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38B1 -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38B1
KR102621638B1 KR1020210194052A KR20210194052A KR102621638B1 KR 102621638 B1 KR102621638 B1 KR 102621638B1 KR 1020210194052 A KR1020210194052 A KR 1020210194052A KR 20210194052 A KR20210194052 A KR 20210194052A KR 102621638 B1 KR102621638 B1 KR 10262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uilding
stone
building
dismantl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3279A (ko
Inventor
최준현
Original Assignee
최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현 filed Critical 최준현
Priority to KR102021019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석조 건조물을 수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부로 양중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동력제공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Masonry Structure}
본 발명은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석탑과 같은 석조 건조물 문화재의 해체 또는 복원을 보조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문화재 분야의 석조 건조물의 해체는 크레인이나 체인블럭을 이용하여 전통 드잡이의 시공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해체 대상이 일률적이지 않고 개별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어떠한 이유로든 파손이나 훼손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 문화재임에도 정량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개인의 경험에 바탕을 둔 개인 기량에 의지하여 쇠지레 등을 보조로 사용함에 따른 부분 파손이나 크레인의 윈치가 회전하며 부재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부재끼리 혹은 주변 지장물과 예상치 못한 충돌 등으로 훼손이 발생해 왔으며, 이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84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석탑과 같은 석조 건조물 문화재의 해체 및 복원 품질이 일정하고, 해당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별 부재 자체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하고 각종 장치가 작동하여 해체 또는 복원이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전반에 걸쳐 각종 센서로 가력 상황 혹은 응력이 분산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응력의 균형 상태를 만들어 안전하게 해체 또는 복원할 수 있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석조 건조물의 하중을 양중하기 충분한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석조 건조물을 수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부로 양중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동력제공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의 양중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석조 건조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평면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 X형 조인트 구조의 집게 동작으로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X형 조인트 구조로 이루어져 집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 상기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여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에 접촉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아웃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웃리거는, 상기 석조 건조물의 층급 받침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 내측을 향해 L 형상으로 절곡된 지그; 상기 지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층급 받침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수직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다단의 가이드부가 설정된 높이로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완충재; 상기 완충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지그에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의 일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석조 건조물에 대한 상기 지그의 지지력 편심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지그의 위치별로 상기 로드셀을 배치하여 압력을 감지 및/또는 측정하고, 위치별로 감지 및/또는 측정된 압력 정보를 상기 동력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동력제공부는, 오일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유압공급부재; 상기 유압공급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로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 및/또는 측정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의 위치별 압력 편차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양중 및 이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에 의해 양중된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제1 승하강 위치에서 복원할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기 양중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기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된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2 승하강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2 승하강 위치로 이송된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기 제1 승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이송하는 운반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석조 건조물의 안착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서스펜션과, 상기 제1 승하강 위치에 도착시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어 및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한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에 있어서, 보양 부재를 사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보양하는 보양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설정된 양중 위치로 양중하는 양중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양중 위치에 있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승하강 위치에 있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2 승하강 위치로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 및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 단계를 포함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중 단계에서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의 리프트부가 동력제공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프레임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상호 대향 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에서는, 이송 장치가 상기 양중 위치로 이동하여 양중된 석조 건조물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부가 내려놓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받아서 상기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한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에 있어서, 보양 부재를 사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보양하는 보양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제2 승하강 위치로 반입하는 반입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승하강 위치에 있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단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승하강 위치에 있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및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양중 위치에 있는 상기 석조 건조물을 설정된 복원 위치로 양중하는 양중 단계를 포함하는,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탑과 같은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시 해당 과정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전도를 사전에 설정하여, 설정된 안전도를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부재 자체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하고 각종 장치가 작동하여 해체 또는 복원이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전반에 걸쳐 각종 센서로 지지력이 분산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지지력의 균형 상태를 만들어 안전하게 해체 또는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조 건조물의 하중을 양중하기 충분한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제공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제공부의 세부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10)은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양중 및 이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해체 및/또는 조립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양중하여 설정된 양중 위치(A)로 옮기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 상기 양중 위치(A)에서 해체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제1 승하강 위치(B)로 이송하고,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에서 조립할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상기 양중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200), 및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로 이송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제2 승하강 위치(C)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2 승하강 위치(C)로 이송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로 승강시키는 승하강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10)은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가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해체하고, 상기 이송 장치(200)가 해체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이송하고, 상기 승하강 장치(300)가 이송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하강시켜 외부로 반출시켜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10)은 해체 작업의 역순으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승강시키고, 승강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이송한 후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로 조립하여 복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10)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는 주로 석탑 등의 석조 문화재를 포함하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해체하거나 