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28B1 -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28B1
KR102631028B1 KR1020210179635A KR20210179635A KR102631028B1 KR 102631028 B1 KR102631028 B1 KR 102631028B1 KR 1020210179635 A KR1020210179635 A KR 1020210179635A KR 20210179635 A KR20210179635 A KR 20210179635A KR 102631028 B1 KR102631028 B1 KR 10263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over
slider
distribution line
wire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669A (ko
Inventor
조현동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절연커버에 형성된 파지편이 토션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절연커버가 자동으로 닫혀진다. 따라서 그랩스틱으로 파지편만을 장악하여 절연커버를 개폐하기 용이하므로 전선에 가설치 하기 용이하다. 또한 절연커버의 하단에 조작고리가 구비된 지퍼로 개폐되는 지퍼체결부가 구비됨으로써 핫스틱의 후크고리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절연커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Insulation cover for wire connection part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 부분을 감싸 충전부의 노출을 방지해주는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와 같이 전선(1)끼리 직결되거나 또는 (b)와 같이 전선(1)에서 또 다른 전선(2)이 분기되는 전선 연결부에는 (직결)슬리브 또는 분기슬리브와 같은 접속부재가 설치되고, 그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절연커버(3)가 설치된다.
절연커버(3) 설치 후에는 절연커버(3)의 단부에 테이핑을 실시하여 절연커버(3)를 전선에 고정하고 수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테이핑 작업을 마무리할 때 테이프를 그랩스틱으로 당겨 끊거나 핫스틱의 나이프로 끊은 뒤에 테이프의 단부를 핫스틱의 후크고리로 문질러서 부착해두기 때문에 테이프가 불완전 밀착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서 테이프가 잘 떨어지고, 이에 수밀상태가 깨지며, 절연커버가 본래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심할 경우 전선에서 탈락하여 충전부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3) 설치 및 테이핑 작업은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간접활선공구는 스틱과 선단공구의 종류가 다양하여 절연커버의 파지(장악), 위치 이동, 결합부(결합돌기 & 결합홈) 결합 및 테이핑 등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스틱 및 선단공구를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되고 집중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테이핑 작업을 위해서는 로터스틱을 사용해야 하고 그 단부에 테이핑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스틱 전체의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육체적으로 매우 힘들뿐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 유발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3)는 그랩스틱만으로 절연커버를 장악하여 전선에 근접 위치시키고, 전선을 감싼 뒤, 절연커버의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때문에 작업 중 절연커버를 놓쳐 절연커버가 지상으로 낙하 및 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에 작업이 더욱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54811(2017.06.3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이핑을 하지 않고도 양호한 수밀성과 위치 고정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사용하는 간접활선공구의 종류와 무게가 감소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된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양측 바디와; 양측 바디의 연결부측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파지편과; 상기 양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어 양측 바디를 결합해주는 지퍼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측 바디는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힌지핀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며,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양측 파지편을 탄성지지하여 양측 바디가 항상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상기 지퍼체결부는 일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요부라이너와, 타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돌기가 형성된 철부라이너와, 상기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지퍼를 포함한다.
상기 지퍼에 조작고리가 구비된다.
상기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 중 일측 라이너에 덮개가 구비되고, 타측 라이너에는 덮개홀더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에 조작고리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의 양단부에 전선고정부가 구비되고, 전선고정부의 안쪽으로 전선고정부를 압축해주는 슬라이더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레일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전선고정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압축홀이 관통형성되며, 슬라이더가 전선고정부쪽으로 이동하면 전선고정부의 소경부가 슬라이더의 압축홀로 삽입되면서 전선고정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축된다.
상기 전선고정부와 슬라이더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분되어 양측 커버 각각에 나뉘어 설치되고, 양측 커버가 결합될 때 서로 맞대진다.
상기 반분된 슬라이더 부분의 각 대응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에 압축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중 조작부 인접 부분에 조작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일측부에 조작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조작홀을 통해 바디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조작부가 슬라이더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와 슬라이더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조작부가 압축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조작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전선고정부 압축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커버의 양측 바디 하단이 지퍼구조로 개폐됨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된다. 지퍼는 핫스틱의 후크고리로 조작할 수 있다.
절연커버의 양측 바디 상단에 양측 바디를 개방하는 파지편이 형성되고, 양측 파지편이 토션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자동으로 오므려짐으로써, 그랩스틱만으로 절연커버를 안정적으로 장악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 절연커버 낙하 및 그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작업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절연커버의 양측부에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가 구비되어 절연커버의 수밀성과 위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테이핑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테이핑 노후 및 분리에 의한 절연커버의 수밀성 상실, 위치 이동, 전선에서의 탈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핑 장치를 설치한 로터스틱과 같은 무거운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작업에 소모되는 힘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된다.
