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429B1 -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429B1
KR102438429B1 KR1020200179994A KR20200179994A KR102438429B1 KR 102438429 B1 KR102438429 B1 KR 102438429B1 KR 1020200179994 A KR1020200179994 A KR 1020200179994A KR 20200179994 A KR20200179994 A KR 20200179994A KR 102438429 B1 KR102438429 B1 KR 10243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lumn
modular unit
steel bar
pli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399A (ko
Inventor
김형준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러 유닛에 상재하는 중력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며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거동과 에너지소산능력으로 인하여 횡력저항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한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각형 관 단면의 4개의 기둥과,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의 기둥 주각부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기둥의 하단부에 기둥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판형상으로 접합되며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대응하여 강봉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부지지 플레이트와; 양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너트로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저항복 강봉과;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저항복 강봉이 삽입되어 구성되며 엔드 플레이트와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속재와;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복수의 강봉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 플레이트와, 관통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관통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수직 판형상의 복수의 수직 간격재로 이루어져,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한 저항복 강봉의 하단부가 강봉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도록 베이스 철물;이 구성되며, 강선이 기둥을 관통하여 강선의 하단부가 관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고정되고, 상단부가 기둥의 상부에서 긴장력을 도입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 상단부에서 정착구에 정착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Self-centering connection system of modular unit column base}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러 유닛에 상재하는 중력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며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거동과 에너지소산능력으로 인하여 횡력저항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한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주각부는 앵커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하여 고정단을 형성 또는 연결재 매입 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접합부를 구성하는 형태이므로, 주각부에서 모듈러 건축물의 충분한 횡력저항 성능을 발휘하는데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골조식 강재 모듈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경량성 확보로 인하여 운반성과 시공성에 있어 용이성이 있으나, 주각부의 구성에 있어 기존 모듈러 시스템은 후에 충진재를 타설하는 상세를 가지므로 시공성 저하가 우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66737호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의 결합용 연결부재는, 공장에서 제작되며, 사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모르타르 주입공; 및 기둥이 결합되는 부분에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고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용접 결합되는 기둥 고정볼트와; 현장 실측후 앵커볼트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현장에서 천공되는 앵커볼트 결합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앵커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하여 고정단을 형성 또는 연결재 매입 후에 충진재를 타설하여 접합부를 구성하는 형태이며 횡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어렵고 셀프센터링이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266737호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모듈러 유닛의 기둥과 기초부 베이스 철물 접합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셀프센터링 거동을 유도함으로서 단위 모듈러 유닛의 구조 부재인 바닥보와 기둥 및 주각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형 관 단면의 4개의 기둥과,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의 기둥 주각부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기둥의 하단부에 기둥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판형상으로 접합되며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대응하여 강봉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부지지 플레이트와; 양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너트로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저항복 강봉과;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저항복 강봉이 삽입되어 구성되며 엔드 플레이트와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속재와;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복수의 강봉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통 플레이트와, 관통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관통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수직 판형상의 복수의 수직 간격재로 이루어져, 하부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한 저항복 강봉의 하단부가 강봉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도록 베이스 철물;이 구성되며, 강선이 기둥을 관통하여 강선의 하단부가 관통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고정되고, 상단부가 기둥의 상부에서 긴장력을 도입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 상단부에서 정착구에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는 기둥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복수의 보강 스티프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항복 강봉은 중앙부가 아치형으로 요입되어 요입부가 형성되고, 구속재는 내부면이 요입부에 대응하여 볼록부가 구성되어, 볼록부가 요입부에 안착되도록 거항복 강봉을 구속재에 