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03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037A
KR19990054037A KR1019970073768A KR19970073768A KR19990054037A KR 19990054037 A KR19990054037 A KR 19990054037A KR 1019970073768 A KR1019970073768 A KR 1019970073768A KR 19970073768 A KR19970073768 A KR 19970073768A KR 19990054037 A KR19990054037 A KR 1999005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laundry
tan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037A/ko
Publication of KR1999005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037A/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회전시에는 세탁조 중앙에 있는 세탁물을 측벽으로 유도하며 역회전시에는 측벽에 있는 세탁물을 세탁조 중앙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밸런스의 저면에 나선형 안내돌기를 마련하여 세탁물이 세탁조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세탁조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의 저면에 펄세이터의 정회전시에 세탁조 중앙측에 마련되는 세탁물을 세탁조의 내측벽으로 유도하며, 펄세이터의 역회전시에 세탁조 내측벽의 세탁물을 세탁조 중앙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포이탈방지수단이 마련하는 것으로 이 포이탈방지수단은 밸런스의 저면에 마련되는 안내면과 안내면에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이며, 이 안내면은 세탁조의 중심측 외경의 높이가 세탁조의 내측벽측 외경높이보다 낮게 마련되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구성으로서 세탁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물의 이탈로 발생되는 세탁물과 세탁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주어 세탁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밸런스의 저면에 세탁물을 측벽으로 유도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를 마련하여 세탁물이 세탁조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컨트롤부에 세탁, 헹굼 및 배수 그리고 탈수 등의 행정을 미리 마이컴에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이 마련된다. 이 하우징(10)은 방청 코팅된 금속판을 벤딩시켜 사각함체상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측에는 이를 덮는 상부커버(20)가 마련된다.
상부커버(2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이 상부커버(20)의 중앙에는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하여 세탁물을 입출시키는 뚜껑(21)이 힌지로서 결합되어있다. 그리고 상측 후방에는 급수관(22)이 설치되는데, 이 급수관(22)은 미도시된 급수호스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급수장치(24)로 공급하게 된다. 이 급수장치(24)는 하측에 마련되는 세제통(25)과의 사이에 연결관(23)으로 연통되어있어 급수관(22)으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세제통(25)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세제통(25)의 하측의 하우징(10)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11)가 마련된다.
수조(11)는 상측이 개구된 원형관의 형태로 마련되며, 하우징(10)의 내부상측의 네 곳과 수조(11)의 하부외측의 네 곳을 연결하는 현가장치(14)에 의해 하우징(10)에 매달려 설치된다. 이 현가장치(14)는 철선으로 마련된 현가봉(15)의 일단이 하우징(10)의 내부 모서리 네곳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에 수조(1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16)를 구비하여 수조(11)의 외측 네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1)의 하측에는 수조(11)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17)가 배수밸브(18)를 개재하여 하우징(1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세탁기의 작동시 급,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수조(11)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되어있으며 측면에 다수개의 탈수공이 마련된 원관상의 세탁조(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세탁조(12)의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형판상의 돌기가 상측으로 마련된 펄세이터(13)가 마련되고, 수조(11)와 세탁조(12)의 저부에는 정,역회전되는 모터(31)를 구비한 구동부(30)가 마련된다.
구동부(30)는 수조(1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구동력을 펄세이터(13)와 세탁조(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32), 그리고 모터(31)와 클러치(32)의 하측에 마련되어 모터(31)와 클러치(32)를 동력적으로 연결해주는 풀리(31a,32a)와 벨트(33)로서 이루어진다. 이 구동부(30)는 세탁행정시에 펄세이터(13)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12)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세탁조(12)의 상단에는 세탁조(12)가 회전되면서 세탁,헹굼,탈수등을 수행할 때 세탁조(12)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밸런스(50)가 설치된다. 이 밸런스(50)는 고리형태의 중공체로 그 내부에는 염수가 담겨진다. 이 밸런스(50)는 세탁조(12)의 고유진동수 이상으로 세탁조(12)가 회전되면 언밸런스(50)한 부위의 반대편으로 염수가 집중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세탁조(12)의 균형을 잡아주는것으로서 세탁조(1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을 세탁조(12)에 투입한 후, 전원을 인가하면 미도시된 마이컴에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세탁수는 외부의 수도전(미도시)으로부터 급수관(22)과 급수장치(24) 연결관(23)을 통해 연결관(23)의 하단에 설치된 세제통(25)으로 유입되어 세제통(25)에 마련된 세제를 함유하여 수조(11)내로 공급된다. 적정량의 세탁수가 공급되면,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1)가 펄세이터(13)를 정,역회전시켜 세탁물과 세탁물 및 세탁조(12)의 마찰과 세제의 세척력에 의하여 세탁을 수행하게되고, 세탁행정이 수행된 후 수조(11)의 세탁수를 배수호스(17)를 통하여 배출한 후 모터(31)가 세탁조(12)를 회전시켜 탈수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의 외부로 세탁물이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세이터가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이나 헹굼을 수행할 때 부력에 의하여 세탁물이 상승하는 경우와 흡수력이 저하되는 겨울옷이나 두꺼운 옷을 세탁조에 투입하여 세탁물이 세탁수에 쉽게 젖지않아 세탁수의 상측으로 부유하는 경우, 그리고 세탁조의 내부로 많은 양의 세탁물이 투입되었을 때 이와 같은 경우에 세탁물이 세탁조의 외부로 이탈되면서 세탁기의 다른 부분과 마찰되어 세탁물이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세탁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회전시에는 세탁조 중앙에 있는 세탁물을 측벽으로 유도하며 역회전시에는 측벽에 있는 세탁물을 세탁조 중앙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밸런스의 저면에 다수개의 나선형 안내돌기를 마련하여 세탁물이 세탁조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하우징 111:수조
