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545B1 -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545B1
KR102378545B1 KR1020170053641A KR20170053641A KR102378545B1 KR 102378545 B1 KR102378545 B1 KR 102378545B1 KR 1020170053641 A KR1020170053641 A KR 1020170053641A KR 20170053641 A KR20170053641 A KR 20170053641A KR 102378545 B1 KR102378545 B1 KR 10237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wax
weight
high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920A (ko
Inventor
황현민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5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30중량% 이상 내지 80중량% 이하의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하고, 이에 더하여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왁스를 포함하여 끈적이는 사용감이 개선된, 수중유형의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함량의 유상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면서도, 끈적임이 개선된,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COSMETIC EMULSION COMPRISING HIGH CONTENT OF INTERNAL OIL PHASE}
본 발명은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내상인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내지 80중량% 이하의 유상을 내상으로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때 사용 감촉을 향상시킬 목적뿐만 아니라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소비자들의 오일 함유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대폭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제품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부 소비자들은 충분한 유분감을 느끼지 못하고 제품을 계속 덧바르며 사용하거나 크림과 오일을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일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기초 화장료 제형은 크림 제형이나, 크림 제형도 제조 중 전상이나 제조 후 유화 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오일의 함량은 30중량% 정도로 제한된다. 또한, 오일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화장료에 포함되는 유화제나 유화 안정제의 함량도 증가하여 피부 자극 등 면에서 우려가 있다. 유화가 불안정한 유화계에서는 유화 입자 간 응집이나 합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응집이나 합일이 일어난 제형은 점도나 경도의 변화 등 물성이 바뀌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사용감의 변화가 나타나고 심지어 유상과 수상의 층이 나뉘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고함량의 유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입자 크기를 작게 만들어 출시된 제품도 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압 유화라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 유화 입자의 크기를 수백 나노 단위로 작게 만들어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유화 공정보다 제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제조 후에는 오스발트 라이프닝이라는 새로운 안정성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설사,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된다고 해도, 피부 도포시 끈적임이 주는 불편한 사용감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함량의 유상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면서도, 끈적임이 개선된,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함량의 유상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면서도, 끈적임이 개선된,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상성분으로,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 및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성분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이다.
외상이 수상이고 내상이 유상인 타입이다. 유상에는 유상성분이 포함되고, 수상에는 수상성분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고함량으로 유상성분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상성분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 5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고함량으로 오일을 포함한다. 유상성분의 총 중량 대비 고함량으로 오일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 ~ 75 중량%이고, 유상성분의 총 중량 대비 50 ~ 99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 성분은 당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며, 예컨대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탄화수소계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보다 구체적으로,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C12-15알킬벤조에이트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라놀린 등의 동물성 오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유화제'는 서로 혼합하지 않는 2가지 상(유상과 수상)이 안정적으로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분자 내에 친수기와 친유기 양쪽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화제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다. 특히,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므로, 유화 입자 간 간격이 좁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화제에 포함된 소수성 말단기가 모두 동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데 참여하면, 유화 입자 주변으로 친수성기 루프가 형성되고 이러한 친수성기 루프 간에 입체 장애가 발생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화제에 포함된 소수성 말단기가 모두 동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데 참여하면 유화 입자 주변으로 루프가 형성되며 꽃 모양과 같은 구조 (flower-like structure)를 띄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를 사용하면, 유화 입자의 이동이 제한되고 유화 입자 간 존재하는 친수성기 부분으로 인해 유화 입자 간 충돌이 억제되어, 유화 입자 간 응집이나 합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화제가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사슬형 구조를 띈다.
