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066B1 -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 Google Patents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066B1
KR102623066B1 KR1020220081858A KR20220081858A KR102623066B1 KR 102623066 B1 KR102623066 B1 KR 102623066B1 KR 1020220081858 A KR1020220081858 A KR 1020220081858A KR 20220081858 A KR20220081858 A KR 20220081858A KR 102623066 B1 KR102623066 B1 KR 10262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inlet pipe
sleev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표
Original Assignee
(주)지오에스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에스엔에스 filed Critical (주)지오에스엔에스
Priority to KR102022008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가 엘보관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접혀져서 그렇게 접힌 부분이 비배수시에는 막혀지게 하고, 유입관유닛의 내측에서는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엘보관 측으로 수직하게 직접 낙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낙하하게 하여 배수소음이 감축되게 하고, 엘보관과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관에 차 있는 공기가 유입관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100)가 설치되는 층간 바닥층(103)에 관통슬리브(10)가 수직방향으로 매설되고, 관통슬리브(10)의 하부에 엘보관(12)이 설치되며, 엘보관(12)의 배수측 단부와 정화조(104)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관통슬리브(10)와 엘보관(12)의 내측 공간에 저소음배수기(20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배수기(200)는 관통슬리브(10)의 하단부 내측에 하방이 개방되는 링형홈(13) 형성을 위한 내면스커트부(14)를 형성하되, 내면스커트부(14)의 상부 전둘레가 관통슬리브(10)의 내주면과 경사연결부(15)에 의해 연결 형성되고, 경사연결부(15) 상측의 관통슬리브(10)에는 상부가 좌변기(100)의 트랩부(101)의 하측 배수부와 연결되는 배수배관(21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슬리브(10)에서 엘보관(12) 까지의 내부에 저소음배수기유닛(230)이 삽입되며, 이 저소음배수기유닛(230)은 배수배관(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입관유닛(240)과, 유입관유닛(240)의 하부에 잠금너트링(270)에 의해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28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관유닛(240)은 하부에 신축배수튜브(280)의 상부가 연결되는 유입관(260)과, 유입관(260)의 상부에 깔때기 형태로 끼워지는 유입안내구(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260)은 원통관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본체(261)의 하측 외주면에 잠금너트링(270)이 체결되는 숫나사부(262)가 형성되고, 유입관본체(261)의 상부에는 수개의 상부개방홈(26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유입관본체(261)의 상측 내벽면 일측에 상하슬라이드홈(26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관본체(261)의 하측 내벽면 타측에 하측경사편(265)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너트링(270)은 내주면에 유입관(260)의 숫나사부(26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링본체(271)의 내측 하부에 신축배수튜브(280)의 상측 플랜지부(282)가 얹히는 단턱부(272)가 형성되고, 이 너트링본체(271)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통기홈형성부(273)가 상하로 형성되며, 너트링본체(271)의 저면에는 하단부가 경사연결부(15)에 얹히는 수개의 하부돌기(27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안내구(250)는 유입관(260)의 상측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관부(251)의 외주면에 수개의 수직돌기살(25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관본체(261)와 원통관부(251)의 사이로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수개의 수직돌기살(252) 중의 하나가 유입관(260)의 상하슬라이드홈(264)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 