja) 2000-02-07 2005-08-1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2006290509A (ja) * 2005-04-08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2145840B (zh) * 2011-03-28 2013-03-06 宁波欧菱电梯配件有限公司 电梯控制提醒及故障自诊断方法及其系统
JP5886372B2 (ja) * 2014-06-27 2016-03-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調速機
CN104310148B (zh) * 2014-09-24 2016-08-10 深圳市正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救援方法及装置
WO2018016061A1 (ja) * 2016-07-22 2018-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JP6717437B2 (ja) * 2017-09-07 2020-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制御装置
CN208561316U (zh) * 2017-10-17 2019-03-01 陈康 一种语音交互系统及应用语音交互系统的电梯
EP3511280B1 (en) * 2018-01-11 2022-08-24 Otis Elevator Company Rescue operation in an elevator system
KR102512225B1 (ko) 2018-12-06 2023-03-21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 갇힘을 회피시키는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424A (ja) 2007-02-02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155021A (ja) 2007-12-26 2009-07-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緊急脱出装置
JP2015224116A (ja)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85511A1 (ko) 2022-09-09
KR20230144105A (ko) 2023-10-13
WO2022185511A1 (ja) 2022-09-09
CN116897135B (zh) 2024-06-07
JP7287589B2 (ja) 2023-06-06
CN116897135A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00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JP5599529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5660594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EP3483103B1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s for elevators
JP6030170B2 (ja) エレベータ保守作業支援装置
JP2015224116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7360569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WO2014184884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3681602B2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KR1026344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230151106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5014825A (en) Rescue operating apparatus for elevator
JP7501775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6193822B2 (ja) 制御基板
JP740531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4184885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2002284461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6522999B2 (ja) エレベーターの通話管理システム
JP2019142698A (ja) エレベータ
WO2024142262A1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168804B2 (ja) エレベーター、エレベーターの通話管理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通話管理プログラム
CN114555505B (zh) 电梯控制装置、电梯控制方法以及电梯系统
JP661040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