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220B1 -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220B1 KR102327220B1 KR1020200030276A KR20200030276A KR102327220B1 KR 102327220 B1 KR102327220 B1 KR 102327220B1 KR 1020200030276 A KR1020200030276 A KR 1020200030276A KR 20200030276 A KR20200030276 A KR 20200030276A KR 102327220 B1 KR102327220 B1 KR 1023272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g
- dimethicone
- cross polymer
- water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수상을 포함하면서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의 제조 공정에서 바람직한 유동도를 형성하여 고온에서의 충진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함량의 내수상으로 인해 사용시 워터-드롭 효과가 우수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내수상을 포함하면서 유동성이 우수하고 고온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킨케어적인 요소가 결합된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에센스 팩트와 같이 청량한 보습감을 부여하고 동시에 화장 효과가 뛰어난 제품들이 각광받고 있다. 에센스 팩트는 기존의 스킨커버 또는 투웨이케익과 같이 왁스, 에몰리언트 오일, 또는 파우더가 혼합된 형태의 팩트 타입의 외관을 갖는다. 따라서, 에센스 팩트는 화장법이 간단하고, 왁스 특유의 밀착력과 피막감에 의해 높은 커버력으로 오랫동안 화장이 유지 되는 등의 메이크업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에센스 팩트는 표면을 문지를 때마다 물방울이 맺히는 특징이 있고, 피부에 도포시 즉각적인 수분감을 부여하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물방울 맺힘 현상은 워터-드롭 효과(water-drop effect)라고 알려져 있으며, 보습 또는 쿨링감 등 스킨케어적인 이미지를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적으로도 활용도가 높다.
밤 타입 제형의 파운데이션 제품들은 일정 수준의 경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레진, 왁스, 또는 극성오일 등을 배합하여 제조된다. 이들 조합은 일반적으로 밀착력과 피막 형성이 뛰어나고 지속력과 커버력을 제공하는 등의 메이크업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동시에 점도를 상승시키고 사용감을 무겁게 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외상(유상)에 왁스 성분을 포함하고 여기에 내상에 수상 성분을 안정화시킨 유중수형 화장료를 개발하여, 사용시 산뜻한 수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내상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용융상태의 점도가 상승하여 유화 유동성이 생기지 않거나, 충전 또는 몰딩이 어려워지는 등의 제조 공정 또는 생산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화제의 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유화 입자의 크기 또는 흐름성을 조절하려고 하였으나, 이는 유화 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고온의 생산 공정에서 입자간 뭉침 현상이 일어나 안정성이 저해되거나, 또는 사용감이 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많은 양의 내수상을 포함하기 어렵고, 사용시 수분감을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내수상의 비율을 증가시켜도 고온에서 바람직한 유동도(점도)를 형성하여 고온에서의 충진성이 우수하며, 고온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바람직하게 워터-드롭 효과를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및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유화 상태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하고, 고온의 제조 과정에서 유화 유동성이 우수하고 입자간 뭉침 현상이 없어 충진성이 우수하고, 발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놀라운 발견을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워터-드롭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및 왁스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내수상을 크게 포집할 수 있으며, 유화 입자간의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흐름성을 개선시키고, 피부에 도포시 즉각적인 수분감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의 용융 상태에서 친수기 결합 부분이 내수상의 유화 입자를 감싸고, 실리콘, 바람직하게 디메치콘 주쇄 부분이 특정 구조를 형성하여 유화 입자들이 서로 합쳐지지 않도록 하여 고온 안정성 및 장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한 개의 친수기가 극성 헤드를 이루고, 이를 중심으로 탄소수 16~24개인 사슬형 포화탄화수소 또는 이의 유도체가 양쪽으로 확장된 구조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친수기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극성 헤드를 이룬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극성 헤드를 이룬 것일 수 있다.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PEG-20 디폴리하이드록시미리스테이트, 및 PEG-40 디폴리하이드록시팔미테이트, 피이지-4 트라이메틸올프로판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4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8 디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8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유동도(점도)와 고온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디메치콘을 주쇄로 하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릴, 및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친수기 결합을 포함하는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비닐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3/피피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 디메치콘/비스-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온에서 조성물의 점도(유동성)가 안정화되어 충진성이 증가되고, 제형의 안전성이 현저하게 상승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2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가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 및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화 입자크기 및 점도의 변화가 크지 않고 제형 안정성 또는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2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가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안정성 개선 및 에멀전 안정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3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 또는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및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5, 바람직하게 1 : 0.