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616B1 -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 Google Patents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16B1
KR102627616B1 KR1020220002344A KR20220002344A KR102627616B1 KR 102627616 B1 KR102627616 B1 KR 102627616B1 KR 1020220002344 A KR1020220002344 A KR 1020220002344A KR 20220002344 A KR20220002344 A KR 20220002344A KR 102627616 B1 KR102627616 B1 KR 10262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back frame
protrusion
construction
power rec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444A (ko
Inventor
임성일
곽해동
윤철환
이원영
황준식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1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를 제공한다.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는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2개의 베이스 브라켓들, 상기 베이스 브라켓들 각각과 연결되는 리클라이너들, 상기 리클라이너들 각각과 연결되고 시트백 프레임과 연결되는 암 브라켓들, 상기 리클라이너들을 연결하는 커넥트 로드, 상기 커넥트 로드 상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트 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암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돌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Power Recliner Structure}
본 발명은 시트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시트백의 하중을 상쇄할 수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등받이 각도의 조절 및 시트의 완전 폴딩을 수행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에 장착되는 시트의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해 프레임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브라켓들, 브라켓들을 연결하는 커넥트 로드 및 복수의 모터들이 시트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닝을 수행하는 경우 시트백이 움직이는 속도 및 구동력 등의 성능은 모터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시트의 하중에 의해 폴딩시와 언폴딩 시의 성능 차이가 발생하며 리클라이닝 동작의 품질 및 시트 전체의 성능을 저하될 수 이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개의 모터를 시트에 적용하거나 고사양 모터를 개발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나, 여전히 시트의 리클라이닝 성능을 모터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모터 및 고사양 모터가 시트에 적용됨에 따라 시트 전체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시트백의 하중을 상쇄할 수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폴딩 시 시트백의 폴딩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의 언폴딩 시 시트백의 폴딩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를 제공한다.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는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2개의 베이스 브라켓들, 상기 베이스 브라켓들 각각과 연결되는 리클라이너들, 상기 리클라이너들 각각과 연결되고 시트백 프레임과 연결되는 암 브라켓들, 상기 리클라이너들을 연결하는 커넥트 로드, 상기 커넥트 로드 상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트 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암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돌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의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는 접촉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상기 기설정된 각도까지 언폴딩될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상기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떨어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기 전까지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는 상기 커넥트 로드가 관통되는 홀이 정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 원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거치부는 상기 암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 브라켓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스프링 거치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 부분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서 다른 베이스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서 상기 커넥트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 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리클라이너는 상기 암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 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리클라이너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는 1개의 모터와 1개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은 모터의 회전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에 모터가 1개만 적용됨에 따라, 시트의 원가 절감과 중량 절감의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 프레임이 완전히 폴딩되는 경우에 스프링은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스프링의 탄성력이 보완할 수 있다. 즉, 스프링의 탄성력이 시트백의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어 시트백의 폴딩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되는 경우에 스프링은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시트백 프레임의 언폴딩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거치부 및 스프링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일부 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완전 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언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시트(1)는 쿠션 프레임(10), 시트백 프레임(20) 및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는 1개의 모터를 사용하면서 모터의 출력이 부족한 부분을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백 프레임(20)은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와 연결되면서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쿠션 프레임(10)은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와 연결되면서 탑승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통칭할 수 있다.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는 시트백 프레임(10)의 폴딩 및 언폴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는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 리클라이너들(120a, 120b), 암 브라켓들(130a, 130b), 커넥트 로드(140), 모터(150), 스프링 거치부(160) 및 스프링(17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는 1개의 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고, 시트백 프레임(20)의 폴딩 및 언폴딩 수행 시에 시트백 프레임(20)의 하중을 상쇄할 수 있는 스프링(1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은 쿠션 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은 쿠션 프레임(1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쿠션 프레임(10)의 양측은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쿠션 프레임(10)의 양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은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과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리클라이너들(120a, 120b) 각각은 2개의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의 일부는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에 고정될 수 있고,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은 암 브라켓들(130a, 130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암 브라켓들(130a, 130b)은 리클라이너들(120a, 120b)과 연결될 수 있다. 암 브라켓들(130a, 130b)은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의 일부와 고정될 수 있다. 2개의 암 브라켓들(130a, 130b)은 시트백 프레임(20)의 양측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의 양측은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트백 프레임(20)의 양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은 베이스 브라켓들(110a, 110b)과 암 브라켓들(130a, 1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이 회전되면 암 브라켓들(130a, 130b)이 회전될 수 있고, 암 브라켓들(130a, 130b)이 회전되면 시트백 프레임(20)이 회전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40)는 리클라이너들(120a, 120b)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40)는 시트(1)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리클라이너들(120a, 120b)과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40)가 회전되면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이 회전될 수 있다.
