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63B1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6663B1 KR102626663B1 KR1020217003241A KR20217003241A KR102626663B1 KR 102626663 B1 KR102626663 B1 KR 102626663B1 KR 1020217003241 A KR1020217003241 A KR 1020217003241A KR 20217003241 A KR20217003241 A KR 20217003241A KR 102626663 B1 KR102626663 B1 KR 102626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ed
- tip
- applicator
- application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1 disulfid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125000003808 silyl group Chemical group [H][Si]([H])([H])[*]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AYOHIQLKSOJJQH-UHFFFAOYSA-N dibutyltin Chemical compound CCCC[Sn]CCCC AYOHIQLKSOJJ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077 sila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370 alkoxysi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GFBRKRYDCGYKD-UHFFFAOYSA-N dibutyl(oxo)tin Chemical compound CCCC[Sn](=O)CCCC JGFBRKRYDCGYK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40 F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group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WZKQHOCKIZLMA-UHFFFAOYSA-N 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O)=O WWZKQHOCKIZ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HGNHLZPVBIIPX-UHFFFAOYSA-N tin(ii) oxide Chemical class [Sn]=O QHGNHLZPVBIIP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MTFKWDCWOTPGJ-KVVVOXFISA-N (z)-octadec-9-enoic acid;tin Chemical compound [Sn].CCCCCCCC\C=C/CCCCCCCC(O)=O QMTFKWDCWOTPGJ-KVVVOXFI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NNQYHFROJDYHQ-UHFFFAOYSA-N 3-(4-ethylcyclohexyl)propanoic acid 3-(3-ethylcyclopent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1CCC(CCC(O)=O)C1.CCC1CCC(CCC(O)=O)CC1 HNNQYHFROJDYH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MQIUGAXCHLFZKX-UHFFFAOYSA-N Di-n-octyl phthalate Natural products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MQIUGAXCHLFZ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group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KLDJPRMSDWDSL-UHFFFAOYSA-L [dibutyl(dodecanoyloxy)stannyl] dodec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O[Sn](CCCC)(CCCC)OC(=O)CCCCCCCCCCC UKLDJPRMSDWDS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396 acrylic acid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23 acyl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2 alk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02 alkenyl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68 am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344 aminooxy group Chemical group [H]N([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BJQHLKABXJIVAM-UHFFFAOYSA-N bis(2-ethylhex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BJQHLKABXJIV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CXGWMGPZLAOME-UHFFFAOYSA-N bismuth atom Chemical compound [Bi] JCXGWMGPZLAO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2 carboxyl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3 coating (rubb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75 dibutyltin di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FHKCZFPXJVELF-UHFFFAOYSA-L dibutyltin(2+);2,2-diethylhexanoate Chemical compound CCCC[Sn+2]CCCC.CCCCC(CC)(CC)C([O-])=O.CCCCC(CC)(CC)C([O-])=O JFHKCZFPXJVEL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DIEUSOPNGAEVNO-UHFFFAOYSA-L dibutyltin(2+);3-oxobutanoate Chemical compound CC(=O)CC([O-])=O.CC(=O)CC([O-])=O.CCCC[Sn+2]CCCC DIEUSOPNGAEVN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ZXDVQYBUEVYUCG-UHFFFAOYSA-N dibutyltin(2+);methanolate Chemical compound CCCC[Sn](OC)(OC)CCCC ZXDVQYBUEVYU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RUPWUPINJLMU-UHFFFAOYSA-N dioctyl(oxo)tin Chemical compound CCCCCCCC[Sn](=O)CCCCCCCC LQRUPWUPINJL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YCFYXLDTSNTGP-UHFFFAOYSA-L octadecanoate;tin(2+) Chemical compound [Sn+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YCFYXLDTSNTG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JFOJYGMDZRCSPA-UHFFFAOYSA-J octadecanoate;tin(4+) Chemical compound [Sn+4].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JFOJYGMDZRCSPA-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56 sil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SCPYDCQAZCOKTP-UHFFFAOYSA-N silanol Chemical compound [SiH3]O SCPYDCQAZCOK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96 thiol group Chemical group [H]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08 thixotr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09 tit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12—Other hand tools for producing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30—Other inorganic substrates, e.g. ceramics, silic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미끄럼 방지 볼록부 등의 도포부를, 편차를 적게 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지지판(12)과, 선단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판(12)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13)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포체(13)의 선단부에, 도포액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오목부로서 선단 오목부(20)를 각각 마련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지지판(12)과, 선단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판(12)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13)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포체(13)의 선단부에, 도포액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오목부로서 선단 오목부(20)를 각각 마련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소에 대하여 도포액을 동시에 도포 가능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상업 시설이나 소형 점포, 의료 시설, 숙박 시설, 공공 시설, 집합 주택이나 개인 주택 등의 건축물의 마루재로서, 광택을 가지고 고급감이 있으며, 메인터넌스 프리이기 때문에, 세라믹 타일,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재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마루재는,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고, 특히 우천 시나 청소 후 등에, 마루 표면이나 신발창에 물이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한층 더 미끄러지기 쉬워져, 보행 안전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마루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것은 마루 표면의 미려한 외관이나 의장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직경 10 ㎜ 이하의 투명한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마루재 표면에 대하여 돌출형으로 분산 고정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제안되고, 또한 미끄럼 방지 볼록부의 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개구부를 분산 배치한 마스킹 시트를 마루 표면에 접착하는 마스킹 공정과, 개구부 내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접착제 도포 공정과, 접착제의 건조 후, 마스킹 시트를 제거하는 마스킹 제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마스킹 시트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 볼록부의 시공 후에 있어서의 마스킹 시트가 폐기물이 되는 것, 마스킹 시트의 시공 작업이 번잡하여,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시공할 수 없는 것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미끄럼 방지 볼록부 등의 도포부를, 편차를 적게 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체의 선단부에, 도포액을 유지 가능한 유지 오목부를 각각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상기 유지 오목부로서, 상기 도포체의 선단면에 개구하는 선단 오목부를 마련한 상기 (1)에 기재된 도포구.
(3) 상기 선단 오목부의 바닥부에, 상기 선단 오목부의 개구부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마련한 상기 (2)에 기재된 도포구.
(4) 상기 복수의 도포체가, 상기 지지판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지지봉과, 상기 복수의 지지봉의 선단부에 각각 외장(外裝)한 복수의 도포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용 튜브의 선단부 내에 상기 선단 오목부를 각각 마련한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도포구.
(5) 상기 복수의 지지봉의 선단부에, 상기 선단 오목부의 개구부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첨예부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각각 마련한 상기 (4)에 기재된 도포구.
(6) 상기 유지 오목부로서, 상기 도포체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환형 또는 나선형의 외주홈부를 마련한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구.
(7) 상기 지지판이 평탄한 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구.
(8) 상기 복수의 도포체를 상기 지지판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체를 하한 위치로 상시(常時) 가세(付勢)하는 제1 가세 부재를 상기 복수의 도포체에 개별로 마련한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구.
(9) 상기 지지판에 가이드 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도포체의 하단부보다 상방 위치와, 상기 도포체의 하단부보다 하방 위치에 걸쳐 이동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하방 위치측으로 상시 가세하는 제2 가세 부재를 마련한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구.
(10) 상기 복수의 도포체의 도중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판을, 상기 지지판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에 마련한 상기 (9)에 기재된 도포구.
(11) 상기 도포액이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구.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에 의하면,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미끄럼 방지 볼록부 등의 도포부를, 편차를 적게 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도포구 및 도포액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직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돌출부를 갖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도포체의 선단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에 접촉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액체 흡수재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로부터 이탈시키기 직전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액체 흡수재의 설명도이다.
도 7d는 피도포면에 대하여 도포액을 도포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의 설명도이다.
도 7e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접촉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에 도포한 도포액의 설명도이다.
도 7f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으로부터 이탈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에 시공되는 도포부의 설명도이다.
도 7g는 피도포면에 시공되는 도포부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c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d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e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중요부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8f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중요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8g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포구 본체의 다른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0a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b는 동(同)도포구의 도포 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비교예 1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비교예 2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직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돌출부를 갖는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도포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도포체의 선단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에 접촉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액체 흡수재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로부터 이탈시키기 직전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액체 흡수재의 설명도이다.
도 7d는 피도포면에 대하여 도포액을 도포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의 설명도이다.
도 7e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접촉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에 도포한 도포액의 설명도이다.
