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08B1 -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 Google Patents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08B1
KR102625208B1 KR1020230111625A KR20230111625A KR102625208B1 KR 102625208 B1 KR102625208 B1 KR 102625208B1 KR 1020230111625 A KR1020230111625 A KR 1020230111625A KR 20230111625 A KR20230111625 A KR 20230111625A KR 102625208 B1 KR102625208 B1 KR 10262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anch
basket
dischar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충옥
Original Assignee
(주)이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엠 filed Critical (주)이씨엠
Priority to KR102023011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30Sorting according to weight with associated c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는 분기바스켓의 하부 양측에 중량체크바스켓을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하여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이 중량을 체크하는 동안 또 다른 중량체크바스켓에 다음 제품을 미리 공급할 수 있고, 연속적인 로드셀 센싱이 불필요하여 로드셀의 오류발생을 최소화시키며, 호퍼부의 양측에 제품의 불량시 배출공이 아닌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배출부를 구비하여 제품의 중량이 불일치할 경우 포장용기의 내부로 불량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불량품의 제거를 위한 공정이 스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All-in-one Packing Counter for Checkweighing}
본 발명은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이 중량을 체크하는 동안 또 다른 중량체크바스켓에서 다음 제품을 미리 공급받고 연속적인 로드셀 센싱이 불필요해지도록 분기바스켓의 하부에 두 개의 중량체크바스켓이 구비되고, 제품의 중량이 불일치할 경우 포장용기의 내부로 불량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불량품 제거를 위한 공정스톱이 방지되도록 호퍼부의 양측에 불량배출부가 구비된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제약회사에 의하여 제조 판매되는 약(藥) 들 중 많은 약들이 알약(錠劑) 형태로 제조되고, 이를 정해진 크기의 약병에 투입, 포장 및 판매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의사나 환자들에 의하여 구입, 복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약 들은 크기에 차이가 있으나 자동으로 제조, 계수 및 약병에 투입, 포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약회사에서의 제조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알약 포장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기술들을 설명한다.
우선,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14127호(2002225)에는 "알약 정량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호퍼에 투입된 다량의 알약을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개수만큼씩 인출할 수 있어 특히 소량포장이 가능하며 알약의 계수가 정확하고, 알약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이 필요치 않아 소음 및 진동에 따른 먼지가 없으며 또한 장치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알약 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1492호(2004131)에는 "정제약 계수 포장장치용 약투입 안내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정제형의 알약을 계수하여 테이블 상에서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약병에 투입시켜 주기 위한 계수 포장장치에 적용되는 약투입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알약이 하강되면서 접촉되는 약투입 안내구의 경사진 내면부를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원심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알약이 빠져 나가는 하단부를 원형으로 구성하여 알약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통로가 격감하는 출구 측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개선과 생산성의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알약 포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알약 포장시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알약 포장장치는 포장되는 과정에서 알약의 수량 및 중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알약의 이송과정에서 깨지거나 변형되는 불량을 검출할 수 없어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불량제품을 선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포장이 완료된 상태의 약병 중 불량으로 선별 즉, 중량을 측정하여 불량으로 선별된 약병을 모두 제외시켜 불량이 아닌 알약까지 제외 또는 버려지는 것으로 원료가 낭비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완료된 약병의 중량을 다시 측정하는 추가적인 공정으로 제작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기바스켓의 하부 양측에 중량체크바스켓을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하여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이 중량을 체크하는 동안 또 다른 중량체크바스켓에 다음 제품을 미리 공급할 수 있고, 연속적인 로드셀 센싱이 불필요하여 로드셀의 오류발생을 최소화시키며, 호퍼부의 양측에 제품의 불량시 배출공이 아닌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배출부를 구비하여 제품의 중량이 불일치할 경우 포장용기의 내부로 불량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불량품의 제거를 위한 공정이 스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는 정해진 수량의 제품을 계수한 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포장계수기로서 판형상의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정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장착볼트와, 상기 본체판의 일면에 후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안착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안착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품을 수용한 후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품을 분기하는 분기바스켓과, 상기 분기바스켓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바스켓에서 분기된 제품을 수용한 후 중량을 체크하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품을 낙하시키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으로 이루어진 바스켓부와; 상기 본체판의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볼트에 의해 장착된 박스형상의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상부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진 호퍼면과, 상기 호퍼면의 하부에 상기 분기바스켓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분기공과, 상기 분기공의 하부에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한 쌍의 중량체크공과, 상기 중량체크공의 하부에 상기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호퍼부와; 상기 분기바스켓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분기바스켓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기모터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량체크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에 수용된 제품의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체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바스켓은 원통형상의 분기통과, 상기 분기통의 상면에 상기 제품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분기수용홈과, 상기 분기통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분기연결축과, 상기 분기연결축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분기키홈과, 상기 분기모터에 연결된 분기연결어댑터와, 상기 분기연결어댑터의 정면에 상기 분기연결축이 삽입되는 분기축홈과, 상기 분기축홈의 내주면에 상기 