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009B1 - 측면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측면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009B1
KR102625009B1 KR1020217037861A KR20217037861A KR102625009B1 KR 102625009 B1 KR102625009 B1 KR 102625009B1 KR 1020217037861 A KR1020217037861 A KR 1020217037861A KR 20217037861 A KR20217037861 A KR 20217037861A KR 102625009 B1 KR102625009 B1 KR 10262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flatable airbag
occupant
contact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706A (ko
Inventor
데릭 존 위스콤브
찰스 폴 딘스데일
돈 래리 패리
앤디 로렌스 홀리데이
테리 앨 휠라이트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5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1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with inflatable support compartments creating an internal suction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측면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개시된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 충돌 이벤트 시에 탑승자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 충돌 이벤트, 또는 차량에 대한 탑승자의 측방향 이동을 생성하는 다른 이벤트에서, 개시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 도어, 측벽, 센터 콘솔, 또는 차량 착석 위치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차량 구조물과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내리 누름 동안 탑승자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다. 개시된 에어백은 어깨, 골반 및 몸통에 대한 다양한 지지 정도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를 차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는 노쇠한 건강 문제의 결과로서 뼈가 일부 부상 유형 및 모드에 더 민감할 수 있는 노령자 탑승자에 특히 유익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면 에어백 조립체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자동차 보호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충돌 이벤트(collision event)에 응답하여 전개되도록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이 단지 전형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이고 상세히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도 1a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맞물려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d는 도 1a, 도 1b 및 도 1c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1a 내지 도 1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a 내지 도 1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로서,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도 3b와 관련하여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추가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3a 내지 도 3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로서,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에 있고 그리고 탑승자가 도 5b와 관련하여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과 추가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5a 내지 도 5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대체적으로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이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로 배열 및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기의 더 상세한 설명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대표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태양들이 도면들에 제시되지만, 도면들은 구체적으로 지시되지 않는 한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는 충돌 이벤트 동안 탑승자 부상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 내에, 대시보드 및/또는 계기판 내에, 측면 도어 또는 측면 시트 내에, 차량의 지붕 레일에 인접하게, 오버헤드 위치 내에, 또는 무릎 또는 다리 위치에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왔다. 본 발명은, 노쇠한 건강(age-incident health) 문제의 결과로서 뼈가 일부 부상 유형 및 모드에 더 민감할 수 있는 노령자 탑승자에 대해 특히 유익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고, 측면-충격 충돌(side-impact collision) 또는 탑승자의 (예컨대, 차량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인) 측방향 이동을 생성하는 다른 이벤트에 연루될 때 더욱 그러하다. 하기의 개시내용에서, "에어백"은 대체적으로 충돌 이벤트 동안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측면 위치에서(또는 차량 착석 위치에 대체로 측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전개되는 팽창가능 에어백을 지칭한다.
설치 동안, 에어백은 전형적으로, 패키징된 상태로(예컨대, 롤링되고, 절첩되고, 그리고/또는 달리 압축됨) 또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커버 뒤에 패키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충돌 이벤트 동안, 팽창기가 트리거되며, 이는 에어백을 팽창 가스로 신속하게 충전한다. 에어백은 패키징된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 또는 확장된 구성으로 신속하게 전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되는 에어백은 (예컨대, 파열 시임(burst seam)을 통해 찢어짐으로써 또는 도어형 구조물을 개방함으로써) 에어백 커버를 개방하여 하우징을 빠져나갈 수 있다. 팽창기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트리거링은 충돌 이벤트 동안 하나 이상의 차량 센서에 응답하고/하거나 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 실시예는 전방 시트 승객을 완충시키기에 더 적합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는 특히 전방 시트 이외의 시트, 예컨대 더 후방의 시트의 승객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는 차량 내의 구조물(예컨대, 도어 기둥, 차량 측벽, 또는 센터 콘솔)에 대한 탑승자의 충격(신체-구조물 충격)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충돌 이벤트 동안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는 특정 유형의 충돌에 연루된 탑승자에 대한 개선된 위치설정, 완충, 및/또는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는 차량 운전자 및/또는 승객측 도어에 인접하게 착석된 전방-시트 승객을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할 수 있는 충돌의 유형의 예는, (1) 부딪친 물체가 탑승자의 차량의 구조적 종방향 구성요소 및/또는 엔진 블록과 맞물리지 못하는 충돌, (2) 충격력이 탑승자의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종방향 빔의 외측에 주로 작용하는 충돌, (3) FLEE 또는 FREE와 같이 충돌 변형 분류(Collision Deformation Classification) 스킴 하에서 분류되는 충돌, (4) 탑승자의 차량이 차량 폭의 25% 이하와 부딪치는 전방-충격 충돌, (5)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의 스몰 오버랩 정면 충돌 시험(small overlap frontal crash test)에 대해 규정된 바와 같은 충돌, 또는 (6) 전미 고속도로 교통안전위원회(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의 경사 충격 시험에 대해 규정된 바와 같은 충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IHS의 스몰 오버랩 정면 충돌 시험 및 NHTSA의 경사 충격 시험에 대한 조건은 문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Small Overlap Frontal Crashworthiness Evaluation Crash Test Protocol(Version II)(2012년 12월); 및 Saunders, J., Craig, M., 및 Parent, D., Moving Deformable Barrier Test Procedure for Evaluating Small Overlap/Oblique Crashes, SAE Int. J. Commer. Veh. 5(1): 172-195(201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충돌(크래시(crash), 충격, 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때의 용어 "경사"는, 전술된 충돌들 및 충격의 결과로서 탑승자의 이동 방향이 전방 방향 또는 성분 및 측방향 또는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충돌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서, 경사 충돌(oblique collision) 동안 또는 그 후에 탑승자의 충돌 후 궤적의 종방향 성분이 차량-전방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를 갖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측벽(16)(예컨대, 도어) 및 윈도우(18)가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차량(10)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착석 위치(30)를 포함한다. 