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873B1 -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873B1
KR102631873B1 KR1020230023323A KR20230023323A KR102631873B1 KR 102631873 B1 KR102631873 B1 KR 102631873B1 KR 1020230023323 A KR1020230023323 A KR 1020230023323A KR 20230023323 A KR20230023323 A KR 20230023323A KR 102631873 B1 KR102631873 B1 KR 10263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ound bar
anchors
expansion joint
shea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4936A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주)엠피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2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873B1/ko
Publication of KR2023014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역톱니 앵커의 철근수용부에 철근을 설치하고, 보조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매립된 매립앵커와 보조철근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그라우팅 수용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우팅 수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상부교량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상부교량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 상기 지지부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하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 상기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 사이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 및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는 평판 형태로 내면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 각각을 통해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와 접촉되어 결합되며, 복수의 결합홈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와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가 일체화되어 수직형 환봉앵커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Expansion joint for connecting slabs using stud anchor and tooth anchor hybrid type and Bridge bearing apparatus using anchor for enhancing shear for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 구조물은 팽창되거나 수축하는 변화량에 대응하여 교량 상판의 일정 간격마다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일정 크기 이상의 유격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며 마련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의 유격 사이로 낙하하는 우수 및 이물질을 커 버하는 배수시트 등의 구성으로 마련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의 상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축이음장치용 앵커가 상기 신축이음장치로부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마련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용 앵커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위에 철근을 상기 교량의 폭 방향으로 안착시킨 후 시멘트를 타설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복수의 수평형 환봉 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1)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신축이음장치용 앵커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형 환봉 앵커로 마련됨으로써, 철근을 신축 이음장치용 앵커 위에 배치하는 경우 철근과 앵커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 철근이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멘트가 고르게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시멘트 시공 후에 시멘트 깨짐 현상 또는 시멘트의 시공된 일부분이 침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단순 배열의 스터드 환봉 앵커와 철근 용접시 철근이 가접으로 되어 있어 철근 이탈 등에 문제로 후타 콘크리트 크랙 발생, 이로 인한 제품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2)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앵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용 앵커가 개발되었다. 단순배열의 톱니형 앵커로 되어 있어 철근 배근이 용이하고 가접으로도 철근 이탈 방지효과는 있으나, 차량 진행시 철판 앵커가 충격으로 톱니형 앵커가 찢어지는 문제로 후타 콘크리트 크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제품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83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10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8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로 제작하여 철근배근이 용이하고 가접으로도 철근이탈방지효과가 있고, 동시에 톱니형 앵커와 교차하는 환봉앵커가 철근을 잡고 있어, 차량진행시 발생하는 충격에도 강하며, 신축이음 및 교량파손을 방지하는 복합 구조형 앵커방식으로 하자발생이 없고 제품손상이 없어 교량의 수명연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로 제작하여 톱니형 앵커를 통해 철근배근의 정밀성을 높이고, 동시에 환봉 앵커는 설치시 바이브레이터 작동시 철근 들뜸방지로 후타 바손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파손방지 시공성, 제품내구성이 우수한,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방식과 함께, 수직형 환봉앵커 사이에 복수의 홈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일체화하여 수직형 환봉앵커의 파손을 방지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면진장치, 내진장치, 탄성받침, POT, LRB, 스페리칼, 전단키, 댐퍼, 브라켓 기초, 방음벽 기초, 기둥용 PC 기초, 건축물 기둥 기초 매립부 앵커의 전단력 증강을 위한 전단 톱니앵커의 제작 방법 및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환봉앵커에 수평력 보강 톱니 앵커를 수평으로 보강하여 1개의 수직앵커가 저항하는 힘을 1개 이상의 홈이 있는 톱니형 앵커가 수평으로 체결되어(1개 이상의 수직 환봉 앵커),수평력을 보강하여 지진, 온도변화에 의한 제품파손방지, 하부구조물 파손방지, 수직, 수평 앵커를 교차한 제작 방법을 이용한 시공 설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앵커부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1개 이상의 홈을 가진) 전단력 향상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전단력을 높이고, 수직형 하부 앵커를 1개 이상의 홈을 가진 톱니형 구조앵커를 교차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수평력, 수직력을 증대하여 제품 및 구조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상부교량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상부교량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 상기 지지부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 및 상기 복수의 수평형 환봉 앵커 사이 각각에 설치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를 포함하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상부교량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상부교량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 상기 지지부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하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 1목적, 또는 제 2목적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역톱니 앵커의 철근수용부에 철근을 설치하고, 보조철근을 철치하는 단계;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매립된 매립앵커와 보조철근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그라우팅 