도 7f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으로부터 이탈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도포체 선단부 및 피도포면에 시공되는 도포부의 설명도이다.
도 7g는 피도포면에 시공되는 도포부의 설명도이다.
도 8a는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c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d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e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중요부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8f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중요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8g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포구 본체의 다른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0a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b는 동(同)도포구의 도포 시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또 다른 구성의 도포구의 중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비교예 1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비교예 2의 도포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7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1)는, 건축물의 마루 표면 등의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액을 망점형으로 도포하여 도포부(5A)를 시공하기 위한 도포구 본체(10)와, 그것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액은,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의 액체 흡수재(3)에 함침시켜 도포용 트레이(4)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구 본체(10)에 마련한 후술하는 도포체(13)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의 도포에 필요한 분량의 단위 도포액(5)이 도포체(13)의 선단부에 과부족없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과잉 부착에 의한 액 흘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1회의 도포에 의해 피도포면(2)에 대하여 필요량의 도포액을 도포할 수도 있고, 동일한 개소에 대한 복수회의 도포에 의해, 피도포면(2)에 대하여 필요량의 도포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도포액으로서는,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 유성이나 수성 등의 도료 등, 임의의 조성의 액상물을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마루 표면을 포함하는 피도포면(2)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행방향 및 열방향에 간격을 두고 망점형으로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포함하는 도포부(5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5A)의 형상 및 치수, 복수의 도포부(5A)의 배치 위치 등은, 도포부(5A)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도포부(5A)의 행방향의 간격과 열방향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다른 간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건축물의 마루 표면을 포함하는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부(5A)로서 직경 1 ㎜ 이상 50 ㎜ 이하의 돔형의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도포부(5A)의 행방향 및 열방향의 간격은, 예컨대 1 ㎜~10 ㎜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로드(31)와, 베이스판(32)과, 조작 로드(31)를 베이스판(32)에 대하여 화살표 A의 방향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구비한 주지의 구성의 것이다.
단, 연결부(33)로서는, 조작 로드(31)의 선단부에 베이스판(32)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것이면, 도 1에 도시한 것 이외의 주지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3)를 생략하고, 조작 로드(31)의 선단부를 베이스판(32)의 중앙부에 대하여 요동이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교적 소형인 도포구에 있어서는, 조작 로드(31) 및 연결부(33) 대신에, 베이스판(32)에 핸들부를 마련하여, 손으로 핸들부를 유지한 상태로 도포구 본체(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판(32)을 생략하고, 도포구 본체(10)의 케이싱(11)의 상벽부(11a)의 중앙부에, 연결부(33)를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조작 로드(31)를 연결하거나, 연결부(33) 및 조작 로드(31) 대신에, 손으로 조작 가능한 핸들부를 직접적으로 마련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포구 본체(1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측을 개방한 직방체형의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상벽부(11a)와 대략 평행하게 케이싱(11)의 상부 내에 고정한 지지판(12)과, 지지판(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막대형의 도포체(13)와, 복수의 도포체(13)를 개별로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하한 위치로 상시 가세하는 제1 가세 부재(14)와, 지지판(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15)(이것이 가이드 부재에 상당함)와, 복수의 가이드 로드(15)를 하방으로 개별로 상시 가세하는 제2 가세 부재(16)와, 복수의 도포체(13)의 도중부가 삽입 관통하도록, 복수의 가이드 로드(15)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지지판(12)과 대략 평행하게 지지된 안내판(17)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은, 직사각형 판형의 상벽부(11a)와, 상벽부(11a)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측벽부(11b)를 갖고, 철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하면측을 개방한 직방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상벽부(11a)의 상면 중앙부에는 베이스판(32)이 고정되고, 케이싱(11)은 조작 로드(31)의 하단부에 연결부(3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좌우 방향의 길이(L) 및 전후 방향의 폭(W)은, 피도포면(2)의 크기 및 사람 손에 의한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길이(L)를 50 ㎜~1000 ㎜로, 폭(W)을 50 ㎜~1000 ㎜로 각각 설정한 케이싱(11)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의 높이(H)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10 ㎜~2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도포면(2)이, 세라믹 타일이나,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1회 또는 복수회의 도포 작업으로 하나의 석재의 피도포면(2)에 대하여 필요 개수의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도록, 지지판(12)의 길이 및 폭은, 석재 표면에 적합한 치수 또는 석재 표면의 정수분의 1의 치수로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석재 표면의 치수가 600 ㎜×600 ㎜인 경우에는, 지지판(12)의 길이는 600 ㎜, 300 ㎜, 200 ㎜, 100 ㎜ 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지지판(12)의 폭은 600 ㎜, 300 ㎜, 200 ㎜, 100 ㎜, 50 ㎜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지지판(12)은, 직사각형 판형의 평판부(12a)와, 평판부(12a)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케이싱(11)의 측벽부(11b)의 내면에 고정되는 장착부(12b)를 구비한, 직사각형의 트레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판(17)은, 케이싱(11)에 내장할 수 있도록, 지지판(12)의 평판부(12a)보다 약간 작은 평면 치수의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되고, 지지판(12) 및 안내판(17)은, 케이싱(11)과 마찬가지로, 철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단, 지지판(12)은, 장착부(12b)를 생략한 평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판(12)의 평판부(12a)에는, 도포체(13)가 삽입 관통하는 상부 관통 구멍(12c)이, 피도포면(2)에 대한 단위 도포액(5)의 도포 위치에 대응시켜, 행방향 및 열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 관통 구멍(12c)의 배치 영역의 외측에 있어서 지지판(12)의 4 코너에는, 가이드 로드(15)가 삽입 관통하는 상부 가이드 구멍(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15)는,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하는 위치 이외이면, 지지판(12)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로드(15)의 개수는, 도포구 본체(10)를 피도포면(2)에 대하여 안정성 좋게 배치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 마련할 수 있다.
안내판(17)에는, 지지판(12)에 형성한 복수의 상부 관통 구멍(12c)에 대응시켜, 도포체(13)가 삽입 관통하는 하부 관통 구멍(17a)이 형성되며, 지지판(12)에 형성한 복수의 상부 가이드 구멍(12d)에 대응시켜, 가이드 로드(15)가 삽입 관통하는 하부 가이드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도포체(13)는, 도 2, 도 3,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12)의 상부 관통 구멍(12c) 및 안내판(17)의 하부 관통 구멍(17a)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지지봉(18)과, 지지봉(18)의 하단부(선단부)에 외장한 도포용 튜브(19)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용 튜브(19)는,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소재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단, 도포용 튜브(19)의 외면 형상은, 원통형 이외에, 횡단면이, 타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 별형, 하트형 등의 임의의 형상의 통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의 외형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한 단위 도포액(5)을,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의 형상에 따른 외형으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포용 튜브(19)의 내면 형상은,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의 통형 또는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 확장하는 