도 1a의 차량 착석 위치(30)는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restraint harness)(46)(예컨대, 시트 벨트)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4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탑승자(50)가 시트 조립체(40) 내에 도시되고, 탑승자(50)의 머리(51), 어깨(들)(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이 참조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는 시트백(44)에 장착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는 하우징(102) 및 팽창기(1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시트백(44)의 내부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팽창기(104)는 하우징(102)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2)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다른 도면들이 구속 하니스(46)를 채용한 탑승자(50)를 예시할 수 있지만,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의 작동은 구속 하니스(46)에 독립적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그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 1b는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를 도시하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차량(10)의 측벽(16)(예컨대, 도어 또는 다른 패널) 및 윈도우(18)는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차량 착석 위치(30), 및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40)가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와 맞물리기 전에 시트 조립체(40) 내에 착석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어깨(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이 또한 참조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을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팽창기 포트(도시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2a의 206 참조)를 통해 팽창 압력으로 팽창될 챔버(130)를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충돌 이벤트에 연루되어 있는 차량(10)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팽창기(104)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팽창기(104)는 팽창기 포트(206)를 통해 팽창 에어백 쿠션(110)에 팽창 가스(1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전개되어 팽창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팽창되어, 시트백(44)에서의 하우징(102)으로부터 차량 착석 위치(30)에 인접한 위치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일 실시예에서, 차량 착석 위치(30)와 차량(10)의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이 전개될 때 특정 위치에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영역은 전개된 상태에 위치되어 탑승자(50)의 특정 부분을 수용하고 그와 맞물릴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어깨(52)와 맞물리기 위한 상부 영역(134) 및 골반(58)과 맞물리기 위한 하부 영역(136)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리기 위한 중심 영역(1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은 탑승자(50)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흉복부 영역(56)과의 맞물림을 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에 의한 탑승자의 특정 부분의 그러한 회피는 탑승자(50)와 에어백 쿠션(110)의 맞물림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충돌 동안 탑승자(50)에 대한 에어백 쿠션(110)의 충격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은 챔버(130)의 팽창된 부분들일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또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이 전개될 때 탑승자(50)와 맞물리지 않게 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시트백(44)과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후방 영역(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영역(131)은 충돌 동안 탑승자(50)의 측방향 및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탑승자(50)의 전방으로 배치될 전방 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영역(131) 및 전방 영역(132)은 챔버(130)의 팽창된 부분들일 수 있다. 도 1b에서, 후방 영역(131)은 전방 영역(132) 뒤에 숨겨진다.
중심 영역(135)은 영역들(예컨대, 상부 영역(134), 하부 영역(136), 후방 영역(131), 및 전방 영역(132))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거나 달리 한정될 수 있다. 중심 영역(135)은, 팽창가능 쿠션(110)에 의해 형성되고, 예컨대 충돌 이벤트 동안 에어백 쿠션(110)과 맞물릴 때 탑승자(50)의 영역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구성되는 공극(void), 갭 또는 개구일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챔버(130)에 결합된 접촉 패널(125) 또는 세일(sail)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패널(125)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50)에 인접한 에어백 쿠션(110)의 측방향 면 상에서 챔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패널(125)은, 접촉 패널(125)의 적어도 일부분이 챔버(130)의 적어도 일부분과 탑승자(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 패널(125)은, 접촉 패널(125)이 탑승자(50)와 전체 챔버(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촉 패널(125)은 접촉 패널(125)의 주연부의 일부분을 따라 또는 접촉 패널(125)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챔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패널(125)은 챔버(130)의 중심 영역(135)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챔버(130) 내의 팽창 압력은, 탑승자(50)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맞물림 시에,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이동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기 위해) 이동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17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172)은 팽창 압력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챔버(130)의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은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172)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챔버(130)의 팽창 시에 접촉 패널(125)에 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챔버(1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1 접촉 패널(125)과 챔버(130) 사이의 커플링의 반대편 부분들의 분리를 야기하여 제1 접촉 패널(125)에 장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1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접촉 패널(125)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인장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접촉 패널(125)에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접촉 패널(125) 내의 장력은 중심 영역(135)에서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이동에 대한 더 낮은 저항(174)을 한정할 수 있다. 중심 영역(135)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비팽창된 영역일 수 있으며, 따라서 팽창 가스(160)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중심 영역(135)을 가로질러 배치된 바와 같은 접촉 패널(125)의 양 측부 상의 압력은 주위 압력일 수 있다. 따라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중심 영역(135)에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더 낮은 저항(174)을 갖고서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릴 수 있다.
탑승자(50)의 어깨(52) 및 골반(58) 둘 모두는 흉복부 영역(56)(명목상, 흉곽)보다 뼈 구조물로부터 더 큰 일체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노령자 탑승자(50) 내의 흉복부 영역(56)은 더욱 취약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노령자 탑승자(50)가 노쇠한 건강 문제의 결과로서 더 부서지기 쉽거나 파손에 더 민감할 수 있는 뼈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이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172)에서 어깨(52) 및 골반(58)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중심 영역(135)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더 낮은 저항(174)에서 흉복부 영역(5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에 의해 수용되고, 대체적으로 탑승자(50)에 대한, 그리고 구체적으로 흉복부 영역(56)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가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고, 이때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탑승자(50)는 차량 착석 위치(30)에서 시트 조립체(4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탑승자(50)의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은 시트 조립체(40)의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와 같이,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측방향(170)으로 이동하였고,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흉부 중심(55)은 측방향(170)으로 (도 1b에 대해) 시프트되었다. 전방 영역(132)은 탑승자(50)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그의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영역(131)은 탑승자(50)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그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50)의 어깨(52)는 챔버(130)의 상부 영역(134)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골반(58)은 챔버(130)의 하부 영역(136)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135)과 맞물려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에 그리고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어깨(52)는 상부 영역(134)의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172)과 맞물릴 수 있고, 골반(58)은 하부 영역(136)의 높은 이동 저항(172)과 맞물릴 수 있고,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135)의 이동에 대한 더 낮은 저항(174)과 맞물릴 수 있다.
