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52B1 -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52B1
KR102632652B1 KR1020190154788A KR20190154788A KR102632652B1 KR 102632652 B1 KR102632652 B1 KR 102632652B1 KR 1020190154788 A KR1020190154788 A KR 1020190154788A KR 20190154788 A KR20190154788 A KR 20190154788A KR 102632652 B1 KR102632652 B1 KR 10263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contact hole
resisto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095A (ko
Inventor
엄철환
안형준
신혜원
진정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52B1/ko
Priority to US17/070,492 priority patent/US11183091B2/en
Priority to CN202011339577.7A priority patent/CN112863443A/zh
Publication of KR2021006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전극, 제1 배선, 제2 배선, 제1 컨택홀, 제2 컨택홀 및 제1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이웃한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배선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DEFECT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 패널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이용하여 불량을 검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에미션 구동부, 구동 제어부 및 전원 전압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는 전원 전압 및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극과 상기 배선들을 연결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및 상기 표시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컨택홀 및 상기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하여 상기 컨택홀 및 상기 배선들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홀 및 상기 배선들의 크랙으로 인해 상기 배선들 간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 장치 내에 일부 센서가 오동작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전극, 제1 배선, 제2 배선, 제1 컨택홀, 제2 컨택홀 및 제1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이웃한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1 컨택홀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배선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측정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택홀 또는 상기 제2 컨택홀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3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제4 컨택홀,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3 컨택홀을 연결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2 컨택홀과 상기 제4 컨택홀을 연결하는 제4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홀 및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전극의 제1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컨택홀 및 상기 제4 컨택홀은 상기 전극의 제1 단에 반대되는 상기 전극의 제2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 영역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들은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의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에는 제1 전원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에는 상기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에 연결되는 제1 컨택홀 및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전극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제2 배선, 상기 제2 배선에 연결되는 제2 컨택홀 및 상기 제2 컨택홀에 연결되는 상기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은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이웃한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면, 상기 제1 컨택홀 또는 상기 제2 컨택홀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면,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제2 저항 및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픽셀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표시 패널의 전원 전압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 및 도 9는 표시 장치의 불량이 제2 컨택홀에서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표시 장치의 불량이 제1 배선에서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에미션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전원 전압 생성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에미션 라인들(E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에미션 라인들(E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제4 제어 신호(CONT4)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를 생성하여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에 응답하여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을 구동하기 위한 에미션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에미션 신호들을 상기 에미션 라인들(EL)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는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작은 제2 전원 전압(ELVSS)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는 상기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인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1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픽셀(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이웃한 주변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BA)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꺾어지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및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 및 상기 에미션 구동부(6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들(P)은 유기 발광 소자들(OLE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OLED)은 제1 전극(ANO) 및 제2 전극(CA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ANO)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CAT)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OLDE)의 상기 제2 전극(CAT)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1 배선(PTL) 및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상기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2 배선(PT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선(PTL)은 상기 주변 영역(BA)의 좌측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배선(PTR)은 상기 주변 영역(BA)의 우측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1 배선(PTL)을 연결하는 제1 컨택홀(CNL) 및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2 배선(PTR)을 연결하는 제2 컨택홀(CN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컨택홀(CNL)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컨택홀(CNR)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의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1 컨택홀(CNL)을 통해 상기 캐소드 전극(CAT)에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제2 배선(PTR) 및 상기 제2 컨택홀(CNR)을 통해 상기 캐소드 전극(CAT)에 인가될 수 있다. 실제 전류의 방향은 상기 표시 패널(100)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의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도 3에서는 화살표가 아래 방향으로 도시되었다.
도 5는 도 2의 표시 패널(100)의 전원 전압(ELVSS)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서는 제1 메탈층(ML1)에 인가될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 영역(BA)에서는 상기 컨택홀(예컨대, CNL)을 통해 상기 제1 메탈층(ML1)과 다른 제2 메탈층(ML2)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소드 전극(CAT)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서 상기 제1 메탈층(ML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은 상기 주변 영역(BA)에서 상기 제2 메탈층(ML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은 상기 제1 컨택홀(CNL) 또는 상기 제2 컨택홀(CNR) 부분에 단선이 발생하는 컨택홀 불량(Contact Damage)과 상기 제1 배선(PTL) 또는 상기 제2 배선(PTR) 부분에 단선이 발생하는 주변 영역 불량(Bending Damage)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 불량(Bending Damage)은 상기 주변 영역에 크랙이 발생하여 상기 제1 배선(PTL) 또는 상기 제2 배선(PTR) 부분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RX)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는 상기 제1 저항(RX)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ADCX)을 기초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RY) 및 제1 스위치(SW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스위치(SWY)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 저항(RX)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ADCX) 및 상기 제2 저항(RY)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ADCY)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 및 상기 제2 전압(ADCY)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 및 상기 제2 전압(ADCY)을 측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표시 장치의 불량이 제2 컨택홀(CNR)에서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컨택홀(CNR)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전류는 상기 제2 컨택홀(CNR)에서 상기 제2 배선(PTR)으로 흐르지 않는다.