또한, 그랩스틱과 핫스틱의 후크고리만으로 전체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공구를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 지연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 집중도가 향상되어 작업 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커버 설치 상태도.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의 측면도로서 각각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도면.
도 3은 상기 절연커버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양측 바디를 간단히 평판형으로 도시함).
도 4는 상기 절연커버의 저면도로서 지퍼체결부의 외형 및 지퍼와 덮개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상기 절연커버 양측 바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절연커버 개폐에 따른 슬라이더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의 (a),(b)는 조작부와 슬라이더의 작동 설명도.
도 8의 (a),(b)는 각각 (직결)슬리브와,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의 외형도.
도 9는 분기고리용 절연커버의 외형도.
도 10은 인장클램프용 절연커버의 외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양측 바디(11,12)와, 양측 바디(11,12)의 상단에 형성된 파지편(11a,12a)과, 양측 바디(11,12)의 하단에 형성된 지퍼체결부(30)를 포함한다.
양측 바디(11,12)는 전선 연결부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힌지핀(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지편(11a,11b)은 양측 바디(11,12)에서 힌지핀(20)으로 연결된 단부쪽에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힌지핀(20)의 외주에는 토션스프링(21)이 설치되고, 토션스프링(21)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양측 파지편(11a,11b)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항상 양측 파지편(11a,11b)을 벌려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파지편(11a,11b)이 오므려지면 도 2(a)와 같이 양측 바디(11,12)가 벌어지고(절연커버 open 상태), 파지편(11a,11b)이 벌어지면 도 2(b)와 같이 양측 바디(11,12)가 오므려진다(절연커버 close 상태).
상기 파지편(11a,11b)은 평판 형상이므로 그랩스틱(100)의 그래퍼(110)로 쉽게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랩스틱(100)으로 양측 파지편(11a,11b)을 잡아주면 절연커버는 개방되고 반대로 놓아주면 토션스프링(21)의 작용에 의해 절연커버는 닫힌다. 따라서 그랩스틱(100)으로 절연커버를 잡고, 설치 위치로 이동시켜서 전선(1)을 감싸는 형태로 가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퍼체결부(30)는 양측 바디(11,12)의 하단에 각각 구비된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 이들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지퍼(33)를 포함한다. 지퍼(33)는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 중 어느 한쪽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요부라이너(31)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 전체에 요홈이 형성되고, 철부라이너(32)의 대응면에는 길이방향 전체에 상기 요홈에 삽입 결합되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퍼(33)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요홈과 선형돌기가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가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이는 일반적인 지퍼팩(zipper pack)의 지퍼구조와 유사하다.
바디(11,12) 개방 상태에서 지퍼(33)는 바디(11,12)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바디(11,12)가 닫혀서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가 서로 맞대진 상태에서(도 4(a) 상태) 지퍼(33)가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 양측을 모두 물고 지나가면 요홈에 선형돌기가 삽입되면서 요부라이너(31)와 철부라이너(32)가 서로 결합된다(도 4(b)에서 도 4(c)의 상태).
지퍼(33)에는 원형의 조작고리(33a)가 구비되어,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를 조작고리(33a)에 걸어 당겨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퍼(33)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지퍼(33)가 설치된 라이너의 반대쪽 라이너에는 덮개(34)가 구비되고, 덮개(34)가 설치된 라이너의 반대쪽 라이너 즉, 지퍼(33)가 설치된 쪽의 라이너에는 덮개홀더(35)가 형성된다. 덮개홀더(35)는 덮개(34)의 걸림돌기를 수용하여 잡아주는 걸림홈이며, 덮개(34)의 내측면에는 상기 덮개홀더(35)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퍼(33)를 닫고 난 후에 양측 바디(11,12) 사이에 남은 홈을 상기 덮개(34)로 덮어 가려줄 수 있다(도 4(c)).
상기 덮개(34)에도 지퍼(33)와 동일한 원형의 조작고리(34a)가 구비되어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절연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고정부(40)와 슬라이더(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절연커버를 완전히 펼쳐 바디(11,12)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절연커버의 내부에는 전선(1)을 잡아주는 전선고정부(40)와, 전선고정부(40)를 압축해주는 슬라이더(50)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4는 전선(1,2) 연결부에 압착 설치된 슬리브이다.
상기 전선고정부(40)와 슬라이더(50)는 바디(11,1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반분되어 양측 바디(11,12)에 나뉘어 설치된다.