상기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에는 양 말단이 소수성기인 트리블락코폴리머(Tri-block copolymer)가 포함된다. 당업계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양 말단이 소수성기인 트리블락코폴리머(Tri-block copolymer)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190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250 디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800 디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유화제로써,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온도 안정성이 유지된데에 반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온도 안정성을 갖지 못하고 고온 조건에서 상분리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01 ~ 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 0.01 ~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효과적인 유화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피부에 자극이 있을 수 있고 끈적한 사용감으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체 유화제 중 상기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를 제외한 유화제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이 때, 전체 유화제에서의 '유화제'는 상술한 유화제의 정의를 만족하는 성분이면 모두 포함되고 화장료 내에서 유화제 외에 다른 기능을 겸하는 성분도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 0 중량%로 포함되는 것(즉,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상성분으로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왁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를 유상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고함량의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임에도 불구하고, 경시 안정성이 유지되는 우수성이 있는 반면에, 내상이 쉽게 깨어져 나오지 못해 피부 도포시 끈적임과 걸리는 느낌으로 불편한 사용감을 주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당업계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성분으로 포함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유상성분으로 3종의 왁스 (즉,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를 첨가하면, 피부 도포시 내상이 깨져 나오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결과적으로 사용감 개선에 현저히 우수한 효가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종의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끈적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고 5 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내상이 너무 쉽게 깨져 나와 상분리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 대비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왁스'의 중량비는 100:1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2:1이다. 100:1 미만이면 끈적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고, 2:1 초과이면 내상이 너무 쉽게 깨져 나와 상분리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성분에는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당업계에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성분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 유분, 극성 유분, 비극성 유분 등의 액상 유분, 고형 유분, 반고형 유분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콘 유분으로서는,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등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유분으로서는, 예컨대 디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피발산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옥탄산 세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이소팔미트산 옥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데실, 숙신산2-에틸헥실, 세바스산디에틸, 에틸헥산산 세틸 등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비극성 유분으로서는, 예컨대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파라핀, 이소헥사데칸 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고형 유분으로서는, 예컨대 카카오지, 야자유, 마유,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파라핀 왁스(직쇄탄화수소), 미세결정질 왁스(분지쇄 포화탄화수소), 세레신 왁스, 목랍, 피셔트롭쉬 왁스 등의 탄화수소류, 밀랍,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라이스 왁스), 경랍, 호호바유, 겨왁스, 몬탄 왁스, 케이폭 왁스, 베이베리 왁스, 셸락 왁스,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경질 라놀린,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왁스류,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고급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반고형 유분으로서는, 예컨대 바세린, 라놀린, 시어 버터, 부분 수첨 야자유 등의 식물지, 부분 수첨 호호바유,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테트라(베헨산/벤조산/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마카데미아너트유폴리글리세릴-6-에스테르즈베헤네이트,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베헤닐), 헥사옥시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성분에는 당업계에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성분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제수를 포함하는 용제, 보습제,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수용성 약제, 중화제,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수중유형의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분산제, 분체, 보습제, 증점제, 분말, 알코올,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당류, 산화 방지제, 완충제, 각종 추출액, 안정화제, 방부제, 색소 또는 향료 등의 성분을 적당량 배합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패취 또는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 유상부에 피막제,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 및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왁스를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키는 단계; (s2) 수상부에 상기 유상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 및 (s2) 단계는 60~8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함량의 유상성분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면서도, 끈적임이 개선된, 유상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트리블락코폴리머 계열의 유화제가 루프를 형성하며 유화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트리블락코폴리머 계열의 유화제가 사슬 형태의 구조를 띄며 유화 입자간에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험 예 및 실시 예 등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예 및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방법으로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단위 중량 %).
1) 유상성분을 75℃로 가온하여 혼합하였다.
2) 수상성분을 70℃로 가온하여 혼합하였다.
3) 상기 2)의 수상성분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교반하며 1)의 유상성분을 천천히 투입한 뒤 5분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4) 이후 교반하면서 후첨 성분을 넣고 호모게나이저 5000 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5) 완전 교반한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원료명 (중량 %)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상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1,2-헥산디올 1 1 1 1
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
유상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5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15 15 15 15
6 마카다미아씨오일 25 25 25 25
7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1
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1.5
9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5 1.5
후첨 10 트로메타민 0.8
<실험예 1-1>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확인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 3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조성물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시료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여부
실시예 1 양호
비교예 1 양호
비교예 2 양호
비교예 3 상분리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해 제조된 실시예 1은 양호한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해 제조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도 양호한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던데 반해,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완충제인 트로메타민 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 중 유상과 수상 간의 상분리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안정성 평가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제조일로부터 3일간 50℃, 45℃, 40℃ 의 고온조건과 상온조건에서 제형의 안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시료 판정결과
고온 상온
실시예 1 안정 안정
비교예 1 분리 분리
비교예 2 분리 안정
그 결과,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해 제조된 실시예 1은 상온 조건은 물론이고 고온 조건 하에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고온 조건 하에서 제형의 분리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내상 중 포함하는 왁스 성분에 따른 사용감 차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함량의 내상 중 왁스 성분을 달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은 하기 표 4 및 표 5와 같다 (단위 중량 %).