수용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우팅 수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기둥 상단에 설치되어 기초부를 시공하기 위한 교좌장치로서, 상부에 상부교량이 안착되게 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측에 결합되며, 기초부 타설시 매립되는 복수의 환봉형 수직앵커; 및 상기 환봉형 수직앵커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환봉형 수직앵커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로 제작하여 철근배근이 용이하고 가접으로도 철근이탈방지효과가 있고, 동시에 톱니형 앵커와 교차하는 환봉앵커가 철근을 잡고 있어, 차량진행시 발생하는 충격에도 강하며, 신축이음 및 교량파손을 방지하는 복합 구조형 앵커방식으로 하자발생이 없고 제품손상이 없어 교량의 수명연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로 제작하여 톱니형 앵커를 통해 철근배근의 정밀성을 높이고, 동시에 환봉 앵커는 설치시 바이브레이터 작동시 철근 들뜸방지로 후타 바손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파손방지 시공성, 제품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톱니형 앵커와 스터드 앵커를 복합교차방식과 함께, 수직형 환봉앵커 사이에 복수의 홈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일체화하여 수직형 환봉앵커의 파손을 방지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면진장치, 내진장치, 탄성받침, POT, LRB, 스페리칼, 전단키, 댐퍼, 브라켓 기초, 방음벽 기초, 기둥용 PC 기초, 건축물 기둥 기초 매립부 앵커의 전단력 증강을 위한 전단 톱니앵커의 제작 방법 및 시공 공법을 제공할 수 있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형 환봉앵커에 수평력 보강 톱니 앵커를 수평으로 보강하여 1개의 수직앵커가 저항하는 힘을 1개 이상의 홈이 있는 톱니형 앵커가 수평으로 체결되어(1개 이상의 수직 환봉 앵커),수평력을 보강하여 지진, 온도변화에 의한 제품파손방지, 하부구조물 파손방지, 수직, 수평 앵커를 교차한 제작 방법을 이용한 시공 설치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하부 앵커부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 (1개 이상의 홈을 가진) 전단력 향상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전단력을 높이고, 수직형 하부 앵커를 1개 이상의 홈을 가진 톱니형 구조앵커를 교차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수평력, 수직력을 증대하여 제품 및 구조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복수의 수평형 환봉 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ㄱ자형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설치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단면도,
도 1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봉형 수직앵커에 결합된 전단력 증r강용 톱니앵커의 단면도,
도 1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100)는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9)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의 신축이음장치와 같이, 유간을 사이에 두고 각 상부교량(9)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20)와, 상부교량(9)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0)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부(2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시에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30) 사이 각각에 설치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43)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41)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역톱니 앵커(40)는 스틸소재의 판재의 몸체부(42)를 갖고, 복수의 철근 수용부(41)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43)와, 수용홈(44), 상하이동제한부(45), 좌우이동제한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유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상부교량(9)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20)와, 상부교량(9)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10)와, 상기 지지부(20)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의 형태는 이물질차단부재(3)와 이격부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하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50)를 포함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부(20)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43)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41)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수평형 환봉앵커(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톱니형 앵커(40)와 스터드 앵커인 수평형 환봉앵커(30), 수직형 환봉앵커(50)를 복합교차로 제작하여 철근배근이 용이하고 가접으로도 철근이탈방지효과가 있고, 동시에 톱니형 앵커(30)와 교차하는 환봉앵커(30, 50)가 철근을 잡고 있어, 차량진행시 발생하는 충격에도 강하며, 신축이음 및 교량파손을 방지할 수 있데 된다.
즉, 톱니형 앵커(40)와 스터드 앵커(30, 50)를 복합으로 제작하여 톱니형 앵커(40)를 통해 철근배근의 정밀성을 높이고, 동시에 환봉 앵커(30, 50)는 설치시 바이브레이터 작동시 철근 들뜸방지로 후타 바손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파손방지 시공성, 제품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을 포함하면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는 수직형 환봉앵커(5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직형 환봉앵커(50)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1개 이상의 결합홈(242)이 형성된 된다.
따라서 1개 이상의 결합홈(242)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와 수직형 환봉앵커(50)를 일체화하여 일반 수직형 환봉앵커(50)의 파손을 방지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2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교좌장치는 기둥 부재와 상부 교량사이에 설치되는 기초부를 총징하는 개념이며, 면진장치, 내진장치, 탄성받침, POT, LRB, 스페리칼, 전단키, 댐퍼, 브라켓 기초, 방음벽 기초, 기둥용 PC 기초, 건축물 기둥 기초 매립부 앵커의 전단력 증강을 위한 전단 톱니앵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ㄱ자형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단면도, 도 1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봉형 수직앵커에 결합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의 단면도, 도 1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의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받침부(210)와, 지지대(220), 환봉형 수직앵커(230),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모두 동일하며 받침부(210)와 지지대(220)와 환봉형 수직앵커(230)의 형태만이 다른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200)는 상부에 상부교량(9)이 안착되게 되는 받침부(210)와, 이러한 받침부(210)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220)와, 지지대(220)의 하부측에 체결부재(8)를 통해 결합되며, 기초부(120) 타설시 매립되는 복수의 환봉형 수직앵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환봉형 수직앵커(230) 사이를 연결하도록, 환봉형 수직앵커(@30)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결합홈(242)이 형성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를 환봉형 수직앵커(50)와 복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의 몸체부(241)는 일자 판형 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200)는 기둥부재(110) 상부에 매립된 매립앵커(7)와 철근(5)의 위치를 회피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기초부(120)가 생성되면서 환봉형 수직앵커(230)와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240)는 매립앵커(7)과 철근(5)과 함께 매립되게 된다.