원통관부(251)의 상부에는 깔때기형 테이퍼관부(253)를 형성하되, 이 테이퍼관부(253)의 외주연이 배수배관(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유입관(260)의 하측경사편(265)과 반대편측 테이퍼관부(253)의 하측에 상측경사편(254)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The low noise drainer for the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가 엘보관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접혀져서 그렇게 접힌 부분이 비배수시에는 막혀지게 하고, 유입관유닛의 내측에서는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엘보관 측으로 수직하게 직접 낙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낙하하게 하여 배수소음이 감축되게 하고, 엘보관과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관에 차 있는 공기가 유입관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10-1527641호(발명의 명칭 :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과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로 등록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변기(100)의 하측으로 층간에 매설되는 관통슬리브(10)에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배관(11)에 장착되거나 관통슬리브(10)에 직접 장착되도록 하측으로 걸림턱(24a)이 형성되고 패킹(25)이 장착된 결합관(24)이 형성된 배수트랩(2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트랩(20)의 상측에 배수가 가능하도록 중앙이 통공되어 배수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완충캡(30)이 감싸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배수트랩(20)의 내측에는 비닐지(40)가 공간부(41)가 형성되도록 2중으로 중첩되어 중첩된 비닐지(40)의 내측으로 배수트랩(20)의 내측에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스페이서(4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비닐지의 타측은 오물이 배출되는 배관(11)으로 늘어뜨려 놓게 되고, 상기 중첩된 비닐지(40)의 내측에 삽입된 스페이서(42)의 상측으로 중첩된 비닐지(40)의 입구를 확보하면서 비닐지(40)의 내측 배수통로를 확보하는 동시에 배관의 마찰로 인해 비닐지(40)의 찢어짐을 하도록 관체로 된 벌림관(43)을 장착하고, 상기 비닐지(40)에는 공기순환구멍(A)이 형성되어 좌변기에서 배수 후에 공기압력을 유지하여 물이 다시 차오르는 사이폰(siphon)현상을 유지토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과 일반적인 좌변기(100)에 있어서, 좌변기(100) 내측의 트랩부(101)에는 물이 담겨있어서 정화조(미도시)와 좌변기(100)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관(102)에 남아있는 배설물을 포함한 오물과 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기 트랩부(101)에 담겨진 물에 막혀서 악취가 좌변기(100) 외측으로 올라오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좌변기(100) 내측의 트랩부(101)에 담겨있던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좌변기(100)의 내측에서부터 배수관(102) 까지 순간적으로 물에 의해 막히는 부분이 없이 좁은 틈새가 생기는 경우에 드물지만 배수관측의 악취가 좌변기 외측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래발명은 좌변기(100)의 트랩부(101) 하방과 연결되는 배관(11)의 내부에 두 겹으로 되는 비닐지(40)가 설치되어서 드물게 올라올 수 있는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발명은 악취와 소음을 차단한다고 하고 있으나, 극히 드물게 올라오는 악취는 차단할 수 있으나, 배수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고 미미한 수준이 된다.
그 이유는 좌변기의 트랩부(101) 하방의 배관(11) 내측에 두 겹으로 된 비닐지(4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랩부(101)에 담겨있던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수직방향으로 쏟아져 내릴 때, 비닐지(40)의 두께가 매우 얇고 유연하여 트랩부 하방에서 배관(11) 내측의 비닐지(40) 내측으로 쏟아져 내리는 수압이 배관(11)의 하측에 연결된 엘보관(12)에 곧 바로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발명에서 비닐지(40)에 공기순환구멍(A)이 형성되어 좌변기에서 배수 후에 공기압력을 유지하여 물이 다시 차오르는 사이폰(siphon)현상을 유지한다고 하고 있으나, 두 겹으로 된 비닐지(40)의 내측에 배설물과, 배변 후 사용을 마친 휴지를 포함한 오물에 의해 공기순환구멍(A)이 쉽게 막힐 수 있다.