상기 제2 컨택홀(CNR)에서 상기 제2 배선(PTR)으로 흘러야 하는 전류(I1, 예컨대 X)는 상기 제2 컨택홀(CNR)에서 상기 제1 컨택홀(CNL)로 흐른다.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흐르는 전류(I2)는 정상 상태보다 높은 값(예컨대, 2X)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ADCY=0),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흐르는 전류(I2, 예컨대, 2X)는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 예컨대, X)와 상기 제1 배선(PTL)을 따라 전원 전압 생성부(700)로 흐르는 전류(I4, 예컨대, X)로 나뉜다.
상기 제1 전압(ADCX)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 예컨대, X)에 의한 전압은 +ΔVdrop일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른 전류(I3, 예컨대, X)는 상기 제2 배선(PTR)을 따라 전원 전압 생성부(700)로 흐르는 전류(I5, 예컨대, X)가 된다.
이와는 달리, 도 9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흐르는 전류(I2, 예컨대, 2X)는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1, 예컨대, X/2),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2, 예컨대, X/2) 및 상기 제1 배선(PTL)을 따라 전원 전압 생성부(700)로 흐르는 전류(I4, 예컨대, X)로 나뉜다.
상기 제1 전압(ADCX)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1, 예컨대, X/2)에 의한 전압은 +ΔVdrop/2일 수 있고, 상기 제2 전압(ADCY)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2, 예컨대, X/2)에 의한 전압은 +ΔVdrop/2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제2 컨택홀(CNR)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컨택홀(CNL)에 단선이 발생하면, 도 8 및 도 9의 경우와 제1 전압(AVCX) 및 제2 전압(AVCY)의 극성이 반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컨택홀(CNL)에 단선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오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저항(RX) 양단의 제1 전압(AVCX)은 -ΔVdro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택홀(CNL)에 단선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온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저항(RX) 양단의 제1 전압(AVCX)은 -ΔVdrop/2일 수 있고, 상기 제2 저항(RY) 양단의 제2 전압(AVCY)은 -ΔVdrop/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ADCY)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절대값이 ΔVdrop/2이고, 상기 제2 전압(ADCY)의 절대값이 ΔVdrop/2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컨택홀 또는 상기 제2 컨택홀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면 상기 제1 컨택홀(CNL)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상기 제2 컨택홀(CNR)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표시 장치의 불량이 제1 배선(PTL)에서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제1 전류(I1, 예컨대 X)가 흐르고, 상기 제2 컨택홀(CNR)에서 상기 제2 배선(PTR)으로 제2 전류(I2, 예컨대 X)가 흐른다.
도 10에서 상기 제1 배선(PTL)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흘러야 하는 전류(I3, 예컨대 X)가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른다.
도 10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 예컨대, X)에 의한 전압은 +ΔVdrop일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저항(RY)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ADCY=0), 상기 제2 배선(PTR)을 따라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로 흐르는 전류(I4)는 정상 상태보다 높은 값(예컨대, 2X)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도, 상기 제1 배선(PTL)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컨택홀(CNL)에서 상기 제1 배선(PTL)으로 흘러야 하는 전류(I31, 예컨대 X)가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른다.
도 11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1, 예컨대, X)는 +ΔVdrop일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제2 스위치(SWY)가 턴 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배선(PTR)의 전류는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2, 예컨대 X) 및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4, 예컨대 X)는 전류로 나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배선(PTR)으로부터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 흐른 전류(I32, 예컨대 X)는 상기 제1 배선(PTL)을 통해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 방향으로 흐른다(I5, 예컨대 X).