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도포용 튜브의 외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면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봉(18)은, 도포 시에 있어서의 압박 조작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 강성을 갖는, 금속 재료나 합성 수지 재료 등을 포함하는 봉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봉(18)의 하단부에는 도포용 튜브(19)의 하단의 개구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첨예부를 포함하는 돌기부(18a)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18a)는, 원기둥형, 원추형, 원추대형, 타원기둥형, 타원 원추형, 타원추대형, 다각기둥형, 다각추형, 다각추대형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8a)의 선단은, 첨예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평탄면으로 구성하거나, 반구형 등의 돔형으로 구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18a)의 하단부는 도포용 튜브(19)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포체(13)에 부착된 단위 도포액(5)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포용 튜브(19)의 하단부보다 약간 하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8a)의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로부터의 돌출 길이(L1)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예컨대 0.01 ㎜~10 ㎜, 바람직하게는 0.1 ㎜~5 ㎜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18a)를 도포용 튜브(19)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키면,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도포액(5)에 돌기부(18a)가 삽입되기 때문에, 도포체(13)의 선단부에 유지되는, 1회의 도포에 필요한 단위 도포액(5)의 분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도포구 본체(10)의 이동 시의 진동 등에 의한 액 흘림이 없도록, 단위 도포액(5)을 도포체(13)의 하단부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도포면(2)에 대하여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때에는,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18a)가 피도포면(2)에 접촉함으로써, 도포용 튜브(19)와 피도포면(2)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도포면(2)에 대하여 단위 도포액(5)을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한 단위 도포액(5)에 있어서의 공기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공기 혼입한 경우라도, 도포용 튜브(19)와 피도포면(2) 사이에 있어서 공기 혼입한 에어를 기포 파괴할 수 있다. 또한, 도포한 단위 도포액(5)으로부터 돌기부(18a)를 발취할 때에, 도 7f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도포액(5)의 중앙부가 융기된 후, 돌기부(18a)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이탈하여, 단위 도포액(5)의 상면이 평탄해지기 때문에, 도포한 단위 도포액(5)을 깨끗한 돔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18a)와 도포용 튜브(19) 사이에는, 도포용 튜브(19)의 내면 형상과 돌기부(18a)의 외면 형상에 따른 형상의 통형 공간을 포함하는 유지 오목부로서의 선단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오목부(20)의 반경 방향의 폭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동일한 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측으로 감에 따라 협폭으로 구성하여, 선단 오목부(20)의 횡단면적이, 상측으로 감에 따라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선단 오목부(20)를 마련하면, 선단 오목부(20)에 있어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도, 선단 오목부(20)에 대하여 단위 도포액(5)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구 본체(10)의 조작 시 등에 있어서의 진동 등에 의한 액 흘림이 없도록, 도포체(13)의 하단부에 단위 도포액(5)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8a)는 반드시 도포용 튜브(19)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킬 필요는 없고, 도 8a에 나타내는 도포체(13A)와 같이, 지지봉(18) 대신에, 하단부를 도포용 튜브(19)의 하단부보다 약간 상측에 배치한 돌기부(18Aa)를 갖는 지지봉(18A)을 이용하여,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와 돌기부(18Aa) 사이에 선단 오목부(20A)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도포체(13B)와 같이, 지지봉(18) 대신에 돌기부(18a)를 생략한 지지봉(18B)을 마련하고, 지지봉(18B)의 하단부에 축방향과 직교 방향의 단면(18Ba)을 형성하고, 단면(18Ba)을 도포용 튜브(19)의 하단부보다 약간 상측에 배치하고, 도포용 튜브(19)의 내측에 선단 오목부(20B)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도포체(13C)와 같이, 도포용 튜브(19)를 생략하며, 지지봉(18) 대신에, 하단부에 통부(18Ca)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지지봉(18C)을 이용하여, 통부(18Ca)와 돌기부(18Cb) 사이에 선단 오목부(20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d에 나타내는 도포체(13D)와 같이, 도포용 튜브(19)를 생략하며, 지지봉(18) 대신에, 하단부에 통부(18Da)를 형성하며, 돌기부(18a)를 생략한 지지봉(18D)을 이용하여, 통부(18Da)의 내측에 선단 오목부(20D)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e에 나타내는 도포체(13E)와 같이, 도포용 튜브(19)를 생략하며, 지지봉(18) 대신에, 하단면의 대략 전체를 부분 구면형으로 움패어 이루어지는 선단 오목부(20E)를 마련한 지지봉(18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선단 오목부(20E)를 마련하면, 선단 오목부(20E)의 외주 가장자리가 피도포면(2)에 강하게 결합하여, 피도포면(2)에 대한 지지봉(18E)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깨끗한 원형의 도포부(5A)를 형성할 수 있다.
유지 오목부로서, 도포체의 선단 외주면에 환형 또는 나선형의 외주홈부를, 선단 오목부와 병용하여, 또는 선단 오목부와 병용하지 않고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도포체(13, 13A~13E)의 선단 외주면에, 환형 또는 나선형의 외주홈부를, 도포체(13, 13A~13E)의 선단면에 마련한 선단 오목부(20, 20A~20E)와 병용하여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f에 나타내는 도포체(13F)와 같이, 도포용 튜브(19)를 생략하며, 지지봉(18) 대신에, 외주면에 나선형의 외주홈부(25)를 마련하고, 하단면의 대략 전체를 부분 구면형으로 움패어 이루어지는 선단 오목부(20E)를 마련한, 지지봉(18F)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용 튜브(19)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도포용 튜브(19)의 외주부에 나선홈 또는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선단 오목부와 병용하지 않고, 도포체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선홈 또는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8g에 나타내는 도포체(13G)와 같이, 도포용 튜브(19)를 생략하며, 지지봉(18) 대신에, 하단면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26)을 마련하고, 하단 근방부에 유지 오목부로서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7)를 마련한 지지봉(18G)을 이용할 수도 있다.
나선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홈의 단면 형상, 홈 폭 및 홈 깊이, 홈 피치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기존의 삼각 나사, 사각 나사, 사다리꼴 나사, 톱니 나사, 원형 나사 등의 주지의 나사홈으로 외주홈부(25)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7)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홈의 단면 형상, 홈 깊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포체(13G)의 선단으로부터 외주홈부(27)까지의 거리(L2), 홈의 개수, 홈 폭(W1), 인접하는 홈간의 간격(L3) 등은, 도포체의 선단부에 도포용 트레이(4) 내의 도포액을 부착시킬 때에, 외주홈부(27) 중 적어도 일부가, 도포용 트레이(4) 내의 도포액에 침지될 수 있는 임의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체(13G)의 선단으로부터 외주홈부(27)까지의 거리(L2)는, 0.5 ㎜ 이상 7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주홈부(27)의 홈 폭(W1)은, 0.4 ㎜ 이상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홈 폭(W1)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체(13G)의 선단부를 도포용 트레이(4) 내의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하였을 때에, 외주홈부(27)의 대략 전체가 도포액에 침지될 수 있는 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외주홈부(27)의 개수는, 1개만이어도 좋지만, 복수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홈부(27)의 개수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체(13G)의 선단부를 도포용 트레이(4) 내의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하였을 때에,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외주홈부(27)가 도포액에 침지될 수 있는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체의 선단 외주면에 마련하는 유지 오목부로서, 나선홈 또는 환형홈의 외주홈부를 형성하였지만, 나선홈 및 환형홈 대신에, 도포체의 하단 근방부에 도포체의 하단측이 대직경이 되는 환형의 단차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포체의 선단부에, 선단 오목부(20, 20A~20E)와 외주홈부(25, 27) 중 적어도 한쪽을 마련함으로써, 도포체의 선단부에 부착시킨 단위 도포액(5)이, 도포구 본체(10)의 조작 시의 진동 등에 의한 액 흘림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도포면(2)에 대한 도포체(13)의 압박 시간이, 작업자에 따라 다른 것에 따른, 피도포면(2)에 대한 도포액의 부착량의 편차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봉(18)의 상반부에는 나사부(18b)가 형성되고, 지지봉(18)의 상단부에는 지지봉(18)의 탈락을 규제하는 규제 너트(21)가 나사 결합되고, 지지봉(18)의 도중부에는 너트 부재(22)가 나사 결합되고, 지지판(12)과 너트 부재(22) 사이에서 지지봉(18)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가세 부재(14)가 외장되고, 도포체(13)는, 제1 가세 부재(14)에 의해, 각각 개별로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하한 위치측으로 상시 가세되어 있다.