분기키홈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분기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체크바스켓은 원통형상의 중량통과, 상기 중량통의 상면에 상기 제품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중량수용홈과, 상기 중량통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중량연결축과, 상기 중량연결축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중량키홈과, 상기 중량체크모터에 연결된 중량연결어댑터와, 상기 중량연결어댑터의 정면에 상기 중량연결축이 삽입되는 중량축홈과, 상기 중량축홈의 내주면에 상기 중량키홈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중량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연결축 및 중량연결축은 상기 분기축홈 내지 중량축홈에 자력으로 장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면의 중심부에는 서로 뭉쳐진 상태의 제품을 양측으로 분리토록 전방으로 돌출된 이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크공의 중심부에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에 수용된 제품이 서로 차단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체크부는 상기 중량체크모터에 연결된 모터연결브라켓과, 상기 모터연결브라켓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하면에 밀착되며 외부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재질의 완충판과, 상기 완충판의 하면에 발생된 진동을 추가적으로 완충토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진동감소절개홈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스켓부에서 낙하된 제품을 포장용기로 전달하는 배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공의 하부에 상기 포장용기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세워진 파이프형상의 배출호퍼와, 상기 배출호퍼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배출호퍼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메인판과, 상기 배출메인판의 하면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요입된 플랜지안착홈과, 상기 플랜지안착홈의 외측에 상기 플랜지의 하면을 받쳐 고정시키는 플랜지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메인판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배출호퍼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판의 정면에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높이가변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메인판의 타측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높이가변연장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부의 높이가 가변될 경우 상기 높이가변연장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공의 외측 일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연장관삽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품의 중량에 변동이 발생될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고 배출공이 아닌 다른 위치로 제품을 배출하는 불량배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불량배출부는 중량체크공의 내측에서 호퍼본체의 양측으로 관통된 불량배출공과, 상기 불량배출공에 연결된 불량배관과, 상기 불량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불량으로 판단된 제품을 수용하는 불량수거함과, 상기 불량수거함의 내측에 상기 제품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기바스켓의 하부 양측에 중량체크바스켓을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이 중량을 체크하는 동안 또 다른 중량체크바스켓에 다음 제품을 미리 공급할 수 있어 공정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연속적인 로드셀 센싱이 불필요하여 로드셀의 오류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둘째, 바스켓부의 외측을 감싸며 제품의 이동경로를 구획하는 호퍼부를 구비함으로써, 호퍼본체의 상부로 공급된 제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포장용기로 공급할 수 있고,
셋째, 분기연결축 및 중량연결축을 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분기바스켓 및 중량체크바스켓을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세척 및 정비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넷째, 호퍼면의 중심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이격판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뭉쳐진 상태의 제품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불량제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량체크공의 중심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에 수용된 제품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정밀한 중량을 포장할 수 있고,
다섯째, 로드셀의 하부에 탄성재질의 완충판과 진동감소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탄성재질의 완충판과 진동감소절개홈을 통하여 로드셀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켜 로드셀의 측정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섯째, 배출메인판의 상면에 높이가변실린더 및 높이가변연장관을 형성함으로서, 포장용기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변실린더를 구동하고 높이가변연장관을 통하여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다양한 높이의 포장용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키고,
일곱째, 호퍼부의 양측에 제품의 불량시 배출공이 아닌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중량이 불일치할 경우 포장용기의 내부로 불량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불량품의 제거를 위한 공정스톱이 없어 공정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여덟째, 불량수거함의 내부에 흡입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파손된 가루 및 분진을 흡입 수거하는 것으로 불량발생시 중량체크바스켓의 내부를 청소하여 이후 중량체크시 이물질로 인한 체크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계수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계수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계수기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격판 및 구획판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및 중량체크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내 보인 하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실린더 및 높이가변연장관을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배출부를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수량의 제품(T)을 계수한 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포장계수기(1)로서 판형상의 본체판(11)과,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장착볼트(12)와, 상기 본체판(11)의 일면에 후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안착공(13)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안착공(13)에 삽입되며 상기 제품(T)을 수용한 후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품(T)을 분기하는 분기바스켓(21)과, 상기 분기바스켓(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바스켓(21)에서 분기된 제품(T)을 수용한 후 중량을 체크하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품(T)을 낙하시키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이루어진 바스켓부(20)와;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볼트(12)에 의해 장착된 박스형상의 호퍼본체(31)와, 상기 호퍼본체(31)의 상부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진 호퍼면(32)과, 상기 호퍼면(32)의 하부에 상기 분기바스켓(21)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분기공(33)과, 상기 분기공(33)의 하부에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한 쌍의 중량체크공(34)과, 상기 중량체크공(34)의 하부에 상기 제품(T)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35)으로 이루어진 호퍼부(30)와; 상기 