차량(10)의 측벽(16)(예를 들어, 도어)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챔버(130)에 지지체(178)를 제공하기 위한 반응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챔버(130)는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이 내리 누름(ride down) 동안 어깨(52) 및 골반(58)을 각각 지지하도록 적절히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챔버(130)는 또한, 중심 영역(135)이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리도록 적절하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리고 접촉 패널(125)이 내리 누름 동안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d는 도 1a 내지 도 1c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가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고, 이때 탑승자(50)는 경사 충돌 이벤트 동안의 경우일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그러한 경사 충돌 경우에, 탑승자는 경사 방향(171)으로, 즉 전방 및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경사 충돌에서, 전방 영역(132)은 탑승자(50)와 맞물릴 수 있고, 탑승자(50)의 부분들, 특히 머리(51), 어깨(들)(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의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172)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 충격의 일부 경우에,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또한 흉복부 영역(56)에 대해 이동에 대한 더 낮은 저항(174)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1a 내지 도 1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측부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챔버(130)를 형성한다.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단일 일체형 직물 패널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 패널은 절첩선(226)을 따라 절첩되고 외측 커플링(240) 및 내측 커플링(241)을 따라 결합된다. 외측 커플링(240) 및 내측 커플링(241) 각각은 연속적인 시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외측 커플링(240)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내측 커플링(241)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전체 외측 커플링(240) 및/또는 전체 내측 커플링(241)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240) 및/또는 내측 커플링(241)은 팽창 가스(160)의 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임은 재봉, 접착제, 무선 주파수 용접, 또는 테이핑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130)는, 팽창되었을 때, 내측 환상(inner toroidal) 영역(220)을 한정하는 대체로 환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환상 영역(220)은 중심 영역(135)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30)의 환상 형상은 또한 전방 영역(132), 후방 영역(131), 상부 영역(134), 및 하부 영역(136)을 한정할 수 있다. 챔버(130)는 환상 형상의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외주연부(237)(예컨대,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 중 하나 이상의 직물 패널의 외부 표면 상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의 최외측 주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직물 패널들(222, 223) 중 하나 이상의 직물 패널의 일부분은 (챔버(130)의) 외주연부(237) 및 외측 커플링(240)을 지나 연장된다. 챔버(130)는 또한, 환상 형상의 내측 영역(220) 둘레로 연장되는 내주연부(238)(예컨대,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 중 하나 이상의 직물 패널의 외부 표면 상의 챔버(130)의 환상 형상의 최내측 주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주연부(237)는 외측 커플링(240)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내주연부(238)는 내측 커플링(241)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외주연부(237) 및 내주연부(238)는 챔버(130)의 측방향 면을 한정할 수 있다. 챔버(130)의 탑승자-대면 측부는 챔버(130)의 탑승자 측 상의 내주연부(238)와 외주연부(237) 사이에서 연장되는 챔버(130)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챔버(130)의 반대편의 측벽-대면 측부는 차량 측벽(16)과 대면하는 챔버(130)의 측부 상의 내주연부(238)와 외주연부(237) 사이에서 연장되는 챔버(130)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및/또는 챔버(130)는 장공형(obround)일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단면 치수는 수직 단면 치수보다 크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은 내측 영역(220)을 가로질러 배치되지 않을 수 있어, 내측 환상 영역(220)을 통한 개구(opening)를 남길 수 있다. 팽창기 포트(206)는 제1 직물 패널(122) 및 제2 직물 패널(22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챔버(130)의 내부로 통과하는 개구부(apertur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팽창기 포트(206)는 팽창 가스를 챔버(130)로 진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130)는 배기 벤트(vent)(207)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벤트(207)는 팽창된 에어백 쿠션(110)과의 충격 시에 탑승자의 내리 누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은 제1 챔버(130)에 결합된 제3 직물 패널(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224)은 외측 커플링(240) 또는 내측 커플링(241)에서 제1 챔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224)은 외측 커플링(240)과 내측 커플링(241) 사이의 위치에서 제1 직물 패널(2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224)은 접촉 패널(125)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224)의 주연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 주연부가 외측 커플링(240) 또는 내측 커플링(241)에서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222), 제2 직물 패널(223), 및 제3 직물 패널(224)은 공통 주연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240)은 제1 직물 패널(222), 제2 직물 패널(223), 및 제3 직물 패널(224)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222) 및 제2 직물 패널(2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측 환상 영역(120)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접촉 패널(1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224)은 생략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소정 관점에서 전술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와 유사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그의 측면도이다.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며, 이때 선단 숫자는 "3"으로 증분된다. 예를 들어,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는, 일부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2b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과 유사할 수 있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사하게 식별된 특징부에 관하여 전술된 관련 개시내용은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및 관련 구성요소의 특정 특징부는 도면에서의 도면 부호에 의해 도시 또는 식별되지 않을 수 있거나, 하기의 기재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특징부는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고/되거나 그러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부와 명백히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특징부의 관련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 및 관련 구성요소의 특징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및 관련 구성요소에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부 및 그의 변형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및 도 4b의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 및 관련 구성요소와 함께 채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패턴은 후속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기술되는 추가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여기서 선단 숫자는 추가로 증분될 수 있다.