도 11에서, 상기 제2 전압(ADCY)의 좌측이 양극, 우측이 음극이라고 하면, 상기 제2 저항(RY)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2, 예컨대, X)는 상기 제1 저항(RX)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I31)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ΔVdrop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상기 제1 배선(PTL)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배선(PTR)에 단선이 발생하면, 도 10 및 도 11의 경우와 제1 전압(AVCX) 및 제2 전압(AVCY)의 극성이 반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선(PTR)에 단선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오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저항(RX) 양단의 제1 전압(AVCX)은 -ΔVdro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선(PTR)에 단선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스위치(SWY)가 턴 온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저항(RX) 양단의 제1 전압(AVCX)은 -ΔVdrop일 수 있고, 상기 제2 저항(RY) 양단의 제2 전압(AVCY)은 +ΔVdrop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ADCY)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SWY)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ADCY)의 절대값이 ΔVdrop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배선(PTL) 또는 상기 제2 배선(PTR)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면 상기 제1 배선(PTL)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상기 제2 배선(PTR)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택홀(CNL)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상기 제2 컨택홀(CNR)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상기 제1 배선(PTL)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상기 제2 배선(PTR)에 단선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표시 장치가 제3 저항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1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에미션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전원 전압 생성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이웃한 주변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BA)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꺾어지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1 배선(PTL) 및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상기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2 배선(PT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1 배선(PTL)을 연결하는 제1 컨택홀(CNL) 및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2 배선(PTR)을 연결하는 제2 컨택홀(CN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RX)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는 상기 제1 저항(RX)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ADCX)을 기초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RY) 및 제1 스위치(SW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RZ) 및 제2 스위치(SWZ)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스위치(SWY)의 턴 온 및 턴 오프, 상기 제2 스위치(SWZ)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 저항(RX)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ADCX), 상기 제2 저항(RY)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ADCY) 및 상기 제3 저항(RZ)의 양단에 걸리는 제3 전압(ADCZ)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TED)는 상기 제1 스위치(SWY) 및 상기 제2 스위치(SWZ)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 상기 제2 전압(ADCY) 및 상기 제3 전압(ADCZ)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SWY) 및 상기 제2 스위치(SW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ADCX), 상기 제2 전압(ADCY) 및 상기 제3 전압(ADCZ)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이 상기 컨택홀(CNL, CNR)에서 발생한 것인지 상기 주변 영역(BA)의 상부 영역(BA1) 내의 제1 배선(PTL) 또는 제2 배선(PTR)에서 발생한 것인지, 상기 주변 영역(BA)의 하부 영역(BA2) 내의 제1 배선(PTL) 또는 제2 배선(PTR)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상기 제3 저항(RZ), 상기 제1 스위치(SWY) 및 상기 제2 스위치(SWZ)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표시 장치가 제3 컨택홀, 제4 컨택홀, 제3 배선 및 제4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1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에미션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전원 전압 생성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이웃한 주변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BA)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꺾어지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1 배선(PTL) 및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상기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2 배선(PT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1 배선(PTL)을 연결하는 제1 컨택홀(CNL2) 및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2 배선(PTR)을 연결하는 제2 컨택홀(CN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전극(CAT)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CNL1) 및 상기 제2 전극(CAT)에 연결되는 제4 컨택홀(CNR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컨택홀(CNL2)과 상기 제3 컨택홀(CNL1)을 연결하는 제3 배선(CL1) 및 상기 제2 컨택홀(CNR2)과 상기 제4 컨택홀(CNR1)을 연결하는 제4 배선(C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택홀(CNL2) 및 상기 제2 컨택홀(CNR2)은 상기 제2 전극(CAT)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컨택홀(CNL1) 및 상기 제4 컨택홀(CNR1)은 상기 제2 전극(CAT)의 제1 단에 반대되는 상기 제2 전극(CAT)의 제2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제2 전극(CAT)의 제1 단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하단부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CAT)의 제2 단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상단부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배선(CL1)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좌측변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4 배선(CL2)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우측변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BA)의 크랙에 의한 제1 배선(PTL) 및 제2 배선(PTR)의 단선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크랙에 의한 제3 배선(CL1) 및 제4 배선(CL2)의 단선에 대해서도 검출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은 제1 저항, 제2 저항 및 제1 스위치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1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에미션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전원 전압 생성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이웃한 주변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BA)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꺾어지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및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7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1 배선(PTL) 및 상기 주변 영역(BA)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CAT)에 상기 전원 전압(ELVSS)을 인가하는 제2 배선(PT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1 배선(PTL)을 연결하는 제1 컨택홀(CNL2) 및 상기 제2 전극(CAT) 및 상기 제2 배선(PTR)을 연결하는 제2 컨택홀(CN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RX)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 또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ED)는 상기 제1 저항(RX)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ADCX)을 기초로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RY) 및 제1 스위치(SW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PTL) 및 상기 제2 배선(PTR)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저항(RX), 상기 제2 저항(RY) 및 상기 제1 스위치(SWY)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에미션 구동부