이는, 트랩부측에서 비닐지(40) 내측으로 오물을 포함한 물이 쏟아져 내릴 때 그 배수압력에 의해 내외측 비닐지가 별도로 유동하면서 내외측 비닐지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순환구멍(A)이 어긋나게 되고, 그 상황에서 내외측 비닐지의 사이로 들어간 물기에 의해 내외측 비닐지가 부착되면서 내외측 공기순환구멍이 막혀서 종래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상기 사이폰(siphon)현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공기순환구멍이 막히고 배수관(102)측이 오물에 의해 정화조 측으로 나가는 출수의 면적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트랩부 내의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시원하게 배수되지 못하고 천천히 배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허등록 제10-1527641호(발명의 명칭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과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변기의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가 엘보관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접혀져서 그렇게 접힌 부분이 비배수시에는 막혀지게 하고, 유입관유닛의 내측에서는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엘보관 측으로 수직하게 직접 낙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낙하하게 하게 하여 배수소음이 감축되게 하고, 엘보관과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관에 차 있는 공기가 유입관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변기가 설치되는 층간 바닥층에 관통슬리브가 수직방향으로 매설되고, 관통슬리브의 하부에 엘보관이 설치되며, 엘보관의 배수측 단부와 정화조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관통슬리브와 엘보관의 내측 공간에 저소음배수기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배수기는 관통슬리브의 하단부 내측에 하방이 개방되는 링형홈 형성을 위한 내면스커트부를 형성하되, 내면스커트부의 상부 전둘레가 관통슬리브의 내주면과 경사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고, 경사연결부 상측의 관통슬리브에는 상부가 좌변기의 트랩부의 하측 배수부와 연결되는 배수배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슬리브에서 엘보관 까지의 내부에 저소음배수기유닛이 삽입되며, 이 저소음배수기유닛은 배수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입관유닛과,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잠금너트링에 의해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관유닛은 하부에 신축배수튜브의 상부가 연결되는 유입관과, 유입관의 상부에 깔때기 형태로 끼워지는 유입안내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은 원통관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본체의 하측 외주면에 잠금너트링이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유입관본체의 상부에는 수개의 상부개방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유입관본체의 상측 내벽면 일측에 상하슬라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관본체의 하측 내벽면 타측에 하측경사편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너트링은 내주면에 유입관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링본체의 내측 하부에 신축배수튜브의 상측 플랜지부가 얹히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이 너트링본체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통기홈형성부가 상하로 형성되며, 너트링본체의 저면에는 하단부가 경사연결부에 얹히는 수개의 하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안내구는 유입관의 상측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관부의 외주면에 수개의 수직돌기살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관본체와 원통관부의 사이로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수개의 수직돌기살 중의 하나가 유입관의 상하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 원통관부의 상부에는 깔때기형 테이퍼관부를 형성하되, 이 테이퍼관부의 외주연이 배수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유입관의 하측경사편과 반대편측 테이퍼관부의 하측에 상측경사편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좌변기의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가 엘보관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접혀져서 그렇게 접힌 부분이 비배수시에는 막혀져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와 있고, 유입관유닛의 내측에서는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지그재그로 낙하하면서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로 된 신축배수튜브와, 그 하측 엘보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연질흡입관에 의해 엘보관 측으로 오물을 포함한 물이 수직하게 직접 낙하하지 않아 배수 소음이 감축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물을 포함한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엘보관과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는 배수관에 차 있는 공기가 유입관부 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배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소음배수기 삽입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소음배수기 삽입체의 분해사시도.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입관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와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축배수튜브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축배수튜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신축배수튜브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C-C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배수기(2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변기(100)가 설치되는 층간 바닥층(103)에 관통슬리브(10)가 수직방향으로 매설되고, 관통슬리브(10)의 하부에 엘보관(12)을 설치한 뒤에 엘보관(12)의 배수측 단부와 정화조(미도시)의 사이에 배수관(10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관통슬리브(10)와 엘보관(12)의 내측에 저소음배수기(200)가 설치된다.
