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033B1 -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033B1
KR102629033B1 KR1020200183730A KR20200183730A KR102629033B1 KR 102629033 B1 KR102629033 B1 KR 102629033B1 KR 1020200183730 A KR1020200183730 A KR 1020200183730A KR 20200183730 A KR20200183730 A KR 20200183730A KR 102629033 B1 KR102629033 B1 KR 10262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notch
layer
hold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195A (ko
Inventor
공용진
홍장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Priority to KR102020018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0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리 접합체는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층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인 제1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1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1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1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1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접합 유리의 외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 홀더, 상기 제1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압 인가선 및 상기 접합 유리 중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인 노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GLASS LAMINATE AND PRODUCING METHOD FOR GLASS LAMINATE}
본 발명은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선루프를 제작할 때는, 유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외면에 사출하게 된다. 탄성체가 사출된 선루프는 가장자리가 모두 탄성체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감쇄될 수 있다.
그러나, 선루프 중 내부에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고 있는 선루프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로 선루프의 외면을 둘러싸게 되면, 선루프 내의 기능성 필름과 연결된 전압 인가선을 외부로 확장하거나 노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체 사출 이후 다시 제거하여 전압 인가선을 통과 시키는 통로를 생성하여 재조립하여야 하는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선행문헌 1은 도전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용 부품을 접합 유리의 상측면에 배치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원 공급용 부품은 유리의 상측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유리를 가리는 영역이 크게 발생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리를 가리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 선루프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 6350533호 (2018.6.15.)
본 발명의 과제는 전압 인가 부위와 외부 전원의 외부 연결이 용이하면서, 전압 인가선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전압 인가 부위가 외측으로 노출 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유리 접합체는,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층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인 제1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1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1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1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1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홀더, 상기 제1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중간층 노치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전압 인가선 및 상기 접합 유리 중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인 노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개구된 방향을 개구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탄성체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상기 제1 홀더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유리층 노치에 배치되는 영역인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리층 노치를 가리게 마련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유리층의 외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한 유리층인 제2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2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2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2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2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2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인가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2 유리층 노치에 배치되는 영역인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3 영역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리층 노치를 가리게 마련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유리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2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중간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2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접합 유리의 외면의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2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인가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접합 유리 중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유리층 노치 및 상기 제1 중간층 노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반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유리층 노치는 상기 제1 유리층이 커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층 노치는 상기 제1 중간층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합 유리의 외면과 제1 홀더 또는 제2 홀더가 맞닫는 영역에 외기, 오염물 또는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란트 등이 적용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은 한 쌍의 유리층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층 및 한 쌍의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중간층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한 쌍의 중간층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적층 접합시켜 접합 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접합 유리에 탄성체를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가 개구된 방향을 개구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탄성체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상기 홀더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 및 상기 기능성 필름에 연결된 전압 인가선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압 인가선은 상기 노치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인 제1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1 유리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1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1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1 중간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한 유리층인 제2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2 유리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2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2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2 중간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리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2 유리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간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2 중간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치된 부위에 삽입되어, 전압 인가선을 가리는 동시에 전압인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홀더를 통해 전압 인가가 용이한 동시에 전압 인가선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가 접합 유리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노치에 배치되므로, 홀더가 접합 유리를 가리는 영역이 줄어들고,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 사출물을 제거하였다가 