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672B1 -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672B1
KR102625672B1 KR1020220183026A KR20220183026A KR102625672B1 KR 102625672 B1 KR102625672 B1 KR 102625672B1 KR 1020220183026 A KR1020220183026 A KR 1020220183026A KR 20220183026 A KR20220183026 A KR 20220183026A KR 102625672 B1 KR102625672 B1 KR 10262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hase
cosmetic composition
viscosity
t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655A (ko
Inventor
정철
박노영
손지현
김정범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제닉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제닉스
Priority to PCT/KR2022/0215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28614A1/ko
Publication of KR2023010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8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mphoteric or zwitter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인 연속상 내에 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수상인 연속상 내에 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이 안정한 분산상을 형성하여 차별화된 외관을 가지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int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ig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상인 연속상 내에 안료를 포함하는 오일 드롭 형태의 유상을 포함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수상인 연속상 내에 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이 안정한 분산상을 형성하여 차별화된 외관을 가지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기능성 화장품이 대두와 더불어 시각적 심미감과 차별화된 사용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감성적 수요를 반영하여, 비드 제형의 고유한 형태, 색상 또는 질감을 변형시켜, 시각적인 즐거움, 심미적 감성 및 화장의 즐거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토너, 로션, 크림과 같은 제형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피부에 도포시 새로운 질감을 제공하고, 시각적 차별화 및 새로운 심미적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오일 드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일 드롭은 액적의 크기가 최소 10㎛ 이상이 되어 콜로이드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서 오일은 함유량에서 차이만 있고 대부분의 제품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오일의 번들거림과 같은 사용감의 단점을 해소하고 유화 제형의 안정성을 가지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왔다. 그러나 합성 계면활성제는 피부 안전성이 점차 중요해지면서 제품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피부 자극의 우려 및 소비자 기피에 따라 무계면활성제 타입의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선행기술 1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분체를 사용하여 오일을 알코올 수용액에 분산시켜 오일이 알코올 수용액 상에 구상으로 존재하는 구상 액적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알루미늄 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알루미늄에 의한 피부 안전성의 문제가 있고, 알코올을 다량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알코올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 2는 오일 상에 분산된 구상 액적을 개시하고 있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구상 액적을 안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액적의 안정화를 위해 실리콘계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품군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소 10㎛ 이상의 입경의 구상 액적(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을 포함하고, 우수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지는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358호 (등록일: 1998.01.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3826호 (공개일: 2015.12.23)
본 개시의 목적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소 10㎛ 이상의 오일 드롭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지는 신규한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상인 수상 내에 10 내지 1000㎛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유상의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은 소수성 고분자, 오일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점탄성 유체이며, 상기 수상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25°C에서 6개월 동안 안정한 불투명 분산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는(ηw)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ηo < 28,000 cP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2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는 200 cP 이상 및 10,000 cP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는 8,000 cP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의 점도(ηo)는 40,000cP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 2,000 내지 6,000 cP의 범위에서 유상의 점도(ηo)는 8,000 cP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 500 내지 1,500 cP의 범위에서 유상의 점도(ηo)는 50 cp 이상 7500 cP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벤톤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C10-C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실록산계 중합체 또는 실록산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100 내지 20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TiO2, 탈크,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클레이 및 산화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성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소수성 고분자, 벤톤겔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오일 드롭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는(ηw)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 1]
ηo < 28,000 cP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2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상기 수상과 유상을 혼합할 때 수상 내의 염기에 의해 유상에서 수상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오일 드롭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오일 드롭 조성물에 포함되는 총 아크릴산계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소 10㎛ 이상의 오일 드롭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지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부드럽게 롤링되고 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제품으로 피부에 유수분 밸런스 잡아 보습력을 높여준다. 또한 촉촉하고 균일한 사용감으로 자연스러운 피부결을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며 높은 지속력을 갖고 있다.