도포구 본체(10)를 수평으로 지지한 상태로, 복수의 도포체(13)는, 하한 위치에 있어서, 그 하단부의 높이 위치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하단부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판(12)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하한 위치에 있어서 도포체(13)의 하단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측벽부(11b)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3)의 하단부를 피도포면(2)에 접촉시킨 후, 더욱 도포구 본체(10)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제1 가세 부재(1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포체(13)가 상대적으로 상승함으로써, 도포체(13)에 과잉의 힘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2)에 볼록부(2a) 등의 단차나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따라 도포체(13)의 높이가 조정됨으로써, 요철이 있는 도포면에 대하여도 빠짐없이 깨끗하게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15)의 상단부에는 지지판(12)으로부터의 가이드 로드(15)의 탈락을 규제하는 볼트 머리부(15a)가 형성되고, 가이드 로드(15)의 하반부에는 나사부(15b)가 형성되고, 나사부(15b)에는 너트 부재(23)가 나사 결합되어, 너트 부재(23)에 의해 안내판(17)을 높이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12)과 안내판(17) 사이에서 가이드 로드(15)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가세 부재(16)가 외장되고, 안내판(17) 및 가이드 로드(15)는 제2 가세 부재(16)에 의해 상시 하방으로 가세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5)의 하단부는,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하한 위치에 있어서의 도포체(13)의 하단부보다 하측의 하방 위치에 배치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2)에 도포구 본체(10)를 배치한 것만으로는, 도포체(13)의 선단부가 피도포면(2)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도포면(2)에 도포구(1)를 배치한 상태로, 피도포면(2)에 대한 가이드 로드(15)의 위치를 적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적정한 위치에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구 본체(10)를 위치 맞춤하여 배치하고, 이 상태로 도포구 본체(10)를 하측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세 부재(1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가이드 로드(15)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지지판(12)과 함께 하강하는 도포체(13)의 선단부를 피도포면(2)에 압박하여, 도포체(13)의 선단부에 유지한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세 부재(14) 및 제2 가세 부재(16)는, 압축 코일 스프링 이외의 스프링 부재나, 합성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내판(17)을 생략하고, 너트 부재(23)에 의해 제2 가세 부재(16)의 하단부를 받아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로드(15)를 케이싱(11)의 측벽부(11b)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시키지 않고, 안내판(17)에 도포체(13)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판형 부재나 축형 부재 등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가세 부재(14)를 생략하고, 너트 부재(22)와 규제 너트(21) 사이에 지지판(12)을 협지하여, 도포체(13)를 지지판(12)에 상하 이동이 불가능하게 고착할 수도 있고, 제2 가세 부재(16)와 가이드 로드(15)와 안내판(17)을 더욱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체(13)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하여, 도포체(13)의 선단부에 단위 도포액(5)을 부착 유지시켰지만, 지지봉(18)을 중공 파이프형으로 구성하여,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할 때마다, 예컨대 도포체(13)가 케이싱(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마련하고, 그 위치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지지봉(18)을 통하여 도포체(13)의 선단부에 1회분의 도포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전술한 도포구(1)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마루 표면 등의 피도포면(2)에 대하여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액형의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하고,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부(5A)를 피도포면(2)에 행방향 및 열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공하는 미끄럼 방지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전술한 도포구(1)는,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 이외의 도포액을, 건축물의 마루 표면 또는 그 이외의 피도포면(2)에 대하여 도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피도포면(2)의 티끌이나 먼지를 청소기로 제거한 후, 아세톤을 머금은 종이제 걸레 등에 의해 피도포면(2)을 청소하며, 미끄럼 방지 처리의 불필요 부분, 예컨대 바닥재 사이의 줄눈 등을 덮도록, 마스킹 테이프와 양생 시트를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마스커를 첩부한다. 한편,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의 액체 흡수재(3)를 내장한 도포용 트레이(4)에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충전하고, 액체 흡수재(3)에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함침시킨다. 단, 액체 흡수재(3)를 생략하고, 도포용 트레이(4)에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직접 충전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포구(1)에 의해 피도포면(2)에 대하여 망점형으로 도포부(5A)를 시공하기 위해, 먼저 도포구(1)의 조작 로드(31)를 손으로 유지하고, 도포구 본체(10)를 들어올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의 모든 도포체(13)가 액체 흡수재(3)에 대면하도록, 도포구 본체(10)를 도포용 트레이(4)의 상방 위치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를 하강시켜, 가이드 로드(15)의 하단부를 피도포면(2)에 실으며, 도포체(13)의 하단부를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흡수재(3) 중의 도포체(13)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포구의 자기 중량에 의해 움패어, 액체 흡수재(3)에 함침시킨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이 스며나와, 도포체(13)의 하단부가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에 침지된다. 이때, 액체 흡수재(3)에 함침시킨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이 충분히 스며나오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 로드(31)를 하방으로 누름 조작하여, 제2 가세 부재(1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포구 본체(10)를 약간 밀어내려,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충분히 스며나오게 하여, 도포체(13)의 하단부를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에 침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포체(13)의 하단부를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에 침지시키면,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선단 오목부(20) 내에 유지되고, 또한 도포구 본체(10)를 들어올리면, 도 7c,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3)의 하단부에 1회의 도포에 필요한 분량의 단위 도포액(5)이 대략 반구형으로 되어 유지되고, 단위 도포액(5)에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봉(18)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도포구 본체(10)의 이동 시의 진동 등으로, 단위 도포액(5)이 도포체(13)의 하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액 흘림이 없도록 유지된다.
다음에, 도포구(1)의 선단부에 단위 도포액(5)을 유지시킨 상태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2) 중의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하는 위치 부근에, 가이드 로드(15)의 하단부를 피도포면(2)에 접촉시켜 도포구 본체(10)를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15) 또는 케이싱(11)의 바깥 가장자리를 눈으로 보면서, 도포구 본체(10)를 피도포면(2)의 적정 위치에 위치 맞춤하고, 그 후, 도 5 및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세 부재(1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포구 본체(10)를 밀어내려, 피도포면(2)에 지지봉(18)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도포체(13)의 하단부에 부착시킨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압박하여,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부착시키고, 도 7f, 도 7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10)를 상승시켜, 피도포면(2)에 부착시킨 단위 도포액(5)을 포함하는 복수의 도포부(5A)를, 피도포면(2)에 시공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포구(1)를 이용한 단위 도포액(5)의 도포 작업을, 피도포면(2)에 대한 도포 위치를 순차 이동시켜, 피도포면(2)의 필요 부위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점형의 도포부(5A)를 행방향과 열방향에 각각 간격을 두고 도포하고,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의 도포 후,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일정 시간 방치하거나, 가열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하는 등에 의해, 도포한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경화시켜, 피도포면(2)에 복수의 도포부(5A)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도포구(1)에서는, 지지판(12)과, 지지판(12)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13)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포체(13)의 선단부에, 도포액을 유지 가능한 유지 오목부로서의 선단 오목부(20)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포체(13)의 선단부를, 도포액에 침지하거나, 도포액을 머금은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의 액체 흡수재(3)에 압박하거나 함으로써,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오목부로서의 선단 오목부(20) 내에 도포액이 수용되며, 도포체(13)의 선단부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하도록 도포액이 유지되고, 도포체(13)의 선단부에 1회의 도포에 필요한 분량의 단위 도포액(5)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포체(13)의 선단부를 피도포면(2)에 닿게 함으로써, 도포체(13)의 선단부에 유지된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도포하여, 도포부(5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체(13)는 선단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판(12)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체(13)의 선단부에 유지된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동시에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도포구(1)에서는, 1회의 도포 작업에 의해, 예컨대 600 ㎜×200 ㎜의 영역에 대하여, 행방향 및 열방향에 각각 간격을 두고,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도포부(5A)를 도포할 수 있어, 마스킹 시트 등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도포면(2)에 대하여 단위 도포액(5)을 직접적으로 망점형으로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미끄럼 방지 볼록부 등의 도포부(5A)를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오목부(20)의 바닥부에 선단 오목부(20)의 개구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8a)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 오목부(20)의 내면과 돌기부(18a) 사이의 간극에 있어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도포체(13)의 선단에 유지한 단위 도포액(5)이, 도포구 본체(10)의 조작 시 등에 있어서의 진동으로,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포체(13)가, 지지판(12)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지지봉(18)과, 복수의 지지봉(18)의 선단부에, 선단을 일치시켜 각각 외장한 복수의 도포용 튜브(19)를 구비하고, 복수의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 내에 선단 오목부(20)를 각각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용 튜브(19)로서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채용함으로써, 도포용 튜브(19)를 피도포면(2)에 대하여 압박하여,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라도, 도포용 튜브(19)의 접촉에 의해 피도포면(2)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2)을 평탄한 판형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판(12)에 대한 도포체(13)의 장착 구조를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 도 9에 나타내는 도포구 본체(40)와 같이, 기둥형의 베이스 부재(41)에 대하여, 단척의 지지봉(18H)을 둘레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심어 설치하고, 지지봉(18H)의 선단부에 도포용 튜브(19)를 외측에 감합하여 고정하여, 베이스 부재(41)에 지지봉(18H)과 도포용 