분기바스켓(2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분기바스켓(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기모터(41)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량체크모터(42)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의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체크부(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호퍼부(30)의 정면에는 상기 호퍼본체(31)에서 이동되는 제품(T)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판형상의 커버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미도시)에는 상기 장착볼트(12)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노브(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4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판(11)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40)을 보호하는 구동부케이스(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크부(5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케이스(미도시)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부(50)를 안착시키는 중량체크판(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기모터(41)의 전방에는 상기 본체판(11)의 후면에 장착되도록 "ㄷ"형상으로 절곡된 분기모터브라켓(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바스켓(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분기통(211)과, 상기 분기통(211)의 상면에 상기 제품(T)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분기수용홈(212)과, 상기 분기통(211)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분기연결축(213)과, 상기 분기연결축(213)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분기키홈(214)과, 상기 분기모터(41)에 연결된 분기연결어댑터(215)와, 상기 분기연결어댑터(215)의 정면에 상기 분기연결축(213)이 삽입되는 분기축홈(216)과, 상기 분기축홈(216)의 내주면에 상기 분기키홈(214)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분기키(2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은 원통형상의 중량통(221)과, 상기 중량통(211)의 상면에 상기 제품(T)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중량수용홈(222)과, 상기 중량통(221)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중량연결축(223)과, 상기 중량연결축(223)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중량키홈(224)과, 상기 중량체크모터(42)에 연결된 중량연결어댑터(225)와, 상기 중량연결어댑터(225)의 정면에 상기 중량연결축(223)이 삽입되는 중량축홈(226)과, 상기 중량축홈(226)의 내주면에 상기 중량키홈(224)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중량키(227)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분기통(211) 및 중량통(221)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연결축(213) 및 중량연결축(223)은 상기 분기축홈(216) 내지 중량축홈(226)에 자력으로 장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분기연결축(213) 내지 중량연결축(223) 또는 상기 분기축홈(216) 내지 중량축홈(226)은 대립되는 구성요소 중 어느 한 쪽이 자성체로 이루어지거나 두 구성요소 모두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면(32)의 중심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뭉쳐진 상태의 제품(T)을 양측으로 분리토록 전방으로 돌출된 이격판(321)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크공(34)의 중심부에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이 서로 차단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3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획판(341)의 양측면에는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회전유도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체크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크모터(42)에 연결된 모터연결브라켓(51)과, 상기 모터연결브라켓(51)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52)과, 상기 로드셀(52)의 하면에 밀착되며 외부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재질의 완충판(53)과, 상기 완충판(53)의 하면에 발생된 진동을 추가적으로 완충토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진동감소절개홈(5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로드셀(52)과 완충판(53)은 외측 둘레를 따라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30)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부(20)에서 낙하된 제품(T)을 포장용기(B)로 전달하는 배출부(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출부(60)는 상기 배출공(35)의 하부에 상기 포장용기(B)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세워진 파이프형상의 배출호퍼(61)와, 상기 배출호퍼(61)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62)와, 상기 배출호퍼(61)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메인판(63)과,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하면에 상기 플랜지(62)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요입된 플랜지안착홈(64)과, 상기 플랜지안착홈(64)의 외측에 상기 플랜지(62)의 하면을 받쳐 고정시키는 플랜지고정판(65)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플랜지고정판(65)의 일면에는 상기 배출메인판(63)과 상호 체결되도록 노브볼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메인판(63)의 일측 상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기(B)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배출호퍼(61)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높이가변실린더(6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높이가변실린더(66)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판(11)의 정면과 연결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브라켓(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타측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높이가변연장관(67)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본체(31)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부(60)의 높이가 가변될 경우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이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공(35)의 외측 일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연장관삽출공(6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관삽출공(68)은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의 외형과 동일하되, 그 두께는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플랜지안착홈(64)에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관플랜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부(30)의 양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T)의 중량에 변동이 발생될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고 배출공(35)이 아닌 다른 위치로 제품(T)을 배출하는 불량배출부(7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불량배출부(70)는 중량체크공(34)의 내측에서 호퍼본체(31)의 양측으로 관통된 불량배출공(71)과, 상기 불량배출공(71)에 연결된 불량배관(72)과, 상기 불량배관(72)의 단부에 연결되며 불량으로 판단된 제품(T)을 수용하는 불량수거함(73)과, 상기 불량수거함(73)의 내측에 상기 제품(T)을 흡입하는 흡입장치(7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흡입장치(74)의 일면에는 상기 제품(T)이 흡입장치(7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망(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수량의 제품(T)을 계수한 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포장계수기(1)이다.