도 1은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3은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하고, 중량%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차지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은 특정된 요소, 재료 또는 공정과 함께 열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이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기술적 사상에 허용할 수 없을 만큼의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 고점도를 나타내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고분자량의 중합체 사슬 내 가교점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 가교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실록산계 크로스폴리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점도는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cP(centipoise)의 단위를 가진다.
본 발명자들은 유상과 수상이 특정 점도 관계를 형성할 때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최소 10㎛ 이상의 유상의 오일 드롭이 수상 내에서 우수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점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연속상인 수상 내에 10 내지 1000㎛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유상의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은 소수성 고분자, 오일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점탄성 유체이며, 상기 수상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25°C에서 6개월 동안 안정한 불투명 분산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상의 점도가(ηw)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ηo < 28,000 cP
상기 식 1에서, ηo은 30,000 cP미만, 28,000 cP미만, 27,000 cP미만, 26,000 cP미만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000 cP미만일 수 있다.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1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a는 1 내지 1.1이며 b는 0.75 이하의 값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a는 1.01 내지 1.06, 1.02 내지 1.04 또는 1.0322이며, b는 0.75 이하, 0.7 이하, 0.68 이하, 0.65 이하, 0.6 이하, 0.612 이하 또는 0.58 이하이며, 하한으로는 0 이상일 수 있다. 또는 a는 1 내지 1.1, 1.01 내지 1.06, 1.02 내지 1.04 또는 1.0322이며, b는 0 내지 0.75, 0 내지 0.7, 0 내지 0.68, 0 내지 0.65, 0 내지 0.6, 0 내지 0.612 또는 0 내지 0.58일 수 있다.
상기 틴트형 화장물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 드롭은 상기 식 2의 점도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10 내지 1000㎛의 비교적 큰 평균 입경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합일(coalescence) 등의 현상이나 상분리가 되지 않고 안정한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상의 점도는 하한으로 200 cP 이상, 300 cP 이상, 400 cp 이상, 또는 500 cP 이상 일 수 있으며, 상한으로 20,000 cP 이하, 15,000 cP 이하, 12,000 cP 이하, 10,000 cP 이하, 8,000 cP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상의 점도는 200 내지 20,000 cP, 200 내지 10,000 cP, 300 내지 10,000 cP, 400 내지 10,000 cP, 또는 500 내지 8,000 cP일 수 있다.
상기 유상의 점도(ηo)는 100,000 cP 이하, 50,000 cP 이하, 40,000 cP 이하, 또는 30,000 cP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의 점도는 50 내지 100,000 cP, 75 내지 50,000 cP,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40,000 cP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수상의 점도(ηw)가 2,000 내지 6,000 cP의 범위일 때, 유상의 점도(ηo)는 8,000 cP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상의 점도는 9,000 cP 이상, 10,000 cP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상의 점도(ηw)가 500 내지 1,500 cP인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50 cp 이상 7500 cP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상의 점도는 50 내지 7,000 cP, 70 내지 6,000 cP, 80 내지 5,500 cP, 100 내지 5,000 cP일 수 있다.
수상과 유상이 상술한 정도 범위를 동시에 만족함에 따라 오일 드롭의 콜로이드 안정성이 높아 침전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장기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상과 유상의 부피비는 수상이 유상에 비해 동일하거나 더 많은 부피로 포함되는 범위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50 : 50 내지 99 : 1, 55 : 45 내지 95 : 5, 55 : 45 내지 90 : 10, 60 : 40 내지 90 : 10, 70 : 30 내지 90 : 10일 수 있다.
상기 오일 드롭의 평균 입경은 하한으로 10 ㎛이상, 100 ㎛이상, 150 ㎛이상, 상한으로 10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000 ㎛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00 내지 600 ㎛, 또는 150 내지 500 ㎛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오일 드롭의 평균 입경이 커질수록 분산상의 안정성이 매우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100 ㎛ 이상, 즉 102 ㎛ 오더 입경의 오일 드롭이 수상 내에 매우 현저한 분산 안정성을 가지며 우수한 외관을 가진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아크릴산 잔기를 구조단위에 포함하는 수용성 중합체로서 소수성 치환 아크릴산계 중합체일 수 있다. 소수기 치환 아크릴산계 중합체로는 장쇄 알킬기 치환 아크릴산계 중합체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메타)아크릴산 및 C10-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수상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메타)아크릴산은 염기성 화합물로 후속적인 중화과정에 의해 탈양성자화(deprotonation)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의 하한은 1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상, 100,000 g/mol 이상 또는 200,000 g/mol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은 10,000,000 g/mol 이하, 5,000,000 g/mol 이하 또는 1,00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100,000 내지 5,000,000 g/mol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 0.05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으나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점도의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범위내라면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실록산계 중합체 또는 실록산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공중합체 또는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디메티콘(Dimethicone),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소수성 고분자로 실록산계 엘라스토머가 선택됨에 따라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이 현저히 우수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유상에 포함된 안료가 피부 도포 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사용감과 피부색 표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조성물 내에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100 내지 20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은 벤톤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톤겔은 구체적으로 Cyclopentasilox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LIZDA), Octyldodecanol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Isopropyl Myristate (and) Stearalk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Isododec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Hydrogenated