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59B1 -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59B1
KR102623859B1 KR1020230087440A KR20230087440A KR102623859B1 KR 102623859 B1 KR102623859 B1 KR 102623859B1 KR 1020230087440 A KR1020230087440 A KR 1020230087440A KR 20230087440 A KR20230087440 A KR 20230087440A KR 102623859 B1 KR102623859 B1 KR 10262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indoor space
sea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일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코닉엔지니어링
허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코닉엔지니어링, 허일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코닉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8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학교, 사무실, 객실 등 다수의 인원이 서로 구분된 다수개의 방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공용 건물을 보다 빠르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제작 객실들과 복도, 지지구조 등을 건축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MODULAR UNIT FOR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AND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학교, 사무실, 객실 등 다수의 인원이 서로 구분된 다수개의 방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공용 건물을 보다 빠르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제작 객실들과 복도, 지지구조 등을 건축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과 관련된 안전 기준 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관련된 법규들이 개정되고 있으며, 기존에 건축된 다수의 공용 건물들이 이러한 개정법의 기준에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용 건물들은 교육용(학교), 산업용(사무실), 관광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건물의 특성상 그 건물 전체를 폐쇄하고 리모델링/재건축하거나, 다른 부지에 동일 용도의 건물을 신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학교 등의 경우에는 이러한 안전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학생들의 안전에 직결되므로 이러한 안전 기준을 충족시켜야할 필요성이 매우 크지만, 기존 학교 건물을 리모델링/재건축하게 되면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재건축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운동장 등에 임시로 컨테이너 등을 배치하여 학생들이 컨테이너에서 학습하는 동안 건물의 리모델링/재건축을 진행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컨테이너들은 학생들에게 쾌적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다층으로 축조하기가 어려워 모든 학생들에게 충분한 공간(다수개의 교실)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KR 10-2172044 B KR 10-2462310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 평탄화된 부지(운동장 등)에 빠른 시간 내에 다수개의 구별된 공간들을 가지는 다층 건물을 축조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미리 다수의 공정들을 완료한 상태의 모듈(모듈러)들을 현장에서 시공함으로써 각종 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지면/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전성이 강화되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된 지면에 다수개의 철판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상부에 H빔을 배열하는 단계; 모듈러 유닛의 조립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 상기 H빔에 조립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 상기 H빔에 마킹된 조립 위치를 기반으로 H빔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H빔과 상기 철판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H빔에 형성된 천공에 조립용 가이드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H빔의 상부 또는 다른 중앙 복도 유닛의 상부에 중앙 복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H빔의 상부 또는 다른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타공부; 상기 제1 타공부에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H빔은: 저면에 배치되는 밑판; 상기 밑판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 중심판; 상기 밑판 및 제1 중심판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2 중심판; 상기 제1 중심판 및 제2 중심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판; 상기 제1 중심판과 평행하며, 상기 밑판 및 상판의 양단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옆판; 및 상기 밑판에, 상기 제1 타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복도 유닛은: 다수개의 상기 H빔에 걸쳐서 상기 H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장형 빔; 상기 장형 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도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장형 빔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은: 소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샤시부; 상기 컨테이너의 타 측면에 구비되는 출입문부;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4 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조립용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지붕 유닛은: 다수개의 상기 실내 공간 유닛에 걸쳐서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붕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붕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5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용 가이드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삽입 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체결 대상물에 형성된 천공에 상기 몸체부를 삽입한 뒤, 상기 용접부를 상기 체결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용접부와 체결 대상물을 용접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대상물에 조립용 가이드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용 가이드는: 상기 몸체부 및 삽입 유도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산부; 상기 나사산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동 스크류; 상기 이동 스크류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탈거방지 후크; 상기 몸체부 및 삽입 유도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중공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탈거방지 후크의 호 부분을 지지하는 후크 고정대; 및 상기 이동 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 전까지 상기 탈거방지 후크가 휘어져 상기 후크 