상기 저소음배수기(200)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배수되는 좌변기(100)에서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축하고 배수관(102)측의 악취가 좌변기(100)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슬리브(10)의 하단부 내측에 하방이 개방되는 링형홈(13) 형성을 위한 내면스커트부(14)를 형성하되, 내면스커트부(14)의 상부 전둘레가 관통슬리브(10)의 내주면과 경사연결부(15)에 의해 연결 형성되고, 경사연결부(15) 상측의 관통슬리브(10)에는 상부가 좌변기(100)의 트랩부(101)의 하측 배수부와 연결되는 배수배관(210)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리브(10)의 하부와 엘보관(12)의 상부 사이에 중공연결구(220)가 연결되며, 이 중공연결구(220)는 엘보관(12)의 상부 내주면에 끼움되는 하부끼움부(221)의 상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외부관(222)과 내부관(223)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외부관(222)의 높이가 내부관(22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222)과 내부관(223)의 상부에는 연결패킹(224)을 끼움 설치하되, 이 연결패킹(224)은 외부관(222)의 상측과 내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링형홈(13)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225)가 형성되고, 상부끼움부(225)의 외측면 하방 전둘레에 내부관(223)의 상부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226)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끼움부(226)의 상부에는 관통슬리브(1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슬리브끼움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리브(10)에서 엘보관(12) 까지의 내부에 저소음배수기유닛(230)이 삽입된다. 이 저소음배수기유닛(230)은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배관(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입관유닛(240)과, 유입관유닛(240)의 하부에 잠금너트링(270)에 의해 설치되며 중공연결구(220)와 엘보관(12)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2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유닛(240)은 하부에 신축배수튜브(280)의 상부가 연결되는 유입관(260)과, 유입관(260)의 상부에 깔때기 형태로 끼워지는 유입안내구(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260)은 원통관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본체(261)의 하측 외주면에 잠금너트링(270)이 체결되는 숫나사부(262)가 형성되고, 유입관본체(261)의 상부에는 수개의 상부개방홈(26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유입관본체(261)의 상측 내벽면 일측에 상하슬라이드홈(26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관본체(261)의 하측 내벽면 타측에 하측경사편(265)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너트링(270)은 내주면에 유입관(260)의 숫나사부(26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링본체(271)의 내측 하부에 신축배수튜브(280)의 상측 플랜지부(282)가 얹히는 단턱부(272)가 형성되고, 이 너트링본체(271)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통기홈형성부(273)가 상하로 형성되며, 너트링본체(271)의 저면에는 하단부가 관통슬리브(10)의 경사연결부(15)에 얹히는 수개의 하부돌기(27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안내구(250)는 유입관(260)의 상측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관부(251)의 외주면에 수개의 수직돌기살(25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관본체(261)와 원통관부(251)의 사이로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수개의 수직돌기살(252) 중의 하나가 유입관(260)의 상하슬라이드홈(264)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 원통관부(251)의 상부에는 깔때기형 테이퍼관부(253)를 형성하되, 이 테이퍼관부(253)의 외주연이 배수배관(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유입관(260)의 하측경사편(265)과 반대편측 테이퍼관부(253)의 하측에 상측경사편(254)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배수튜브(280)는 도 7 및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연한 고무나 실리콘재로 형성되며 원통형본체(281)의 상부에 잠금너트링(270)의 단턱부(272)에 얹히는 플랜지부(282)가 형성되며, 원통형본체(281)의 하부에는 방사상 3~4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오므림부(283)에 의해 속이 빈 Y자형이나 또는 十자형으로 3~4개의 날개부(285)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유연성 별형기둥부(28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날개부(285)가 "∪"형으로 접히는 부분의 안쪽에 후육부(286)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인접한 후육부(286) 사이의 유연한 날개부(285)가 급격히 접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보관(12)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부분이 엘보관(12)의 내부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연질흡음관(16)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배수기(200)는, 좌변기(100)의 트랩부(101) 하방과 배수관(102) 사이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10)에서부터 엘보관(12)까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좌변기(100)에서 내려가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시원스럽게 내려가게 하고, 배수관(102) 측의 악취가 좌변기(100) 측으로 올라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축배수튜브(28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소재를 이용하여 1mm 내외의 두께로 형성하여 유연하며 신축성이 우수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신축배수튜브(280)가 도 4 및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슬리브(10)의 하부측에서부터 엘보관(1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데, 신축배수튜브(280)의 하부 유연성 별형기둥부(284)가 엘보관(12) 내측의 연질흡읍관(16) 내부면에 접촉하면서 90도 내외의 각도로 급격히 접히게 된다.