전선고정부(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성 및 밀착력이 우수하다. 전선고정부(40)는 대략 원추형 관 형상으로서 직경이 큰 부분이 바디(11,12)의 단부에 위치되고 직경이 작은 부분이 바디(11,12)의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전선고정부(40)는 대형(전선 2개용) 및 소형(전선 1개용)으로 각각 준비되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전선 분기의 예로서 일측에는 하나의 전선(1)을 감싸서 잡아주는 소형 전선고정부(4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분기 전선까지 포함하여 두 개의 전선(1,2)을 감싸서 잡아주는 대형 전선고정부(40)가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슬라이더(50)는 바디(11,12)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60)을 따라 바디(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다.
또한 양측 바디(11,12)에 분할되어 있는 각 슬라이더 부분(51,52)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치형(51a,52a)이 형성된다(도 6(a)). 따라서 양측 바디(11,12)가 결합될 때 양측 결합치형(51a,52a)이 결합되면서 양측 슬라이더 부분(51,52)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슬라이더(50)를 이루어 슬라이드레일(60)을 따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6(b)에서 도 6(c)).
슬라이더(50)의 중앙에는 압축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홀(53)을 전선(1,2)이 통과하며, 슬라이더(50)가 전선고정부(40)쪽으로 이동시 압축홀(53)의 내부로 전선고정부(40)의 소경부가 삽입된다. 슬라이더(50)가 더 이동하면 압축홀(53)의 내주면이 전선고정부(40)의 외주면을 압축함으로써 전선고정부(40)가 수축되면서 전선(1,2)을 강하게 조여준다.
따라서 절연커버와 전선(1,2)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고, 절연커버가 전선(1,2)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54는 슬라이드홀으로서 이 슬라이드홀(54)에 슬라이드레일(60)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레일(60)을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슬라이더(50) 조작을 위해 슬라이더(50)에는 버튼타입의 조작부(70)가 구비된다. 조작부(70)는 슬라이더(50)에 형성된 설치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슬라이더(50)의 반경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조작부(70)는 상기 설치홈에 먼저 삽입된 압축스프링(71)에 의해 바디(11,12)쪽으로 탄성 지지된다. 조작부(70)의 일측 단부에는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 단부를 삽입하여 걸어줄 수 있는 조작홈(70a)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11,12)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조작부(70)를 바디(11,12) 외측에서 조작하기 위한 조작홀(13)이 형성된다. 슬라이더(50) 미사용 상태에서 조작부(70)는 압축스프링(71)을 압축시킨 상태로 슬라이더(50)와 바디(11,12)의 사이에 끼어 있으며, 상기 조작홈(70a) 부분만 조작홀(13)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작업자는 절연커버를 전선(1)에 설치하고 지퍼체결부(30)를 닫은 후, 후크고리(210)를 조작홈(70a)에 걸어 조작부(70)를 당겨줌으로써 조작부(70)와 함께 슬라이더(50)를 전선고정부(40)쪽으로 당겨줄 수 있다.
이에 슬라이더(50)가 전선고정부(40)쪽으로 이동하여 전선고정부(40)의 소경부측 부분이 슬라이더(50)의 압축홀(53)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50)가 전선고정부(40)를 압축하고, 이에 전선고정부(40)가 압축되면서 전선(1)을 강하게 감싸준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50)에 의한 전선고정부(40)의 압축이 절연커버의 양측 단부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절연커버가 전선(1)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절연커버의 내측으로 수분 침투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50)가 이동할 때 조작부(70)가 조작홀(13)과 일치되면, 압축스프링(71)의 지지력에 의해 조작부(70)가 조작홀(1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린다. 따라서 슬라이더(50)의 좌우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슬라이더(50)에 의한 전선고정부(40) 압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조작홈(70a)은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절연커버 제거시에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의 역순으로 조작부(70)를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더(50)를 복귀시키고 전선고정부(40) 압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주로 전선의 연결 부위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형상 및 전선(1,2)의 연결 형태에 맞도록 바디(11,12)의 외형이 적절히 변경된다.
도 8(a)는 단순 직결슬리브가 사용된 전선 연결부에 설치되는 절연커버이고, 도 8(b)는 분기슬리브가 사용된 전선 연결부에 설치되는 절연커버이며, 도 9는 분기고리가 사용된 전선 연결부에 설치되는 절연커버이다.