원료명 (중량 %)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수상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1,2-헥산디올 1 1 1 1
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4 0.04 0.04 0.04
유상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5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15 15 15 15
6 마카다미아씨오일 25 25 25 25
7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1 1 1 1
8 세레신왁스 0.5
9 파라핀왁스 0.5
10 카나우바왁스 0.5
후첨 11 트로메타민 0.025 0.025 0.025 0.025
원료명 (중량 %)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수상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1,2-헥산디올 1 1 1 1
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4 0.04 0.04 0.04
유상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25
5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15 15 15 15
6 마카다미아씨오일 25 25 25 25
7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1 1 1 1
8 세테아릴알코올 0.5
9 스테아릭애씨드 0.5
10 비즈왁스 0.5
1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0.5
후첨 12 트로메타민 0.025 0.025 0.025 0.025
<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다음의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피부에 동일량의 실시예 2-5 및 비교예 4-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후, 내상이 깨져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내상이 깨져 나오기 전 느껴지는 끈적임의 정도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 에 기재하였다.
시료 내상이 깨져 나오는데 걸리는 시간 내상이 깨져 나오기 전 느껴지는 끈적임*
실시예 2 7초 4
실시예 3 2초 1
실시예 4 3초 1
실시예 5 1초 미만 1
비교예 4 8초 4
비교예 5 7초 5
비교예 6 9초 5
비교예 7 8초 4
* 1: 끈적임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2: 끈적임이 적게 느껴진다.
3: 끈적임이 느껴진다.
4: 끈적임이 상당히 느껴진다.
5: 끈적임이 심하게 느껴진다.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성분에는 차이가 없고, 왁스를 전혀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2, 세테아릴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4, 스테아릭애씨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5, 비즈왁스를 포함하는 비교예 6,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포함하는 비교예 7의 경우, 내상이 깨져 나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5초 미만으로 고함량의 유상을 포함하는데도 불구하고 끈적임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이에 반해, 세레신왁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3, 파라핀왁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4, 및 카나우바왁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5의 경우에는 내상이 깨져 나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결과적으로 끈적임이 상당히 혹은 심하게 느껴졌다.

Claims (6)

  1. 유상성분으로, 2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와 또 다른 1개 이상의 소수성 말단기가 각각 다른 유화 입자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유화 입자 간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왁스;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성분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이고,
    상기 오일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0 초과 내지 75 이하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는 양 말단이 소수성기인 트리블락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양 말단이 소수성기인 트리블락코폴리머는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190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250 디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800 디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소수성기 말단을 갖는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KR1020170053641A 2017-04-26 2017-04-26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KR10237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41A KR102378545B1 (ko) 2017-04-26 2017-04-26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41A KR102378545B1 (ko) 2017-04-26 2017-04-26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20A KR20180119920A (ko) 2018-11-05
KR102378545B1 true KR102378545B1 (ko) 2022-03-23

Family

ID=6432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41A KR102378545B1 (ko) 2017-04-26 2017-04-26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20B1 (ko) * 2019-11-15 2021-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923B1 (ko) * 2008-05-14 2015-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20789B1 (ko) * 2014-11-12 2020-06-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7064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20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196B1 (ko)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용 조성물
US8034755B2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EP0763354B1 (en) Oil/water mixture composition
WO199600310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du type huile dans l&#39;eau
DE19924277A1 (de) Zubereitungen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und Siliconemulgatoren und gegebenenfalls kationischen Polymeren
KR102498845B1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JP6281744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00400027C (zh) 基于脂肪醇的乳化组合物
JP2009126791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561010B1 (ko) 유중 수형 유화화장료
CN109908027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2012207000A (ja) 水中油型化粧料
KR102349895B1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JP583381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8545B1 (ko)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CN112807234A (zh) 具有流动性以及稳定性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JP2001002521A (ja) 転相感の優れた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12133685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327220B1 (ko)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TW201336519A (zh) 高內水相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8094811A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CN113286573A (zh) 包含分散在固体连续水相中的无水球状体的固体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