이는 신축배수튜브(280)가 1mm 내외의 고무(또는 실리콘)로 형성되어 유연하면서 신축성이 양호하며 중공형으로 속이 빈 상태에서 오므림부(283)의 하부에 속이 빈 十자형 유연성 별형기둥부(284)가 3~4개의 날개부(28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개부(285)가"∪"형으로 접히는 부분의 안쪽에 후육부(286)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간격(T)을 두고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후육부(286) 사이의 간격(T) 부분에 위치하는 유연한 날개부(285)가 급격히 접히게 되고, 두꺼운 후육부(286)가 설치된 부분은 접히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간격(T)이 급격하게 접힘에 따라 그렇게 접히는 부분이 막히면서 배수관(102)측의 악취가 원통형본체(281)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변기(100)에서 오물을 포함한 물이 트랩부(101)를 거쳐 배수배관(210)으로 내려올 때,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배관(210)의 내부에 깔대기형 유입안내구(250)가 설치되되, 테이퍼관부(253)의 외경이 배수배관(2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서 오물을 포함한 물이 테이퍼관부(253) 하방의 원통관부(251)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원통관부(251)의 일측 내벽면에는 테이퍼관부(253)의 경사면부와 이어져서 하측으로 경사지는 상측경사편(254)이 형성되어서 상기 오물을 포함한 물의 일부가 상측경사편(254)에 부딪치면서 도 5의 "a"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내려가게 되고, 좌측으로 경사지게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안내구(250) 하방에 연결되는 유입관(260)의 좌측 내벽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러한 유입관(260)의 좌측 내벽면에는 상측경사편(254)와 마주보는 형태의 하측경사편(265)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하측경사편(265)에 "b"와 같이 다시 한 번 더 부딪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내려오게 된다.
이렇게 지그재그 형태로 내려오는 일부의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안내구(250)의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c"와 같이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과 부딪치면서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내려오는 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낙하속도가 줄어든 상태로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연한 신축배수튜브(280)로 내려가게 된다.
위와 같이 낙하속도가 줄어든 상태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연하며 하부측이 90도 정도의 각도로 접혀서 하측 배수부측이 오므려진 상태의 신축배수튜브(280)로 내려옴에 따라 신축배수튜브(280)에서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낙하하는 속도가 더욱더 줄어들게 되고, 이렇게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의 무게와 부피에 의해 접혀있던 신축배수튜브(280)의 하부측 날개부(285)가 벌어지면서 오물을 포함한 물이 배수관(102)측으로 배수되게 된다.
위와 같이 신축배수튜브(280)로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내려올 때 그 낙하속도와 무게에 의해 신축배수튜브(280)가 연질흡읍관(16)에 부딪치게 되는데, 연질흡읍관(16)이 연질 합성수지재나 고무재로 형성되면서 엘보관(1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낙하하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엘보관(12)에 직접적으로 부딪치지 않고 유연한 신축배수튜브(280)와 부드러운 연질흡읍관(16)에 의해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하중이 감쇄되어 소음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상측경사편(254)과 하측경사편(265)은 재그재그로 마주보도록 되었는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안내구(250)의 원통관부(251)의 외벽면에 수개의 수직돌기살(252)이 일정간격을 둔 상태로 형성되고, 유입관(260)의 내벽면 일측에는 상측경사편(254) 측에 형성되는 수직돌기살(252)이 상하로 삽입 안내되는 상하슬라이드홈(264)이 형성되어서 상측경사편(254)측에 형성되는 수직돌기살(252)을 하측경사편(265)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상하슬라이드홈(264)에 끼움에 따라 상측경사편(254)과 하측경사편(265)은 서로 지그재그형태로 마주보는 방향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안내구(250)와 유입관(260)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상측경사편(254)과 하측경사편(265)에 의해 좌변기(100)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내려오는 속도와 부딪치는 하중이 감축되고, 관통슬리브(10)의 내부에 배수배관(210)이 삽입 설치되고 배수배관(210)의 내부에 유입관(260)이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소음이 감축되고, 또 관통슬리브(10)와 엘보관(12)의 사이에 중공연결구(220)가 연결되며 엘보관(12)의 내부에 엘보관(12)과 간격을 두고 연질흡읍관(16)이 설치되며, 유입관(260)의 하부에 얇고 유연한 고무재로 된 신축배수튜브(280)가 연결 설치됨에 따라 좌변기(100)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내려올 때 발생하는 소음이 대폭 감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배수관(102) 내측의 공기가 유입관(260)과 유입안내구(250) 사이로 유입되어서 유입안내구(250)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신축배수튜브(280) 하측으로 빠르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관(260)의 상부에 유입안내구(250)가 끼워졌을 때, 