즉, 상기 포장계수기(1)는 상기 분기바스켓(21)으로 투입된 제품(T)을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낙하시킨 후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통하여 중량을 체크하고, 설정된 중량과 일치할 경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내측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배출공(35)의 하부에 배치된 포장용기(B)의 내부로 상기 제품(T)을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바스켓(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중량체크바스켓(22)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어느 한 중량체크바스켓(22)이 중량을 체크하는 동안 또 다른 중량체크바스켓(22)에 다음 제품(T)을 미리 공급하는 것으로 공정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한 후 순차적으로 반복 동작시킴으로써, 하나의 중량체크바스켓(22)에 제품(T)을 공급하며 중량을 체크할 경우 영점이 세팅되는 시간을 가질 수 없어 로드셀(52)에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을 번갈아 가며 동작시키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부(2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품(T)의 이동경로를 구획하는 호퍼부(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호퍼본체(31)의 상부로 공급된 제품(T)이 상기 분기바스켓(21)과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이탈없이 이동되고 중량을 체크한 제품(T)을 정확하게 상기 포장용기(B)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부(30)는 상기 제품(T)이 상기 호퍼본체(31)의 상부로 공급되면 상기 호퍼면(32)을 타고 상기 분기공(33)의 분기바스켓(21)으로 유입되고, 상기 분기바스켓(21)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중량체크공(34)에 안착된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제품(T)을 유입시키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이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품(T)을 상기 배출공(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후방에는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량체크모터(42)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크모터(42)의 하부에는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유입된 제품(T)의 중량을 체크하는 로드셀(5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량체크모터(42)와 중량체크바스켓(22)의 중량을 제외한 나머지를 유입된 제품(T)의 중량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바스켓(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통(211)의 후방에 분기키홈(214)이 형성된 분기연결축(213)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모터(41)에 연결된 분기연결어댑터(215)에 분기키(217)가 형성된 분기축홈(21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기연결축(213)을 상기 분기축홈(216)에 삽입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키(217)를 분기키홈(214)에 안착시켜 상기 분기모터(41)의 회전력을 상기 분기통(21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은 상술한 분기바스켓(2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중량체크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중량체크통(22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연결축(213) 및 중량연결축(223)을 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기바스켓(21) 및 중량체크바스켓(22)을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세척 및 정비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면(32)의 중심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이격판(321)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뭉쳐진 상태의 제품(T)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불량제품이 포장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크공(34)의 중심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341)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을 서로 차단 즉, 일측과 타측의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정확한 중량의 제품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52)의 하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판(53)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판(53)의 하면에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진동감소절개홈(54)을 형성함으로써, 탄성재질의 완충판(53)으로 로드셀(52)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함과 덥루어 진동감소절개홈(54)을 통하여 진동을 추가적으로 완충시켜 상기 로드셀(52)의 측정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부(30)는 상기 포장용기(B)에 연통되는 배출호퍼(61)를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하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플랜지(62)의 하면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메인판(63)에 장착되는 플랜지고정판(6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호퍼(61)를 배출메인판(63)이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메인판(63)의 일측 상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높이가변실린더(6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B)의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가변실린더(66)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호퍼(61)의 