끼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듈러 유닛은 수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강선은 적층된 모듈러 유닛의 기둥들을 관통하여 구성되며, 최상부의 모듈러 유닛 기둥 상단부에 정착구가 형성되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착구는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둥의 상단부면과 기둥 양측의 천정보의 상부면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까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는 기둥에 강선을 삽입하고 강선을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기법을 도입하여 주각부에 충진재를 타설하는 상세를 배제할 수 있어 단위 모듈러 유닛의 기둥과 기초부 베이스 철물 접합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셀프센터링 거동을 유도함으로서 단위 모듈러 유닛의 구조 부재인 바닥보와 기둥 및 주각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항복 강봉을 적용한 에너지소산장치를 기둥 하부의 갭이 발생하는 위치에 도입함으로서 강선으로만 접합되어 기둥과 바닥의 직접적인 접합이 수행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평 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저항복 강봉의 인장변형에 의한 소성거동으로 추가적인 감쇠를 발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가 적용된 모듈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서 변형된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가 적용된 모듈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에 강선(50)을 삽입하고 강선(50)을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기법을 도입하여 주각부에 충진재를 타설하는 상세를 배제할 수 있어 단위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과 기초부 베이스 철물(80) 접합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셀프센터링 거동을 유도함으로서 단위 모듈러 유닛(1)의 구조 부재인 바닥보(30)와 기둥(10) 및 주각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잔류변형을 제어하도록 하며, 저항복 강봉(90)을 적용한 에너지소산장치를 기둥(10) 하부의 갭이 발생하는 위치에 도입하여 수평 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저항복 강봉(90)의 인장변형에 의한 소성거동으로 추가적인 감쇠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1)은 종래의 모듈러 유닛과 동일하게 각형 관 단면의 4개의 기둥(10)과, 기둥(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2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진다.
기둥(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엔드플레이트가 구성될 수 있다. 천정보(20)와 바닥보(30)는 ㄷ 형 단면의 채널 등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10)의 측면에 접합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강선(50)은 기둥(10)을 관통하여 구성되며 하단부는 엔드플레이트(60)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긴장된 상태에서 정착구(70)에 정착되도록 하는데, 강선(50)은 하나의 모듈러 유닛(1)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유닛(1)이 수직으로 적층된 경우 강선(50)은 적층된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들을 관통하여 구성되며, 최상부의 모듈러 유닛(1) 기둥(10) 상단부에 정착구(70)가 형성되어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기둥(10)의 하단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부터 차례로 엔드 플레이트(60), 구속재(92), 하부지지 플레이트(61) 및 베이스 철물(80)이 구성되며, 저항복 강봉(90)이 엔드 플레이트(60), 구속재(92), 하부지지 플레이트(61) 및 베이스 철물(80)의 관통 플레이트(81)를 관통하여 엔드 플레이트(60)의 상부에서 너트(91)로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에서 변형된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엔드 플레이트(60)는 기둥(10)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판형상으로 기둥(10)의 하단부에 접합되며 중앙부는 관통하여 강선(5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기둥(10)의 외측으로는 복수의 체결공(62)이 통공되도록 하여 저항복 강봉(90)의 상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엔드 플레이트(60)에는 기둥(10)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복수의 보강 스티프너(6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지지 플레이트(61)는 엔드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611)이 형성되어 강선(50)이 관통할 수 잇도록 하고 엔드 플레이트(60)의 체결공(62)에 대응하여 강봉 관통공(612)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저항복 강봉(9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저항복 강봉(90)은 저항복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60)의 상부와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엔드 플레이트(60)의 상부에서 너트(91)로 조립함으로서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기둥(10) 하부의 갭 발생시 추가적인 에너지 소산효과를 유도하도록 한다.
엔드 플레이트(60)와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사이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데, 이때,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의 구속재(92)를 엔드 플레이트(60)와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사이의 위치에서 저항복 강봉(90)에 삽입되도록 하여, 저항복 강봉(90)의 압축변형 발생 시 좌굴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저항복 강봉(90)은 중앙부가 아치형으로 요입되어 요입부(915)가 형성되고 구속재(92)는 내부면이 요입부(915)에 대응하여 볼록부(925)가 구성되어 볼록부(925)가 요입부(915)에 안착되도록 거항복 강봉(90)을 구속재(92)에 끼워지도록 하여, 구속재(92)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접촉면적을 늘리고 구속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하부에는 강선(50)의 정착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철물(80)이 용접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베이스 철물(80)은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811)이 형성되고 복수의 강봉 관통공(812)이 형성되는 관통 플레이트(81)와, 관통 플레이트(81)의 하부로 일정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82)와. 관통 플레이트(81)와 고정 플레이트(82)를 연결하는 수직 판형상의 복수의 수직 간격재(83)로 이루어져,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한 저항복 강봉(90)의 하단부가 강봉 관통공(812)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둥 주각부의 접합을 수행하고 센프센터링 거동을 통해 주각부 및 기둥의 손상과 잔류변형을 제어하도록 기둥(10) 내부에 수직으로 강선(50)을 구성한다. 강선(50)은 기둥(10)을 관통하여 강선(50)의 하단부가 관통 플레이트(81)의 하부에서 고정되고, 상단부가 기둥(10)의 상부에서 긴장력을 도입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 상단부에서 정착구(70)에 정착하도록 한다.