상부개방홈(263)의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260a)의 상단부가 유입안내구(250)의 테이퍼관부(253)외측 하부에 얹혀서 상부개방홈(263)이 개방되고, 원통관부(251)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직돌기살(252)이 유입관본체(261)의 내벽면과 헐렁한 상태로 끼워져서 수직돌기살(252) 사이와 유입관본체(261)의 내벽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방홈(263)과 수직돌기살(252) 사이와 유입관본체(261)의 내벽면 사이에 공간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잠금너트링(270)의 외주면은 수개의 통기홈형성부(273)가 상하로 형성되어 잠금너트링(270)이 배수배관(210)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졌을 때, 잠금너트링(270)의 상하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잠금너트링(270)의 하부에 수개의 하부돌기(274)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이 하부돌기(274)의 하단부가 내면스커트부(14)의 상측 경사연결부(15)에 얹힘에 따라 하부돌기(274) 사이의 공간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으며, 유연한 신축배수튜브(280)의 원통형본체(281)의 외주면과 내면스커트부(1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서 이 틈새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관(102) 내측의 공기가 연질흡음관(16)과 신축배수튜브(28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부터 상측의 유입관(260)에 형성되는 상부개방홈(263)측으로 "d"~"i"의 경로를 거쳐서 유입관본체(261) 내측으로 공기가 통하게 되어 좌변기의 트랩부에서 내려오는 오물을 포함한 물이 유입안내구(250)에서부터 하부측 신축배수튜브(280) 까지 빠르게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10 : 관통슬리브 12 : 엘보관 13 : 링형홈
14 : 내면스커트부 15 : 경사연결부 16 : 연질흡읍관
100 : 좌변기 101 : 트랩부 102 : 배수관
200 : 저소음배수기 210 : 배수배관 220 : 중공연결구
221 : 하부끼움부 222 : 외부관 223 : 내부관
224 : 연결패킹 225 : 상부끼움부 226 : 하부끼움부
227 : 슬리브끼움홈 230 : 저소음배수기유닛 240 : 유입관유닛
250 : 유입안내구 251 : 원통관부 252 : 수직돌기살
253 : 테이퍼관부 254 : 상측경사편 260 : 유입관
261 : 유입관본체 262 : 숫나사부 263 : 상부개방홈
264 : 상하슬라이드홈 265 : 하측경사편 270 : 잠금너트링
271 : 너트링본체 272 : 단턱부 273 : 통기홈형성부
274 : 하부돌기 280 : 신축배수튜브 281 : 원통형본체
282 : 플랜지부 283 : 오므림부 284 : 유연성 별형기둥부
285 : 날개부 286 : 후육부

Claims (3)

  1. 좌변기가 설치되는 층간 바닥층에 관통슬리브가 수직방향으로 매설되고, 관통슬리브의 하부에 엘보관이 설치되며, 엘보관의 배수측 단부와 정화조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관통슬리브와 엘보관의 내측 공간에 저소음배수기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배수기는 관통슬리브의 하단부 내측에 하방이 개방되는 링형홈 형성을 위한 내면스커트부를 형성하되, 내면스커트부의 상부 전둘레가 관통슬리브의 내주면과 경사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고, 경사연결부 상측의 관통슬리브에는 상부가 좌변기의 트랩부의 하측 배수부와 연결되는 배수배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관통슬리브에서 엘보관 까지의 내부에 저소음배수기유닛이 삽입되며, 이 저소음배수기유닛은 배수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입관유닛과, 유입관유닛의 하부에 잠금너트링에 의해 설치되는 신축배수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관유닛은 하부에 신축배수튜브의 상부가 연결되는 유입관과, 유입관의 상부에 깔때기 형태로 끼워지는 유입안내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은 원통관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본체의 하측 외주면에 잠금너트링이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유입관본체의 상부에는 수개의 상부개방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유입관본체의 상측 내벽면 일측에 상하슬라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관본체의 하측 내벽면 타측에 하측경사편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너트링은 내주면에 유입관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링본체의 내측 하부에 신축배수튜브의 상측 플랜지부가 얹히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이 너트링본체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통기홈형성부가 상하로 형성되며, 너트링본체의 저면에는 하단부가 경사연결부에 얹히는 수개의 하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안내구는 유입관의 상측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관부의 외주면에 수개의 수직돌기살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관본체와 원통관부의 사이로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수개의 수직돌기살 중의 하나가 유입관의 상하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 원통관부의 상부에는 깔때기형 테이퍼관부를 형성하되, 이 테이퍼관부의 외주연이 배수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유입관의 하측경사편과 반대편측 테이퍼관부의 하측에 상측경사편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관통슬리브의 하부와 엘보관의 상부 사이에 중공연결구가 연결되며, 상기 중공연결구는 엘보관의 상부 내주면에 끼움되는 하부끼움부의 상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외부관과 내부관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외부관의 높이가 