튜브(19)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포체(13H)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도포체(13)를 지지판(1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하고, 복수의 도포체(13)를 하한 위치로 상시 가세하는 제1 가세 부재(14)를 복수의 도포체(13)에 개별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요철을 갖는 피도포면(2)에 대해서도, 도포체(13)가 피도포면(2)의 요철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든 도포체(13)의 선단부를 피도포면(2)에 간극없이 접촉시켜, 도포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2)에 가이드 로드(15)(가이드 부재)를, 가이드 로드(15)의 하단부가, 도포체(13)의 하단부보다 상방 위치와, 도포체(13)의 하단부보다 하방 위치에 걸쳐 이동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가이드 로드(15)를 하방 위치측으로 상시 가세하는 제2 가세 부재(16)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구(1)를 피도포면(2) 등에 배치하였을 때에, 가이드 로드(15)에 의해 도포체(13)의 선단부가 피도포면(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포체(13)의 선단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도포면(2)에 가이드 로드(15)를 위치 맞춤하여, 피도포면(2)의 적정 위치에 도포체(13)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2 가세 부재(1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포구(1)를 피도포면(2)측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포체(13)의 선단부를 피도포면(2)에 압박하여, 피도포면(2)의 적정 위치에 정밀도 좋게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포체(13)의 도중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판(17)을, 지지판(12)과 평행하게, 가이드 로드(15)(가이드 부재)에 마련하여, 안내판(17)에 의해 도포체(13)의 도중부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체(13)의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에 의한 도포체(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도포면(2)의 적정한 위치에 단위 도포액(5)을 도포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도포구(1)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도포구(50)는, 도포구 본체(51)와, 도포구 본체(51)를 누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부재(52)를 구비하고, 도포구 본체(51)는, 핸들 부재(52)를 장착한 압박판(53)과, 압박판(53)의 상면측에 마련한 상면판(54)과, 압박판(53)의 하면측에 마련한 쿠션재(55)와, 쿠션재(55)의 하면측에 마련한 지지판(56)과, 지지판(56)에 하방으로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13F)와, 압박판(53)의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가이드 부재(57)와, 가이드 부재(57)를 상시 하방으로 가세하는 제2 탄성 부재(58)를 구비하고 있다. 단, 도포체(13F) 대신에, 상기 실시형태의 도포체(13, 13A~13E, 13G)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핸들 부재(52)는, 상면판(54)을 관통하여 압박판(53)에 고정되고, 작업자는 핸들 부재(52)를 손으로 파지하고 도포구 본체(5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 부재(52)로서는, 도포구 본체(51)를 조작 가능한 것이면 임의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하향 U자형의 핸들 부재(52)를 좌우에 간격을 두고 평행 또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도립(倒立) V자형으로 각도를 만들어 마련하고, 좌우의 손으로 핸들 부재(52)를 파지하고, 도포구 본체(51)를 조작 가능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부재(52) 대신에, 상기 실시형태의 조작부(30)를 압박판(53)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박판(53)은, 굽힘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합성 수지 재료, 목재 등을 포함하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고, 핸들 부재(52)의 누름 조작력을 쿠션재(55)의 상면 전체에 대하여 대략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쿠션재(55)는, 압축 변형 가능하며 또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 가능한 것이면 임의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스폰지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7)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축형 부재로 구성되고, 압박판(53)의 좌우 양측에 앞뒤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리니어 부시 등을 포함하는 안내 부재(59)를 통해 압박판(53)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7)의 상단부는 상면판(54)에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57)의 하단부는 지지판(56)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프레임형의 하부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가이드 부재(57)는, 상면판(54) 및 하부 프레임(60)에 의해 동기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압박판(53)과 하부 프레임(60) 사이에서 가이드 부재(57)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제2 탄성 부재(58)가 외장되고, 가이드 부재(57)는, 그 하단부가 도포체(13F)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이동한, 도 10a에 도시된 하한 위치에, 제2 탄성 부재(58)에 의해 상시 가세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7)의 하단부는, 피도포면(2)에 대한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첨예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가이드 부재(57)의 하단부에 프리 베어링을 마련하여, 도포구 본체(51)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지지판(56)은, 굽힘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합성 수지 재료, 목재 등을 포함하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고, 지지판(56)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도포체(13F)가 선단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켜 마련되어 있다. 지지판(56)과 복수의 도포체(13F)로 도포 유닛(61)이 구성되고, 이 도포 유닛(61)은, 쿠션재(55)의 하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단, 도포 유닛(61)은,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면 패스너 또는 자석 등의 도시 외의 고착구로 쿠션재(55)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체(13F)는, 지지판(56)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고, 볼트 너트 등의 임의의 고정 구조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이 도포구(50)를 이용하여 피도포면(2)에 도포액을 도포할 때에는, 먼저, 도포구(50)의 핸들 부재(52)를 손으로 유지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포용 트레이(4) 내의 액체 흡수재(3)에 도포체(13F)의 하단부를 압박하여, 도포체(13F)의 하단부에 도포액으로서의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부착시킨다.
다음에, 도포체(13F)의 선단부에 단위 도포액(5)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피도포면(2)에 도포구 본체(51)를 배치하여, 도포구 본체(51)를 피도포면(2)의 적정 위치에 위치 맞춤하고, 그 후,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 부재(5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압박판(53)을 밀어내려, 쿠션재(55)가 다소 압축되도록, 도포체(13F)의 하단부를 피도포면(2)에 압박하여, 도포체(13F)의 하단부의 단위 도포액(5)을 피도포면(2)에 부착시켜, 단위 도포액(5)을 포함하는 복수의 도포부(5A)를 피도포면(2)에 시공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포구(50)를 이용한 단위 도포액(5)의 도포 작업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나서,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일정 시간 방치하거나, 가열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하는 등에 의해, 도포한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경화시켜, 피도포면(2)에 복수의 도포부(5A)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시공하게 된다.
이 도포구(50)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도포구(1)와는 다르게, 도포체(13F)를 개별로 상하 이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포구(50)의 구성을 대폭 간단하게 하여, 그 제작 비용을 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55)에 의해 도포구(50)에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13F)에 대하여 대략 똑같이 압박 조작력을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박 조작력의 편차에 따른, 도포액의 도포량의 편차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극력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내는 도포구(50J)와 같이, 도포체(13F)의 도중부가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을 마련한 가이드판(65)을 하부 프레임(60)에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가이드판(65)에 의해 도포체(13F)의 도중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56) 대신에, 고무판을 포함하는 지지판(56J)을 마련하고, 도포체(13F)가, 쿠션재(55)의 변형에 따라,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미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56J)에 있어서의 도포체(13F)의 장착 위치에, 지지판(56J)의 변형을 촉진하는 관통 구멍(66)을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부호 67은, 지지판(56)과 복수의 도포체(13F)를 포함하는 도포 유닛(61J)을, 쿠션재(5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면 패스너 또는 자석판 등을 포함하는 고착구이다.
이 도포구(50J)에서는, 지지판(56J)을 고무판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2)에 돌출부(2a)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돌출부(2a)에 대응하는 도포체(13F)가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돌출부(2a)의 상면에 대하여 도포액을 깨끗하게 또한 편차없이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도포구(50K)와 같이, 쿠션재(55)의 하부 및 지지판(56)에, 복수의 도포체(13F)를 개개의 도포체(13F)로 구획하는 격자형의 절입부(68)를 마련하고, 절입부(68)에 의해 구획되는 단위 쿠션재(55K) 및 단위 지지판(56K)에 의해 개개의 도포체(13F)가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이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끄럼 방지 볼록부의 접촉각 등을 고려하면, 습기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습기에 의해 경화하는 변성 실리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변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컨대 습기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고, 경화성 성분이 가교성 실릴기 함유 폴리머(이하 「경화성 폴리머 성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8~92 중량%와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올리고머(이하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8~92 중량%를 포함하고, 또한 가교성 실릴기 함유 폴리머 및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올리고머를 제외한 실란 화합물, 경화 촉매와, 수지용 첨가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임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하, 경화성 수지로서 상기 변성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경화성 조성물(X)이라고 부르고, 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경화성 폴리머 성분은, 가교성 실릴기를 갖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옥시알킬렌에테르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주쇄 골격과, 주쇄 골격의 말단 및/또는 측쇄(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쇄 골격의 말단)에 결합하는 가교성 실릴기를 갖는 경화성 폴리머 성분(A)이 바람직하고, 경화성 조성물(X)의 경화체의 마루재에의 밀착성, 경도나,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경화성 폴리머 성분(A) 중에서도, 1분자당의 가교성 실릴기의 평균 개수가 0.7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개~3.0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개~2.6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성 폴리머 성분이 갖는 가교성 실릴기란, 가수 분해 등에 의해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가교성기를 갖는 실릴기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릴기로 1~3개의 가교성기가 치환한 기이다. 실릴기로 치환하는 기로서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케톡시메이트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산아미드기, 아미노옥시기, 메르캅토기, 알케닐기 및 알케닐옥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경화성 폴리머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60000이다.