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 1 : 0.3 내지 1.5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두 성분이 상기 특정한 중량비로 조합될 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점도 개선 효과 및 상 안정성이 현저하게 증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왁스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또는 합성 왁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왁스는 이의 유도체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쉘락 왁스, 라놀린 왁스, 또는 비즈 왁스와 같은 동물성 왁스; 캐스터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사탕수수 왁스, 레타모 왁스, 라이스 브란 왁스, 해바라기씨 왁스 또는 소이 왁스와 같은 식물성 왁스; 파라핀 왁스와 같은 석유유래 왁스; 지랍(ozocerite), 몬탄 왁스(montan wax) 또는 세레신과 같은 광물성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폴리에틸렌에서 유래된 폴리에틸렌 왁스, 에스터화나 사포닌화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든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세레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2.5 내지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왁스가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불충분하게 형성되어 목적하는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 또는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실리콘 오일 또는 탄화수소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 왁스 기질(matrix)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오일의 선택이 필요한데, 오일의 극성이 너무 낮으면 왁스 기질을 무르게 하고, 극성이 높으면 오일이 왁스 기질에 혼화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의 극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에스터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에 유분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많은 양의 내수상을 포함하기 어려워 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상의 점도가 낮아져 용융 상태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저해되고 내수상의 비율이 줄어들어 워터-드롭 효과 등의 사용감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내상을 이루는 수상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 3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4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상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 나오는 효과(워터-드롭 효과)의 시각 또는 촉각적 구현이 어려우며, 8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화가 불가능하다. 상기 수상의 중량비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중량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밤 타입 제형, 납상 스틱, 납상 케익, 납상 팩트 또는 겔 타입 제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밤 타입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형으로 제조시 고온 제조 공정에서 조성물의 점도(유동도)가 우수하여 충진성이 우수하며, 상 안정성도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로션, 크림, 및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파운데이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밤 타입 제형은 왁스가 포함된 화장물 조성물로서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 유동도를 갖는 제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밤 타입 제형이 상온에서 고체 상태일 때 경도는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 200 내지 3,000, 더욱 바람직하게 300 내지 1,000 dyne/c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도는 예를 들어 Fudoh Reo Meter의 전용어뎁터 ③중에 지름이 10Φ 핀을 사용하여 2㎝/min의 속도로 2mm 깊이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600 내지 6000 cps(Centipoise), 바람직하게 2000 내지 5000 cps일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범위는 고온, 바람직하게 60~100℃, 더욱 바람직하게 70~90℃, 예를 들어 80℃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고온에서 점도가 1600 cps 미만일 경우에는 과도한 흐름성으로 인해 용융 상태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저해되고, 6000 cps 초과일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로 인해 충진성이 불량하며 원하는 모양으로 생산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 크기가 2 내지 20 ㎛, 바람직하게 5~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한 유화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로 일정하고 안정하게 형성되는 경우, 수분감(쿨링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안정화제, 피그먼트, 자외선차단제,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또는 천연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W)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05 내지 3 중량%,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0.05 내지 3 중량%, 왁스 2 내지 10 중량%, 에스터계 오일 3 내지 20 중량%, 및 수상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밤 타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의 조합으로 인해 유동성이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고온 충진성이 우수하고, 고온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은 (S1)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및 왁스를 유상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에 수상을 투입하고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 바람직한 유동도를 형성하여 충진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1) 단계의 용해는 고온, 바람직하게 65 내지 105℃, 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9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수상은 고온, 바람직하게 5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 60 내지 80℃에서 수상 성분을 투입한 후 용해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밤 타입 제형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의 제조 공정에서 바람직한 유동도를 형성하여 고온에서의 충진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함량의 내수상으로 인해 사용시 워터-드롭 효과가 우수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유상조에 왁스 성분, 유상 성분, 유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85℃로 가열한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하였다. 균일한 상태를 확인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완전히 분산시켰다. 수상조에 수상 성분, 유화 안정화제, 및 방부제를 넣고, 70℃에서 원료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후, 상기 수상을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조에 첨가한 후,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 성분명 | 비교예1 | 실시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왁스성분 | 세레신 | 4 | 4 | 4 | 4 | 4 |
