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63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634B1
KR102628634B1 KR1020220038430A KR20220038430A KR102628634B1 KR 102628634 B1 KR102628634 B1 KR 102628634B1 KR 1020220038430 A KR1020220038430 A KR 1020220038430A KR 20220038430 A KR20220038430 A KR 20220038430A KR 102628634 B1 KR102628634 B1 KR 10262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rotating tub
rotating
washing machin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942A (ko
Inventor
이성모
박상호
임경업
이선우
한소담
길인환
박준현
김도연
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6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회전조; 및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시 상기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편심방지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탈수 시 배수되지 않는 물이 편심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조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수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 및 회전조와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클러치를 구비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세탁기를 이용하여 방수포 재질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종래에는 방수포 재질의 세탁물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 시에도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가 회전조로부터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회전조로부터 배수되지 못한 세탁수는 고속 탈수 시 회전조의 내부에서 편심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경우 편심된 세탁수에 의해 회전조는 이상 진동을 하였다. 이러한 이상 진동은 회전조가 수조와 충돌하게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세탁기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세탁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이불, 커튼 및 침대시트와 같은 대형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대형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세탁물의 일부가 회전조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이탈된 세탁물의 일부는 회전조와 함께 회전하지만 수조는 정지한 상태이므로, 이탈된 세탁물의 일부가 수조와 접촉하는 경우 세탁물은 수조의 접촉면에 쓸려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탈된 세탁물의 일부와 수조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과 수조가 모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재질의 세탁물을 탈수할 때 배수되지 않는 세탁수가 편심되지 않고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이상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세탁물 또는 다량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세탁물의 일부가 회전조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가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회전조; 및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시 상기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편심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편심방지부는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는 상단부에 상기 복수의 리브의 각각의 일단과 접하며, 상기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의 상측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가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회전조; 및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펄세이터가 상기 회전조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위치에 도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의 내측 단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와 상기 이탈방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가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회전조; 및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시 상기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편심방지부 및 상기 회전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방지부는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펄세이터가 상기 회전조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위치에 도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의 내측 단부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가 도 3에 도시된 세탁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조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Ⅵ-Ⅵ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Ⅷ-Ⅷ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Ⅹ-Ⅹ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물(L)의 세탁을 위해 캐비닛(10), 수조(20), 회전조(30) 및 구동부(5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L)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L) 투입구(11)가 형성된 상부커버(12)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커버(12)에는 세탁물(L)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가 마련될 수 있다.
수조(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세탁수(W)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며, 현가장치(21)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현가장치(21)는 세탁 시 또는 탈수 시 수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
회전조(30)는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탁물(L)을 수용하기 위해 상단부(33)에 개구(33b)를 구비하며, 내부가 빈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조(30)의 측면에는 회전조(30)의 내부와 외부로 세탁수(W)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통공(31)이 마련된다. 또한, 회전조(30)의 상단부(33)에는 회전조(30)의 고속 회전 시 회전조(30)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켜 회전조(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런서(33a)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30)의 상단부(33)에 밸런서(33a)가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회전조(30)의 상단부(33)에는 밸런서(33a)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조(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32)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L)을 세탁수(W)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회전조(3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수(W)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미도시)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장치 및 세제공급장치는 공지의 사항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회전조(30)는 상단부(33)에 회전조(30)의 내주면으로부터 회전조(30)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3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리브(34)는 회전조(3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복수의 리브(34)의 일단(34a)은 밸런서(33a)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리브(34)는 밸런서(33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리브(34)는 회전조(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결합방법과 같은 통상의 체결방법으로 회전조(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회전조(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리브(34)는 회전조(30)의 상측으로 이동한 세탁수(W)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세탁수(W)의 이동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회전조(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세탁수(W)가 회전조(3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전조(30)의 개구(33b)를 통해 회전조(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런서(33a)의 하면에도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밸런서(33a)는 세탁수(W)의 상측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 역할을 한다.