내부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의 상부에는 연결패킹을 끼움 설치하되, 이 연결패킹은 외부관의 상측과 내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링형홈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가 형성되고, 상부끼움부의 외측면 하방 전둘레에 내부관의 상부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끼움부의 상부에는 관통슬리브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슬리브끼움홈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수튜브는 유연한 고무나 실리콘재로 형성되며 원통형본체의 상부에 잠금너트링의 단턱부에 얹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원통형본체의 하부에는 방사상 3~4방향으로 오므려지는 오므림부에 의해 속이 빈 Y자형이나 또는 十자형으로 3~4개의 날개부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유연성 별형기둥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날개부가 "∪"형으로 접히는 부분의 안쪽에 후육부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인접한 후육부 사이의 유연한 날개부가 급격히 접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보관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부분이 엘보관의 내부면과 간격을 둔 상태로 연질흡읍관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KR1020220081858A 2022-07-04 2022-07-04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KR102623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58A KR102623066B1 (ko) 2022-07-04 2022-07-04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58A KR102623066B1 (ko) 2022-07-04 2022-07-04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066B1 true KR102623066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58A KR102623066B1 (ko) 2022-07-04 2022-07-04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66B1 (ko) * 2011-09-09 2013-01-2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의 배관구조
KR101527641B1 (ko) 2012-12-10 2015-06-09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과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
KR101527640B1 (ko) * 2013-01-14 2015-06-09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
KR20170054888A (ko) * 2015-11-10 2017-05-1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좌변기 배수관연결구조
KR101920625B1 (ko) * 2018-04-16 2018-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양변기 세척수 소음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66B1 (ko) * 2011-09-09 2013-01-2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의 배관구조
KR101527641B1 (ko) 2012-12-10 2015-06-09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과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
KR101527640B1 (ko) * 2013-01-14 2015-06-09 홍성정 좌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좌변기의 배수구조를 원활하게 유지토록 하는 소음방지수단
KR20170054888A (ko) * 2015-11-10 2017-05-1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좌변기 배수관연결구조
KR101920625B1 (ko) * 2018-04-16 2018-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양변기 세척수 소음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312B2 (en) Fixture for disposing of bodily waste having an anti-overflow featur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KR102623066B1 (ko) 변기용 저소음 배수기
US20100018593A1 (en) Check valve mechanism for rodents and/or odors
KR20110005896U (ko)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JP4797205B2 (ja) 排水トラップ
US6085361A (en) Sanitary toilet base band
JPH0853910A (ja) 床排水用のトラップ
JP2019203271A (ja) 排水管構造
JP2003213751A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JPH08144344A (ja) 洗濯機用の排水トラップ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US20050188452A1 (en) Backflow preventing attachment for toilets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JP3541290B2 (ja) 排水トラップ
US20040172745A1 (en) Backflow preventing attachment for toilets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JP7218120B2 (ja) 排水構造
JPS5820709Y2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の排水管接続用パツキング
KR0136675B1 (ko) 무수 소변기
JPH061656Y2 (ja) 局部洗浄便器における収納室の排水構造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JPH0712466Y2 (ja) 局部洗浄装置内蔵型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