정착구(7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착구(70)는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둥(10)의 상단부면과 기둥(10) 양측의 천정보(20)의 상부면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까지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기둥(10)에 횡력이 작용하면 점차 증가하는 횡력으로 인해 작용하는 바닥 접합부의 모멘트가 강선(50)의 초기 긴장력과 기둥(10)의 축력에 의한 모멘트 저항력보다 커지면, 기둥(10) 하단부가 베이스 철물(8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갭 (gap)현상으로 인해 상대 회전각이 발생한다. 바닥면에서의 갭이 발생한 후 기둥(10)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 때 강선(50)은 인장변형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축력을 시스템에 유발시키게 되며, 기둥(10)은 압축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횡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면 접합부에 갭이 발생하더라도, 잔류 변형 없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 능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기둥(10) 하단부에 갭 현상이 발생할 때 상대 회전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기둥(10) 단면보다 큰 규격의 엔드 플레이트(60)를 적용하도록 한다.
압축측에 위치한 스토퍼로 적용된 저항복 강봉(90)에 회전 중심이 형성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인장측에 위치한 저항복 강봉(90)은 인장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저항복강의 낮은 항복강도와 고연신율 특성으로 인하여 기둥(10) 하단부에 갭 현상이 발생할 때 에너지소산능력을 극대화하도록 계획하였으며, 압축측에 위치한 저항복 강봉(90)이 압축변형할 때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커플러 형상의 구속재(92)를 배치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는 기둥에 강선을 삽입하고 강선을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기법을 도입하여 주각부에 충진재를 타설하는 상세를 배제할 수 있어 단위 모듈러 유닛의 기둥과 기초부 베이스 철물 접합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셀프센터링 거동을 유도함으로서 단위 모듈러 유닛의 구조 부재인 바닥보와 기둥 및 주각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항복 강봉을 적용한 에너지소산장치를 기둥 하부의 갭이 발생하는 위치에 도입함으로서 강선으로만 접합되어 기둥과 바닥의 직접적인 접합이 수행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평 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저항복 강봉의 인장변형에 의한 소성거동으로 추가적인 감쇠를 발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모듈러 유닛
10 : 기둥
20 : 천정보
30 : 바닥보
50 : 강선
60 : 엔드플레이트
70 : 정착구
80 : 베이스 철물
90 : 저항복 강봉

Claims (5)

  1. 각형 관 단면의 4개의 기둥(10)과, 기둥(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2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 주각부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기둥(10)의 하단부에 기둥(10)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판형상으로 접합되며 복수의 체결공(62)이 형성되는 엔드 플레이트(60)와;
    엔드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며,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611)이 형성되고 체결공(62)에 대응하여 강봉 관통공(612)이 형성되는 하부지지 플레이트(61)와;
    양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60)의 상부와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엔드 플레이트(60)의 상부에서 너트(91)로 고정되는 일정 길이로 중앙부가 아치형으로 요입되어 요입부(915)가 형성되는 저항복 강봉(90)과;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내부면이 요입부(915)에 대응하여 볼록부(925)가 구성되어 볼록부(925)가 요입부(915)에 안착되도록 거항복 강봉(90)이 삽입되어 구성되며 엔드 플레이트(60)와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속재(92)와;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중앙부에 강선 관통공(811)이 형성되고 복수의 강봉 관통공(812)이 형성되는 관통 플레이트(81)와, 관통 플레이트(81)의 하부로 일정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82)와. 관통 플레이트(81)와 고정 플레이트(82)를 연결하는 수직 판형상의 복수의 수직 간격재(83)로 이루어져, 하부지지 플레이트(61)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한 저항복 강봉(90)의 하단부가 강봉 관통공(812)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도록 베이스 철물(80);이 구성되며,