높이가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타측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높이가변연장관(6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높이가변실린더(66)의 구동시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을 상기 연장관삽출공(68)에서 삽출동작시켜 상기 포장용기(B)의 다양한 높이에 따라 이송되는 제품(T)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부(30)의 양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T)의 불량시 배출공(35)이 아닌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배출부(70)가 더 구비됨으로써, 제품(T)의 중량이 불일치할 경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호퍼본체(31)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포장용기(B)의 내부로 불량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불량품의 제거를 위한 공정스톱이 없어 공정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외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불량품은 상기 불량배출공(71)을 통하여 상기 불량수거함(73)으로 수거되는데 상기 불량수거함(73)의 내부에 흡입장치(74)를 구비함으로써, 파손된 가루 및 분진을 흡입 수거하는 것으로 중량체크바스켓(22)의 내부를 청소하여 이후 정밀하게 중량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제품 B : 포장용기
1 : 포장계수기 10 : 본체부
11 : 본체판 12 : 장착볼트
13 : 안착공 20 : 바스켓부
21 : 분기바스켓 211 : 분기통
212 : 분기수용홈 213 : 분기연결축
214 : 분기키홈 215 : 분기연결어댑터
216 : 분기축홈 217 : 분기키
22 : 중량체크바스켓 221 : 중량통
222 : 중량수용홈 223 : 중량연결축
224 : 중량키홈 225 : 중량연결어댑터
226 : 중량축홈 227 : 중량키
30 : 호퍼부 31 : 호퍼본체
32 : 호퍼면 321 : 이격판
33 : 분기공 34 : 중량체크공
341 : 구획판 35 : 배출공
40 : 구동부 41 : 분기모터
42 : 중량체크모터 50 : 중량체크부
51 : 모터연결브라켓 52 : 로드셀
53 : 완충판 54 : 진동감소절개홈
60 : 배출부 61 : 배출호퍼
62 : 플랜지 63 : 배출메인판
64 : 플랜지안착홈 65 : 플랜지고정판
66 : 높이가변실린더 67 : 높이가변연장관
68 : 연장관삽출공 70 : 불량배출부
71 : 불량배출공 72 : 불량배관
73 : 불량수거함 74 : 흡입장치

Claims (9)

  1. 정해진 수량의 제품(T)을 계수한 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포장계수기(1)에 있어서,
    판형상의 본체판(11)과,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장착볼트(12)와, 상기 본체판(11)의 일면에 후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안착공(13)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안착공(13)에 삽입되며 상기 제품(T)을 수용한 후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품(T)을 분기하는 분기바스켓(21)과, 상기 분기바스켓(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바스켓(21)에서 분기된 제품(T)을 수용한 후 중량을 체크하고 내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품(T)을 낙하시키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으로 이루어진 바스켓부(20)와;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볼트(12)에 의해 장착된 박스형상의 호퍼본체(31)와, 상기 호퍼본체(31)의 상부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진 호퍼면(32)과, 상기 호퍼면(32)의 하부에 상기 분기바스켓(21)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분기공(33)과, 상기 분기공(33)의 하부에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이 안착되도록 후방으로 천공된 한 쌍의 중량체크공(34)과, 상기 중량체크공(34)의 하부에 상기 제품(T)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35)으로 이루어진 호퍼부(30)와;
    상기 분기바스켓(2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분기바스켓(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기모터(41)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량체크모터(42)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의 중량을 체크하는 중량체크부(50);로 구성되고,
    상기 중량체크부(50)는 상기 중량체크모터(42)에 연결된 모터연결브라켓(51)과, 상기 모터연결브라켓(51)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52)과, 상기 로드셀(52)의 하면에 밀착되며 외부 진동을 감소시키는 탄성재질의 완충판(53)과, 상기 완충판(53)의 하면에 발생된 진동을 추가적으로 완충토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진동감소절개홈(54)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바스켓(21)은 원통형상의 분기통(211)과, 상기 분기통(211)의 상면에 상기 제품(T)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분기수용홈(212)과, 상기 분기통(211)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분기연결축(213)과, 상기 분기연결축(213)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분기키홈(214)과, 상기 분기모터(41)에 연결된 분기연결어댑터(215)와, 상기 분기연결어댑터(215)의 정면에 상기 분기연결축(213)이 삽입되는 분기축홈(216)과, 상기 분기축홈(216)의 내주면에 상기 분기키홈(214)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분기키(217)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체크바스켓(22)은 원통형상의 중량통(221)과, 상기 중량통(211)의 상면에 상기 제품(T)이 수용되도록 정해진 깊이만큼 요입된 중량수용홈(222)과, 상기 중량통(221)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중량연결축(223)과, 상기 중량연결축(223)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중량키홈(224)과, 상기 중량체크모터(42)에 연결된 중량연결어댑터(225)와, 상기 중량연결어댑터(225)의 정면에 상기 중량연결축(223)이 삽입되는 중량축홈(226)과, 상기 중량축홈(226)의 내주면에 