재조립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 접합체의 접합 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리 접합체의 접합 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는 전압 인가가 용이한 동시에 전압 인가선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유리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는 접합 유리(10), 제1 홀더(20), 제1 전압 인가선(30a) 및 탄성체(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 접합체의 접합 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접합 유리(10)는 한 쌍의 유리층(11a, 11b), 한 쌍의 중간층(12a, 12b) 및 기능성 필름(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층(12a, 12b)은 한 쌍의 유리층(11a, 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 필름(13)은 한 쌍의 중간층(12a, 12b)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필름(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필름(13)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하는 투과율 가변 필름일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필름(13)은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필름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기능성 필름(13)은 LED 소자를 투명 전극이 적용된 필름과 함께 조명이나 영상 구현이 가능한 LED 필름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가 가능한 색상 필름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양열을 이용하며 전기를 수집할 수 있는 필름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영상이나 이미지를 구현하는 필름 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합 유리(10)에는 제1 유리층 노치(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리층 노치(14)는, 제1 유리층(11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유리층(11a)은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유리층은 한 쌍의 유리층 중 상측에 위치한 유리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유리층 노치(14)는 제1 유리층(11a)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합 유리(10)에는 제1 중간층 노치(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간층(12a)은 한 쌍의 중간층(12a, 12b) 중 제1 유리층(11a)의 인접한 중간층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중간층(12a)은 한 쌍의 중간층 중 상측에 위치한 중간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중간층 노치(15)는 제1 중간층(12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1 유리층 노치(14)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리층 노치(14)와 제1 중간층 노치(15)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간층 노치(15)는 제1 중간층(12a)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1 중간층 노치(15)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은, 각각 직사각형, 정사각형, 반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1 중간층 노치(15)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홀더(20)는 제1 유리층 노치(14)에 일부가 삽입되고, 제1 중간층 노치(15)에 일부가 삽입되며, 접합 유리(10)의 외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홀더(2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20)는 외부의 전원(P)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홀더(20)는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 인가 부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1 전압 인가선(30a)이 직접 전원에 연결되는 것이 아닌 외부의 전원(P)과 제1 홀더(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홀더(20)와 제1 전압 인가선(3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이 기능성 필름에 공급되는 간접적인 연결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전압 인가선(30a)은 제1 중간층 노치(1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전압 인가선(30a)은 제1 홀더(20) 및 기능성 필름(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홀더(20)는 제1 전압 인가선(30a)을 가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 홀더(20)에 의해 제1 전압 인가선(30a, 도 3)이 가려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탄성체(40)는 노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출 영역은 접합 유리(10) 중 제1 홀더(2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노출 영역의 테두리를 커버한다 함은, 탄성체(40)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합 유리(10)의 상면의 일부, 하면의 일부 및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는 노출 영역의 전체의 테두리를 커버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단,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의해 노출 영역 중 일부 영역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탄성체(40) 중 측면에 접하는 부분의 두께는 제1 홀더(20) 중 측면에 접하는 부분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40)는, PU(Polyuretha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재료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에 의하면,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1 중간층 노치(15)에 삽입되어, 제1 전압 인가선(30a)을 가리는 동시에 제1 전압인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홀더(20)를 통해, 전압 인가가 용이한동시에 제1 전압 인가선(30a)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홀더(20)가 접합 유리(10)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노치에 배치되므로, 제1 홀더(20)가 접합 유리(10)를 가리는 영역이 줄어들고,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홀더(20)>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홀더(20)는, 제1 영역(21) 및 제2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1)은 제1 홀더(20) 중 제1 유리층 노치(14)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2)은 제1 홀더(20) 중 제1 영역(21)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 유리층 노치(14)를 가리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2)은 제1 유리층(11a)의 외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제2 영역(22)은 제1 유리층(11a)의 상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영역(22)은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영역(2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22)이 제1 영역(21)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측에서 바라 봤을 때, 제1 유리층 노치(14)가 가려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합 유리(10)에는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리층 노치(17)는, 제2 유리층(11b)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유리층(11b)은 한 쌍의 유리층(11a, 11b) 중 제1 유리층(11a)이 아닌 다른 한 유리층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2 유리층(11b)은 한 쌍의 유리층 중 하측에 위치한 유리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접합 유리(10)에는 제2 중간층 노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층(12b)은 한 쌍의 중간층(12a, 12b) 중 제2 유리층(11b)의 인접한 중간층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2 중간층(12b)은 한 쌍의 중간층 중 하측에 위치한 중간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중간층 노치(16)는 제2 중간층(12b)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유리층 노치(17)와 제2 중간층 노치(16)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20)는 제2 유리층 노치(17)에 일부가 삽입되고, 제2 중간층 노치(17)에 일부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홀더(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1 중간층 노치(15)에 일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제2 유리층 노치(17) 및 제2 중간층 노치(16)에 일부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20)는 제3 영역(23) 및 제4 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23)은 제1 홀더(20) 중 제2 유리층 노치(17)에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영역(24)은 제1 홀더(20) 중 제3 영역(23)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 유리층 노치(17)를 가리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24)은 제2 유리층(11b)의 외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제4 영역(24)은 제2 유리층(11b)의 하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영역(24)은 하측에서 바라봤을 때, 제3 영역(23)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영역(24)이 제3 영역(23)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하측에서 바라 봤을 때, 제2 유리층 노치(17)가 가려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는 제2 전압 인가선(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 인가선(30b)은 제2 중간층 노치(16)에 삽입되며, 제1 홀더(20) 및 기능성 필름(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홀더(20)는 제2 전압 인가선(30b)을 가리게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 홀더(20)에 의해 제2 전압 인가선(30b, 도 3)이 가려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전압 인가선(30a)과 제2 전압 인가선(30b)은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홀더(20)에는 +극과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양극 도전체와 -극과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음극 도전체가 결합될 수 있다. 