도 3a는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를 갖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차량(10)의 측벽(16)(예컨대, 도어) 및 윈도우(18)는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차량 착석 위치(30), 및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40)가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와 맞물리기 전에 시트 조립체(40) 내에 착석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어깨(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이 참조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는 하우징(302) 및 팽창기(3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02)은 시트백(44)(예컨대, 시트백(44)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팽창기(304)는 하우징(302)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302)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을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팽창기 포트(예컨대, 도 4a의 팽창기 포트(406) 참조)를 통해 팽창 압력으로 팽창될 챔버(330)를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는, 예를 들어, 충돌 이벤트에 연루되어 있는 차량(10)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팽창기(304)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팽창기(304)는 팽창기 포트(406)를 통해 팽창 에어백 쿠션(310)에 팽창 가스(3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이 하우징(302)으로부터 전개되어 팽창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팽창되어, 시트백(44)에서의 하우징(302)으로부터 차량 착석 위치(30)에 인접한 위치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일 실시예에서, 차량 착석 위치(30)와 차량(10)의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이 전개될 때 특정 위치에 배치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영역은 전개된 상태에 위치되어 탑승자(50)의 특정 부분을 수용하고 그와 맞물릴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탑승자(50)의 어깨(52)와 맞물리기 위한 상부 영역(334) 및 탑승자(50)의 골반(58)과 맞물리기 위한 하부 영역(336)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리기 위한 중심 영역(3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영역(334) 및 하부 영역(336)은 챔버(330)의 부분들일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또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이 전개될 때 탑승자(50)의 일부분과 맞물리지 않게 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시트백(44)과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후방 영역(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영역(331)은 탑승자(50)의 측방향 및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탑승자(50)의 측방향 및 전방으로 배치될 전방 영역(33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영역(331) 및 전방 영역(332)은 챔버(330)의 부분들일 수 있다. 도 3a에서, 후방 영역(331)은 전방 영역(332) 뒤에 숨겨진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챔버(330)에 결합되고 챔버(330)의 중심 영역(335)을 가로질러 배치된 제1 접촉 패널(325) 또는 세일을 포함한다. 제1 접촉 패널(325)은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50)에 인접한 에어백 쿠션(310)의 측방향 측부 상에서 챔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패널(325)은, 접촉 패널(325)의 적어도 일부분이 챔버(330)의 적어도 일부분과 탑승자(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 패널(325)은, 접촉 패널(325)이 탑승자(50)와 전체 챔버(3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325)은 제1 접촉 패널(325)의 주연부의 일부분을 따라 또는 제1 접촉 패널(325)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챔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또한 제2 접촉 패널(327)을 포함한다. 제2 접촉 패널(327)은 제1 접촉 패널(325)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패널(327)은 제1 접촉 패널(325)과 차량(10)의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 패널(327)은 제2 접촉 패널(327)의 주연부의 일부분을 따라 또는 제2 접촉 패널(32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챔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챔버(330) 내의 팽창 압력은, 탑승자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의 맞물림 시에,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이동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372)을 한정할 수 있다.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은 팽창 압력에 의해 한정된다. 챔버(330)의 상부 영역(334) 및 하부 영역(336)은 탑승자(50)의 이동에 대항하여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을 제공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챔버(330)의 팽창 시에 제1 접촉 패널(325) 및 제2 접촉 패널(327)에 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챔버(3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1 접촉 패널(325)과 챔버(330) 사이의 커플링의 반대편 부분들의 분리를 야기하여 제1 접촉 패널(325)에 장력을 초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챔버(3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2 접촉 패널(327)과 챔버(330) 사이의 커플링의 반대편 부분들의 분리를 야기하여 제2 접촉 패널(327)에 장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3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1 접촉 패널(325)의 전체 주연부 및 제2 접촉 패널(32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인장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제1 접촉 패널(325) 및 제2 접촉 패널(327)에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325) 내의 장력은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중심 영역(335)에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을 갖고서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접촉 패널(327) 내의 장력은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376)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중심 영역(335)에 제공된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376)을 갖고서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릴 수 있다.
도 3b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300)가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고, 이때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탑승자(50)는 차량 착석 위치(30)에서 시트 조립체(4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탑승자(50)의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은 시트 조립체(40)의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와 같이,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제1 탑승자 위치(350)로 측방향(170)으로 이동하였고,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흉부 중심(55)은 측방향(170)으로 (도 3a에 대해) 시프트되었다. 전방 영역(332)은 탑승자(50)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그의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영역(331)은 탑승자(50)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그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50)의 어깨(52)는 챔버(330)의 상부 영역(334)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골반(58)은 챔버(330)의 하부 영역(336)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335)과 맞물려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에 그리고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어깨(52)는 상부 영역(334)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고, 골반(58)은 하부 영역(336)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고,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335)에서의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과 맞물릴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충돌 이벤트가 계속됨에 따라, 탑승자(50)는 측방향(170)으로 (도 3b에 대해) 더 멀리 제2 탑승자 위치(352)로 이동되었다.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335)과 추가로 맞물리고, 제1 접촉 패널(325)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일부 경우에,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또한, 탑승자(50)가 제2 탑승자 위치(352)에 있을 때 제2 접촉 패널(327)과 후속하여 맞물릴 수 있다.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제1 접촉 패널(325)과 추가로 맞물리고, 추가적으로 제2 접촉 패널(327)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 접촉 패널(327)은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에 제2 더 낮은 저항(376)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흉복부 영역(56)의 총 이동 저항은 제1 접촉 패널(325)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 및 제2 접촉 패널(327)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376)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d와 관련하여 유사하게 전술된 바와 같이, 경사 충돌 동안, 전방 영역(332)은 탑승자(50)와 맞물릴 수 있고, 탑승자(50)의 부분들, 특히 머리(51), 어깨(들)(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의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 충격의 일부 경우에,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또한 흉복부 영역(56)에 대해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374) 및/또는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376)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3a 내지 도 3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의 측부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은 챔버(3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은 단일 일체형 직물 패널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 패널은 절첩선(426)을 따라 절첩되고 외측 커플링(440) 및 내측 커플링(441)을 따라 결합된다. 외측 커플링(440) 및 내측 커플링(441) 각각은 연속적인 시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은 외측 커플링(440)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은 내측 커플링(441)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은 전체 외측 커플링(440) 및/또는 전체 내측 커플링(441)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440) 및/또는 내측 커플링(441)은 팽창 가스(360)의 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임은 재봉, 접착제, 무선 주파수 용접, 또는 테이핑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330)는, 팽창되었을 때, 내측 환상 영역(420)을 한정하는 대체로 환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환상 영역(420)은 중심 영역(335)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330)의 환상 형상은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영역(332), 후방 영역(331), 상부 영역(334), 및 하부 영역(336)을 한정할 수 있다. 