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473B1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473B1
KR102461473B1 KR1020200176782A KR20200176782A KR102461473B1 KR 102461473 B1 KR102461473 B1 KR 102461473B1 KR 1020200176782 A KR1020200176782 A KR 1020200176782A KR 20200176782 A KR20200176782 A KR 20200176782A KR 102461473 B1 KR102461473 B1 KR 10246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rain
rpm
circulation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382A (ko
Inventor
반석현
표준호
원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4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유로 변환 펌프를 배수모드로 구동하였음에도 터브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순환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두 개 이상의 수류를 형성 가능한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세탁기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라고 한다.
드럼 세탁기의 세탁 과정에는 드럼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모드와, 세탁이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순환모드와 배수모드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순환펌프와 배수펌프가 각각 구비되게 된다. 종래에는 순환모드과 배수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를 별도의 모터를 통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복수개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6066호에는 하나의 모터와 두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두 개의 펌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렵고, 유로의 전환 방향이 급격하여(예: 직각 내지는 예각) 유동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다이어프램이 충분히 탄성변형되지 않는 경우 어느 일측 유로의 차단이 미흡하여 원치 않는 유로를 향해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에 힘을 가하여 지속적인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바, 다이어프램의 파손 또는 이탈되는 위험성을 내포할 수 있다.
한편, 터브 내지 드럼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신호를 송출하더라도, 배수펌프의 내부에 공기 또는 이물질이 발생하여 배수호스까지 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아 상기 배수펌프가 구동됨에도 상기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강제적인 재급수를 수행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내부를 세탁수로 채우거나, 혹은 상기 배수펌프를 분해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만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배수불능 해결방법은 방법적인 해결방법이 아닌 기계적인 해결방법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지 못하고 전문가를 통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세탁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배수모드로 구동하였음에도 터브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일단이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수호스, 일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며 상기 터브로 물 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가 형성된 순환호스,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며 상기 배수호스의 타단과 상기 순환호스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수호스 또는 상기 순환호스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변환 펌프, 및 상기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외부와 연통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였음에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2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모터의 RPM(revolution per minuite)이 특정 RP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이 상기 특정 RP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이 상기 특정 RP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2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1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더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상기 배수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터브의 수위가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상기 배수모드로 구동함에도 상기 터브의 수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유로 변환 펌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유로 변환 펌프 내부로 공급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2초보다 크고 5초보다 작은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수용하고, 내부에 임펠러를 내장하며,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 회전의 접선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제2하우징 유출구를 포함하는 는 임펠러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로 차단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절환기; 및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차단부는 상기 유로 절환기의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구분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순환모드와 배수모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모드는, 상기 유로 차단부를 통해 상기 배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순환호스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일 수 있고, 상기 배수모드는, 상기 유로 차단부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수호스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일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드는 상기 임펠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로 차단부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에 따라 구동될 수 있고, 상기 배수모드는 상기 임펠러가 상기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로 차단부가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모터로 의해 구동되며 두 개의 펌프 역할을 수행 가능한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터브로 세탁수를 순환하는 순환모드와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내부에 공기 또는 이물질이 발생하여 세탁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배수불능 판단단계 및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상기 순환모드로 구동하는 배수불능 해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적인 재급수를 수행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내부를 세탁수로 채우거나, 혹은 상기 배수펌프를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문가를 통해서만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배수불능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의 내부에 구비된 유로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에 따른 배수불능의 해결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1), 캐비닛(11)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 캐비닛(11)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드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21)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의 하부에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고 캐비닛(1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저장용기(미도시), 드럼(21)을 지지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미도시)와 댐퍼(미도시), 드럼(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의 하부에는 세제 투입구를 가리기 위한 세제 투입구 커버(13)와 