반면, 회전조(30)의 상단부(33)에 밸런서(33a)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회전조(30)는 세탁수(W)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전조(30)의 개구를 통해 회전조(3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조(30)의 상단 일부를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벤딩(bending) 형성한 차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조(30)는 회전조(30)의 상단 일부를 회전조(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벤딩 형성하는 대신, 회전조(30)의 상단부(33)에 개구(33b)의 가장자리 일부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와 같은 차단부를 배치하여 세탁수(W)의 상측 유동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조(30) 내부의 세탁수(W)는 회전조(30)의 원주방향의 유동 및 상측 유동이 제한되어 회전조(30)의 내부에서 편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방수재질의 세탁물(L)을 세탁하는 경우 회전조(30)의 회전에 따른 회전조(30)의 내부에 있는 세탁수(W)의 유동과 관련해 복수의 리브(34)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가 세탁물(L)을 세탁 또는 탈수를 하는 경우, 회전조(30)는 구동부(5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세탁물(L)은 원심력에 의해 회전조(30)의 측면으로 쏠리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조(30)의 통공(31)을 막는다. 이러한 세탁물(L)은 방수재질이므로 회전조(30)의 내부에 있는 세탁수(W)는 통공(31)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조(30)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조(30)는 더욱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수(W)는 모두 회전조(30)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조(30)의 상단부(33)까지 이동한 세탁수(W)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34)의 사이의 공간에 균일한 양으로 배치된다. 즉, 세탁수(W)는 평형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조(30)는 이상 진동없이 정상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조(30)는 도 3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수(W)는 회전조(30)의 측면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세탁수(W)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30)의 측면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회전조(30)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불평형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리브(34)는 세탁수(W)가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조(30)의 내부의 세탁수(W)가 일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각각의 리브(34)는 세탁수(W)가 일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세탁수(W)의 이동경로를 차단한다. 즉, 도 6에서 회전조(30)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세탁수(W)는 각각의 리브(34)에 가로막혀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4)는 회전조(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수(W)의 양을 고려하여 회전조(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 및 회전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리브(34)는 8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회전조(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수(W)의 양을 고려하여 리브(34)는 7개 이하 또는 9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제조단가 및 제조공정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리브(34)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균형을 유지하기에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복수의 리브(34)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리브(34)는 일단(34a)이 밸런서(33a)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세탁수(W)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리브(34)는 회전조(30)의 내주면과 밸런서(33a)의 하면 모두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리브(34)는 배출되지 못한 세탁수(W)가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조(30)의 이상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복수의 리브(34)에 의해 회전조(30)의 내부에 있는 세탁수(W)가 편심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회전조(30)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탁기(1) 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조(30)의 하부에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수(W)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40) 및 회전조(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가 마련된다.
배수장치(40)는 수조(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조(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41) 및 배수관(41)에 배치되어 배수관(41)을 개폐하는 배수밸브(42)를 포함한다.
구동부(50)는 수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원의 인가를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구동부(50)와 연결되는 회전조(3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50)는 클러치(51), 구동모터(52) 및 회전축(53)을 포함한다.
클러치(51)는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클러치(51)는 구동모터(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53)과 연결된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즉, 클러치(51)가 회전조(30)와 결합하게 되면 회전조(30)가 회전하게 되고, 펄세이터(32)와 결합하게 되면 펄세이터(32)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구동부(50)는 세탁 시 및 헹굼 시에는 펄세이터(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펄세이터(32)에만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고, 탈수 시에는 회전조(30)와 펄세이터(32)가 동시에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조(30)와 펄세이터(32) 모두에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세탁 시 및 헹굼 시에도 회전조(30)가 펄세이터(3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모터(52)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클러치(51)를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회전조(30) 및/또는 펄세이터(32)를 회전시킨다.
회전축(53)은 회전조(30)의 하부 및 회전조(30)의 내부의 바닥에 마련된 펄세이터(32)에 연결되어 회전조(30) 및/또는 펄세이터(32)를 회전시키며, 회전조(30)와 펄세이터(32)는 구동부(50)의 클러치(51)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세탁 및 헹굼은 일반적인 세탁기(1)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탈수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이 시작된 세탁기(1)는 세탁 및 헹굼과정을 거친 후 탈수를 시작한다. 이때, 세탁기(1)는 구동부(50)를 통해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2)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반적인 재질의 세탁물(L)의 경우, 탈수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측면으로 이동한 세탁수(W)는 회전조(30)의 통공(31)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세탁물(L)에 방수재질의 세탁물(L)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탁물(L)이 회전조(30)의 통공(31)을 막게 되므로, 세탁수(W)가 방수재질의 세탁물(L)에 의해 통공(31)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세탁물(L)과 함께 회전조(3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세탁수(W)는 도 2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조(30)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조(30)는 더욱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30) 내부의 모든 세탁수(W)는 회전조(30)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34)가 형성된 부분까지 상측으로 이동한 세탁수(W)는 각각의 리브(34)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평형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서, 회전조(30)는 도 3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세탁수(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30)의 상단부(3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세탁수(W)가 회전조(30)의 회전에 의해 일측으로 편심되려고 하는 경우, 세탁수(W)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34)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세탁수(W)는 여전히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회전조(30)에 이상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를 설명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는 캐비닛(10), 수조(20), 회전조(130) 및 구동부(50)를 포함하며, 캐비닛(10), 수조(20) 및 구동부(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회전조(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의 회전조(130)는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탁물(L)을 수용하기 위해 상단부(133)에 개구(133b)를 구비하고, 내부가 빈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조(130)의 측면에는 회전조(130)의 내부와 외부로 세탁수(W)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통공(131)이 마련된다. 