고정대에 지지되고,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에 따라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삽입된 후에, 상기 나사 홈부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스크류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탈거방지 후크가 후크 고정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철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 유닛 또는 중앙 복도 유닛을 지지하는 철판의 하부에 매설되는 베이스; 상기 철판이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상기 철판의 면적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하중 지지 빔; 상기 홈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체; 및 상기 하중 지지 빔의 상단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철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반으로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어 상기 철판과 상기 하중 지지 빔이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내 공간 유닛 또는 중앙 복도 유닛을 지지하는 철판의 외측에서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부; 상기 베이스와 매설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관; 상기 유압관의 내측에 수용되는 작동유체; 상기 유압관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유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런저; 및 상기 유압관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매설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유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런저의 외경이 상기 제1 플런저의 외경의 5배 내지 10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키 컨테이너의 내측과 공기가 소통하는 타공이 형성되는 굴뚝부; 상기 굴뚝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굴뚝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을 적층할 때, 하부에 배치되는 실내 공간 유닛의 연장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실내 공간 유닛의 삽입부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의 내측 공기를 상기 굴뚝부의 상단으로 배기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굴뚝부는: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대류 유도판; 및 외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흡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대류 유도판은: 상기 굴뚝부의 내측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프레스 가공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되 상단이 개방되는 돌기형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열판은: 흑색으로 도색되며, 상기 굴뚝부의 외측에서 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굴뚝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상단 흡열판; 상기 상단 흡열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며, 굴뚝부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하단 흡열판; 및 상기 상단 흡열판 및 하단 흡열판의 사이에 다수개 배치되는 중앙 흡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 흡열판은: 다수개가 서로 다른 각도로 상기 굴뚝부의 외측에 고정되되, 상부에 배치된 중앙 흡열판으로부터 하부에 배치된 중앙 흡열판으로 갈수록 상기 굴뚝부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단 흡열판으로부터 중앙 흡열판 및 하단 흡열판으로 갈수록 상기 굴뚝부에 대한 각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평탄화된 부지(운동장 등)에 빠른 시간 내에 다수개의 구별된 공간들을 가지는 다층 건물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미리 다수의 공정들을 완료한 상태의 모듈(모듈러)들을 현장에서 시공함으로써 각종 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종래 모듈식 건축물 대비 안전성/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모듈 체결/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측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 각각에 대해 모듈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각 모듈들을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내진 구조를 기반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진동/하중을 감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듈식 구조를 기반으로 소정의 내진 구조를 보다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굴뚝 구조를 기반으로, 다수개의 실내 공간/다층의 실내 공간들에 대해 태양열 등을 기반으로 한 자연대류/굴뚝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건물 전체의 공조 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의 H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의 결합 상태(공용 건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에서 H빔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조립식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의 굴뚝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된 지면(G)에 다수개의 철판을 배열하는 단계(S100); 상기 철판의 상부에 H빔(2)을 배열하는 단계(S200); 모듈러 유닛의 조립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S300); 상기 H빔(2)에 조립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S400); 상기 H빔(2)에 마킹된 조립 위치를 기반으로 H빔(2)을 천공하는 단계(S500); 상기 H빔(2)과 상기 철판을 용접하는 단계(S600); 상기 H빔(2)에 형성된 천공에 조립용 가이드(5)를 용접하는 단계(S700); 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중앙 복도 유닛(3)의 상부에 중앙 복도 유닛(3)을 안착시키는 단계(S800); 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4)을 안착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S1000);를 포함하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재에서 '모듈러 유닛'이란, 후술하는 실내 공간 유닛(4), 중앙 복도 유닛(3), 계단 유닛 및 지붕 유닛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을 지칭한다.
평탄화된 지면(G)에 다수개의 철판을 배열하는 단계(S100);에서는, 학교 운동장 등 평탄화가 완료된 지면에 다수개의 철판을 배열한다. 이 단계 전에, 지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일실시예에서는 철판을 단순히 지면 위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철판을 지면에 매설할 수도 있다.
상기 철판들은 설계도에 따라 메시(井)/배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X 10 배열 형태로 각 철판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철판의 상부에 H빔(2)을 배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철판의 상부에 H빔(2)을 배열 및 안착시킨다.
상기 H빔(2)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볼트(11) 및 너트(12)가 체결될 수 있다.