양극 도전체는 제1 영역(21) 또는 제3 영역(2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음극 도전체는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압 인가선(30a)은 양극 도전체 또는 음극 도전체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압 인가선(30b)은 양극 도전체 또는 음극 도전체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추가로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의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S100), 접합 유리를 제작하는 단계(S200), 접합 유리에 탄성체를 사출하는 단계(S300),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S400) 및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접합 유리(10, 도 2)의 제작 이전에 노치(14, 15, 16, 17)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S100)에서는, 한 쌍의 유리층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층 및 한 쌍의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노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유리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 쌍의 유리층에 각각 전술한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중간층에 각각 전술한 제1 중간층 노치(15) 및 제2 중간층 노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치는 제1 유리층 노치(14), 제1 중간층 노치(15), 제2 유리층 노치(17) 및 제2 중간층 노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상술하면,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S100)는, 제1 유리층 노치(14)를 형성하는 단계(S110) 및 제1 중간층 노치(15)를 형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리층 노치(14)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유리층(11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1 유리층 노치(1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간층 노치(15)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중간층(12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1 유리층 노치(14)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1 중간층 노치(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S100)는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하는 단계(S130) 및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2 유리층(11b)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리층 노치(17)의 위치는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1 중간층 노치(15)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2 중간층(12b)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한 쌍의 중간층이 배치되고,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기능성 필름(13)이 배치되도록, 한 쌍의 유리층(11a, 11b), 한 쌍의 중간층(12a, 12b) 및 기능성 필름(13)을 적층 접합시켜 접합 유리(10)를 제조할 수 있다.
접합 유리에 탄성체를 사출하는 단계(S300)에서는, 접합 유리의 영역 중 노치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사출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액상의 탄성체를 토출한 후, 온도 변화에 의해 고체로 변화시켜 접합 유리에 탄성체를 사출할 수 있다.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S400)는, 노치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410) 및 노치 및 기능성 필름에 연결된 전압 인가선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인가선은 전술한 제1 전압 인가선(30a)과 제2 전압 인가선(30b)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1 홀더(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리 접합체의 접합 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이하에선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는 제2 홀더(50)의 존재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리층 노치(17'), 제2 중간층 노치(16') 및 제2 전압 인가선(30b)의 위치가 상이하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의 접합 유리(10')에는 제2 유리층 노치(17') 및 제2 중간층 노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리층 노치(17')는 제1 유리층(11a')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중간층 노치(16')는 제1 중간층(12a')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유리층 노치(17')와 제2 중간층 노치(16')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리층 노치(17')는 제1 유리층(11a')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중간층 노치(16')는 제1 중간층(12a')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는 제2 홀더(50) 및 제2 전압 인가선(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50)는 제2 유리층 노치(17')에 일부가 삽입되고, 제2 중간층 노치(16')에 일부가 삽입되며, 접합 유리(10')의 외면의 다른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홀더(50)가 커버하는 접합 유리(10')의 외면의 다른 일부는 접합 유리(10') 중 제1 홀더(20')가 커버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홀더(5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50)는 외부의 전원(P')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홀더(50)는 제1 홀더(20')와 다른 극성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홀더(50)가 외부의 전원(P')과 연결된다 함은, 전술한 실시예 1의 제1 홀더(20)와 외부의 전원(P)간의 연결에 대응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전압 인가선(30b')은 제2 중간층 노치(16')에 삽입되며, 제2 홀더(50) 및 기능성 필름(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홀더(50)가 제1 홀더(20')와 다른 극성의 전원과 연결됨에 따라, 제1 전압 인가선(30a')과 제2 전압 인가선(30b')은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40')는, 접합 유리(10') 중 제1 홀더(20') 및 제2 홀더(5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된다는 내용은 실시예 1에서 전술한 바와 같게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2의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실시예 2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은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유리층 노치(17') 및 제2 중간층 노치(16'), 제2 전압 인가선(30b')의 위치가 실시예 1의 유리 접합체와 상이하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한 쌍의 유리층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층 및 한 쌍의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노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유리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제1 유리층(11a')에 각각 전술한 제1 유리층 노치(14') 및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간층(12a')에 각각 전술한 제1 중간층 노치(15') 및 제2 중간층 노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상술하면,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유리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중간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리층 노치(14')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유리층(11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1 유리층 노치(1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간층 노치(15')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중간층(12a')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1 유리층 노치(14')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1 중간층 노치(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유리층(11a')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2 유리층 노치(1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리층 노치(17')의 위치는 제1 유리층 노치(11a')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 중간층(11a')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제2 유리층 노치(17')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2 중간층 노치(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중간층 노치(16')의 위치는 제1 중간층 노치(15')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일 수 있다.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홀더는 제2 홀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접합 유리