아울러, 회전조(130)의 상단부(133)는 회전조(130)의 고속 회전 시 회전조(130)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켜 회전조(1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런서(13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조(1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1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상술한 밸런서(133a)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단부(133)는 내주면에 회전조(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조(130)의 중심축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35)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35)는 회전조(130)의 개구(133b)의 가장자리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135)는 회전조(130)의 내주면의 상단에 구비되며, 외경은 회전조(13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며, 내경은 외경에 비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더 짧으며, 중앙에 세탁물(L)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탈방지부(135)가 형성되는 위치는 회전조(130)의 상단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조(130)의 상단부(133)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세탁용량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회전조(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35)는 밸런서(133a)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밸런서(133a)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조(13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탈방지부(135)는 세탁수(W)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136)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수의 통공(136)에 의해 세탁물(L)의 탈수 시 세탁물(L)로부터 분리된 세탁수(W)는 이탈방지부(135)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조(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다수의 통공(136)은 급수장치 및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세탁수(W) 및 세제가 공급되는 경우, 이들이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135)가 메쉬(mesh)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원판에 구멍을 뚫어 다수의 통공(136)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탈방지부(135)의 내측 단부(137)는 사용자가 회전조(130)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L)을 꺼낼 때 손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한 내측 단부(137)는 세탁물(L)을 회전조(130)에 투입하거나 뺄 때 세탁물(L)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이탈방지부(135)는 소정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조(130)에 세탁물(L)을 투입하거나 회전조(130)로부터 세탁물(L)을 꺼낼 때, 세탁물(L)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5)는 펄세이터(132)가 이탈방지부(135)의 내부공간을 통해 회전조(130)의 개구(133b)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위치에 도피홈(138)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펄세이터(132)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펄세이터(132)를 회전조(130)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조(130)의 외부로 꺼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펄세이터(132)의 지름은 이탈방지부(135)의 내경에 비해 더 크기 때문에 이탈방지부(135)는 펄세이터(1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도피홈(138)을 형성한다. 즉, 이 경우 펄세이터(132)의 외경은 도피홈(138)이 형성된 이탈방지부(135)의 부분의 지름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지름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펄세이터(132)는 이탈방지부(135)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펄세이터(132)를 회전조(130)의 외부로 꺼내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피홈(138)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 또는 외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35)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는 이불, 커튼 및 침대시트와 같은 대형 세탁물(L)을 세탁하는 경우, 세탁물(L)이 회전조(130)의 개구(133b)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한 번에 세탁할 수 있는 세탁물(L)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이 시작된 세탁기(2)는 세탁, 헹굼 및 탈수를 위해 구동부(50)를 통해 회전조(130) 및/또는 펄세이터(132)를 회전시킨다.
이때, 대형 세탁물(L)을 세탁하는 경우 또는 많은 양의 세탁물(L)을 세탁하는 경우, 이탈방지부(135)가 세탁물(L)이 회전조(1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세탁물(L)의 이탈을 차단하므로, 세탁물(L)이 회전조(130)로부터 이탈되어 수조(20) 또는 캐비닛(1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부(135)에는 복수의 통공(136)이 형성되므로, 세탁수(W)는 회전조(1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탈수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이탈방지부(135)는 내측 단부(137)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탁물(L)을 회전조(130)의 내부에 집어넣거나 회전조(130)의 내부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손을 다칠 염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세탁물(L)이 이탈방지부(135)의 내측 단부(137)에 의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펄세이터(132) 또는 회전조(130)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의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이탈방지부(135)의 도피홈(138)을 통해 펄세이터(132) 또는 기타 부품들을 회전조(130)의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를 설명한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는 캐비닛(10), 수조(20), 회전조(230) 및 구동부(50)를 포함하며, 캐비닛(10), 수조(20) 및 구동부9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회전조(2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의 회전조(230)는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탁물(L)을 수용하기 위해 상단부(233)에 개구(233b)를 구비하고, 내부가 빈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조(230)의 측면에는 회전조(230)의 내부와 외부로 세탁수(W)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통공(231)이 마련된다. 