상기 중량키홈(224)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관통된 중량키(2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연결축(213) 및 중량연결축(223)은 상기 분기축홈(216) 내지 중량축홈(226)에 자력으로 장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면(32)의 중심부에는 서로 뭉쳐진 상태의 제품(T)을 양측으로 분리토록 전방으로 돌출된 이격판(321)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크공(34)의 중심부에는 한 쌍의 중량체크바스켓(22)에 수용된 제품(T)이 서로 차단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30)의 하부에는 상기 바스켓부(20)에서 낙하된 제품(T)을 포장용기(B)로 전달하는 배출부(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출부(60)는 상기 배출공(35)의 하부에 상기 포장용기(B)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세워진 파이프형상의 배출호퍼(61)와, 상기 배출호퍼(61)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62)와, 상기 배출호퍼(61)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메인판(63)과,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하면에 상기 플랜지(62)가 안착되도록 상부로 요입된 플랜지안착홈(64)과, 상기 플랜지안착홈(64)의 외측에 상기 플랜지(62)의 하면을 받쳐 고정시키는 플랜지고정판(6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메인판(63)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포장용기(B)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배출호퍼(61)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판(11)의 정면에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높이가변실린더(6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메인판(63)의 타측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높이가변연장관(67)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본체(31)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부(60)의 높이가 가변될 경우 상기 높이가변연장관(67)이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공(35)의 외측 일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연장관삽출공(6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30)의 양측에는 상기 제품(T)의 중량에 변동이 발생될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고 배출공(35)이 아닌 다른 위치로 제품(T)을 배출하는 불량배출부(7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불량배출부(70)는 중량체크공(34)의 내측에서 호퍼본체(31)의 양측으로 관통된 불량배출공(71)과, 상기 불량배출공(71)에 연결된 불량배관(72)과, 상기 불량배관(72)의 단부에 연결되며 불량으로 판단된 제품(T)을 수용하는 불량수거함(73)과, 상기 불량수거함(73)의 내측에 상기 제품(T)을 흡입하는 흡입장치(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KR1020230111625A 2023-08-25 2023-08-25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KR10262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625A KR102625208B1 (ko) 2023-08-25 2023-08-25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625A KR102625208B1 (ko) 2023-08-25 2023-08-25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08B1 true KR102625208B1 (ko) 2024-01-15

Family

ID=8954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625A KR102625208B1 (ko) 2023-08-25 2023-08-25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96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이씨엠 중량선별 일체형 계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96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이씨엠 중량선별 일체형 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447B1 (ko) 소물품의 계수 공급 장치
KR102531220B1 (ko) 약제 조제 장치
US11155378B2 (en) Gating system for accumulating items and relate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US20040011806A1 (en) Tablet filler device with star wheel
US9549876B2 (en) Device for introducing filling material into capsules
US11673698B2 (en) Continuous motion filling system an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JP3102367U (ja) スティック包装機
CN108945618A (zh) 一种多功能全自动丸粒灌装机
JP4066280B2 (ja) 散薬供給装置
US20210284366A1 (en) Bulk feeding apparatus and filling machine and method
KR102625208B1 (ko) 중량선별 일체형 포장계수기
KR100639576B1 (ko) 정제 약 계수투입기의 비정상 제품 검출장치
KR102419060B1 (ko) 중량선별 일체형 계수기
KR20120102875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WO2000003211A1 (fr) Trieuse ponderale
JPH08238302A (ja) 薬剤の定量供給及び包装装置
US4146134A (en) Cold end for glass container production line
KR102218087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CN117068498A (zh) 一种可对缺损药片精准剔除的电子数粒机
JP2002120813A (ja) 組合せ秤の物品排出装置、組合せ秤、及びホッパ
JP2011084287A (ja) 簡易型カプセル計数機
KR10095594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101970960B1 (ko) 약제 인출 장치
ES2887700T3 (es) Detección de metales en pesadoras multicabezal
KR20180106043A (ko) 서랍식 카트리지 데크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