Polyisobute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Hydrogenated Polyisobute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Alcohol Phenyl, Trimethico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Triethyl Citrate, Cyclopentasilox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Alcohol, Caprylic/Capric Triglyceride (and) Stearalk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Isohexadec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Isopropyl Myristate (and) Stearalk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Hydrogenated Polyisobute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Alcohol Phenyl, Trimethico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Triethyl Citrate, C12-15 Alkyl Benzoate (and) Stearalkonium, 및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벤톤겔의 함량은 유상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톤겔의 함량은 상기 소수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100 중량부, 구체적으로 50 내지 8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에 포함돠는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silicone oil),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광물계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오일 또는 실리콘계 오일과 비실리콘계 오일의 혼합물,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에스테르계 오일과 비에스테르계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선형 실리콘계 오일 및 고리형 실리콘계 오일 등에서 제한되지 않고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디메치콘, 페닐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 페닐폴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좋게는, 디메치콘, 페닐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C10-20알칸,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좋게는, C13-15알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광물계 오일은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에스테르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지방족 오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상은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고, 수상과 혼합하여 교반 시 벽면에 오일이 코팅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공정상의 이점을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일을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에 더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도포할 시, 부드럽게 롤링되고 피부의 건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보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상은 천연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오일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유자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오렌지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레몬 오일, 잣 오일, 호호바씨 오일, 올리브 오일, 티트리 오일, 포도씨 오일, 햄프씨 오일, MCT 오일, 녹차씨 오일, 코코넛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다마스크장미꽃 오일, 브라질넛씨 오일, 드럼스틱씨 오일, 자몽씨 오일, 콩 오일 및 바닐라열매 오일 등의 식물계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유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한으로 60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하한으로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5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은 안료를 포함하며, 안료를 포함함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 드롭은 불투명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착색용 안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무기 또는 유기 안료, 합성안료 및 체질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 안료일 수 있으나, 화장료에 사용되는 공지의 안료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안료라면 제한하지 않으나, TiO2, 탈크,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클레이 및 산화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평균 입경은 0.01㎛ 내지 5㎛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유상 총 중량에 대해 상한으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하한으로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중량% 내지 5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벤톤겔, 오일, 엘라스토머 및 안료가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됨에 따라 오일 드롭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시 균일한 안료 분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의 함량은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1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 및 벤톤겔 혼합물의 함량은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250 중량부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60 내지 2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4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250 내지 4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벤톤겔의 함량은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벤톤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60 중량부 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유화 시스템 및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콜로이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량의 알코올을 함유하거나, 계면활성제를 포함해야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현저히 우수한 피부 안전성을 가질 수 있고, 소비자의 선호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작용효과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범위 내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순물 또는 기타 공지의 부가적 작용효과를 위해 미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또는 0.00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하한으로는 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화를 위한 계면활성제는 유화상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저분자량의 양이온,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분자량 5000 g/mol 이하, 분자량 2000 g/mol 이하 또는 분자량 1000 g/mol 이하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드롭 간의 합일을 방지하여 수상에 유상인 오일 드롭이 안정하게 분산되며, 저온은 물론 고온에서도 경시변화에 불리함 없이 안정적인 분산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조방법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성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소수성 고분자, 벤톤겔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오일 드롭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는(ηw)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ηo < 28,000 cP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2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a는 1 내지 1.1이며 b는 0.75 이하의 값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a는 1.01 내지 1.06, 1.02 내지 1.04 또는 1.0322이며, b는 0.75 이하, 0.7 이하, 0.68 이하, 0.65 이하, 0.6 이하, 0.612 이하 또는 0.58 이하이며, 하한으로는 0 이상일 수 있다. 