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896U -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896U
KR20110005896U KR2020090015895U KR20090015895U KR20110005896U KR 20110005896 U KR20110005896 U KR 20110005896U KR 2020090015895 U KR2020090015895 U KR 2020090015895U KR 20090015895 U KR20090015895 U KR 20090015895U KR 20110005896 U KR20110005896 U KR 201100058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cap
drain
wat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이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우 filed Critical 이경우
Priority to KR2020090015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896U/ko
Publication of KR20110005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8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느 수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부가 소정높이만큼 바닥면보다 높고 하부가 하수관과 연결되어 일정이상의 물이 들어오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개 걸림턱이 형성되는 트랩본체와, 상기 트랩본체의 걸림턱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방취캡이 상승할 수 있도록 방취캡 안내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트랩본체의 배수관의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고인 물에 잠겨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방취벽이 형성되는 방취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의 양에 따라 방취캡의 위치가 변화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배수과정이 끝나면,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부력, 방취캡, 배수트랩, 배수관, 부력억제턱, 방취벽, 방취캡 안내구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A drain trap using buoyancy}
본 고안은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트랩본체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 방취캡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방취캡의 하부와 배수관, 수용부에 고인물과 방취벽에 의해 이중으로 가스의 유입을 막아주는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욕실, 다용도실 및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 배수관과 연접하여 매설함으로써, 각종 생활 오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배수공이 다수 형성된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생활 오수내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 하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트랩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안착되고, 덮개 밑에는 배수관을 덮는 만곡형의 분산기가 체결되고, 분산기의 하단부가 물에 잠기어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방지하는 배수트랩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실용신안등록 제223980호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배수트랩은 분산기가 고정되어 있어, 유체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 며, 트랩본체 내에 고여 있는 물이 마르는 경우에는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력을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안들이 안출되어 왔고, 실용신안등록 제305366호, 제408173호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트랩의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유량이 많은 경우에 흐름이 원활하지 않거나, 역류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배수관을 설치된 트랩본체의 상부에는 배수공과 방취캡 안내공이 형성된 덮개를 안착하고, 배수관의 상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방취캡을 안착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며, 배수가 끝난 후에는 방취캡과 배수관의 접촉에 의하여 1차로 악취를 차단하고, 방취캡의 방취벽과 고인 물에 의해 2차로 악취를 차단하는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바닥 중앙부에는 상부가 소정 높이만큼 바닥면보다 높고 하부가 하수관과 연결되어 일정이상의 물이 들어오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12)이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개 걸림턱(13)이 형성되는 트랩본체(10)와,
상기 트랩본체(10)의 걸림턱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2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방취캡(30)이 상승할 수 있도록 방취캡 안내구(22)가 형성되는 덮개(20) 및
상기 트랩본체(10)의 배수관(12)의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34)가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에 고인 물에 잠겨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방취벽(32)이 형성되는 방취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방취캡의 몸체(31) 하부는 배수구의 상부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취캡(30)의 방취벽(32)의 하단부에는 방취캡(30)이 방취캡 안내구(22)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부력억제턱(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은, 덮개의 중앙부에 배수캡이 충분히 상승할 수 있도록 방취캡 안내부가 형성되어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방취캡이 상승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물이 배수되고 나면, 트랩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관의 높이만큼 물이 고이고, 방취캡에 형성된 방취벽과 물이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취캡의 하부는 콘형상으로 제작되어 방취캡이 배수관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배수관의 입구를 막아줌으로써, 이중으로 악취를 막는 효과가 있다. 고인물이 말라 없어지는 경우에도 악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은 덮개, 트랩본체 및 방취캡의 형상이 단순하여 제작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설치도 간편하여 욕실, 다용도실, 베란다 등 바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곳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2는 결합사시도이며, 도3은 배수트랩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은 트랩본체(10), 덮개(20) 및 방취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랩본체(10)에는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바닥 중앙부에는 상부가 소정높이만큼 바닥면보다 높고 하부가 하수관과 연결되어 일 정이상의 물이 들어오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12)이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개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트랩본체(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2) 위에 형성된 몰탈층(1)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의 트랩본체(10)는 바닥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배수관(12)이 형성되는데, 배수관(12)은 하수관과 연결되어 트랩본체(10)로 유입된 물이 배수관(12)을 통하여 하수관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트랩본체(10)는 항상 물과 접하게 되므로 플라스틱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며,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내구성를 고려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트랩본체(10)의 주변은 물이 쉽게 트랩본체(10)로 유입되도록 경사면(3)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사면(3)을 따라 흘러들어온 물은 트랩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된 덮개(20)를 통하여 트랩본체(10)로 유입된다.
트랩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20)는 다수개의 배수공(2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방취캡(30)이 상승할 수 있도록 방취캡 안내구(22)가 형성된다. 물은 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하여 트랩본체(10)로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은 덮개(20)에서 걸러진다. 덮개(20)는 트랩본체(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레인리스 스틸 등의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0)의 중앙부에는 방취캡 안내구(22)가 형성되는데,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방취캡(30)이 부력에 의해 충분히 상승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주며, 방취캡이 배수관(12)의 상부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안 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방취캡 안내구(22)의 크기는 방취캡(30)이 원활하게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방취캡(30)에 대하여 약간 헐겁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배수트랩과 마찬가지로 덮개(20)는 트랩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 걸림턱(13)에 안착되며,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트랩본체(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트랩본체(10)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관(12)의 상부에는 방취캡(30)이 안착된다. 방취캡(30)의 몸체(31)는 중공부(34)가 형성되어 물에 쉽게 뜰 수 있도록 제작되며, 배수관(12)이 통상 원형이므로 방취캡(30)도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취캡(30)에는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방취벽(32)이 형성된다. 트랩본체(10)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에는 방취벽(32)의 하단부는 물에 잠기게 되고, 방취벽(32)에 의해 배수관(12)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 및 악취가 차단된다. 방취캡 몸체(31)의 하부는 배수관(12)의 상부에 쉽게 안착되도록 콘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렇게 되면, 배수관(12)의 상부 중앙에 정확하게 방취캡(30)이 안착되게 되며, 방취캡(30)과 배수관(12)의 밀착도가 높아져 악취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방취캡(30)의 하부와 배수관(12)의 상부는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밀착력이 뛰어나고, 물과 친화력이 좋은 고무재질 등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취캡(30)은 쉽게 탈착이 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며, 가벼워야 하므로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취벽(32)의 하단부에는 부력억제턱(33)이 형성된다. 부력억제턱(33)은 많 은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방취캡(30)이 부력에 의해 상승시 방취캡 안내부(22)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방취벽(32)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된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에 의하여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경사면(3)을 따라 덮개(20)의 배수공(21)을 통과하여 트랩본체(10)로 유입되면,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방취캡(3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덮개(20)의 중앙부에는 방취캡(30)이 상승할 수 있도로 방취캡 안내구(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취캡(30)이 충분히 상승하게 되고, 물이 배수구로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통로가 확보된다. 물이 다량 배수되는 곳에서는 배수구와 방취캡(30)의 직경을 크게 제작하여 더욱 원활하게 물이 배수 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가 이루어지고 수위가 낮아지면, 방취캡(30)은 자체 하중에 의하여 배수관(12)의 상부에 안착되고, 배수관(12)의 입구를 막아 일차적으로 악취를 막게 된다. 배수관(12)과 방취캡(30) 하부 사이에는 물이 흡착되어 효과적으로 악취와 가스를 차단한다. 배수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트랩본체(10) 내부에는 배수관(12)의 높이만큼의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과 방취벽(32)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악취와 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은, 저렴한 제작비용과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배수관(12)으로부터 역류하는 가스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막아 주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물의 배수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1 : 몰탈층 2 : 콘크리트 슬라브
3 : 경사면 4 : 하수관
10 : 트랩본체 11 : 수용부
12 : 배수관 13 : 덮개 걸림턱
20 : 덮개 21 : 배수공
22 : 방취캡 안내구 30 : 방취캡
31 : 몸체 32 : 방취벽
33 : 부력억제턱 34 : 중공부