챔버(330)는 환상 형상의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외주연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30)는 또한, 환상 형상의 내측 영역(420) 둘레로 연장되는 내주연부(4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주연부(437)는 외측 커플링(440)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내주연부(438)는 내측 커플링(441)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 및/또는 챔버(330)는 장공형일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단면 치수는 수직 단면 치수보다 크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측 영역(420)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제2 접촉 패널(327)을 한정할 수 있다. 팽창기 포트(406)는 제1 직물 패널(422) 또는 제2 직물 패널(423)을 통해 그리고 챔버(330)의 내부로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팽창기 포트(406)는 팽창 가스를 챔버(330)로 진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310)은 제3 직물 패널(4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424)은 제1 접촉 패널(325)을 포함하거나 달리 한정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424)은 외측 커플링(440)에서 제1 챔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424)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측 커플링(441)에서 제1 챔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424)은 외측 커플링(440)과 내측 커플링(441) 사이의 위치에서 제1 직물 패널(4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424)의 주연부의 일부분 또는 제3 직물 패널(424)의 전체 주연부가 외측 커플링(440) 또는 내측 커플링(441)에서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422), 제2 직물 패널(423), 및 제3 직물 패널(424)은 공통 주연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440)은 제1 직물 패널(422), 제2 직물 패널(423), 및 제3 직물 패널(424)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측 환상 영역(4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촉 패널(32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부분만이 내측 환상 영역(4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촉 패널(327)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별개의 직물 패널이 제1 직물 패널(422) 및 제2 직물 패널(4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고, 내측 환상 영역(4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별개의 직물 패널은 제2 접촉 패널(327)을 포함한다.
도 5a는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를 갖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차량(10)의 측벽(16)(예컨대, 도어) 및 윈도우(18)는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차량 착석 위치(30), 및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40)가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와 맞물리기 전에 시트 조립체(40) 내에 착석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어깨(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이 또한 참조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는 하우징(502) 및 팽창기(5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502)은 시트백(44)에(예컨대, 시트백(44)의 내부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팽창기(504)는 하우징(502)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502)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을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팽창기 포트(예컨대, 도 6a의 팽창기 포트(606) 참조)를 통해 팽창 압력으로 팽창될 제1 챔버(530)를 포함한다.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는, 예를 들어, 충돌 이벤트에 연루되어 있는 차량(10)의 검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팽창기(504)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팽창기(504)는 팽창기 포트(606)를 통해 팽창 에어백 쿠션(510)에 팽창 가스(5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이 하우징(502)으로부터 전개되어 팽창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팽창되어, 시트백(44)에서의 하우징(502)으로부터 차량 착석 위치(30)에 인접한 위치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일 실시예에서, 차량 착석 위치(30)와 차량(10)의 측벽(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이 전개될 때 특정 위치에 배치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영역은 탑승자(50)의 특정 부분을 수용하고 그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탑승자(50)의 어깨(52)와 맞물리기 위한 상부 영역(534) 및 탑승자(50)의 골반(58)과 맞물리기 위한 하부 영역(536)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리기 위한 중심 영역(5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영역(534) 및 하부 영역(536)은 제1 챔버(530)의 팽창된 부분들일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또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이 전개될 때 탑승자(50)의 일부분과 맞물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시트백(44)과 측벽(16) 사이에서 시트백(44)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후방 영역(5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영역(531)은 탑승자(50)의 측방향 및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탑승자(50)의 측방향 및 전방으로 배치된 전방 영역(53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영역(531) 및 전방 영역(532)은 제1 챔버(530)의 부분들일 수 있다. 도 5a에서, 후방 영역(531)은 전방 영역(532) 뒤에 숨겨진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제1 챔버(530)에 결합되고 중심 영역(535)을 가로질러 배치된 제1 접촉 패널(525) 또는 세일을 포함한다. 제1 접촉 패널(525)은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50)에 인접한 측부 상에서 제1 챔버(53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패널(525)은, 접촉 패널(525)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챔버(530)의 적어도 일부분과 탑승자(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 패널(125)은, 접촉 패널(525)이 탑승자(50)와 전체 제1 챔버(5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525)은 제1 접촉 패널(525)의 주연부를 따라 제1 챔버(5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525)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은 커플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전체 커플링을 따라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제1 챔버(530)에 결합되고 중심 영역(535)을 가로질러 배치된 제2 접촉 패널(527)을 포함한다. 제2 접촉 패널(527)은 제1 접촉 패널(525)로부터 오프셋되어 그리고 제1 접촉 패널(525)과 차량(10)의 측벽(16)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촉 패널(527)은 제2 접촉 패널(527)의 주연부를 따라 제1 챔버(5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촉 패널(527)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은 커플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전체 커플링을 따라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530) 내의 팽창 압력은, 탑승자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의 맞물림 시에,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이동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572)을 한정할 수 있다.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572)은 주로 팽창 압력에 의해 한정되거나 달리 제공될 수 있다. 제1 챔버(530)의 상부 영역(534) 및 하부 영역(536)은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572)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제1 챔버(530)의 팽창 시에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에 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챔버(5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1 접촉 패널(525)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의 반대편 부분들의 분리를 야기하여 제1 접촉 패널(525)에 장력을 초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챔버(5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2 접촉 패널(527)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의 반대편 부분들의 분리를 야기하여 제2 접촉 패널(527)에 장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챔버(530)는 팽창 시에 확장되어,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의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인장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제1 접촉 패널(525)에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장력 및 제2 접촉 패널(527)에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525) 내의 장력은 주로, 중심 영역(535)에서의 맞물림 시에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574)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중심 영역(535)에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574)을 갖고서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접촉 패널(527) 내의 장력은 주로, 중심 영역(535)에서의 맞물림 시에 탑승자(50)의 일부분의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576)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중심 영역(535)에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576)을 갖고서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챔버(530)와 조합된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은 제2 챔버(540)를 형성하며, 여기서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은 제2 챔버(540)의 반대편 벽들을 한정한다.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오리피스(5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하나 초과의 오리피스(6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리피스(508)는 제1 접촉 패널(525)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의 비밀봉된 부분 및/또는 제2 접촉 패널(527)과 제1 챔버(530) 사이의 커플링의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508)는 오리피스(508)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지향시키거나, 제어하거나, 제한하거나, 달리 그에 영향을 주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 패널(525)과 제2 접촉 패널(527)은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이 전개될 때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제1 챔버(530)의 확장은 제1 접촉 패널(525) 및 제2 접촉 패널(527)이 제2 챔버(540)의 내부 체적을 분리하고 확립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챔버(540)의 내부 체적은 제1 챔버(530)의 팽창 동안 제1 챔버(530)의 확장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 제2 챔버(540)의 내부 체적의 증가는 주위 공기가 오리피스(508)를 통해 제2 챔버(540) 내로 흡인되게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팽창 가스(560)에 의한 제1 챔버(530)의 팽창은 제2 챔버(540)가 공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게 할 수 있다.