또는 a는 1 내지 1.1, 1.01 내지 1.06, 1.02 내지 1.04 또는 1.0322이며, b는 0 내지 0.75, 0 내지 0.7, 0 내지 0.68, 0 내지 0.65, 0 내지 0.6, 0 내지 0.612 또는 0 내지 0.58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수상 및 유상에 포함되는 성분 및 함량 등의 구체적인 설명은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수성 원료 공급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유상의 원료를 일정 압력을 통해 수송관(200)을 통해 항온조(400)로 연속 공급한다. 공급된 유상의 원료는 낙하하여 교반부(100)에 의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오일 드롭이 제조된다.
상기 수상에 포함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점도 상승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유상은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수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와 동일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크릴산계 중합체가 양성자화됨에 따라 유상 내에 완전한 용해는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일정한 수준의 분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수상과 유상을 혼합할 때 수상 내의 염기에 의해 유상에서 수상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오일 드롭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수상과의 혼합에 의해 유상 내에 분산되어 있던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완전히 탈양성자화 또는 부분적으로 탈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구조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소수성기로 치환되어 있음에 따라 수상과 유상의 계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의 안정화 및 이에 따른 안정한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내에 용해되어 있는 아크릴산계 중합체에 의해서만 달성되기는 어렵다.
일 예로,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총 아크릴산계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해 하한으로는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상한으로는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1 내지 5 중량%, 2 내지 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하기에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일부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roup I: 실시예 및 비교예]
아크릴산계 중합체로서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INCI)을 사용하고, 수산화칼륨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상온에서 제조하였다. 수상의 pH는 6.8로 조절하였다. 유상의 제조를 위해 소수성 고분자로서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고, 점도를 위해 벤톤겔류를 그리고 오일로는 실리콘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을 사용하고, 안료로는 TiO2,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또는 황색 산화철 유상 총 중량에 대하여 35 중량%를 사용하였으며, 틴트형 화장물 조성물에 포함되는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INCI)의 총 중량 중 3중량%를 추가적으로 수상에 분산하였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조합의 소수성 고분자, 오일, 안료 및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25°C에서 교반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된 수상과 유상은 하기 표와 같고, 수상과 유상의 부피비는 85:15이 되도록 하였으며 수상과 유상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나는 점도가 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Sam. 1 내지 12은 엘리스토머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and)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Cyclopentasiloxa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벤톤겔로 Cyclopentasilox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오일로는 Isononyl Isononanoate을 사용하였다. Sam. 13 내지 Sam. 34은 엘리스토머로서 C13-15알칸/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C13-15 Alka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벤톤겔로 Cyclopentasilox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오일로는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오일을 사용하였다. Sam. 35 내지 Sam. 64는 엘리스토머로서 아이소도데케인/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Isododeca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엘라스토머, 벤톤겔로 Cyclopentasiloxane (and) Disteardimonium Hectorite (and) Propylene Carbonate, 오일로는 Isononyl Isononanoate과 올리브 오일의 혼합 오일 을 사용하였다. 안료로는 Sam. 1 내지 Sam. 64에서 유상 총 중량에 대하여, TiO2 24.3 중량%, 적색 산화철 0.41 중량%, 흑색 산화철 0.17 중량% 및 황색 산화철 1.97 중량%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점도는 BROOKFIELD AMETEK(#62~#64, 12RPM, 1min)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수상에 상기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10분간 교반 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오일 드롭 형태로 분포된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Sam. 18에 해당하는 실시예에서 수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 대신 잔탄검(Xanthan gum, G1253 Sigma-Aldrich)을 사용하고, 수산화칼륨 없이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상온에서 용해한 후 2,100 cp의 점도를 가지는 수상을 제조하고,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잔탄검의 총 중량 중 3중량%를 추가적으로 유상에 분산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Sam. 35에 해당하는 실시예에서 수상에 포함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 대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H7509 Sigma-Aldrich)을 사용하고, 수산화칼륨 없이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상온에서 용해한 후, 3,900 cp의 점도를 가지는 수상을 제조하고,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HPMC의 총 중량 중 3중량%를 추가적으로 유상에 분산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Group II: 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Group I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상과 유상의 부피비가 70:30이 되도록 하고, 수상과 유상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함량은 표 2와 같이 조절하여 한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오일 드롭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오일 드롭의 평가]
Group I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오일 드롭의 평가는 하기 표 1과 같고, Group II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오일 드롭의 평가는 하기 표 2와 같다.