따라서 하부 앵커부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1개 이상의 결합홈을 가진)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전단력을 높이고, 환봉형 수직앵커를 1개 이상의 결합홈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 앵커를 교차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수평력, 수직력을 증대하여 제품 및 구조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복수의 수평형 환봉 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2:종래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3:이물질차단부재
4:이격부재
5:철근
6:보조철근
7:매립앵커
8:체결부재
9:상부교량
10:상판부재
20:지지부
21:접속편
30:수평형 환봉앵커
40:역톱니앵커
41:철근수용부
42:몸체부
43:개구부
44:상하이동제한부
45:좌우이동제한부
46:수용홈
47:접속단
50:수직형 환봉앵커
100: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110:기둥부재
120:기초부
200: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210:받침부
220:지지대
230:환봉형 수직앵커
240: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
241:몸체
242:결합홈

Claims (1)

  1.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역톱니 앵커의 철근수용부에 철근을 설치하고, 보조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유간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부교량에 매립된 매립앵커와 보조철근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그라우팅 수용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우팅 수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상부교량 내에 각각 매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상부교량과 거의 나란하도록 상기 각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부재; 상기 지지부가 매입되는 그라우팅 수용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간격 이격되어 하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 상기 복수의 수평형 환봉앵커 사이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부로 개방된 개구부와 철근이 수용되는 철근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역톱니 앵커; 및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직형 환봉앵커와 형상맞춤되어 접촉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는 평판 형태로 내면에 상기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 각각을 통해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와 접촉되어 결합되며,
    복수의 결합홈을 가진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와 복수의 수직형 환봉앵커가 일체화되어 수직형 환봉앵커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0230023323A 2022-04-08 2023-02-22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63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323A KR102631873B1 (ko) 2022-04-08 2023-02-22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78A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2-04-08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30023323A KR102631873B1 (ko) 2022-04-08 2023-02-22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78A Division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2-04-08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36A KR20230144936A (ko) 2023-10-17
KR102631873B1 true KR102631873B1 (ko) 2024-01-31

Family

ID=853270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78A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2-04-08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30023323A KR102631873B1 (ko) 2022-04-08 2023-02-22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78A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2-04-08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40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447B1 (ko) * 2017-11-15 2019-01-24 윤필용 내진 보강용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78B1 (ko) * 2001-06-28 2003-12-31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18354B1 (ko) 2007-04-09 2008-04-0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95959B1 (ko) * 2008-06-09 2011-12-19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101116876B1 (ko) 2011-12-08 2012-03-09 주식회사 동명테크피아 도로와 교량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51002B1 (ko) 2017-09-26 2018-04-20 박수연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447B1 (ko) * 2017-11-15 2019-01-24 윤필용 내진 보강용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05B1 (ko) 2023-02-28
KR20230144936A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2042B2 (ja) プレキャスト横梁およびそれを用いた橋脚
US8196368B2 (en) Ductile seismic shear key
KR101305522B1 (ko) 보-기둥 접합 구조를 이용한 교량
KR20070004279A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101892073B1 (ko) 강관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631873B1 (ko)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CN110184907B (zh) 一种钢混组合式桥梁伸缩装置
JP4242673B2 (ja) 制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制振構造
KR101037134B1 (ko) 입체복합도로용 내진 신축이음장치
JP7100006B2 (ja) 橋梁の落橋防止構造
KR102200927B1 (ko) 전도방지용 강재브라켓을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공법
JP4282003B2 (ja) 制振構造
JP5079640B2 (ja) 耐震架構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JPH118173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40022A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330759B1 (ko) 도로교 확장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622626B1 (ko) 교량 내진보강장치
JPH0718130B2 (ja) 複合橋脚
KR102487499B1 (ko)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3847758B2 (ja) Pc床版橋の補修構造
KR100339095B1 (ko) 낙교방지용 가이드베어링 및 그 설치방법
KR102618251B1 (ko) 교량의 바닥판 교체 시공방법
JP6340468B1 (ja) 二重せん断補強筋が配置されたpc橋脚を用いた高架橋
JP2005273289A (ja) 2方向性合成床版
JP2000336618A (ja) 橋脚支承半固定接合部構造および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