다시말해, H빔(2)을 철판(볼트(11))의 상부에 안착시킨 뒤, 볼트(11)를 H빔(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타공부에 체결시킴으로써 H빔(2)과 철판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설치되는 모듈러 유닛들(실내 공간 유닛(4), 중앙 복도 유닛(3))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한기/열기 등이 모듈러 유닛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모듈러 유닛의 조립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S300);에서는, 현재 배치된 철판 및 H빔(2)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모듈러 유닛이 어떤 위치에 안착될 지를 측량한다.
건축/건설 분야에 있어서, 주지관용 기술에 따른 측량방법을 따르므로 측량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H빔(2)에 조립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S400);에서는, 측량을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모듈러 유닛의 저면에 형성된 제3 타공부 또는 제4 타공부가 위치할 지점'을 상기 H빔(2)의 상면(상판(24))에 표지한다.
상기 H빔(2)에 마킹된 조립 위치를 기반으로 H빔(2)을 천공하는 단계(S500);에서는 표지된 지점을 타공하여 조립식 가이드가 관통/안착될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H빔(2)과 상기 철판을 용접하는 단계(S600);에서는, 상기 볼트(11)와 제2 타공부의 연결부위를 용접하여, 볼트(11)가 제2 타공부로부터 풀려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볼트(11)와 제1 타공부의 연결부위도 같이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H빔(2)에 형성된 천공에 조립용 가이드(5)를 용접하는 단계(S700);에서는, 상기 천공에 조립용 가이드(5)를 아래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삽입하고, 후술하는 용접부와 상기 천공 주변부 사이 지점을 용접하여 조립용 가이드(5)를 고정시킨다.
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중앙 복도 유닛(3)의 상부에 중앙 복도 유닛(3)을 안착시키는 단계(S800); 및 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4)을 안착시키는 단계(S900);의 순서를 서로 치환하여 실시하는 것도 균등한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실내 공간 유닛(4)을 먼저 H빔(2)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실내 공간 유닛(4)에 인접하도록(후술하는 출입문부(42)에 인접하도록) 중앙 복도 유닛(3)을 안착시키는 것도 상기 구성과 동일/균등한 범위로 판단/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따라 1층을 모두 안착시킨 뒤에는 상술한 단계(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중앙 복도 유닛(3)의 상부에 중앙 복도 유닛(3)을 안착시키는 단계(S800); 및 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4)을 안착시키는 단계(S900);)를 설계된 층고만큼 반복하여 다층 건물을 건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복도 유닛(3) 및 실내 공간 유닛(4)의 측면에는 계단 유닛을 안착시킬 수 있다(상기 H빔(2)의 상부 또는 다른 계단 유닛의 상부에 계단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복도 유닛(3)의 1층 일단 또는 양단에는 중앙 현관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S1000);에서는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4)들의 상부에 지붕 유닛을 안착시킴으로써,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4)들 사이 공간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은 적어도 네 개의 H빔(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도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 유닛(실내 공간 유닛(4), 중앙 복도 유닛(3), 계단 유닛)의 네 모서리에 조립용 가이드(5)가 각각 체결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H빔(2) 하나의 상부에는 모듈러 유닛이 네 개까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10); 상기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타공부; 상기 제1 타공부에 체결되는 볼트(11); 및 상기 볼트(11)에 체결되는 너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상기 평탄화된 지면(G)에 놓여지며(안착되며), 이 플레이트(10)에는 상기 볼트(11) 및 너트(12)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트(11)는 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너트(12)는 상기 H빔(2)의 밑판(21)에 형성된 제2 타공부에 밀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볼트(11) 헤드-플레이트(10)-볼트(11)-너트(12)-밑판(21)(-너트(12))와 같은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플레이트(10)에 볼트(11)를 체결한 뒤 플레이트(10)를 지면에 안착시키고, 볼트(11)에 너트(12)를 체결한 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H빔(2)(밑면)을 안착시키며 제2 타공부에 볼트(11)를 삽입/체결시킴으로써 H빔(2)을 고정시킨다. 이 때, 볼트(11)-너트(12)의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H빔(2)과 플레이트(10) 사이의 간격 및 H빔(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H빔(2)은: 저면에 배치되는 밑판(21); 상기 밑판(21)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 중심판(22); 상기 밑판(21) 및 제1 중심판(22)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2 중심판(23); 상기 제1 중심판(22) 및 제2 중심판(23)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판(24); 상기 제1 중심판(22)과 평행하며, 상기 밑판(21) 및 상판(24)의 양단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옆판(25); 및 상기 밑판(21)에, 상기 제1 타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 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빔(2)의 전반적인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H빔(2)을 기반으로, 다수개의 방향에 대한 굽힘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복도 유닛(3)은: 다수개의 상기 H빔(2)에 걸쳐서 상기 H빔(2)의 상부에 안착되는 장형 빔; 상기 장형 