또한, 주쇄 골격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폴리머인 경화성 폴리머 성분(A3)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비닐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모노머 화합물과, 가교성 실릴기 함유 디술피드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유기 용매(톨루엔, 크실렌, 헥산, 아세트산에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중에서 광중합(상온 내지 50~60℃에서, 4~30시간의 광조사)시킴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다.
주쇄 골격이 아크릴산에스테르계 폴리머인 경화성 폴리머 성분(A3)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고, 그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사이릴 MA-480[상품명, (주)가네카 제조], 알폰(상표명) US-6110[상품명,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알콕시실릴기의 1분자당의 평균 개수 0.9, 수평균 분자량 3000, 도아고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X)에서는, 경화성 폴리머 성분(A)으로서, 경화성 폴리머 성분(A1), 경화성 폴리머 성분(A2) 및 경화성 폴리머 성분(A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X)에 있어서,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으로서는, 알콕시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올리고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일반식 (1),
[-Si(OR1)(R2)-O-]m (1)
〔식 중, R1은 알킬기를 나타낸다. R2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를 나타낸다. m은 모노머 단위의 반복수이며, 2~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m개의 R1 및 m개의 R2는,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또는 달라도 좋다.〕
로 표시되는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B)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1)에 있어서, 통상 규소 원자측 말단에는 기 -OR1이 결합하고, 산소 원자측 말단에는 기 R2가 결합한다. 또한, 알콕시기가 결합한 규소 원자도 포함하여, 알콕시실릴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B)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 시판품에는 많은 회사로부터 시판되는 많은 것이 있지만, 예컨대 신에츠가가쿠(주) 제조의 시판품을 예로 들면, 상품명: KR-511, KR-513, KR-516, KR-517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 상품명: KR-213, KR-401N, KR-500, KR-510, KR-515, KR-9218, KC-89S, X-40-9225, X-40-9227, X-40-9246, X-40-9250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시판의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은, 예컨대 치환기로서 메톡시기와 함께, 메틸기 또는 메틸기 및 페닐기를 가지고, 점도(25℃)가 5~160 ㎟/s(바람직하게는 20~100 ㎟/s)의 범위이고, 굴절률(25℃)이 1.35~1.55(바람직하게는 1.39~1.54)의 범위이고, 메톡시기 함유량이 10~50 중량%(바람직하게는 15~35 중량%)의 범위이다.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시판품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경화성 성분에 있어서, 경화성 폴리머 성분과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경화성 조성물(X)의 경화체를 형성하는 마루 표면의 재질, 경화체의 형상이나 치수, 경화체에 설계된 물성 등의 여러 가지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경화성 성분 전량(全量) 중,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폴리머 성분을 8~92 중량%,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을 8~9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폴리머 성분을 15~85 중량%,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을 15~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폴리머 성분을 35~65 중량%,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을 35~65 중량%이다.
경화성 폴리머 성분 및 경화성 올리고머 성분의 경화성 성분에 있어서의 각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경화성 조성물(X)의 경화체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발현한다. 즉, 마루 표면과의 밀착성, 경도나, 내마모성, 광택 유지 등의 내구성을 높은 수준으로 겸비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는, 청천 시 등의 건조한 때뿐만 아니라, 우천 시이나 물을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행하였을 때라도, 우수한 미끄럼 방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마루재, 특히 세라믹 타일이나 석재를 포함하는 마루재의 보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X)에 있어서, 상기한 경화성 성분와 함께 이용되는 경화 촉매는 실라놀 축합 촉매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그 경화성 촉매로서는, 이 분야에서 상용되는 경화 촉매를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유기 주석계 화합물, 유기 티탄계 화합물 등의 금속계 촉매나, 주석이나 티탄 이외의 금속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주석계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옥틸산주석, 올레인산주석, 스테아린산주석, 디옥틸산주석, 디스테아린산주석, 디나프텐산주석 등의 주석카르복실산염류,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비스(알킬말레에이트) 등의 디부틸주석디카르복실레이트류, 디부틸주석디메톡시드, 디부틸주석디페녹시드 등의 디알킬주석의 알콕시드 유도체류, 디부틸주석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부틸주석아세토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주석디옥테이트,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부틸주석비스에톡시실리케이트, 디옥틸주석옥사이드 등의 디알킬주석의 분자 내 배위성 유도체류, 디부틸주석옥사이드와 에스테르 화합물에 의한 반응 혼합물, 디부틸주석옥사이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에 의한 반응 혼합물 및 이들 디알킬주석옥사이드 유도체의 옥시 유도체 등의 4가 디알킬주석옥사이드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티탄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n-부톡시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석이나 티탄 이외의 금속계 촉매로서는, 예컨대 옥틸산이나 올레인산, 나프텐산, 스테아린산 등을 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하는 카르복실산칼슘, 카르복실산지르코늄, 카르복실산철, 카르복실산바나듐, 카르복실산비스무트, 카르복실산연, 카르복실산티타늄, 카르복실산니켈 등의 카르복실산 금속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금속계 촉매가 바람직하고, 유기 주석계 화합물 및 유기 티탄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기 주석계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 촉매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X)에 있어서의 경화 촉매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0 중량부이다.
경화성 조성물(X)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경화체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성 실릴기 함유 폴리머 및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올리고머 이외의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경화성 조성물(X)에 있어서의 실란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화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4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35 중량부이다.
경화성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이하 「경화성 조성물(Y)」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화성 수지(Y)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병용되는 경화제를 선택함으로써, 가열하는 일없이 실온에서 경화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경화성 수지로서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이하 「경화성 조성물(Z)」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자외선 등의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 가능한 각종 경화성 수지를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광경화성 아크릴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습기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열경화성 수지나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미끄럼 방지 볼록부의 접촉각을 소정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마루 표면의 미려성, 의장성, 청소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성능 및 미끄럼 방지 성능의 장기적인 유지, 우수한 방오성을 갖는 미끄럼 방지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수지로서는, 상온에서 액형이며, 마루 표면에의 시공 후에 경화하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X), (Y), (Z) 등의,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은, 그 경화체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인 수지용 첨가제를 임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수지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충전재, 가소제, 착색제, 유기 용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요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X)은, 예컨대 상기한 각 필수 성분(경화 촉매를 제외함) 및 필요에 따라 상기한 실란 화합물이나 수지용 첨가제(착색제를 제외함)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감압 탈기하고, 탈기 후의 혼합물에 경화 촉매 및 필요에 따라 착색제를 첨가하여 더욱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Y), (Z)도, 수지용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경화 전의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은, 통상은 투명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미끄럼 방지 볼록부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자체가 액형의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경화성 