유상성분 | 실리콘계 오일 | 15.5 | 15 | 15 | 15 | 15.5 |
에스터계 오일 | 8 | 8 | 8 | 8 | 8 | |
유화제 |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 - | 0.5 | - | - | 0.5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 - | - | 0.5 | - | - | |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 - | - | - | 0.5 | - | |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0.5 | 0.5 | 0.5 | 0.5 | - | |
자외선차단제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7 | 7 | 7 | 7 | 7 |
피그먼트 | 산화티탄 | 9 | 9 | 9 | 9 | 9 |
산화철 | 1 | 1 | 1 | 1 | 1 | |
수상성분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부틸렌글라이콜 | 5 | 5 | 5 | 5 | 5 | |
유화안정화제 | 황산마그네슘 | 1 | 1 | 1 | 1 | 1 |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0.5 | 0.5 | 0.5 | 0.5 | 0.5 | |
방부제 | 1,2-헥산디올 | 1 | 1 | 1 | 1 | 1 |
실험예 1: 조성물의 유동도(점도)와 고온 및 경시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몰딩 온도(80℃)에서의 유동도(점도) 및 안정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안정성 테스트는 고온(80℃)에서 4시간 동안 표면 상태, 및 40℃에서 4주간 상의 변화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비교예1 | 실시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유동도(점도 cPs)* | 8200 | 2400 | 6400 | 7500 | 1500 |
고온안정성(4시간) | X | O | △ | X | △ |
장기안정성(4주) | O | O | O | O | △ |
* 점도 측정: 80℃, 30rpm, 1min LVT브룩필드 점도계, spindle No. 4 사용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경우 흐름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접시 가장자리까지 매끈하게 충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은 고온 안정성 및 4주간의 장기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유동도 및 안정성 변화 실험
유동도(점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상기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유동도, 유화 입자의 거동, 및 안정성의 변화를 비교 실험하였다.
구분 | 성분명 | 비교예1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2 |
왁스성분 | 세레신 | 4 | 4 | 4 | 4 | 4 |
유상성분 | 실리콘계 오일 | 15.5 | 15 | 15.25 | 14.5 | 15 |
에스터계 오일 | 8 | 8 | 8 | 8 | 8 | |
유화제 |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 - | 0.50 | 0.25 | 1.00 | -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 - | - | - | - | 0.5 | |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0.5 | 0.5 | 0.5 | 0.5 | 0.5 | |
자외선차단제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7 | 7 | 7 | 7 | 7 |
피그먼트 | 산화티탄 | 9 | 9 | 9 | 9 | 9 |
산화철 | 1 | 1 | 1 | 1 | 1 | |
수상성분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부틸렌글라이콜 | 5 | 5 | 5 | 5 | 5 | |
유화안정화제 | 황산마그네슘 | 1 | 1 | 1 | 1 | 1 |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0.5 | 0.5 | 0.5 | 0.5 | 0.5 | |
방부제 | 1,2-헥산디올 | 1 | 1 | 1 | 1 | 1 |
실시예 2 및 3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유동도 및 안정성 실험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1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2 | |
유동도(점도)* | 8200 | 2400 | 3900 | 2300 | 6400 |
고온안정성(4시간) | X | O | O | O | △ |
장기안정성(4주) | O | O | O | O | O |
유화 입자크기** | 불균일 | 균일 | 균일 | 균일 | 균일 |
*점도 측정: 80℃, 30rpm, 1min LVT 브룩필드 점도계, spindle No. 4 사용
**고온(80℃)에서 4시간 후 확대경을 통해 유화 입자크기를 관찰
실시예 1 내지 3에서 계면활성제(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화 입자가 균일해지고 흐름성이 개선되고, 일정 함량 이상부터는 증량에 따른 유화 입자크기 및 유동도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은 유화 입자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었고, 고온에서 내수상이 제형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고온 안정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특정한 유화제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내수상이 크게 형성되더라도 점도 상승 없이 제형이 안정화되고, 유화 입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안정화됨으로써 수분감(쿨링감)이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실험예 3: 유화 입자 크기 및 관능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2 및 3에 대해 유화 입자 크기를 기기분석하였고, 관능 평가를 진행하여 수분감(쿨링감)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유화 입자크기* | 6.21±1.54 | 4.04±0.66 | 7.10±3.98 |
쿨링감** | △3.0 | △2.9 | △3.0 |
수분감 관능평가*** | 4.85 | 4.00 | 4.25 |
전체적인 제품 만족도*** | 4.5 | 3.9 | 4.1 |
* 확대경을 통해 제형 표면을 관찰(x300)
** 피부 도포 전후의 온도 차(20대~30대 소비자 20명)
*** 5점 척도로 소비자 평가(20대~30대 소비자 20명)
실시예 1은 유화 입자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워터-드롭 효과 및 쿨링감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수분감 관능 및 전체적인 제품 만족도가 비교예 2 및 3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Claims (12)
-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및 왁스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PEG-20 디폴리하이드록시미리스테이트, PEG-40 디폴리하이드록시팔미테이트, 피이지-4 트라이메틸올프로판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4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8 디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8 디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비닐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3/피피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 디메치콘/비스-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밤 타입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한 개의 친수기가 극성 헤드를 이루고, 이를 중심으로 탄소수 16~24개인 사슬형 포화탄화수소 또는 이의 유도체가 양쪽으로 확장된 구조의 계면활성제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 중량%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 중량%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터계 오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600 내지 6000 cps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 