유상 점도 (cP)

100

5,000

10,000

25,000

28,000

32,000

40,000

50,000

수상 점도(cP)

100


(Sam.1)


(Sam.2)


(Sam.3)


(Sam.4)

X
(Sam.5)

X
(Sam.6)


(Sam.7)


(Sam.8)

1,000


(Sam.9)


(Sam.10)


(Sam.11)


(Sam.12)

X
(Sam.13)

X
(Sam.14)


(Sam.15)


(Sam.16)

2,000


(Sam.17)


(Sam.18)


(Sam.19)


(Sam.20)


(Sam.21)

X
(Sam.22)


(Sam.23)


(Sam.24)

3,000


(Sam.25)


(Sam.26)


(Sam.27)


(Sam.28)


(Sam.29)

X
(Sam.30)


(Sam.31)


(Sam.32)

4,000


(Sam.33)


(Sam.34)


(Sam.35)


(Sam.36)


(Sam.37)

X
(Sam.38)


(Sam.39)


(Sam.40)

5,000


(Sam.41)


(Sam.42)


(Sam.43)


(Sam.44)


(Sam.45)

X
(Sam.46)


(Sam.47)


(Sam.48)

6,000


(Sam.49)


(Sam.50)


(Sam.51)


(Sam.52)


(Sam.53)


(Sam.54)


(Sam.55)


(Sam.56)

8,000


(Sam.57)


(Sam.58)


(Sam.59)


(Sam.60)


(Sam.61)


(Sam.62)


(Sam.63)


(Sam.64)


유상 점도 (cP)

100

5,000

10,000

25,000

40,000

50,000





수상
점도
(cP)

100


(Sam.65)


(Sam.66)


(Sam.67)


(Sam.68)


(Sam.69)


(Sam.70)

1,000


(Sam.71)


(Sam.72)


(Sam.73)


(Sam.74)


(Sam.75)


(Sam.76)

2,000


(Sam.77)


(Sam.78)


(Sam.79)


(Sam.80)


(Sam.81)


(Sam.82)

4,000


(Sam.83)


(Sam.84)


(Sam.85)


(Sam.86)


(Sam.87)


(Sam.88)

8,000


(Sam.89)


(Sam.90)


(Sam.91)


(Sam.92)


(Sam.93)


(Sam.94)
상기 표 1 및 2에서 ○는 오일 드롭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는 오일 드롭이 형성되지만 입경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에멀젼과 같은 조성물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고, Ⅹ는 오일 드롭이 형성되지 않고 상분리가 되거나 띠와 같은 형태로 분산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상의 점도(ηw) 2,000 내지 5,000 cP의 범위에서 실시예에 해당하는 Sam.19, Sam.20, Sam.27, Sam.28, Sam.35, Sam.36, Sam.43, Sam.44은 모두 식 1을 만족함에 따라 안정한 오일 드롭이 제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에 해당하는 Sam. 1 내지 Sam.8의 경우 수상의 점도가 낮아 오일 드롭이 형성되지 않고 바로 상분리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 1을 만족하되 수상의 점도(ηw) 2,000 내지 6,000 cP의 범위에서 유상의 점도(ηo)가 8,000 cP 미만에 해당하는 Sam.17, Sam.18, Sam.25, Sam.26, Sam.33, Sam.34, Sam.41, Sam.42, Sam.49, Sam.50의 경우 안정한 오일 드롭이 얻어졌으나, 에멀젼과 같이 입경이 10㎛ 이하의 매우 작은 오일 드롭이 얻어졌다. 즉 개별 오일 드롭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고, 전체적인 외관이 탁하여 시각적 효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상의 점도(ηw) 1,000 이상 2,000 cP 미만의 범위 및 5,000 초과 8,000 이cP 이하의 범위에서, 실시예에 해당하는 Sam.9, Sam.10, Sam.51, Sam.52, Sam.53, Sam.54는 식 2를 만족함에 따라 안정한 오일 드롭이 제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은 오일 드롭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10 ㎛ 이상의 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이 제조되고, 현저히 우수한 안정성 및 우수한 외관을 나타내는 틴트형 오일 드롭이 제조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수상과 유상의 부피비를 달리하여 실험한 Group II의 오일 드롭의 평가 결과는 Group I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식 1 및 식 2에 의해 수상과 유상의 부피비에 무관하게 안료가 포함된 오일 드롭의 안정성이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교반부 200 : 수송관
300 : 공급부 400 : 항온조