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도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5)가 체결되도록 상기 장형 빔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 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복도 유닛(3)은,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도 판넬의 저면에는 장형 빔을 안착시킴으로써 실내 공간 유닛(4)에 구비된 출입문부(42)와 복도 판넬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장형 빔은 복도 판넬이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은: 소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샤시부(41); 상기 컨테이너의 타 측면에 구비되는 출입문부(42);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5)가 체결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4 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조립용 가이드(5)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하나의 실내 공간(방)을 구성하며, 일 측면에는 샤시부(41)가 구비되어 창문을 통해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타 측면에는 출입문부(42)가 구비되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결합된다.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는 제4 타공부가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한 H빔(2) 또는 저 층의 컨테이너(그에 배치된 조립용 가이드(5))와 결합/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조립용 가이드(5)들이 고정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상 층의 컨테이너 또는 지붕 유닛(그에 형성된 제4 타공부/제5 타공부)과 결합/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붕 유닛은: 다수개의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에 걸쳐서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붕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5)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붕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5 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붕 프레임은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4)의 윗부분을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지면의 불균일이나 기타 외력으로 인한 실내 공간 유닛(4)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지붕 판넬은 상기 지붕 프레임에 체결되어 비/눈이 적층되지 않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기반으로 비/눈을 흘려보내고, 태양열로 인해 실내 공간 유닛(4)이 과열되지 않도록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립용 가이드(5)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51); 상기 몸체부(51)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삽입 유도부(52); 및 상기 몸체부(51)의 하단에 구비되며, 몸체부(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체결 대상물(H빔(2) 또는 실내 공간 유닛(4) 등)에 형성된 천공에 상기 몸체부(51)를 삽입한 뒤, 상기 용접부를 상기 체결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용접부와 체결 대상물을 용접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대상물에 조립용 가이드(5)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용 가이드(5)는 '못'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모듈러 유닛의 측부 방향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직경이 적어도 5cm 내지 20cm 가량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유도부(52)는, 조립용 가이드(5)의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구조물(실내 공간 유닛(4), 중앙 복도 유닛(3) 및 지붕 유닛)에 형성된 타공(H)의 중심에 상기 몸체부(5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 중장비로 인양된 구조물들이 상기 몸체부(51)의 중심과 그에 대응하는 타공(H)의 중심을 완벽하게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삽입 유도부(52)의 경사면을 따라 몸체부(51)가 타공(H)의 중심에 삽입/안착되게 된다.
상기 조립용 가이드(5)는 용접부에 의해 체결되며, 측부 방향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모듈러 유닛이 그 아래에 배치된 구조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용 가이드(5)는: 상기 몸체부(51) 및 삽입 유도부(52)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산부(53); 상기 나사산부(53)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동 스크류(54); 상기 이동 스크류(54)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탈거방지 후크(55); 상기 몸체부(51) 및 삽입 유도부(52)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중공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탈거방지 후크(55)의 호 부분을 지지하는 후크 고정대(56); 및 상기 이동 스크류(54)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 홈부(62);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 전까지 상기 탈거방지 후크(55)가 휘어져 상기 후크 고정대(56)에 지지되고,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에 따라 상기 조립용 가이드(5)가 삽입된 후에, 상기 나사 홈부(62)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스크류(54)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탈거방지 후크(55)가 후크 고정대(56)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용 가이드(5)는 측부 방향 하중 뿐만아니라 수직 방향 하중도 지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조립용 가이드(5)를 용접하여 고정한 뒤, 그 위에 다른 구조물을 안착시키고(도 5 (a), 상기 나사 홈부(62)를 기반으로 이동 스크류(54)를 더 깊이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탈거방지 후크(55)가 소정의 우산 형태로 펼쳐지도록 한다(도 5 (b, c)).