크기는 2 내지 20 ㎛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05 내지 3 중량%,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0.05 내지 3 중량%, 왁스 2 내지 10 중량%, 에스터계 오일 3 내지 20 중량%, 및 수상 2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밤 타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S1)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및 왁스를 유상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에 수상을 투입하고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한 개의 친수기 및 두 개의 소수기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는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PEG-20 디폴리하이드록시미리스테이트, PEG-40 디폴리하이드록시팔미테이트, 피이지-4 트라이메틸올프로판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4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6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8 디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8 디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친수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크로스폴리머는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비닐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3/피피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 디메치콘/비스-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밤 타입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1202113.1A CN112807234A (zh) | 2019-11-15 | 2020-11-02 | 具有流动性以及稳定性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
JP2020189416A JP2021080249A (ja) | 2019-11-15 | 2020-11-13 | 流動性及び安定性に優れた油中水型化粧料組成物 |
US17/097,192 US20210145708A1 (en) | 2019-11-15 | 2020-11-13 |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fluidity and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46568 | 2019-11-15 | ||
KR1020190146568 | 2019-1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87A KR20210059587A (ko) | 2021-05-25 |
KR102327220B1 true KR102327220B1 (ko) | 2021-11-16 |
Family
ID=7614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0276A KR102327220B1 (ko) | 2019-11-15 | 2020-03-11 |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72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2086A (ko) | 2021-05-07 | 2022-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용 가교구조 함유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가교구조 함유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346B1 (ko) * | 2009-11-27 | 2016-09-08 | (주)아모레퍼시픽 |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
KR102004314B1 (ko) | 2018-11-30 | 2019-07-26 | (주)씨아이티 |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973B1 (ko) * | 2015-09-02 | 2023-03-07 | (주)아모레퍼시픽 |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KR102495279B1 (ko) * | 2016-01-22 | 2023-02-0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불투명 유액 방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94747A (ko) * | 2016-02-11 | 2017-08-2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고온 또는 초고온 멸균 가능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
KR102349895B1 (ko) * | 2016-04-27 | 2022-01-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
KR102378545B1 (ko) * | 2017-04-26 | 2022-03-23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
-
2020
- 2020-03-11 KR KR1020200030276A patent/KR1023272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346B1 (ko) * | 2009-11-27 | 2016-09-08 | (주)아모레퍼시픽 |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
KR102004314B1 (ko) | 2018-11-30 | 2019-07-26 | (주)씨아이티 |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87A (ko) | 202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8559B1 (ko) | 분체 함유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070826B1 (ko) |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
KR101145018B1 (ko) |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 |
KR102070391B1 (ko) |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 |
US20210145708A1 (en) |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fluidity and stability | |
KR102327220B1 (ko) |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0387B1 (ko) |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22683A (ko) |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2574547B1 (ko) |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60056842A (ko) |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EP4190404A1 (en) | Water-in-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20180002304A (ko) |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680075B1 (ko) |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15384B1 (ko) |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 |
KR19990042883A (ko) | 입술화장료 조성물 | |
JP2011190232A (ja) | 水中油型乳化化粧料 | |
KR102378545B1 (ko) |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121037A (ko) | 고형 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56687A (ko) |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13286573A (zh) | 包含分散在固体连续水相中的无水球状体的固体化妆品组合物 | |
KR100614380B1 (ko) | 겔화제를 이용한 유중수 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83387B1 (ko) | 수중유 화장료 | |
CN111278407A (zh) | 固体w/o化妆品组合物 | |
KR100528785B1 (ko) |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 |
KR102668880B1 (ko) | 무기안료 캡슐 입자가 분산된 실리콘을 함유한 투명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