캐비닛(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그(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100)는 의류처리장치(1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브(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유로 변환 펌프(100)는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거나, 혹은 터브(20)의 물을 인출하여 터브(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유로 변환 펌프(100)는 하나의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세탁수를 제1하우징 유출구(121, 도 6 참조), 제1유입구(131, 도 6 참조) 및 제1유출구(133, 도 6 참조)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드를 수행하거나, 세탁수를 제2하우징 유출구(122, 도 6 참조), 제2유입구(132, 도 6 참조) 및 제2유출구(134, 도 6 참조)를 거쳐 터브(20)로 이동시키는 순환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1유출구(133)와 외부는 배수호스(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유출구(134)와 터브(20)는 순환호스(13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 유출구(121), 제1유입구(131), 제1유출구(133) 및 배수호스(135)는 함께 배수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하우징 유출구(122), 제2유입구(132), 제2유출구(134) 및 순환호스(136)는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수호스(135)는 일단이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타단이 유로 변환 펌프(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터브(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순환호스(136) 일단이 터브(2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유로 변환 펌프(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펌프 내부의 물을 터브(2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호스(135)의 타단과 상기 순환호스(136)의 타단은 유로 변환 펌프(1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수호스(135)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외부 또는 드럼과 연통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호스(135)의 일부, 예를 들어, 캐비닛(11)에 거치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들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호스(136)의 타단은 터브(20) 내지 드럼(21)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의 내부에 구비된 유로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100)는 유입관(110), 임펠러 하우징(120), 유로 절환기(130), 유로 차단부(140) 및 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110)은 터브(20)로 재순환 시키기 위한 물 또는 세탁이 완료되어 배수될 물을 임펠러 하우징(120)으로 전달하거나 저장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유입관(110)으로 공급되는 물을 통칭하여 세탁수로 지칭하기로 한다.
유입관(110)은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측은 터브(20) 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타측은 개폐 가능한 마개(111)로 폐쇄될 수 있다.
마개(11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마개(111)를 제거하여 유입관(110)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거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유입관(110)의 외주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임펠러 하우징(120)과 연통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120)으로 연결되기 위한 홀이 유입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세탁수의 유입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탁수와 함께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 직접적으로 임펠러(125, 도 6 참조)에 유입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수의 유입경로에 변화를 줌으로써, 세탁수의 유동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 중에 중량이 있어 임펠러(125)에 심각한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이물질은 마개(111)측으로 이동하고 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적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120)은 유입관(110) 외주면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며, 상기 홀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120)에는 모터(150)와 연결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5)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125)는 모터(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임펠러(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유로 변환 펌프(100) 내에서 세탁수의 흐름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모터(150)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배수 과정에서는 고속으로 작동시켜 빠르게 물을 배출하고, 순환 과정에서는 배수 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작동시켜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과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유로 절환기(130)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 차단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 차단부(140)는 유로 절환기(130)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6(a)는 세탁수를 순환호스(136)로 이동시켜 터브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세탁수를 배수호스(135)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상기 순환모드에 의해 형성된 순환유로와 상기 배수모드에 의해 형성된 배수유로의 이동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임펠러 하우징(120)은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는 임펠러(125)의 회전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임펠러(1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접선방향에 대해 제1하우징 유출구(121)가 나란하게 형성된다면, 임펠러(1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접선방향에 대해 제2하우징 유출구(123)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가 임펠러(125)의 회전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임펠러(125)에 의해 발생된 세탁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후술할 유로 절환기(130)와의 연결 및 세탁수의 유입이 용이해지고 유로 절환기(13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유로 절환기(130)는 제1유입구(131), 제2유입구(132), 제1유출구(133) 및 제2유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입구(131)는 제1하우징 유출구(121)와 연통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제2유입구(132)는 제2하우징 유출구(122)와 연통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유입구(133) 및 제2유입구(134)는 제1하우징 유출구(1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12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임펠러(125)에 의해 발생된 수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제1유입구(131)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유로 절환기(130)의 내부공간을 거쳐 제1유출구(133)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1유출구(133)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는 배수호스(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우징 유출구(121), 제1유입구(131), 제1유출구(133) 및 배수호스(135)로 이어지는 유로를 배수유로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유입구(13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유로 절환기(130)의 내부공간을 거쳐 제2유출구(134)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2유출구(135)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는 순환호스(136)를 통해 터브(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 유출구(122), 제2유입구(132), 제2유출구(134) 및 순환호스(136)로 이어지는 유로를 순환유로라 정의할 수 있다.