제1 접촉 패널(525)과 흉복부 영역(56)의 맞물림은 제2 챔버(540)의 내부 체적이 감소하게 하여, 제2 챔버(540) 내의 공기를 압축하고 제2 챔버(540) 내에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챔버(540) 내의 압력은 흉복부 영역(56)의 이동에 대한 제3 더 낮은 저항(58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500)가 전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 있고, 이때 탑승자(50)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차량(10)의 내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탑승자(50)는 차량 착석 위치(30)에서 시트 조립체(4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탑승자(50)의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은 시트 조립체(40)의 시트(42), 시트백(44) 및 구속 하니스(46)와 같이, 참조를 위해 도시된다. 탑승자(50)는 제1 탑승자 위치(550) 또는 탑승자(50)의 횡방향 위치에 대해 측방향(170)으로 이동하였고,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흉부 중심(55)은 측방향(170)으로 (도 5a에 대해) 시프트되었다. 전방 영역(532)은 탑승자(50)의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영역(531)은 탑승자(50)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50)의 어깨(52)는 제1 챔버(530)의 상부 영역(534)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골반(58)은 제1 챔버(530)의 하부 영역(536)과 맞물리고,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535)과 맞물려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에 그리고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어깨(52)는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572)을 갖는 상부 영역(534)과 맞물릴 수 있고, 골반(58)은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572)을 갖는 하부 영역(536)과 맞물릴 수 있고,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535)과 맞물릴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심 영역(535)에서의 총 이동 저항은 제1 접촉 패널(525) 내의 장력에 의해 야기되는 제1 이동 저항(574) 및 제2 챔버(540) 내의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이동에 대한 제3 더 낮은 저항(580)의 조합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충돌 이벤트가 계속됨에 따라, 탑승자(50)는 측방향(170)(예컨대, 차량(10)에 대해 외측)으로 (도 5b에 대해) 더 멀리 제2 탑승자 위치(552)로 이동되었다. 흉복부 영역(56)은 중심 영역(535)과 추가로 맞물리고, 제1 접촉 패널(525)의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574)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챔버(540)의 체적은 실질적으로 고갈되어, 제3 이동 저항(580)을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은 또한, 탑승자(50)가 제2 탑승자 위치(552)에 있을 때 제2 접촉 패널(527)과 후속하여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 패널(527)은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의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576)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흉복부 영역(56)의 총 이동 저항은 제1 접촉 패널(525)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574) 및 제2 접촉 패널(527)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576)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d와 관련하여 유사하게 전술된 바와 같이, 경사 충돌 동안, 전방 영역(532)은 탑승자(50)와 맞물릴 수 있고, 탑승자(50)의 부분들, 특히 머리(51), 어깨(들)(52), 흉부(54), 흉부 중심(55), 흉복부 영역(56), 및 골반(58)의 이동에 대한 높은 저항(372)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 충격의 일부 경우에,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또한, 흉복부 영역(56)에 대해 이동에 대한 제1 더 낮은 저항(574), 이동에 대한 제2 더 낮은 저항(576), 및/또는 이동에 대한 제3 더 낮은 저항(58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비팽창된 상태에 있는 도 5a 내지 도 5c의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의 측부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은 제1 챔버(5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은 단일 일체형 직물 패널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 패널은 절첩선(626)을 따라 절첩되고 외측 커플링(640) 및 내측 커플링(641)을 따라 결합된다. 외측 커플링(640) 및 내측 커플링(641) 각각은 연속적인 시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은 외측 커플링(640)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은 내측 커플링(641)의 일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은 전체 외측 커플링(640) 및/또는 전체 내측 커플링(641)을 따라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640) 및/또는 내측 커플링(641)은 팽창 가스(560)의 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임은 재봉, 접착제, 무선 주파수 용접, 또는 테이핑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530)는, 팽창되었을 때, 내측 환상 영역(620)을 한정하는 대체로 환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환상 영역(620)은 중심 영역(5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530)의 환상 형상은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영역(532), 후방 영역(531), 상부 영역(534), 및 하부 영역(536)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챔버(530)는 환상 형상의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외주연부(6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530)는 또한, 환상 형상의 내측 영역(620) 둘레로 연장되는 내주연부(6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주연부(637)는 외측 커플링(640)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내주연부(638)는 내측 커플링(641)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 및/또는 제1 챔버(530)는 장공형일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단면 치수는 수직 단면 치수보다 크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측 영역(620)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제2 접촉 패널(527)을 한정할 수 있다. 팽창기 포트(606)는 제1 직물 패널(622) 또는 제2 직물 패널(623)을 통해 그리고 제1 챔버(530)의 내부로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팽창기 포트(606)는 팽창 가스를 제1 챔버(530)로 진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510)은 제3 직물 패널(624)을 포함한다. 제3 직물 패널(624)은 외측 커플링(640) 또는 내측 커플링(641)에서 제1 챔버(5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직물 패널(624)은 외측 커플링(640)과 내측 커플링(641) 사이의 위치에서 제1 직물 패널(6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624)은 제1 접촉 패널(525)을 한정할 수 있다. 제3 직물 패널(624)은 외측 커플링(640) 또는 내측 커플링(641)에서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직물 패널(622), 제2 직물 패널(623), 및 제3 직물 패널(624)은 공통 주연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커플링(640)은 제1 직물 패널(622), 제2 직물 패널(623), 및 제3 직물 패널(624)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측 환상 영역(6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촉 패널(52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별개의 직물 패널이 제1 직물 패널(622) 및 제2 직물 패널(6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고, 내측 환상 영역(62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별개의 직물 패널은 제2 접촉 패널(527)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구 "~에 결합된"은 기계적, 전기적, 자기, 전자기, 유체, 및 열적 상호작용을 비롯한, 둘 이상의 엔티티들 사이의 임의의 형태의 상호작용을 지칭한다. 2개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용어 부정관사("a" 및 "an")는 하나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스티치들의 라인(line of stitches)"을 갖는 탭을 인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탭이 2개 이상의 스티치 라인들을 가질 수 있음을 고려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범위는 종점 및 종점들 사이의 모든 수 둘 모두를 포함한다.