    강선(50)이 기둥(10)을 관통하여 강선(50)의 하단부가 관통 플레이트(81)의 하부에서 고정되고, 상단부가 기둥(10)의 상부에서 긴장력을 도입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 상단부에서 정착구(70)에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60)는 기둥(10)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복수의 보강 스티프너(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1)은 수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강선(50)은 적층된 모듈러 유닛(1)의 기둥(10)들을 관통하여 구성되며, 최상부의 모듈러 유닛(1) 기둥(10) 상단부에 정착구(70)가 형성되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착구(70)는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둥(10)의 상단부면과 기둥(10) 양측의 천정보(20)의 상부면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까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KR1020200179994A 2020-12-21 2020-12-21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KR10243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94A KR102438429B1 (ko) 2020-12-21 2020-12-21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94A KR102438429B1 (ko) 2020-12-21 2020-12-21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99A KR20220089399A (ko) 2022-06-28
KR102438429B1 true KR102438429B1 (ko) 2022-08-30

Family

ID=8226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994A KR102438429B1 (ko) 2020-12-21 2020-12-21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59B1 (ko) *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아이코닉엔지니어링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16B1 (ko) * 2022-12-19 2023-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73B2 (ja) * 1993-12-14 2001-07-16 川崎製鉄株式会社 塩化鉄溶液の精製方法
JP5707418B2 (ja) * 2010-11-24 2015-04-30 ▲勧▼ 渡辺 コンテナ型ユニット建築の連結工法
KR101878607B1 (ko) *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보 단부에 웨브 개구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모듈러 구조 시스템
JP2019027219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日建設計 鉄骨構造物施工方法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37B1 (ko) 2012-09-20 2013-05-28 현대엠코 주식회사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73B2 (ja) * 1993-12-14 2001-07-16 川崎製鉄株式会社 塩化鉄溶液の精製方法
JP5707418B2 (ja) * 2010-11-24 2015-04-30 ▲勧▼ 渡辺 コンテナ型ユニット建築の連結工法
KR101878607B1 (ko) *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보 단부에 웨브 개구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모듈러 구조 시스템
JP2019027219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日建設計 鉄骨構造物施工方法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59B1 (ko) *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아이코닉엔지니어링 공용 건물 시공용 모듈러 유닛 및 그를 이용한 공용 건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99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076B2 (en) Moment-resistant building column insert system and method
US8336267B2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US8141320B2 (en) Construction connector anchor cage system
KR102438429B1 (ko)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625540B1 (ja) ハイブリット顎および該ハイブリット顎を用いた柱梁の接合構造
KR101814688B1 (ko)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US9540783B2 (en) Tie rod for structural projects
JP2005520960A (ja) 建物骨組み構造
JP6550319B2 (ja) ブレース付き柱架構
JP3899354B2 (ja) 免震建物
JP2909439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5483525B2 (ja) 耐震壁
JP3882633B2 (ja) 鋼管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キング基礎構造
JP2002121747A (ja) 鉄骨柱の半固定直接基礎および杭基礎構造
JP3297413B2 (ja) 摩擦減衰機構を備える制振架構
JP2021063340A (ja) 杭基礎構造
JP2019100040A (ja) 免震建物、免震構造の構築方法
KR102643722B1 (ko) 스레드 바 결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축 내진 말뚝 및 다축 내진 말뚝의 시공 방법
KR102541549B1 (ko)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JP7290505B2 (ja) 構造体とその施工方法
JP2001200602A (ja) 混合構造対応型乾式耐震壁
JP4432581B2 (ja) 階高を変更可能な建物構造
KR102270860B1 (ko) 트러스 슬림보를 이용한 복합구조체 시공방법
JP7361561B2 (ja) ブレース取付構造、構造物およびブレース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