Claims (2)

  1. 하수관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을 막아 악취를 막아주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느 수용부가 형성되고, 바닥 중앙부에는 상부가 소정높이만큼 바닥면보다 높고 하부가 하수관과 연결되어 일정이상의 물이 들어오면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를 따라 덮개 걸림턱이 형성되는 트랩본체;
    상기 트랩본체의 걸림턱에 안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방취캡이 상승할 수 있도록 방취캡 안내구가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배수관의 위에 안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고인 물에 잠겨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방취벽이 형성되는 방취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취캡의 몸체하부는 배수구의 상부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취벽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방취캡 안내구로부터 방취캡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부력억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KR2020090015895U 2009-12-08 2009-12-08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KR201100058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895U KR20110005896U (ko) 2009-12-08 2009-12-08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895U KR20110005896U (ko) 2009-12-08 2009-12-08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96U true KR20110005896U (ko) 2011-06-15

Family

ID=4929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895U KR20110005896U (ko) 2009-12-08 2009-12-08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896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0084A1 (en) * 2017-03-02 2018-09-07 Mesesan Dumitru Device for fluids level control
KR102045492B1 (ko) * 2018-09-28 2019-11-15 주식회사 미도크린테크 배수트랩구조
CN111593812A (zh) * 2020-04-14 2020-08-28 张新生 双盒延长水道活地漏
KR20200106629A (ko) 2019-03-05 2020-09-15 김용혁 배수트랩
EP3885503A1 (en) * 2020-03-26 2021-09-29 Cal-Mik ApS Floor drain for poultry houses
CN113550401A (zh) * 2020-04-24 2021-10-26 张新生 地漏窨井通用防臭盒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0084A1 (en) * 2017-03-02 2018-09-07 Mesesan Dumitru Device for fluids level control
KR102045492B1 (ko) * 2018-09-28 2019-11-15 주식회사 미도크린테크 배수트랩구조
KR20200106629A (ko) 2019-03-05 2020-09-15 김용혁 배수트랩
EP3885503A1 (en) * 2020-03-26 2021-09-29 Cal-Mik ApS Floor drain for poultry houses
CN111593812A (zh) * 2020-04-14 2020-08-28 张新生 双盒延长水道活地漏
CN113550401A (zh) * 2020-04-24 2021-10-26 张新生 地漏窨井通用防臭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044B1 (ko) 배수트랩
KR20110005896U (ko)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102185606B1 (ko) 배수트랩
KR101415952B1 (ko)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0644096B1 (ko) 배수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역류방지 배수전
JPH0853910A (ja) 床排水用のトラップ
US20220381017A1 (en) Malodor reflux blocking unit using cardiac valve principle and malodor reflux b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KR102220030B1 (ko) 배수트랩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JP2006257662A (ja) 排水ドレン設備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CN111155606A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JP2008019623A (ja) 逆流防止弁付きヘアキャッチャー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305366Y1 (ko) 배수 트랩
KR20190037584A (ko) 자동조절 배수 장치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KR20140036804A (ko) 부력을 이용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
KR100432272B1 (ko) 기능성트랩 소재구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200445016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