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606Y1 - 드럼형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형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606Y1
KR200204606Y1 KR2019980014115U KR19980014115U KR200204606Y1 KR 200204606 Y1 KR200204606 Y1 KR 200204606Y1 KR 2019980014115 U KR2019980014115 U KR 2019980014115U KR 19980014115 U KR19980014115 U KR 19980014115U KR 200204606 Y1 KR200204606 Y1 KR 200204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ub
casing
detergen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805U (ko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6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영역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에어관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내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터브내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관을 갖는 드럼형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터브내부의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터브내에 세탁수가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드럼형 세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럼형 세탁기
본 고안은 드럼형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터브내부의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세탁수가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드럼형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드럼형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트레이하우징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상향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전면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전면개구(103)가 형성된 케이싱(101)과, 케이싱(101)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톱커버(105)와, 케이싱(101)의 전면개구(103)를 회동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도어(107)를 가진다.
케이싱(101)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드럼형상을 가지는 터브(115)가 복수의 스프링부재(117) 및 완충기(1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터브(115)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스핀바스켓(119)가 설치되어 있다. 스핀바스켓(119)의 개구대향측에는 회전축(123)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23)은 터브(115)의 단부면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부에는 피동풀리(125)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115)의 하측에는 구동모터(127)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27)에는 구동풀리(129)가 마련되어 있다. 피동풀리(125)와 구동풀리(129)는 상호 벨트(1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01)의 전면상부영역에는 세제트레이(109)를 수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하우징(110)이 마련되어 있으며, 트레이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세탁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버튼(113)이 마련된 조작부(111)가 결합되어 있다. 조작부(111)영역에는 터브(115)의 하측에 연결되어 터브(115)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압력값으로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1)의 후벽에는 외부로부터의 급수관이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부(114)에는 급수밸브(116)가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하우징(110)에는 세제트레이(109)의 수용공간(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세탁수를 일시 수용하는 집수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집수부(143)의 하부영역에는 일단이 터브(115)에 연결되어 집수부(143)로부터의 세탁수 및 세제를 터브(115)내로 안내하는 안내관(145)이 결합되어 있다.
트레이하우징(110)의 상부영역에는 세제트레이(109)의 세제수용영역에 대응하여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부(147)가 마련되어 있다. 분사부(147)에는 일단이 급수밸브(116)의 유출측에 연결된 공급관(149)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트레이하우징(110)의 상부영역에는 분사부(147)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세제트레이(109)의 수용공간(141)과 상호 연통되는 공동구(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구(151)에는 터브(115)와 상호 연통되도록 에어관(153)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핀바스켓(119)내에 세탁물이 수용되고 세탁코스가 선택되면, 도시 않은 제어부는 터브(115)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급수밸브(116)를 제어한다.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소정의 세탁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급수밸브(116)를 제어하여 세탁수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드럼형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제트레이(109)가 트레이하우징(110)내에 수용되고 급수가 개시되면, 접속부(114)로부터 터브(115)를 연결하는 공간은 외부에 대해 거의 밀폐상태가 된다. 세제트레이(109)의 수용공간과 터브(115)내를 연통되도록 에어관(153)으로 연결하고 있으나, 세제트레이(109)가 트레이하우징(110)내에 수용되면 세제트레이(109)에 의해 수용공간(141)이 외부에 대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터브(115)내에 세탁수가 공급되면서 스핀바스켓(119)이 구동되면 세탁물 및 세탁수의 유동에 의하여 터브(115)내의 압력값이 상승하게 된다. 그럴 경우,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상승된 압력값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세탁수가 적절히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세탁수의 공급을 조기에 중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탁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어 세탁이 미흡하게 될 뿐만 아니라, 헹굼시 세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세탁물에 잔류하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브내부의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터브내에 세탁수가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드럼형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세탁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하우징영역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드럼형 세탁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5의 트레이하우징의 확대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9 : 세제트레이
10 : 트레이하우징 15 : 터브
19 : 스핀바스켓 41 : 수용공간
43 : 집수부 45 : 안내관
47 : 분사부 49 : 공급관
51 : 공동구 52 : 관통공
53 : 에어관 55 : 연통부
57 : 연통공 59 : 개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영역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에어관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내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터브내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관을 갖는 드럼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통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트레이하우징영역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상향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전면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전면개구(3)가 형성된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톱커버(5)와, 케이싱(1)의 전면개구(3)를 회동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도어(7)를 가진다.