11a, 11a': 제1 유리층
11b, 11b': 제2 유리층
12a, 12a': 제1 중간층
12b, 12b': 제2 중간층
13, 13': 기능성 필름
14, 14': 제1 유리층 노치
15, 15': 제1 중간층 노치
16, 16': 제2 중간층 노치
17, 17': 제2 유리층 노치
20, 20': 제1 홀더
21, 21': 제1 영역
22, 22': 제2 영역
23: 제3 영역
24: 제4 영역
30a, 30a': 제1 전압 인가선
30b, 30b': 제2 전압 인가선
40, 40': 탄성체
50: 제2 홀더
P, P': 전원

Claims (7)

  1.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층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배치되는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인 제1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1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1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1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1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홀더;
    상기 제1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중간층 노치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전압 인가선; 및
    상기 접합 유리 중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인 노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개구된 방향을 개구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탄성체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상기 제1 홀더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유리 접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유리층 노치에 배치되는 영역인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리층 노치를 가리게 마련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접합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한 유리층인 제2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2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2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2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2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2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2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인가선을 더 포함하는, 유리 접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유리층의 영역의 일부가 함몰된 형상인 제2 유리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중간층의 다른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제1 중간층의 영역 중 상기 제2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이 함몰된 형상인 제2 중간층 노치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접합 유리의 외면의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2 중간층 노치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홀더 및 상기 기능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 인가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접합 유리 중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의 테두리를 커버하게 형성되는, 유리 접합체.
  5. 유리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유리층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층 및 한 쌍의 중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중간층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사이에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한 쌍의 중간층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적층 접합시켜 접합 유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접합 유리에 탄성체를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가 개구된 방향을 개구 방향이라 할 때, 상기 탄성체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상기 홀더 중 상기 접합 유리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치에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 및 상기 기능성 필름에 연결된 전압 인가선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홀더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압 인가선은 상기 노치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한 유리층인 제1 유리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1 유리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중간층 중 상기 제1 유리층의 인접한 중간층인 제1 중간층의 어느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제1 유리층 노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제1 중간층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200183730A 2020-12-24 2020-12-24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KR10262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30A KR102629033B1 (ko) 2020-12-24 2020-12-24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30A KR102629033B1 (ko) 2020-12-24 2020-12-24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95A KR20220092195A (ko) 2022-07-01
KR102629033B1 true KR102629033B1 (ko) 2024-01-25

Family

ID=8239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30A KR102629033B1 (ko) 2020-12-24 2020-12-24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0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762A1 (ja) * 2003-06-30 2005-01-06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エッジ部保護部材及び該保護部材を備えるガラスパネル、並びにガラスパネルのエッジ部保護方法
WO2020003902A1 (ja) * 2018-06-28 2020-01-0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504Y2 (ko) 1986-09-19 1992-02-21
KR102150024B1 (ko) * 2019-01-21 2020-08-31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접합유리용 홀더 및 접합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762A1 (ja) * 2003-06-30 2005-01-06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エッジ部保護部材及び該保護部材を備えるガラスパネル、並びにガラスパネルのエッジ部保護方法
WO2020003902A1 (ja) * 2018-06-28 2020-01-0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95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0758B (zh) 透明显示装置
CN107402669B (zh) 电子装置
US20120086655A1 (en) Touch display panel
CN106449697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0289289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5209029B2 (ja) 表示装置および有機発光表示装置
JP6636807B2 (ja) 有機el表示装置
JP6535520B2 (ja) 表示装置
KR10260692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JP2008233902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9426A5 (ko)
JP2011013761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56596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12840300B (zh) 电子设备
US10095054B2 (en) Display device
KR100814917B1 (ko) 불투명 코팅을 구비한 창문
KR102629033B1 (ko) 유리 접합체 및 유리 접합체 제조 방법
JP2011108564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EP3179832B1 (en) Planar light-emitting panel and elastic jacket
US6747415B2 (en) Electroluminescent light arrangement
CN114639310B (zh) 显示模组及移动终端
JP2007258121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
JP2008015427A (ja) 画像表示媒体
JP2007287344A (ja) El光源体およびel光源体の製造方法
CN102467271A (zh) 触控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