Claims (17)

  1. 연속상인 수상 내에 10 내지 1000㎛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유상의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은 소수성 고분자, 오일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점탄성 유체이며,
    상기 수상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25°C에서 6개월 동안 안정한 불투명 분산상을 형성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ηw)는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식 1]
    ηo < 28,000 cP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2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는 200 cP 이상 및 10,000 cP 이하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는 8,000 cP 미만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의 점도(ηo)는 40,000cP 이하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 2,000 내지 6,000 cP의 범위에서 유상의 점도(ηo)는 8,000 cP 이상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ηw) 500 내지 1,500 cP의 범위에서 유상의 점도(ηo)는 50 cp 이상 7500 cP 이하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벤톤겔을 더 포함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C10-C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실록산계 중합체 또는 실록산계 공중합체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100 내지 20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TiO2, 탈크,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클레이 및 산화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14.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성 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소수성 고분자, 벤톤겔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오일 드롭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는(ηw) 2,000 내지 5,000 cP의 제1점도 범위에서는 유상의 점도(ηo)가 식 1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점도 범위 외의 제2점도 범위에서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식 1]
    ηo < 28,000 cP
    [식 2]
    log(ηo) < alog(ηw)+b
    상기 식 2에서 a는 1 내지 1.18이며 b는 0.8 이하의 값을 가진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상기 수상과 유상을 혼합할 때 수상 내의 염기에 의해 유상에서 수상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오일 드롭을 안정화시키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에 포함되는 양성자화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오일 드롭 조성물에 포함되는 총 아크릴산계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83026A 2021-12-28 2022-12-23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519 WO2023128614A1 (ko) 2021-12-28 2022-12-28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9156 2021-12-28
KR1020210189156 202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655A KR20230100655A (ko) 2023-07-05
KR102625672B1 true KR102625672B1 (ko) 2024-01-16

Family

ID=871588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026A KR102625672B1 (ko) 2021-12-28 2022-12-23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83053A KR102635395B1 (ko) 2021-12-28 2022-12-23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85406A KR102644826B1 (ko) 2021-12-28 2022-12-27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오일 캡슐 겔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053A KR102635395B1 (ko) 2021-12-28 2022-12-23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85406A KR102644826B1 (ko) 2021-12-28 2022-12-27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오일 캡슐 겔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25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2835B (zh) * 2024-01-17 2024-03-22 广州悦瑞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油珠精华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81B1 (ko) * 2016-10-27 2018-04-10 윤기훈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53559B1 (ko) 2018-09-03 2019-03-04 주식회사 펠리즈코스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58B1 (ko) 1994-11-15 1998-04-23 한동근 구상 액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5651B1 (ko) * 2011-07-25 2017-08-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상으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7847B1 (ko) * 2011-11-18 2018-06-19 코웨이 주식회사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04644B1 (fr) 2013-04-19 2015-08-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phase huileuse comprenant un elastomere de silicone en suspension aqueuse et un tensioactif particulier.
KR102498845B1 (ko) * 2015-12-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KR101994619B1 (ko) * 2017-11-29 2019-07-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5B1 (ko) * 2018-10-31 2023-09-06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81B1 (ko) * 2016-10-27 2018-04-10 윤기훈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53559B1 (ko) 2018-09-03 2019-03-04 주식회사 펠리즈코스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395B1 (ko) 2024-02-13
KR20230100674A (ko) 2023-07-05
KR20230100655A (ko) 2023-07-05
KR20230100656A (ko) 2023-07-05
KR102644826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20789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EP3003491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associative polyurethane and a hydrophobic coated pigment
KR20100059905A (ko) 폴리알킬옥실렌 가교결합된 실리콘 탄성중합체에서 나온 실리콘-유기 겔을 함유하는 개인 관리 조성물
US11318074B2 (en)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R3073146A1 (fr) Composition a effet lumineux et satine comprenant des particules de cellulose, du nitrure de bore et des nacres satinees
US11696886B2 (en) Cosmetic
US9931293B2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136B1 (ko) 윤기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46A (ko) 피부 위 전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778A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75789A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1179317B2 (en) Cosmetic product in the form of a foam and make-up method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8545B1 (ko)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649A (ko) 남성용 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47799A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57085B1 (ko)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