유로 차단부(140)는 제1유입구(131)와 상기 제2유입구(132)를 구분하고, 제1유출구(133)와 제2유출구(134)를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절환기(130)의 내부공간은 유로 차단부(140)에 의해 구분되어 제1유입구(131)로 유입된 세탁수와 제2유입구(132)로 유입된 세탁수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유출구(133)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와 제2유출구(134)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유입구(131)가 개방되는 경우 제2유입구(132)는 차단될 수 있으며, 제2유입구(132)가 개방되는 경우 제1유입구(131)는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차단부(140)는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125)의 회전방향에 따라 두 개의 유로에 각각 다른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수를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모터(150)로 두 개의 펌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수를 제1유출구(133)를 통해 배수호스(135)로 이동시키면 배수펌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세탁수를 제2유출구(134)를 통해 순환호스(136)로 이동시키면 순환펌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로 차단부(140)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로 차단부(140)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일 측면이 돌출되고 타 측면이 만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차단부(140)는 상기 중심부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돌출방향이 180° 전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환유로 측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 차단부(140)의 중심부는 상기 배수유로 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유로 절환기(130)의 일 내측벽과 맞닿아 상기 배수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배수유로 측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 차단부(140)의 중심부는 상기 순환유로 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유로 절환기(130)의 타 내측벽과 맞닿아 상기 순환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로 임펠러(125)의 회전방향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10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임펠러(125)는 모터(15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제1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차단부(140)는 상기 임펠러(12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배수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유로 차단부(140)는 유로 절환기(130) 내에서 제1유입구(131)와 제1유출구(133)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 차단부(140)를 통해 상기 배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순환호스(136)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변환 펌프(100)의 구동을 순환모드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임펠러(125)는 모터(15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제2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차단부(140)는 상기 임펠러(12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유로 차단부(140)는 유로 절환기(130) 내에서 제2유입구(132)와 제2유출구(134)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 차단부(140)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배수호스(135)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변환 펌프(100)의 구동을 배수모드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임펠러(125)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세탁수가 제2유출구(134)로 배출되어 순환호스(136)로 유입될 수 있으며, 임펠러(125)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세탁수가 제1유출구(133)로 배출되어 배수호스(135)로 유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이동 방향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이동 방향은 서로 나란하다가 수직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유입구(131)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1유출구(133)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이 수직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유입구(131)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1유출구(133)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이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출구(133)로 배출된 세탁수의 이동방향과 제2유출구(134)로 배출된 세탁수의 이동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100)는 임펠러(1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순환모드와 상기 배수모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모터(150)로 두 개의 펌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에 따른 배수불능의 해결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터브(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 및 모터(150)의 RPM을 측정하는 모터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센서부(50), 드럼을 회전시키는 상기 드럼 구동부와 유로 변환 펌프(100)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부(70), 및 센서부(50)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유로 변환 펌프(100)를 구동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는 배수단계(S100),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 및 유로 변환 펌프(100)를 구동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하는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단계(S100),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 및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에서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배수단계(S100) 이후에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를 수행하지 않고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배수불능이 일어났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배수불능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는 모터(150)의 RPM(revolution per minuite)이 특정 RP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모터(150)의 RPM이 상기 특정 RP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50)의 RPM이 상기 특정 RP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불능이 일어난 상태는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와 배수유로(135) 사이에 공기나 이물질이 발생하여, 임펠러(125)가 회전함에도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배수유로(135)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배수불능이 일어난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때,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에 물보다 가벼운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있게 되므로,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가 오직 물로만 가득찬 상태에 비해, 제어부(60)를 통해 구동부(70)를 구동한 상태에서 배수불능이 발생한 상태에서는 모터(150)의 RPM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150)의 급격한 RPM 상승을 센서부(50)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0)에 배수불능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에서, 모터(150)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2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50)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에서, 모터(150)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1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50)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는 유로 변환 펌프(100)를 상기 배수모드로 구동했을 때 터브(20)의 수위가 감소했는지 여부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유로 변환 펌프(100)를 상기 배수모드로 구동하여 터브(20)의 수위가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유로 