112:세탁조 113:펄세이터
150:밸런스 170:안내면
171:안내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조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수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정,역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세탁조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를 가지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의 저면에는 상기 펄세이터의 정회전시에 상기 세탁조 중앙측에 마련되는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으로 유도하며, 상기 펄세이터의 역회전시에 상기 세탁조 내측벽의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 중앙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포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밸런스의 저면에 마련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에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이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세탁조의 중심측 외경의 높이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측 외경높이보다 낮게 마련되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이 하우징(110)은 방청 코팅된 금속판을 벤딩시켜 사각함체상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측에는 이를 덮는 상부커버(120)가 마련된다.
상부커버(12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이 상부커버(120)의 전면에는 세탁기의 동작을 조정하는 컨트롤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커버(120)의 중앙에는 하우징(110)의 내부를 개폐하여 세탁물을 입출시키는 뚜껑(121)이 힌지로서 결합되어있다. 그리고 상측 후방에는 급수관(122)이 설치되는데, 이 급수관(122)은 미도시된 급수호스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급수장치(124)로 공급하게 된다. 이 급수장치(124)는 하측에 마련되는 세제통(125)과의 사이에 연결관(123)으로 연통되어있어 급수관(122)으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세제통(125)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세제통(125)의 하측의 하우징(110)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111)가 마련된다.
수조(111)는 상측이 개구된 원형관의 형태로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상측의 네 곳과 수조(111)의 하부외측의 네 곳을 연결하는 현가장치(114)에 의해 하우징(110)에 매달려 설치된다. 이 현가장치(114)는 철선으로 마련된 현가봉(115)의 일단이 하우징(110)의 내부 모서리 네곳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에 수조(11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116)를 구비하여 수조(111)의 외측 네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11)의 하측에는 수조(111)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117)가 배수밸브(118)를 개재하여 하우징(11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세탁기의 작동시 급,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수조(111)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되어있으며 측면에 다수개의 탈수공이 마련된 원관상의 세탁조(1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세탁조(112)의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형판상의 돌기가 상측으로 마련된 펄세이터(113)가 마련되고, 수조(111)와 세탁조(112)의 저부에는 정,역회전되는 모터(131)를 구비한 구동부(13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정회전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역회전은 이와는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구동부(130)는 수조(11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131)와 모터(131)의 구동력을 펄세이터(113)와 세탁조(1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132), 그리고 모터(131)와 클러치(132)의 하측에 마련되어 모터(131)와 클러치(132)를 동력적으로 연결해주는 풀리(131a,132a)와 벨트(133)로서 이루어진다. 이 구동부(130)는 세탁행정시에 펄세이터(113)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112)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세탁조(112)의 상단에는 세탁조(112)가 회전되면서 세탁,헹굼,탈수등을 수행할 때 세탁조(112)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밸런스(150)가 설치된다. 이 밸런스(150)는 고리형태의 중공체로 그 내부에는 염수가 담겨진다. 이 밸런스(150)는 세탁조(112)의 고유진동수 이상으로 세탁조(112)가 회전되면 언밸런스(150)한 부위의 반대편으로 염수가 집중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세탁조(112)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밸런스(150)의 저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포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이 포이탈방지수단은 펄세이터(113)가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거나,세탁조(112) 및 펄세이터(113)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탈수를 수행할 때 세탁조(112)에 담긴 세탁물이 세탁조(112)의 상측으로 부상되어 세탁조(112)를 넘칠때와 흡수력이 저하되는 겨울옷이나 두꺼운 옷을 세탁조(112)에 투입하여 세탁물이 세탁수에 쉽게 젖지않아 세탁수의 상측으로 부유할 때 그리고 세탁조(112)의 내부로 많은 양의 세탁물이 투입되었을 때 세탁물이 세탁조(11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기위한 것이다.
포이탈방지수단은 밸런스(150)의 저면에 마련되어 펄세이터(113)의 시계방향인 정회전시에 세탁조(112) 중앙측에 마련되는 세탁물을 세탁조(112)의 내측벽으로 유도하며, 펄세이터(113)가 시계반대방향인 역회전시에는 세탁조(112) 내측벽의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112) 중앙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마련되는것으로서 밸런스(150)의 저면에 마련되는 안내면(170)과 이 안내면(170)에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171)로 마련된다.