수지의 유기 용제 용액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들의 20℃에 있어서의 점도는, BH형 회전 점도계(20 rpm)에 의한 측정값으로서, 30 m㎩·s~200,000 m㎩·s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형성할 때의 작업성이나, 후술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완전히 경화하기 전의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이 소정의 입체 형상을 거의 유지하면서 또한 그 일부만이 변형(예컨대, 꼭대기부 주변이 거의 곡면형 및/또는 원호형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하는 것 등을 고려하면, 점도(20℃)를 50 m㎩·s~5000 m㎩·s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의 점도는, 예컨대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 그 자체의 선택,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함유량의 선택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임의 성분이나 수지용 첨가제에 의해 점도를 조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포체의 선단부 구조의 평가 시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험체로서, 다음과 같은 선단 구조의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를 첨예하게 구성한, 직경이 6.0 ㎜인 스테인리스제의 지지봉(18)의 선단부에, 길이 5.0 ㎜이며 외경이 8.0 ㎜인 고무제의 도포용 튜브(19)를, 지지봉(18)의 선단부가 도포용 튜브(19)의 선단부로부터 0.5 ㎜만큼 돌출하도록 마련한 도포체(13)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도 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에 나선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한 호칭 치수가 M6인 스테인리스제의 미터 보통 나사를 포함하고, 그 선단면의 전체에 부분 구면형의 선단 오목부(20E)를 형성한 도포체(13F)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도포체(13F)에 있어서의 선단 오목부(20E) 대신에, 선단면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을 형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6 ㎜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금속봉을 포함하고, 선단면의 전체에 부분 구면형의 선단 오목부(20E)를 형성한 도포체(13E)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1)
도 8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6 ㎜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금속봉을 포함하는, 선단면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26)을 형성하고, 더욱 선단으로부터의 거리(L2)가 1 ㎜의 위치에, 홈 폭(W1)이 1 ㎜, 깊이가 0.5 ㎜인 환형의 외주홈부(27)를 마련한 도포체(13G)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2)
도포체(13G)에 있어서의 외주홈부(27)의 형성 위치를, 선단으로부터의 거리(L2)를 3 ㎜의 위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3)
도포체(13G)에 있어서의 외주홈부(27)의 형성 위치를, 선단으로부터의 거리(L2)를 5 ㎜의 위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4)
도포체(13G)에 있어서의 외주홈부(27)의 홈 폭(W1)을 1.5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5)
도포체(13G)에 있어서의 외주홈부(27)의 홈 폭(W1)을 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6)
실시예 5. 1의 도포체(13G)에 대하여, 도 8g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13G)의 외주홈부(27)와 동일한 구성의 외주홈부(27)를, 상호 1 ㎜의 간격(L3)을 두고 2개 추가하여, 계 3개의 외주홈부(27)를 마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7)
실시예 5. 1의 도포체(13G)에 대하여, 도포체(13G)의 외주홈부(27)와 동일한 구성의 환형의 외주홈부를, 상호 1 ㎜의 간격(L3)을 두고 4개 추가하여, 계 5개의 외주홈부를 마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1과 동일하게 구성한 도포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반구형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직경2.6 ㎜의 봉형 부재(70a)의 선단부에, 고무제의 외장 부재(70b)를 피복한, 직경 6 ㎜의 도포체(70)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6 ㎜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금속봉을 포함하고, 선단면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탄면(71a)을 형성한 도포체(71)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도포액으로서, 점도가 80 m㎩·s인 실리콘계의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것을 트레이에 내장한 우레탄을 포함하는 액체 흡수재에 충전하고, 25℃의 실내에서, 다음과 같은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 1)
비교예 1, 2의 1개의 도포체와, 실시예 1, 2의 1개의 도포체(13, 13F)를 이용하여,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에 압박하여, 도포체의 선단으로부터 7 ㎜의 높이 위치까지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부착시킨 후, 1초간만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압박하여, 피도포면에 도포부(5A)를 형성한 경우와, 5초간만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압박하여, 피도포면에 도포부(5A)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포부(5A)의 직경을, 각각 5회 측정하였다. 그리고, 도포부(5A)의 직경의 평균값을 구하며, 압박 시간이 1초인 경우의 직경의 평균값과, 압박 시간이 5초인 경우의 직경의 평균값의 증가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선단 오목부(20)를 마련한 실시예 1의 도포체(13)와, 외주부에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하고, 선단부에 오목부(20E)를 마련한 실시예 2의 도포체(13F)는, 고무 피복한 비교예 1의 도포체(70) 및 선단을 평탄면으로 구성한 비교예 2의 도포체(71)와 비교하여, 누름 시간의 차이에 따른,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가 적은 것을 알았다. 또한, 외주부에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한 실시예 2의 도포체(13F)는, 외주부에 나사홈을 갖지 않는 실시예 1의 도포체(13)보다,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가 적은 것을 알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2의 도포체(13, 13F)는, 작업자에 의해 누름 시간이 다소 변동된 경우라도,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적게 하여, 똑같은 크기의 도포부(5A)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평가 시험 2)
실시예 2~4와 실시예 5. 1~5. 7과 비교예 2의 도포체를 이용하여, 도포체의 선단부를 액체 흡수재에 압박하여, 도포체의 선단으로부터 7 ㎜의 높이 위치까지 미끄럼 방지 처리 조성물을 부착시킨 후, 1초간만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압박하여, 피도포면에 도포부(5A)를 형성한 경우와, 5초간만, 도포체의 선단부를 피도포면에 압박하여, 피도포면에 도포부(5A)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피도포면에 대한 단위 도포액의 도포 전후의 도포체의 중량과 도포부(5A)의 직경을, 각각 5회 측정하였다. 그리고,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의 부착량의 평균값과, 도포부(5A)의 직경의 평균값을 각각 구하며, 압박 시간이 1초인 경우와 5초인 경우에 있어서의, 피도포면에 대한 도포액 부착량의 평균값의 증가율과, 도포부(5A)의 직경의 평균값의 증가율을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5에 나타낸다.
표 2로부터,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하며, 선단면에 선단 오목부(20E)를 형성한 실시예 2의 도포체(13F)는, 도포액의 부착량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보다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3과 같이, 선단면을 평탄면으로 구성하는 경우라도,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하면, 도포액의 부착량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4와 같이,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라도, 선단면에 선단 오목부(20E)를 형성하면, 도포액의 부착량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3이 실시예 4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선단 오목부(20E)보다 외주홈부(25) 쪽이, 편차의 저감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표 3~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5) 대신에,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7)를 형성한 실시예 5. 1~5. 7에 있어서도, 외주홈부(27)를 구비하지 않는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도포액의 부착량 및 도포부(5A)의 직경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환형홈을 포함하는 외주홈부(2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체의 선단부로부터 외주홈부(27)까지의 거리(L2)는, 1 ㎜ 이상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홈부(27)의 홈 폭(W1)은, 커짐에 따라 편차가 개선되기 때문에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홈부(27)의 개수는, 1개여도 좋지만, 될 수 있는 한 다수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도포구 2: 피도포면
2a: 볼록부 3: 액체 흡수재
4: 도포용 트레이 5: 단위 도포액
5A: 도포부 10: 도포구 본체
11: 케이싱 11a: 상벽부
11b: 측벽부 12: 지지판
12a: 평판부 12b: 장착부
12c: 상부 관통 구멍 12d: 상부 가이드 구멍
13: 도포체 14: 제1 가세 부재
15: 가이드 로드 15a: 볼트 머리부
15b: 나사부 16: 제2 가세 부재
17: 안내판 17a: 하부 관통 구멍
17b: 하부 가이드 구멍 18: 지지봉
18a: 돌기부 18b: 나사부
19: 도포용 튜브 20: 선단 오목부
21: 규제 너트 22: 너트 부재
23: 너트 부재 30: 조작부
31: 조작 로드 32: 베이스판
33: 연결부 13A: 도포체
18A: 지지봉 18Aa: 돌기부
20A: 선단 오목부 13B: 도포체
18B: 지지봉 18Ba: 단면
20B: 선단 오목부 13C: 도포체
18C: 지지봉 18Ca: 통부
18Cb: 돌기부 20C: 선단 오목부
13D: 도포체 18D: 지지봉
18Da: 통부 20D: 선단 오목부
13E: 도포체 18E: 지지봉
20E: 선단 오목부 13F: 도포체
18F: 지지봉 25: 외주홈부
13G: 도포체 18G: 지지봉
26: 평탄면 27: 외주홈부
40: 도포구 본체 41: 베이스 부재
13H: 도포체 18H: 지지봉
50: 도포구 51: 도포구 본체
52: 핸들 부재 53: 압박판
54: 상면판 55: 쿠션재
56: 지지판 57: 가이드 부재
58: 제2 탄성 부재 59: 안내 부재
60: 하부 프레임 61: 도포 유닛
70: 도포체 70a: 봉형 부재
70b: 외장 부재 71: 도포체