문구 "차량 착석 위치"는, 탑승자가 (예를 들어, 차량의 시트 내에 착석될 때) 대체적으로 차량 내에 위치되거나 차량 내에 위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지칭한다. 용어 "탑승자"는 차량 내의 사람 또는 충돌 테스트 인체모형(dummy)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징부, 구조물,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언급된 바와 같은 인용된 문구 또는 그의 변형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부들이 때때로,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그의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은 임의의 청구항이 그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들보다 더 많은 특징부를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하기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들은 임의의 단일의 전술한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부들보다 더 적은 특징부들의 조합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따른 청구범위는 이로써 이러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명확히 포함되며, 이때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로서 그 자체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과 그의 종속항들의 모든 치환을 포함한다.
특징부 또는 요소에 대한 용어 "제1"의 청구항에서의 언급은 제2 또는 추가의 그러한 특징부 또는 요소의 존재를 반드시 암시하지는 않는다. 수단+기능(means-plus-function) 포맷으로 언급되는 요소들은 35 U.S.C. § 112(f)에 따라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된 실시예들의 상세사항에 대해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배타적 특성 또는 특권을 청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laims (14)

  1.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로서,
    차량(10)의 시트(42)의 시트백(44)에 장착될 하우징(102, 302, 502); 팽창기(104, 304, 504); 및
    상기 팽창기(104, 304, 504)로부터 팽창 가스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2, 302, 502) 내의 패키징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백(44)의 일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개된 상태로 전개하기 위한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된 상태의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은 차량 착석 위치(30)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은,
    상기 차량 착석 위치(30) 내에 착석되고 상기 차량(10)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탑승자(50)의 어깨(52) 및 골반(58)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전개된 상태에 위치되도록 상기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제1 챔버(130, 330, 530) - 상기 전개된 상태의 제1 챔버(130, 330, 530)는 상기 차량(10)의 종축에 대해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thoracoabdominal region)(56)을 수용하도록 위치된 내측 환상(inner toroidal) 영역(220, 420, 620)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환상의 형상을 형성함 -; 및
    상기 내측 환상 영역(220, 420, 62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에 결합되고, 상기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탑승자-대면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차량 착석 위치(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팽창 시에,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는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 내의 제1 장력을 생성하며, 상기 제1 장력은 상기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의 제1 이동 저항(resistance to movement)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내측 환상 영역(220, 420, 620)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에 결합된 제2 접촉 패널(327, 5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 및 상기 제2 접촉 패널(327, 527) 중 적어도 하나는 오리피스(50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와 조합된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 및 상기 제2 접촉 패널(327, 527)은 제2 챔버(540)를 한정하며,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의 전개 시에, 공기가 상기 제2 챔버(540) 내로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은 상기 차량 착석 위치(30)와 차량 측벽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2, 302, 502)으로부터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110, 310, 510)의 일부분은 상기 차량 착석 위치(30)의 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와 상기 차량 착석 위치(30)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외주연부(237, 437, 637) 및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내주연부(238, 438, 638)와 상기 외주연부(237, 437, 637) 사이의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에 결합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은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외주연부(237, 437, 637)에서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에 결합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패널(327, 527)은 상기 제1 접촉 패널(125, 325, 525)로부터 외측의 거리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의 팽창 시에, 상기 제1 챔버(130, 330, 530)는 상기 제2 접촉 패널(327, 527) 내의 제2 장력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장력은 상기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의 제2 이동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50)의 흉복부 영역(56)의 이동 저항은 상기 제1 이동 저항과 상기 제2 이동 저항의 조합을 포함하는, 팽창가능 에어백 조립체(100, 300, 500).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7037861A 2019-04-26 2020-04-22 측면 에어백 조립체 KR102625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95,739 US10843654B2 (en) 2019-04-26 2019-04-26 Side airbag assembly
US16/395,739 2019-04-26
PCT/US2020/029373 WO2020219584A1 (en) 2019-04-26 2020-04-22 Side airbag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06A KR20210153706A (ko) 2021-12-17
KR102625009B1 true KR102625009B1 (ko) 2024-01-16

Family

ID=7068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861A KR102625009B1 (ko) 2019-04-26 2020-04-22 측면 에어백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3654B2 (ko)
EP (1) EP3959105B1 (ko)
JP (1) JP7416823B2 (ko)
KR (1) KR102625009B1 (ko)
CN (1) CN113710547B (ko)
WO (1) WO2020219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4771B4 (de) * 2018-06-20 2020-07-09 Isi Automotive Holding Gmbh Rückhaltevorrichtung zur Reduzierung einer schlagartigen Seitwärts- als auch Vorwärtsbewegung eines Insassen
JP7098548B2 (ja) * 2019-01-29 2022-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7456361B2 (ja) * 2020-12-01 2024-03-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66A (ja) * 2005-04-01 2006-11-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8184159A (ja) 2003-01-20 2008-08-1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装置