상기 후크 고정대(56)에 의해 압축되어 있었던 탈거방지 후크(55)는 상기 이동 스크류(54)를 따라 상승한 뒤 펼쳐지며, 이후에는 하부의 구조물과 상부의 구조물이 수직 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철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 유닛(4) 또는 중앙 복도 유닛(3)을 지지하는 철판의 하부에 매설되는 베이스(61); 상기 철판이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61)의 내측에 상기 철판의 면적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되는 홈부(62); 상기 홈부(62)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하중 지지 빔(63); 상기 홈부(62)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체(64); 및 상기 하중 지지 빔(63)의 상단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철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반으로 상기 탄성체(64)가 압축되어 상기 철판과 상기 하중 지지 빔(63)이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내 공간 유닛(4) 또는 중앙 복도 유닛(3)을 지지하는 철판의 외측에서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부(65); 상기 베이스(61)와 매설부(65)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관(66); 상기 유압관(66)의 내측에 수용되는 작동유체(67); 상기 유압관(66)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61)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유체(67)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런저(68); 및 상기 유압관(66)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매설부(65)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작동유체(67)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런저(69);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런저(69)의 외경이 상기 제1 플런저(68)의 외경의 5배 내지 10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된 지면(G)의 상부 일부분을 굴삭하여 베이스(61)가 안착될 공간을 마련한 뒤, 베이스(61)를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홈부(62);는 상기 철판이 홈부(62)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철판의 넓이와 동일한(소정의 공차 포함)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62)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하중 지지 빔(63);은 탄성체(64)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 홈부(62)의 바닥면과 철판 사이의 거리만큼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상기 하중 지지 빔(63)이 철판을 지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62)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체(64);는 지진 등 수직 방향 하중/진동이 발생했을 때 철판을 지탱하며 철판에 가해지는/철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중 지지 빔(63)의 상단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는 고무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탄성체(64)가 신장과 압축을 반복할 때 하중 지지 빔(63)이 철판에 가하는 충격력을 감쇠한다.
상기 매설부(65);는, 예를 들어 10 * 10개의 철판이 설치된 실시 예에서, 10 * 10 개의 철판의 외주면을 따라, 평면도를 기준으로 철판들의 상부에 10개, 좌측에 10개, 우측에 10개 및 하부에 10개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매설부(65)는 지반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관(66);은, 상기 작동유체(67);를 기반으로 파스칼 원리에 따라 베이스(61)로부터 전달되는 측부 방향 하중/진동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작동유체(67)는 상기 유압관(66), 제1 플런저(68) 및 제2 플런저(69) 사이에 둘러쌓이도록 배치되며, 베이스(61)가 측부 방향으로 진동할 때 그 하중을 전달받아 매설부(65)로 전달하고, 진동하는 거리/길이를 25배 내지 100배(제2 플런저(69)의 외경 대비 제1 플런저(68)의 외경의 제곱)로 압축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에 전달되는 측부 방향 하중을 감쇠시킨다.
또한,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은: 상기 컨테이너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키 컨테이너의 내측과 공기가 소통하는 타공이 형성되는 굴뚝부(7); 상기 굴뚝부(7)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굴뚝부(7)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실내 공간 유닛(4)을 적층할 때, 하부에 배치되는 실내 공간 유닛(4)의 연장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실내 공간 유닛(4)의 삽입부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실내 공간 유닛(4)의 내측 공기를 상기 굴뚝부(7)의 상단으로 배기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실내 공간 유닛(4)의 삽입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우천 시 빗물이 상기 굴뚝부(7)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굴뚝부(7)의 상단을 통해 공기가 배기될 때 굴뚝 효과를 기반으로 저층 내지 고층 실내 공간 유닛(4) 모두에 대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굴뚝부(7)는: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대류 유도판(71); 및 외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흡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류 유도판(71)은 굴뚝부(7)의 외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태양열 등)를 전달받아 굴뚝부(7)의 내측을 흐르는 공기를 가열시키며, 상기 흡열판은 태양광/태양열을 흡수하여 굴뚝부(7)에 전달한다.