모터(150)는 커넥트 로드(140) 상에 연결되어 커넥트 로드(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50)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에 1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50)는 커넥트 로드(140) 상에서 2개의 암 브라켓들(130a, 130b)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암 브라켓들(130a, 130b)이 회전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160)는 상에서 2개의 암 브라켓들(130a, 130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150)는 스프링 거치부(160)와 연결되지 않는 암 브라켓(130a 또는 130b)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160)는 않는 암 브라켓(130a 또는 130b)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170)은 스프링 거치부(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70)은 스프링 거치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70)은 스프링 거치부(160) 상에 원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170)은 암 브라켓(130a 또는 130b)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는 1개의 모터(150)와 1개의 스프링(17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0)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스프링(170)의 탄성력은 모터(150)의 회전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100)에 모터(150)가 1개만 적용됨에 따라, 시트(1)의 원가 절감과 중량 절감의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거치부 및 스프링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브라켓(110a)은 돌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5)는 베이스 브라켓(110a) 상에서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15)는 돌출부(115)가 배치되는 베이스 브라켓(110a)에서 다른 베이스 브라켓(110b)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5)는 베이스 브라켓(110a) 상에 형성된 핀일 수 있다. 돌출부(115)는 시트(1)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스프링(170) 및 스프링 거치부(16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15)는 리클라이너들(120a, 120b)이 베이스 브라켓(110a)에 연결되는 부분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160)는 암 브라켓(130a)과 연결되고,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170)은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스프링 거치부(16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70)은 베이스 브라켓(110a)에서 커넥트 로트(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스프링 거치부(160)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115)는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거치부(160)와 유사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115)는 커넥트 로드(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70) 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160)에는 커넥트 로드(140)가 삽입되는 홀(165)이 정의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50)는 홀(165)을 관통하여 리클라이너들(120a, 120b)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트 로드(150)의 회전력이 리클라이너들(120a, 120b)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160) 및 스프링(170)은 암 브라켓(130a)을 기준으로 리클라이너(120a)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70)은 연장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70)의 일단인 연장부(175)는 스프링 거치부(160)를 기준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연장부(175)는 시트(1)가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 연장될 수 있고, 베이스 프라켓(110a)에 형성된 돌출부(115)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트 로드(14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170), 스프링 거치부(160), 리클라이너(120a, 120b) 및 암 브라켓(130a, 130b)이 회전될 수 있고, 스프링(170)의 회전에 의해 연장부(175)는 돌출부(115)와 접촉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부(175)는 베이스 브라켓(110a)에 배치된 돌출부(115)와 접촉하여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암 브라켓(130a)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장부(175)는 베이스 브라켓(110a)에 배치된 돌출부(115)와 접촉하여 시트백 프레임(20)이 폴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암 브라켓(130a)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일부 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트백 프레임(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시트백의 무게 중심은 제1 무게 중심(C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시트백 프레임(2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시트백의 무게 중심은 제2 무게 중심(C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한 경우의 시트백 프레임(20)의 일반적인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위치는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로 폴딩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로 폴딩된 경우, 시트백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 거리(X)는 짧을 수 있다. 이 때, 스프링(170)의 연장부(175)는 돌출부(115)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기 전까지 스프링(170)의 연장부(175)와 돌출부(115)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되면서 제2 위치를 지나가는 경우에도 시트백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 거리(X)는 짧을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에서 추가적으로 언폴딩되는 경우, 스프링(170)의 연장부(175)는 돌출부(115)와 접촉되어 있다가 돌출부(115)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 거리(X)가 짧은 경우, 스프링(170)은 시트백 프레임(20)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완전 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트백 프레임(20)이 제3 위치에 있을 때의 시트백의 무게 중심은 제3 무게 중심(C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위치는 시트백 프레임(20)이 완전히 폴딩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되면서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폴딩되는 경우 시트백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 거리(Y)는 길어질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20)의 폴딩에 의해 모터(150)에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시트백 프레임(20)이 폴딩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는 경우, 스프링(170)의 연장부(175)와 돌출부(115)는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백 프레임(20)이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폴딩되는 과정에서, 연장부(175)와 돌출부(115)는 접촉할 수 있다. 