71a: 평탄면 50J: 도포구
56J: 지지판 65: 가이드판
66: 관통 구멍 67: 고착구
50K: 도포구 55K: 단위 쿠션재
56K: 단위 지지판 68: 절입부
2a: 볼록부 3: 액체 흡수재
4: 도포용 트레이 5: 단위 도포액
5A: 도포부 10: 도포구 본체
11: 케이싱 11a: 상벽부
11b: 측벽부 12: 지지판
12a: 평판부 12b: 장착부
12c: 상부 관통 구멍 12d: 상부 가이드 구멍
13: 도포체 14: 제1 가세 부재
15: 가이드 로드 15a: 볼트 머리부
15b: 나사부 16: 제2 가세 부재
17: 안내판 17a: 하부 관통 구멍
17b: 하부 가이드 구멍 18: 지지봉
18a: 돌기부 18b: 나사부
19: 도포용 튜브 20: 선단 오목부
21: 규제 너트 22: 너트 부재
23: 너트 부재 30: 조작부
31: 조작 로드 32: 베이스판
33: 연결부 13A: 도포체
18A: 지지봉 18Aa: 돌기부
20A: 선단 오목부 13B: 도포체
18B: 지지봉 18Ba: 단면
20B: 선단 오목부 13C: 도포체
18C: 지지봉 18Ca: 통부
18Cb: 돌기부 20C: 선단 오목부
13D: 도포체 18D: 지지봉
18Da: 통부 20D: 선단 오목부
13E: 도포체 18E: 지지봉
20E: 선단 오목부 13F: 도포체
18F: 지지봉 25: 외주홈부
13G: 도포체 18G: 지지봉
26: 평탄면 27: 외주홈부
40: 도포구 본체 41: 베이스 부재
13H: 도포체 18H: 지지봉
50: 도포구 51: 도포구 본체
52: 핸들 부재 53: 압박판
54: 상면판 55: 쿠션재
56: 지지판 57: 가이드 부재
58: 제2 탄성 부재 59: 안내 부재
60: 하부 프레임 61: 도포 유닛
70: 도포체 70a: 봉형 부재
70b: 외장 부재 71: 도포체
71a: 평탄면 50J: 도포구
56J: 지지판 65: 가이드판
66: 관통 구멍 67: 고착구
50K: 도포구 55K: 단위 쿠션재
56K: 단위 지지판 68: 절입부
Claims (11)
-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도포체와, 3개 이상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체의 선단부에, 도포액을 유지 가능한 유지 오목부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체를 상기 지지판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체는 하한 위치에 상시(常時) 개별적으로 가세(付勢)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도포체의 하단부보다 상방 위치와, 상기 도포체의 하단부보다 하방 위치에 걸쳐 이동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하방 위치측으로 상시 가세하는 가세 부재를 마련하며,
피도포면에 대하여 도포구의 본체를 위치 맞춤하여 배치하고, 상기 본체를 하측으로 누름 조작하여, 상기 가세 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체를 하강시켜, 상기 도포체에 유지한 상기 도포액을 상기 피도포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오목부로서, 상기 도포체의 선단면에 개구하는 선단 오목부를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오목부의 바닥부에, 상기 선단 오목부의 개구부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포체는, 상기 지지판에 돌출형으로 마련한 복수의 지지봉과, 상기 복수의 지지봉의 선단부에 각각 외장한 복수의 도포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포용 튜브의 선단부 내에 상기 선단 오목부를 각각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봉의 선단부에, 상기 선단 오목부의 개구부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첨예부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각각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오목부로서, 상기 도포체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개구하는 환형 또는 나선형의 외주홈부를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평탄한 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도포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포체의 적어도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판을, 상기 지지판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에 마련한 것인 도포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미끄럼 방지 처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도포구.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49079 | 2018-08-08 | ||
JP2018149079 | 2018-08-08 | ||
PCT/JP2019/031184 WO2020032126A1 (ja) | 2018-08-08 | 2019-08-07 | 塗布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7668A KR20210037668A (ko) | 2021-04-06 |
KR102626663B1 true KR102626663B1 (ko) | 2024-01-17 |
Family
ID=6941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3241A KR102626663B1 (ko) | 2018-08-08 | 2019-08-07 | 도포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491505B2 (ko) |
JP (1) | JP7070686B2 (ko) |
KR (1) | KR102626663B1 (ko) |
CN (1) | CN112534107B (ko) |
TW (1) | TWI786323B (ko) |
WO (1) | WO2020032126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13865A (ja) * | 2011-07-05 | 2013-01-24 | Ntn Corp | 液体塗布機構、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
WO2016117455A1 (ja) * | 2015-01-21 | 2016-07-28 | 日本電子精機株式会社 | 塗布装置と塗布方法、塗布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9305A (en) * | 1981-10-09 | 1986-02-11 | Ferco S.R.L. | Apparatus to provide the application of glue on preselected zones of printed circuit boards |
US4704305A (en) * | 1984-03-06 | 1987-11-03 | Northern Telecom Limited | Automatic solder paste application to circuit boards |
JPS60223193A (ja) | 1984-03-06 | 1985-11-07 | ノ−ザン・テレコム・リミテツド | 回路板にはんだペ−ストを塗布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US4946708A (en) * | 1988-11-18 | 1990-08-0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in transfer adhesive application for surface mount component processes |
JPH038246A (ja) | 1989-06-01 | 1991-01-16 | Futaba Corp | 平形発光装置の電子供給部 |
JPH038246U (ko) | 1989-06-14 | 1991-01-25 | ||
JPH0372157A (ja) | 1989-08-12 | 1991-03-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防滑建材 |
JPH0398669A (ja) | 1989-09-08 | 1991-04-24 | Seiko Epson Corp | 転写ヘッド |
JPH0491764U (ko) | 1990-05-31 | 1992-08-10 | ||
JPH0522061U (ja) | 1991-08-31 | 1993-03-23 | 太陽誘電株式会社 | ピン転写装置 |
JP4162086B2 (ja) * | 2003-08-26 | 2008-10-08 | Tdk株式会社 | 液体材料塗布方法 |
FR2929859B1 (fr) * | 2008-04-11 | 2012-10-19 | Dioscure |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formation de micro depots. |
JP6102936B2 (ja) * | 2012-11-02 | 2017-03-29 | コクヨ株式会社 | 塗布製品 |
JP2016061040A (ja) | 2014-09-17 | 2016-04-25 |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 床防滑処理方法及び防滑床構造並びに防滑床材 |
JP6749814B2 (ja) * | 2015-11-12 | 2020-09-02 | Ntn株式会社 | 高さ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塗布装置 |
CN205443872U (zh) | 2016-02-19 | 2016-08-10 | 朴美贞 | 用于在涂布用地板材料上形成防滑凹凸的滚筒装置 |
-
2019
- 2019-08-07 US US17/266,352 patent/US11491505B2/en active Active
- 2019-08-07 JP JP2020535845A patent/JP7070686B2/ja active Active
- 2019-08-07 CN CN201980051826.1A patent/CN112534107B/zh active Active
- 2019-08-07 WO PCT/JP2019/031184 patent/WO202003212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8-07 KR KR1020217003241A patent/KR1026266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08 TW TW108128267A patent/TWI786323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13865A (ja) * | 2011-07-05 | 2013-01-24 | Ntn Corp | 液体塗布機構、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
WO2016117455A1 (ja) * | 2015-01-21 | 2016-07-28 | 日本電子精機株式会社 | 塗布装置と塗布方法、塗布ユニ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86323B (zh) | 2022-12-11 |
US20210316327A1 (en) | 2021-10-14 |
JP7070686B2 (ja) | 2022-05-18 |
KR20210037668A (ko) | 2021-04-06 |
TW202019563A (zh) | 2020-06-01 |
US11491505B2 (en) | 2022-11-08 |
WO2020032126A1 (ja) | 2020-02-13 |
JPWO2020032126A1 (ja) | 2021-08-26 |
CN112534107A (zh) | 2021-03-19 |
CN112534107B (zh) | 2022-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36460B2 (en) | Anti-slip structure and composition for anti-slip treatment | |
CN1835825A (zh) | 用于处理表面的柔性成形片 | |
KR102626663B1 (ko) | 도포구 | |
ATE489029T1 (de) | Wischerplatte | |
CN102883644A (zh) | 地板研磨和清洁体 | |
EP1020159A3 (de) | Saugkopf für Bodenstaubsauger | |
US11284771B2 (en) | Wetting device for flat mops | |
JP4693119B2 (ja) | 一組の保持治具及び小型部品保持装置 | |
CN101647689A (zh) | 除尘地垫 | |
CN210719978U (zh) | 一种建筑土木用混凝土抗压强度检测装置 | |
TWI759285B (zh) | 防滑構造以及防滑處理用組成物 | |
CN209074077U (zh) | 一种浴室防滑垫 | |
CN111719792B (zh) | 一种隔热保温木塑墙板外挂安装施工方法 | |
CN203107066U (zh) | 一种防滑除尘垫 | |
KR102370834B1 (ko) | 주춧돌 거푸집의 이물질 제거 및 박리제 도포를 위한 장치 | |
CN201239123Y (zh) | 除尘地垫 | |
KR200419756Y1 (ko) | 먼지제거용 실리콘 매트 | |
WO2007097617A2 (en) | A floor to be installed on a base surface | |
SE2030031A1 (en) | Floor system | |
JP3081031U (ja) | 歩道用ソフト敷板 | |
JP2022160052A (ja) | 床 | |
JP6148693B2 (ja) | 床材及びその引き剥がし方法 | |
CN2491537Y (zh) | 一种伸缩式地板龙骨 | |
CN2933122Y (zh) | 清洁地刷 | |
CN107837063A (zh) | 医院用玻璃扶手擦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