안내면(170)은 세탁조(112)의 중심측으로는 낮게 마련되고, 세탁조(112)의 내측벽측으로 높게 마련되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 안내면(17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나선형의 안내돌기(171)는 정회전시에 중심측의 세탁물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시작측에서 외측끝지점으로 정회전방향으로 나선을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을 세탁조(112)에 투입한 후, 전원을 인가하면 미도시된 마이컴에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세탁수는 외부의 수도전(미도시)으로부터 급수관(122)과 급수장치(124) 그리고 연결관(123)을 통해 연결관(123)의 하단에 설치된 세제통(125)으로 유입되어 세제통(125)에 마련된 세제를 함유하여 수조(111)내로 공급되면서 세탁조(112)의 내부에 마련된 세탁물의 상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세탁물은 상측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젖게되어 하측으로 가라앉게되고, 흡수성이 작은 세탁물은 상측으로 부유하게 된다. 수조(111)에 세탁수의 공급이 끝나면 세탁행정에 들어가게 된다. 세탁행정은 펄세이터(113)의 정,역회전으로 세탁물과 세탁물 및 세탁조(112)의 마찰과 세제의 세척력에 의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것으로, 펄세이터(113)의 정회전시 세탁조(112)의 중앙측에 부유하는 세탁물은 포이탈방지수단의 안내돌기(171)에 의해 세탁조(112)의 외측으로 유도되고, 역회전시에는 세탁조(112)의 외측에 마련된 세탁물이 안내면(170)을 따라 세탁조(112)의 중앙 하측으로 이동되어 세탁물이 세탁조(112)의 중앙측에서 외불 이탈되는 것이 방진된다. 그리고 세탁행정이 수행된 후 수조(111)의 세탁수를 배수호스(117)를 통하여 배출한 후 모터(131)가 세탁조(112)를 회전시켜 탈수를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밸런스의 저면에 포이탈방지수단을 마련하여 정회전시에 세탁기의 중앙에서 외부로 이탈되려는 세탁물을 외측벽면으로 유도하고, 역회전시에 외측벽면의 세탁물을 중앙 하측으로 유도하여 세탁물이 세탁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것으로서 세탁물의 이탈로 발생되는 세탁물의 손상과 세탁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주게된다. 이로써 세탁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수조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수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정,역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세탁조의 균형을 잡아주는 밸런스를 가지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의 저면에는 상기 펄세이터의 정회전시에 상기 세탁조 중앙측에 마련되는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으로 유도하며, 상기 펄세이터의 역회전시에 상기 세탁조 내측벽의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 중앙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포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밸런스의 저면에 마련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에 나선형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이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세탁조의 중심측 외경의 높이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측 외경높이보다 낮게 마련되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70073768A 1997-12-24 1997-12-24 세탁기 KR19990054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768A KR19990054037A (ko) 1997-12-24 1997-12-24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768A KR19990054037A (ko) 1997-12-24 1997-12-24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037A true KR19990054037A (ko) 1999-07-15

Family

ID=6609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768A KR19990054037A (ko) 1997-12-24 1997-12-24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4750B2 (en) 2015-06-30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4750B2 (en) 2015-06-30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306425B2 (en) 2015-06-30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326296B2 (en) 2015-06-30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814773B2 (en) 2015-06-30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905639B2 (en) 2015-06-30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2575A (en) Basket overflow for water recirculating clothes washing machine
KR19990054037A (ko) 세탁기
KR100353029B1 (ko) 세탁기
KR100353030B1 (ko) 세탁기
KR19990054039A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JPS61181495A (ja) 一槽式遠心脱水洗濯機
KR200219257Y1 (ko) 2 조식 세탁기의 탈수 안전 커버 장치
KR0183340B1 (ko) 세탁기의 섬유 유연제 자동 투입장치
KR20010010616A (ko) 샤워급수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세탁기 급수장치
KR101032553B1 (ko) 세탁조가 상하로 왕복하는 전자동세탁기
JP2649104B2 (ja) 洗濯機
JP2003000994A (ja) 洗濯機
JPS5818875Y2 (ja) 二槽式洗濯機
JPH105490A (ja) 洗濯機用ふろ水吸水ポンプ装置
JPH05111596A (ja) 洗濯機
KR100479094B1 (ko) 세탁기
KR19980015953U (ko) 전자동 세탁기의 섬유 유연제 자동 투입장치
JPS6255437B2 (ko)
KR19990056858A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JPS5844096A (ja) 洗濯機
KR100458113B1 (ko) 세탁기의 세탁조 구조
JP2022050758A (ja) 洗濯機
KR200204606Y1 (ko) 드럼형 세탁기
KR20014113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자동 투입장치
KR19990085747A (ko) 세탁기의 내조구멍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