연장부(175)는 시트백 프레임(2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출부(11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115)와 연장부(175)의 접촉이 유지됨에 따라, 스프링(170)은 시트백 프레임(2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50)에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시트백 프레임(20)이 폴딩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스프링(170)의 탄성력이 보완할 수 있다. 즉, 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시트백의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어 시트백의 폴딩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언폴딩 시에 따른 스프링이 시트백 프레임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백 프레임(20)이 제3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20)은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언폴딩 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의 언폴딩 시, 연장부(175)와 돌출부(115)의 접촉은 유지될 수 있다. 연장부(175)와 돌출부(115)의 접촉은 유지됨에 따라, 스프링(170)은 시트백 프레임(20) 또는 암 브라켓(130a)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까지 언폴딩될 때, 스프링(170)은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시트백의 하중에 의해 1개의 모터(150)로 시트백 프레임(20)을 구동시키는 경우, 모터(150)에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 되는 속도가 급격하게 느려질 수 있다. 다만, 연장부(175)는 시트백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까지 언폴딩되지 전까지 돌출부(115)와 접촉할 수 있고, 스프링(170)은 시트백 프레임(20)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시트백 프레임(20)의 언폴딩을 도울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2개의 베이스 브라켓들;
    상기 베이스 브라켓들 각각과 연결되는 리클라이너들;
    상기 리클라이너들 각각과 연결되고 시트백 프레임과 연결되는 암 브라켓들;
    상기 리클라이너들을 연결하는 커넥트 로드;
    상기 커넥트 로드 상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트 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암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돌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프링의 연장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되는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언폴딩을 돕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는 접촉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상기 기설정된 각도까지 언폴딩될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언폴딩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상기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떨어지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폴딩되기 전까지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는 접촉하지 않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는 상기 커넥트 로드가 관통되는 홀이 정의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거치부에 원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거치부는 상기 암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 브라켓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스프링 거치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 부분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서 다른 베이스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서 상기 커넥트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 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는 상기 암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거치부 및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 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리클라이너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KR1020220002344A 2022-01-06 2022-01-06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KR10262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344A KR102627616B1 (ko) 2022-01-06 2022-01-06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344A KR102627616B1 (ko) 2022-01-06 2022-01-06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444A KR20230106444A (ko) 2023-07-13
KR102627616B1 true KR102627616B1 (ko) 2024-01-23

Family

ID=8716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344A KR102627616B1 (ko) 2022-01-06 2022-01-06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47B1 (ko) 2014-09-01 2016-01-19 주식회사다스 시트백 폴딩 장치
JP2018030519A (ja) 2016-08-26 2018-03-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20111074A (ja) 2019-01-08 2020-07-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223457B1 (ko) * 2019-10-28 2021-03-04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자세 조절장치
JP2021112948A (ja) * 2020-01-17 2021-08-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回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8821B2 (ja) * 1994-07-05 2004-1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421928B1 (ko) * 2012-12-31 2014-07-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마운트 브래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47B1 (ko) 2014-09-01 2016-01-19 주식회사다스 시트백 폴딩 장치
JP2018030519A (ja) 2016-08-26 2018-03-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20111074A (ja) 2019-01-08 2020-07-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223457B1 (ko) * 2019-10-28 2021-03-04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자세 조절장치
JP2021112948A (ja) * 2020-01-17 2021-08-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回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444A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4844B1 (en) Seat suspension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JP4081347B2 (ja) 座席構造
JPH0461651B2 (ko)
JP2007517561A (ja) 乗り物の座席、特に航空機の客席
KR102627616B1 (ko) 파워 리클라이너 구조
US10864835B2 (en) Leg rest having distortion preventing function
JP6885162B2 (ja) 乗物用シート
EP3831693B1 (en) Child support apparatus and juvenile support assembly
US11981235B2 (en) Child safety seat
JP2000316663A (ja) 車両用シート
CN111823971B (zh) 座椅和车辆
JP2017087893A (ja) 折り畳み式乳母車
JP2008222103A (ja) 車両用シート
JP6841093B2 (ja) 乗物用シート
CN212447211U (zh) 儿童安全座椅
CN213007728U (zh) 座椅和车辆
JPS6212687Y2 (ko)
JP6870437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403311B1 (ko) 차량용 폴딩 시트의 프레임 구조
JP2013086646A (ja) 乗物用シート
JPH0524586Y2 (ko)
JP363661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緩衝構造
KR0144755B1 (ko) 자동차의 엠.피.브이 시트
KR200147383Y1 (ko) 더블폴딩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