WO2010050015A1 (ja) 2008-10-29 2010-05-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座席間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2658A1 (de) 1992-09-29 1994-03-31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US5556128A (en) 1994-11-24 1996-09-17 Volkswagen Ag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occupant
DE19538657A1 (de) 1995-10-17 1997-04-24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5927748A (en) 1997-06-26 1999-07-27 O'driscoll; Peter Multi-stage inflatable bag for vehicular safety systems
DE29822159U1 (de) 1998-12-11 1999-05-12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JP3915544B2 (ja) 2002-02-25 2007-05-1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030168836A1 (en) 2002-03-11 2003-09-11 Eiji Sato Side airbag apparatus
DE10223830A1 (de) 2002-05-28 2004-01-08 Takata Corp. Mehrteiliger Gassackzuschnitt für einen Gassack einer Insassenschutz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es aus dem Gassackzuschnitt
US7168733B2 (en) * 2002-12-27 2007-01-30 Takata Corporation Airbag apparatus
DE10323129A1 (de) 2003-05-22 2004-12-16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modul an Kraftfahrzeugen
US7192050B2 (en) 2003-07-09 2007-03-20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US7063350B2 (en) 2003-09-23 2006-06-20 Autoliv Asp, Inc. Dual chamber side airbag apparatus and method
JP4313641B2 (ja) * 2003-10-17 2009-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28702A1 (de) 2004-06-28 2006-03-16 Mazda Motor Corp. Airbag-Vorrichtung
US20060022439A1 (en) 2004-07-30 2006-02-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differentially pressurized chambers
JP5007047B2 (ja) * 2006-01-13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02006014012U1 (de) 2006-09-08 2008-01-17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
JP4720753B2 (ja) 2007-02-16 2011-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070084B2 (ja) 2008-02-22 2012-11-07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5098975B2 (ja) * 2008-11-28 2012-1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63794B4 (de) * 2008-12-17 2014-04-03 TAKATA Aktiengesellschaft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8297649B2 (en) *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KR101594778B1 (ko) * 2009-09-03 2016-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쿠션
US8596678B2 (en) 2009-10-05 2013-12-03 Autoliv Asp, Inc. Air bag with pressure-managed gas delivery inflatable duct
GB2476642B (en) * 2009-12-22 2016-04-27 Ford Global Tech Llc An air bag assembly with an extendible portion
US8360469B2 (en) * 2010-08-27 2013-01-29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US8282126B2 (en) * 2010-10-13 2012-10-09 Tk Holding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012215628A (ja) 2011-03-31 2012-11-08 Japan Display East Co Ltd 電子パネル
US8684408B2 (en) 2011-09-24 2014-04-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de impact airbag cushion
JP5918621B2 (ja) 2012-05-09 2016-05-18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4602972B (zh) * 2012-08-27 2017-09-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US9598043B2 (en) 2013-08-06 2017-03-2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s
US9108587B2 (en) 2013-10-08 2015-08-18 Autoliv Asp, Inc. 3-layer “C” shaped side airbag
JP6236286B2 (ja) 2013-10-30 2017-11-2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92788B2 (en) * 2015-01-14 2017-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ront center airbag lower chamber and panel
KR101708213B1 (ko) * 2015-07-22 2017-0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US9731674B2 (en) * 2015-09-11 2017-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including depressed region below steering column
US9925949B2 (en) * 2016-03-23 2018-03-27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internal frangible seam
US10000177B2 (en) * 2016-03-24 2018-06-19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irbag module
JP6414157B2 (ja) 2016-07-22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6010249A1 (de) * 2016-08-26 2018-03-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irbagkissen für eine Airbagvorrichtung
DE102017007885A1 (de) 2017-08-21 2018-04-19 Daimler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US10766448B2 (en) 2018-06-01 2020-09-08 Autoliv Asp, Inc. Side airba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159A (ja) 2003-01-20 2008-08-1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装置
JP2006306366A (ja) * 2005-04-01 2006-11-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0050015A1 (ja) 2008-10-29 2010-05-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座席間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9060A1 (en) 2020-10-29
EP3959105B1 (en) 2023-05-24
US10843654B2 (en) 2020-11-24
KR20210153706A (ko) 2021-12-17
CN113710547A (zh) 2021-11-26
JP7416823B2 (ja) 2024-01-17
EP3959105A1 (en) 2022-03-02
JP2022530760A (ja) 2022-07-01
WO2020219584A1 (en) 2020-10-29
CN113710547B (zh)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278B2 (en) Inflatable airbag harness assemblies
US9676355B2 (en) Frontal airbag systems for oblique crash protection
EP3152087B1 (en) Dual cushion airbag with independent inflation
US9845067B2 (en) Frontal airbag systems for oblique crash protection
US9272684B1 (en) Multi-chamber airbag with pinch valve
US9376084B2 (en) Multi-chamber airbags
EP3134297B1 (en)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US9108587B2 (en) 3-layer “C” shaped side airbag
US10766448B2 (en) Side airbag assembly
KR102625009B1 (ko) 측면 에어백 조립체
US9272681B1 (en) Knee airbag deployable from a side panel
US11130463B2 (en) Forked far-side airbag assembly
US11292423B2 (en) Vent flap for airbag assemblies
US11577681B2 (en) Far-side airbag assemblies with pillow and sail
US1102768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an inflatable airbag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