700: 전원 전압 생성부 AA: 액티브 영역
BA: 주변 영역 CNL: 제1 컨택홀
CNR: 제2 컨택홀 PTL: 제1 배선
PTR: 제2 배선 PCB: 인쇄 회로 기판
TED: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이웃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전극;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배선;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배선;
    상기 전극 및 상기 제1 배선을 연결하는 제1 컨택홀;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배선을 연결하는 제2 컨택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택홀 또는 상기 제2 컨택홀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 및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3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제4 컨택홀;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3 컨택홀을 연결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2 컨택홀과 상기 제4 컨택홀을 연결하는 제4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홀 및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전극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컨택홀 및 상기 제4 컨택홀은 상기 전극의 제1 단에 반대되는 상기 전극의 제2 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 영역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은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의 캐소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에는 제1 전원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에는 상기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배선, 상기 제1 배선에 연결되는 제1 컨택홀 및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전극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제2 배선, 상기 제2 배선에 연결되는 제2 컨택홀 및 상기 제2 컨택홀에 연결되는 상기 전극에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이웃한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2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2이면, 상기 제1 컨택홀 또는 상기 제2 컨택홀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0이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고 상기 제2 전압의 절대값이 ΔVdrop이면,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3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 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압,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불량 검출 방법.
KR1020190154788A 2019-11-27 2019-11-27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KR10263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788A KR102632652B1 (ko) 2019-11-27 2019-11-27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US17/070,492 US11183091B2 (en) 2019-11-27 2020-10-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defect of the same
CN202011339577.7A CN112863443A (zh) 2019-11-27 2020-11-2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788A KR102632652B1 (ko) 2019-11-27 2019-11-27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095A KR20210066095A (ko) 2021-06-07
KR102632652B1 true KR102632652B1 (ko) 2024-02-05

Family

ID=7597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788A KR102632652B1 (ko) 2019-11-27 2019-11-27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3091B2 (ko)
KR (1) KR102632652B1 (ko)
CN (1) CN1128634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3439A (zh) * 2023-06-20 2023-07-1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检测电路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47B1 (ko) 2003-12-09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크랙 검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크랙 검출 장치 및크랙을검출하기 위한 반도체 칩
KR100788823B1 (ko) 2006-01-23 2007-12-27 한국원자력연구원 표면 결함 정보 추출을 위한 레이저-초음파 검사 장치 및방법
MY154349A (en) 2008-11-25 2015-05-29 Bluplanet Pte Ltd Apparatus for detecting micro-cracks in wafers and method therefor
JP2012243910A (ja) 2011-05-18 2012-12-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チップのクラックのチェックテスト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
US9449552B2 (en) * 2012-12-26 2016-09-2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including response to panel abnormality
KR102002495B1 (ko) * 2013-02-28 2019-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1983146B1 (ko) 2013-08-14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KR102380458B1 (ko) 2015-11-30 2022-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42472B1 (ko) * 2016-09-29 2023-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095A (ko) 2021-06-07
CN112863443A (zh) 2021-05-28
US11183091B2 (en) 2021-11-23
US20210158733A1 (en)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4429B2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割れ検出方法、並びに表示装置
US899438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line defects of the display device
US8421789B2 (en) Mother substrat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method of aging the same
CN110634411A (zh) 一种显示模组及其封装检测方法
KR102424443B1 (ko) 표시 장치
EP2816546A1 (en) OLED display device
KR20180076417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크랙 검출 방법
KR102559370B1 (ko) 크랙 검출 장치 및 크랙 검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81763B1 (ko) 표시 모듈의 검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및 그것의 검사 방법
KR1023059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49000B1 (ko) 전자 패널, 전자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것의 검사 방법
US102112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with pa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5258128A (ja) 自発光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同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同モジュールにおける欠陥状態の検証方法
KR102423191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검사 방법
KR102544521B1 (ko) 발광 표시장치
KR20140039829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230048267A (ko) 표시 장치
KR20140042183A (ko) 표시장치
KR10263265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KR20190014984A (ko) 표시 장치와 그의 본딩 저항 센싱 방법
KR102535209B1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668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477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13466252A (zh) 显示面板、显示面板的检测方法和显示装置
US20230078752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