케이싱(1)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드럼형상을 가지는 터브(15)가 복수의 스프링부재(17) 및 완충기(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터브(15)내에는 케이싱(1)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23)을 가지며,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스핀바스켓(19)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핀바스켓(19)에는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2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스핀바스켓(19)의 개구대향측에는 회전축(23)이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23)은 터브(15)를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노출측 단부에는 피동풀리(25)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15)의 하측영역에는 스핀바스켓(19)의 정역구동을 위한 구동모터(27)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29)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풀리(29)와 피동풀리(25)는 상호 벨트(31)에 의해 동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의 전면상부영역에는 세제트레이(9)를 수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하우징(1)이 마련되어 있으며, 트레이하우징(1)의 일측에는 세탁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버튼(13)이 마련된 조작부(11)가 결합되어 있다. 케이싱(1)의 후벽에는 외부로부터의 냉온수관이 각각 접속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부(14)에는 급수밸브(16)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의 내측 조작부(11)의 하측에는 터브(15)의 하측에 연결되어 터브(15)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감지센서는 터브(15)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압력값으로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트레이하우징(10)에는 세제트레이(9)가 케이싱(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세제트레이(9)의 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하우징(10)의 하부영역에는 세제트레이(9)로부터 세제와 함께 낙하하는 세탁수를 일시 수용하는 집수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집수부(43)의 하부영역에는 일단이 터브(15)에 연결되어 집수부(43)로부터의 세탁수 및 세제를 터브(15)내로 안내하는 안내관(45)이 결합되어 있다.
세제트레이(9)에는 세제를 분리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세제수용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이하우징(10)에는 하향개구된 복수의 분사공(미도시)을 가지고 해당 세제수용부(46)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부(47)가 마련되어 있다. 각 분사부(47)에는 급수밸브(16)의 유출측에 연결된 공급관(49)이 결합되어 있다.
분사부(47)사이영역에는 분사부(47)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저면에 다수의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수용공간(41)과 상호 연통된 공동구(51)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구(51)는 에어관(53)에 의해 터브(15)와 상호 연통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하우징(10)의 전방상부영역에는 수용공간(41)과 상호 연통되며 분사부(47)와 소정 이격되도록 연통부(5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연통부(55)에는 수용공간(41)과 상호 연통되도록 저면에는 하향개구된 다수의 연통공(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구(5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핀바스켓(19)내에 세탁물이 수용되고 세탁코스가 선택되면, 도시 않은 제어부는 터브(15)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급수밸브(16)를 제어한다. 세탁코스에 따라 해당 급수밸브(16)가 유로를 개방하게 되면 세탁수는 해당 공급관(49)을 따라 분사부(47)로 유입된다. 분사부(47)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하향개구된 다수의 분사공을 통하여 세제트레이(9)의 해당 세제수용부(46)로 분사된다.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집수부(43) 및 안내관(45)을 통하여 터브(15)내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세제트레이(9)가 수용된 수용공간(41)은 종래와는 달리, 연통부(55)에 의해 트레이하우징(10)의 외부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터브(15)의 내부공간은 수용공간(41)과 상호 연통된 공동구(51) 및 에어관(53)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핀바스켓(19)이 구동되어도 내부압력이 상승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내부압력상승에 기인한 세탁수의 조기공급중지로 세탁수가 부족하게 될 우려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터브내부의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터브내에 세탁수가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드럼형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2)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영역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에어관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내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터브내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관을 갖는 드럼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가로방향을 따라 연통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세탁기.
KR2019980014115U 1998-07-29 1998-07-29 드럼형 세탁기 KR200204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5U KR200204606Y1 (ko) 1998-07-29 1998-07-29 드럼형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5U KR200204606Y1 (ko) 1998-07-29 1998-07-29 드럼형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05U KR20000003805U (ko) 2000-02-25
KR200204606Y1 true KR200204606Y1 (ko) 2000-12-01

Family

ID=1953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15U KR200204606Y1 (ko) 1998-07-29 1998-07-29 드럼형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6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05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4750B1 (en) Steam jet drum washing machine
US6167733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pump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KR1014559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0785555B1 (ko) 드럼식 세탁기
KR2018005783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606333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7307067A (ja) 洗濯乾燥機
KR20180136141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US732221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204606Y1 (ko) 드럼형 세탁기
JP200805482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830447B1 (ko) 세탁기에 있어서의 첨가제 투입 구조
KR101133616B1 (ko) 세탁기
KR100685958B1 (ko) 원심투과 세탁기
KR100415995B1 (ko) 세탁기
KR200204613Y1 (ko) 드럼형 세탁기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6147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20298695A1 (en) 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235746Y1 (ko) 세탁기
KR20000002183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JPH11300075A (ja) 脱水槽を用いて洗濯物を洗濯できる洗濯機
KR101037152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479094B1 (ko) 세탁기
KR100458113B1 (ko) 세탁기의 세탁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