또한 도 10은 현수애자와 전선(1)의 사이에 인장클램프가 사용되고, 이를 통해 또 다른 전선(2)이 분기된 경우에 적용되는 절연커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바디(11,12)에 형성된 조작홀(13)들이 전선(1,2)의 관통 부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바디(11,12)의 내측에는 전선(1,2) 관통 부분마다 전선고정부(40)와 슬라이더(5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는, 절연커버의 양측 바디(11,12) 하단이 지퍼체결부(30)로 개폐됨으로써 절연커버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또한 절연커버의 양측 바디(11,12) 상단에 양측 바디(11,12)를 개방하는 파지편(11a,12a)이 형성되고, 양측 파지편(11a,12a)이 토션스프링(21)으로 지지되어 바디(11,12)가 자동으로 오므려짐으로써, 그랩스틱만으로 절연커버를 잡고 전선으로 접근시킨후 절연커버가 전선을 감싸도록 가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절연커버를 떨어뜨리거나 그에 따라 절연커버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지퍼체결부(30)의 결합을 위한 지퍼(33) 조작 및 상기 덮개(34)의 조작은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더(50) 이동을 위한 조작부(70) 조작 역시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0)를 매개로 슬라이더(50)를 당겨줌으로써 슬라이더(50)가 전선고정부(40)를 압축해주며, 이에 전선고정부(40)가 전선(1,2)을 강하고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연커버의 양측부에 전선(1,2)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40)가 구비됨으로써 절연커버의 수밀성과 위치 고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기존에 절연커버 설치후 절연커버의 전부 또는 양단부를 전선에 테이핑해 주던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테이핑 노후 및 분리에 의한 절연커버의 수밀성 상실, 위치 이동, 전선에서의 탈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핑 장치를 설치한 로터스틱과 같은 무거운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작업에 소모되는 힘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그랩스틱(100)과 핫스틱(200)의 후크고리(210)만으로 전체 작업이 가능하여 간접활선공구를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 지연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 집중도가 향상되어 작업 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전선 11,12 : 바디
11a,12a : 파지편 13 : 조작홀
20 : 힌지핀 21 : 토션스프링
30 : 지퍼체결부 31 : 요부라이너
32 : 철부라이너 33 : 지퍼
34 : 덮개 33a,34a : 조작고리
35 : 덮개홀더 40 : 전선고정부
50,51,52 : 슬라이더 53 : 압축홀
54 : 슬라이드홀 60 : 슬라이드레일
70 : 조작부 70a : 조작홈
71 : 압축스프링

Claims (14)

  1.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양측 바디와;
    양측 바디의 연결부측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파지편과;
    상기 양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어 양측 바디를 결합해주는 지퍼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양단부에 전선고정부가 구비되고, 전선고정부의 안쪽으로 전선고정부를 압축해주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바디는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힌지핀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며,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양측 파지편을 탄성지지하여 양측 바디가 항상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퍼체결부는 일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요부라이너와, 타측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돌기가 형성된 철부라이너와, 상기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퍼에 조작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부라이너와 철부라이너 중 일측 라이너에 덮개가 구비되고, 타측 라이너에는 덮개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조작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레일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압축홀이 관통형성되며, 슬라이더가 전선고정부쪽으로 이동하면 전선고정부의 소경부가 슬라이더의 압축홀로 삽입되면서 전선고정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와 슬라이더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분되어 양측 커버 각각에 나뉘어 설치되고, 양측 커버가 결합될 때 서로 맞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분된 슬라이더 부분의 각 대응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치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압축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중 조작부 인접 부분에 조작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일측부에 조작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조작홀을 통해 바디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슬라이더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와 슬라이더가 함께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압축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조작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전선고정부 압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KR1020210179635A 2021-12-15 2021-12-15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KR10263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35A KR102631028B1 (ko) 2021-12-15 2021-12-15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35A KR102631028B1 (ko) 2021-12-15 2021-12-15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69A KR20230090669A (ko) 2023-06-22
KR102631028B1 true KR102631028B1 (ko) 2024-01-31

Family

ID=8698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35A KR102631028B1 (ko) 2021-12-15 2021-12-15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3781A (zh) * 2023-04-12 2023-07-1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南通供电分公司 一种带电作业开关绝缘护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3578A (ja) * 2016-11-30 2018-06-14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040B1 (ko) * 2008-02-12 2009-11-03 전명수 도선용 절연커버
KR20140002098U (ko) * 2012-10-04 2014-04-14 한국전력공사 엘보접속재 절연 보호커버
KR101754811B1 (ko)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3578A (ja) * 2016-11-30 2018-06-14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69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028B1 (ko) 배전선로의 전선 연결부 절연커버
JP2581905B2 (ja) 基材間封止用物品
KR20170089733A (ko)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JP5946892B2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KR102327599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KR101829671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JP2018082519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ネクタカバー
JPH11299066A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JPH1198631A (ja) コッタピン、割ピン等の活線工事用工具
JP6325301B2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JP2018093578A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JP4484401B2 (ja) くさび型クランプ
KR20200059335A (ko) 절연커버
JP2013158199A (ja) 絶縁カバー
JP2004320961A (ja) 電線補修用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US10756521B2 (en) Cord sleeve device and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for use
KR200269495Y1 (ko) 전선용 인류크램프커버
JPH0855745A (ja) 変流器固定具
JP6536225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JP2017076477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JP2018098067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
JP2003264917A (ja) 電線補修用カバ−
KR100801906B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