변환 펌프(100)를 상기 배수모드로 구동함에도 터브(20)의 수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배수불능이 발생한 상태에서 유로 변환 펌프(100)를 구동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하는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가 수행되는 경우,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의 공기가 순환호스(136)를 통해 터브(2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유로 변환 펌프(100)가 상기 순환모드로 구동될 때 터브(2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터브(2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로 공급되는 잔수 공급단계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잔수 공급단계는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배수단계(S100), 배수불능 판단단계(S110), 배수불능 해결단계(S120) 및 상기 잔수 공급단계가 완료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불능이 해결되어 유로 변환 펌프(100) 내부와 배수유로(135) 사이에 물이 연속적으로 차있는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모터로 의해 구동되며 두 개의 펌프 역할을 수행 가능한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터브로 세탁수를 순환하는 순환모드와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내부에 공기 또는 이물질이 발생하여 세탁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배수불능 판단단계 및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상기 순환모드로 구동하는 배수불능 해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적인 재급수를 수행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내부를 세탁수로 채우거나, 혹은 상기 배수펌프를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불능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문가를 통해서만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배수불능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의류처리장치 11: 캐비닛
12: 도어 13: 세제 투입구 커버
14: 레그 20: 터브
21: 드럼 22: 분사노즐
50: 센서부 60: 제어부
70: 구동부 100: 유로 변환 펌프
110: 유입관 120: 임펠러 하우징
130: 유로 절환기 140: 유로 차단부
150: 모터

Claims (13)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일단이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수호스, 일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며 상기 터브로 물 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가 형성된 순환호스,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며 상기 배수호스의 타단과 상기 순환호스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배수호스 또는 상기 순환호스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변환 펌프, 및 상기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외부와 연통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로 차단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였음에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 배수불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유로 변환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모터의 RPM(revolution per minuite)이 특정 RP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이 상기 특정 RP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이 상기 특정 RP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2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2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RPM과 기설정된 기준 RPM의 차가 1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RPM과 상기 기준 RPM의 차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불능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유로 변환 펌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유로 변환 펌프 내부로 공급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2초보다 크고 5초보다 작은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수용하고, 내부에 임펠러를 내장하며,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 회전의 접선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제2하우징 유출구를 포함하는 는 임펠러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로 차단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절환기; 및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로 차단부는 상기 유로 절환기의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구분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순환모드와 배수모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순환모드는, 상기 유로 차단부를 통해 상기 배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순환호스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이고, 그리고
    상기 배수모드는, 상기 유로 차단부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를 차폐하고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수호스로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로 변환 펌프의 구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드는 상기 임펠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로 차단부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에 따라 구동되고, 그리고
    상기 배수모드는 상기 임펠러가 상기 일 방향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로 차단부가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76782A 2020-12-16 2020-12-1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6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82A KR102461473B1 (ko) 2020-12-16 2020-12-1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82A KR102461473B1 (ko) 2020-12-16 2020-12-1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82A KR20220086382A (ko) 2022-06-23
KR102461473B1 true KR102461473B1 (ko) 2022-11-01

Family

ID=8222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82A KR102461473B1 (ko) 2020-12-16 2020-12-16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4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32B1 (ko) * 2015-12-02 2017-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234B1 (ko) * 1996-04-29 1999-05-01 배순훈 세탁기의 배수펌프 이물질분산방법
KR101466335B1 (ko) * 2008-03-14 2014-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544919B1 (ko) * 2018-04-06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32B1 (ko) * 2015-12-02 2017-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82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442B2 (en) Washing machine
KR20060023016A (ko) 세탁기
EP1751343A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101192343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AU2020223652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945392B (zh) 排水泵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KR10246147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63479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166200B1 (ko) 세탁기의 헹굼 행정 제어 방법
CN117203388A (zh) 衣物处理装置
CN117120683A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298695A1 (en) 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70117388A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249315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50080476A (ko)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598000B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KR20050080477A (ko)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100479094B1 (ko) 세탁기
KR200358900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