상기 대류 유도판(71)은: 상기 굴뚝부(7)의 내측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프레스 가공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되 상단이 개방되는 돌기형 통공(7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굴뚝부(7)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기는 상기 대류 유도판(71) 및 돌기형 통공(710)에 충돌하며 대류 유도판(71)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상부로의 이동(자연대류)이 촉진되어 환기가 촉진된다.
상기 흡열판은: 흑색으로 도색되며, 상기 굴뚝부(7)의 외측에서 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굴뚝부(7)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상단 흡열판(72); 상기 상단 흡열판(7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며, 굴뚝부(7)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하단 흡열판(73); 및 상기 상단 흡열판(72) 및 하단 흡열판(73)의 사이에 다수개 배치되는 중앙 흡열판(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흡열판(74)은: 다수개가 서로 다른 각도로 상기 굴뚝부(7)의 외측에 고정되되, 상부에 배치된 중앙 흡열판(74)으로부터 하부에 배치된 중앙 흡열판(74)으로 갈수록 상기 굴뚝부(7)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단 흡열판(72)으로부터 중앙 흡열판(74) 및 하단 흡열판(73)으로 갈수록 상기 굴뚝부(7)에 대한 각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열판은 태양광/태양열을 최대한 흡수하여 굴뚝부(7)로 전달하도록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흡열판(72), 하단 흡열판(73) 및 중앙 흡열판(74)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됨으로써 태양광이 다른 흡열판 부분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최대한 많은 면적이 태양광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00 : 철판을 배열하는 단계
S200 : H빔을 배열하는 단계
S300 : 조립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
S400 : 조립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
S500 : H빔을 천공하는 단계
S600 : 철판을 용접하는 단계
S700 : 조립용 가이드를 용접하는 단계
S800 : 중앙 복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S900 :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S1000 :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G : 평탄화된 지면
10 : 플레이트
11 : 볼트
12 : 너트
2 : H빔
21 : 밑판
22 : 제1 중심판
23 : 제2 중심판
24 : 상판
25 : 옆판
3 : 중앙 복도 유닛
4 : 실내 공간 유닛
41 : 샤시부
42 : 출입문부
5 : 조립용 가이드
51 : 몸체부
52 : 삽입 유도부
53 : 나사산부
54 : 이동 스크류
55 : 탈거방지 후크
56 : 후크 고정대
H : 통공
61 : 베이스
62 : 홈부
63 : 하중 지지 빔
64 : 탄성체
65 : 매설부
66 : 유압관
67 : 작동유체
68 : 제1 플런저
69 : 제2 플런저
7 : 굴뚝부
71 : 대류 유도판
710 : 돌기형 통공
72 : 상단 흡열판
73 : 하단 흡열판
74 : 중앙 흡열판

Claims (3)

  1. 평탄화된 지면에 다수개의 철판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철판의 상부에 H빔을 배열하는 단계;
    모듈러 유닛의 조립 위치를 측량하는 단계;
    상기 H빔에 조립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
    상기 H빔에 마킹된 조립 위치를 기반으로 H빔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H빔과 상기 철판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H빔에 형성된 천공에 조립용 가이드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H빔의 상부 또는 다른 중앙 복도 유닛의 상부에 중앙 복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H빔의 상부 또는 다른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철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타공부;
    상기 제1 타공부에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H빔은:
    저면에 배치되는 밑판;
    상기 밑판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1 중심판;
    상기 밑판 및 제1 중심판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제2 중심판;
    상기 제1 중심판 및 제2 중심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판;
    상기 제1 중심판과 평행하며, 상기 밑판 및 상판의 양단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옆판; 및
    상기 밑판에, 상기 제1 타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복도 유닛은:
    다수개의 상기 H빔에 걸쳐서 상기 H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장형 빔;
    상기 장형 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도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장형 빔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은:
    소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샤시부;
    상기 컨테이너의 타 측면에 구비되는 출입문부;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4 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조립용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지붕 유닛은:
    다수개의 상기 실내 공간 유닛에 걸쳐서 상기 실내 공간 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지붕 판넬; 및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체결되도록 상기 지붕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5 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용 가이드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삽입 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체결 대상물에 형성된 천공에 상기 몸체부를 삽입한 뒤, 상기 용접부를 상기 체결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용접부와 체결 대상물을 용접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대상물에 조립용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 및 삽입 유도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산부;