아울러, 회전조(230)의 상단부(233)는 회전조(230)의 고속 회전 시 회전조(230)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켜 회전조(2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런서(23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조(2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2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밸런서(233a)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233)는 회전조(230)의 내주면으로부터 회전조(2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23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리브(234)는 회전조(23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일단(234a)은 밸런서(233a)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리브(234)는 밸런서(233a)로부터 회전조(2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밸런서(233a)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조(230)의 상단부(230)에 마련된 차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리브(23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리브(34)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상단부(233)는 내주면에 회전조(23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조(230)의 중심축을 향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3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135)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는 세탁수(W)의 편심을 방지하는 복수의 리브(234) 및 회전조(230)로부터 세탁물(L)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35)를 모두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234)에 의해 회전조(23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세탁수(W)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조(230)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세탁물(L)이나 많은 양의 세탁물(L)을 세탁하는 경우 이탈방지부(235)에 의해 세탁물(L)의 일부가 개구(233b)를 통해 회전조(2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L)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부(235)의 내측 단부(237)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러한 단부(237)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세탁물(L)이 내측 단부(237)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탈방지부(235)의 도피홈(238)에 의해 펄세이터(232)와 같이 회전조(230)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수조
30, 130, 230; 회전조
32, 132, 232; 펄세이터
33, 133, 233; 상단부
34, 234; 리브
135, 235; 이탈방지부
L; 세탁물
W; 세탁수

Claims (10)

  1. 수조;
    상기 수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부;
    상기 회전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세탁기가 작동하는 동안 회전조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밸런서; 및
    상기 밸런서의 하면에만 설치되며, 상기 밸런서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런서의 하면은 상기 회전조의 내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밸런서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회전조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리브의 길이는 상기 밸런서의 하면의 길이보다 길지 않은, 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단면은 상기 회전조의 중심축 방향으로 직사각형인,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측단면은 직사각형인,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하면은 상기 회전조의 바닥면에 평행한,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밸런서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 중 하나인,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회전조의 통공 위에 설치된 복수의 리브 중 하나인,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의 하면의 일단은 상기 회전조와 접하고, 상기 밸런서의 하면의 타단은 상기 회전조와 접하지 않는, 세탁기.
KR1020220038430A 2015-06-30 2022-03-28 세탁기 KR10262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430A KR102628634B1 (ko) 2015-06-30 2022-03-2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124A KR102428265B1 (ko) 2015-06-30 2015-06-30 세탁기
KR1020220038430A KR102628634B1 (ko) 2015-06-30 2022-03-28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124A Division KR102428265B1 (ko) 2015-06-30 2015-06-30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942A KR20220045942A (ko) 2022-04-13
KR102628634B1 true KR102628634B1 (ko) 2024-01-25

Family

ID=576827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124A KR102428265B1 (ko) 2015-06-30 2015-06-30 세탁기
KR1020220038430A KR102628634B1 (ko) 2015-06-30 2022-03-28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124A KR102428265B1 (ko) 2015-06-30 2015-06-30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10494750B2 (ko)
KR (2) KR1024282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2656A1 (en) * 2011-08-15 2013-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Basket assembly with fluid vanes for a steam-augmente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729A (ko) 1993-10-22 1995-05-1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 방지장치
KR19980049713U (ko) 1996-12-30 1998-10-07 배순훈 세탁기의 밸런스웨이트구조
KR19990054037A (ko)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세탁기
KR19990066654A (ko) 1998-01-31 1999-08-16 윤종용 세탁기의 밸런서 조립체
KR100313644B1 (ko) 1999-02-18 2001-11-17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세탁포 이탈방지장치 및 운전방법
KR20040091265A (ko) * 2003-04-21 200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수 비산 방지장치
JP2006110065A (ja) 2004-10-14 2006-04-2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742991B1 (ko)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2012170686A (ja) 2011-02-23 2012-09-10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30080222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5784532B2 (ja) 2012-03-22 2015-09-2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101919793B1 (ko) 2012-09-24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4131592A (ja) 2012-12-07 2014-07-17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2656A1 (en) * 2011-08-15 2013-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Basket assembly with fluid vanes for a steam-augmente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5221A1 (en) 2024-02-01
US11905639B2 (en) 2024-02-20
US10494750B2 (en) 2019-12-03
US20170002491A1 (en) 2017-01-05
US20210002807A1 (en) 2021-01-07
KR102428265B1 (ko) 2022-08-03
US11814773B2 (en) 2023-11-14
KR20220045942A (ko) 2022-04-13
US11306425B2 (en) 2022-04-19
US20220259791A1 (en) 2022-08-18
US20220220656A1 (en) 2022-07-14
US11326296B2 (en) 2022-05-10
US20200095718A1 (en) 2020-03-26
KR20170003023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1125B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U2008203014B2 (en) Washing machine
KR20130080222A (ko) 세탁기
KR102295607B1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탁조의 제조방법
KR20060120934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790630B1 (ko) 드럼식 세탁기
JP6139161B2 (ja) 洗濯機
EP27251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KR102628634B1 (ko) 세탁기
US7428832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557404B1 (ko) 세탁기
JP437926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045379A (ja) 洗濯機
KR20190080070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747676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JP2014033888A (ja) 洗濯機
KR100845292B1 (ko) 세탁기
JP483091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718948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586309B1 (ko) 드럼세탁기
KR102429657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JP202309416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40065896A (ko) 세탁기
KR20050102921A (ko) 세탁기의 포 풀림 제어 방법
KR19980058980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