    상기 나사산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동 스크류;
    상기 이동 스크류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며, 소정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탈거방지 후크;
    상기 몸체부 및 삽입 유도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중공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탈거방지 후크의 호 부분을 지지하는 후크 고정대; 및
    상기 이동 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 홈부;를 포함하는,
    상기 '중앙 복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또는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전까지 상기 탈거방지 후크가 휘어져 상기 후크 고정대에 지지되고,
    상기 '중앙 복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실내 공간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 또는 지붕 유닛을 안착시키는 단계'에 따라 상기 조립용 가이드가 삽입된 후에, 상기 나사 홈부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스크류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탈거방지 후크가 후크 고정대로부터 이탈하는,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7440A 2023-07-06 2023-07-06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KR10262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40A KR102623859B1 (ko) 2023-07-06 2023-07-06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440A KR102623859B1 (ko) 2023-07-06 2023-07-06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59B1 true KR102623859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440A KR102623859B1 (ko) 2023-07-06 2023-07-06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93A (ja) * 1998-10-21 2000-05-09 Tsuneo Takaya 連結住居
KR20110053101A (ko) * 2009-11-13 2011-05-19 문근환 가이드핀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철골보 결합구조
KR101266737B1 (ko) * 2012-09-20 2013-05-28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KR101311191B1 (ko) * 2013-05-15 2013-09-26 한국 천문 연구원 천문 관측소 모듈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42910A (ko) * 2013-06-05 2014-12-15 (주) 광장브이디에스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102172044B1 (ko)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나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8429B1 (ko) * 2020-12-21 2022-08-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KR102462310B1 (ko) 2022-04-22 2022-11-03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93A (ja) * 1998-10-21 2000-05-09 Tsuneo Takaya 連結住居
KR20110053101A (ko) * 2009-11-13 2011-05-19 문근환 가이드핀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철골보 결합구조
KR101266737B1 (ko) * 2012-09-20 2013-05-28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KR101311191B1 (ko) * 2013-05-15 2013-09-26 한국 천문 연구원 천문 관측소 모듈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42910A (ko) * 2013-06-05 2014-12-15 (주) 광장브이디에스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102172044B1 (ko)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나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8429B1 (ko) * 2020-12-21 2022-08-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KR102462310B1 (ko) 2022-04-22 2022-11-03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9002B1 (en) Flexible hanging type module building structure
US5333426A (en) Wood frame construction system with prefabricated components
US20060236627A1 (en) Combination lift and anchor connector for fabricated wall and floor panels
JP3981949B2 (ja) 耐震補強構造
KR102623859B1 (ko)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JP2006509127A (ja) モジュラー建築ユニットの垂直整列および水平化
JP2010150846A (ja) 耐力パネル及び規格化建物並びに構造計算方法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JPH08338033A (ja) 免震基礎
JP2010236180A (ja) 耐震構造体
JP4054729B2 (ja) 制振装置付き居室ユニットおよびその居室ユニット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JP3066460B2 (ja) 鉄塔の構築方法
JP2015143463A (ja) 建物と補強構造と支持構造とを有する建造物
JP4030447B2 (ja) 免震装置付きユニット式建物
JP2001207675A (ja) 制震構造および制震装置を組み込んだ制震構築方法
JP5465378B2 (ja) 免震建物
KR101861484B1 (ko) 타워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복도식 공동주택의 내진 보강구조
WO2014033938A1 (ja) 建築構造体とその施工方法及び建築構造体用の柱梁接合部
KR0143060B1 (ko) 역피라미드형 기초부에 의한 건축구조개선
JP2002295050A (ja) 高層建物
JP2022190180A (ja) 建設用仮設足場及び建設用仮設足場設置方法
JP3353184B2 (ja) 人工地盤の構築方法
van de Lindt et al. Full-scale testing of soft-story woodframe buildings with stiffness-based retrofits
JP2686059B2 (ja) エレベータを内蔵する建築物
JP3026804U (ja) 免震建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