복원하기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상부로 들어올려 양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는 설정된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석조 건조물(50)을 수용하는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양중하는 리프트부(120) 및 상기 리프트부(1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조 건조물(50)은 완충제, 각재 프레임, 보호 판넬, 스트링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양 부재를 사용하여 보양 상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는 보양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양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수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양중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상부에 배치되는 평면프레임 구조체(112) 및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112)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112)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120)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양중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122), X형 조인트 구조의 집게 동작으로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게부(124), 및 상기 집게부(124)를 상기 크로스바(122)에 연결하는 연결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게부(124)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결부재(126)에 결합되고, 상기 X형 조인트 구조로 이루어져 집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142), 상기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142)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여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연결바(144),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144)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아웃리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웃리거(146)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하중을 양중하는데 충분하도록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층급 받침(52)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아웃리거(146)는 상기 연결바(144)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하부 내측을 향해 “L“ 형상으로 절곡된 지그(152), 상기 지그(152)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층급 받침(52)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수직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다단의 가이드부(153-1,153-2,153-3)가 설정된 높이로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완충재(153), 상기 완충재(153)와 상기 지그(152)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158) 및 상기 지그(152)에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유압라인(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153)는 상호 적층된 제1 가이드부(153-1), 제2 가이드(153-2) 및 제3 가이드부(15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153-1)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153-2)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153-2)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3 가이드부(153-3)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완충재(15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층급 받침(52)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부(153-1 ~ 153-N)(여기서, N은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리거(146)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지그(152)와 상기 완충재(153)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8)는 상기 지그(152)의 일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15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로드셀(159)은 상기 지그(152)의 5곳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58)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에 대한 상기 지그(152)의 지지력 편심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로 상기 로드셀(159)을 배치하여 압력을 감지(측정)하고, 위치별로 감지(측정)된 압력 정보를 상기 동력제공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유압라인(160)은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로 하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유압라인(160)은 상기 동력제공부(130)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을 상기 지그(152)의 설정된 위치로 전달하여 상기 지그(152)가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고르게 지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유압라인(160)은 상기 실린더(154)를 보조하여 상기 지그(152)의 지지력 편심을 개선하도록 상기 지그(152)를 부분적으로 정밀하게 밀어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유압라인(160)은 상기 실린더(154)에 의해 주요 지지력이 발생되는 상기 지그(152)의 중앙 부분 이외에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고르게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상기 실린더(152)와 함께 상기 지그(152)를 밀어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아웃리거(146)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양중하기에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데미지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제공부(130)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12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동력제공부(130)는 오일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유압공급부재(132), 상기 유압공급부재(132)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120)로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134), 및 상기 펌프(1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130)는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112)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스바(122)를 상승시키는 유압잭(hydraulic jack)(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재(132)는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112) 및 상기 지지프레임(11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압잭(133)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압공급부재(132)는 상기 리프트부(12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6)는 상기 센서부(158)로부터 상기 로드셀(159)에서 감지(측정)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 지지력 편차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6)는 분석된 위치별 압력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 지지력 편차를 환산 및/또는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6)는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 지지력 편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압력 편차를 보정하는 보정값을 연산하여 보정값에 따라 상기 지그(152)의 위치별로 연결된 상기 보조유압라인(160)으로 유압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36)는 상기 아웃리거(146)가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하중을 양중하는 과정에서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불균일하게 지지하는 것을 예방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손상이나 양중 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200)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100)의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0) 및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이송하는 운반대차(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반대차(220)는 바퀴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움직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석조 건조물(50)의 안착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서스펜션과,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에 도착시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어 및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장치(300)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접속 해제되고,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승하강 위치(B)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300)는 상기 석조 건조물(5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310) 및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상기 엘리베이터(310)를 접속시키는 접속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 시스템은 석탑과 같은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 품질이 일정하고, 해당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 시스템은 개별 부재 자체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하고 각종 장치가 작동하여 해체 또는 복원이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전반에 걸쳐 각종 센서로 지지력이 분산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지지력의 균형 상태를 만들어 안전하게 해체 또는 복원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은 석조 건조물을 보양하는 보양 단계(S1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양중 단계(S2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이송하는 이송 단계(S3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S400), 및 상기 석조 건조물을 반출하는 반출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은 보양 단계(S100), 양중 단계(S200), 이송 단계(S300), 하강 단계(S400), 및 반출 단계(S500)를 해체 대상이 되는 석조 건조물의 상태 등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은 상술한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양 단계(S100)에서는 완충제, 각재 프레임, 보호 판넬, 스트링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양 부재를 사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보양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석조 건조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석조 건조물의 외면에 완충재를 부착하거나 배치하고, 상기 석조 건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복수의 보호 판넬을 설치하고, 서로 인접한 복수의 보호 판넬이 만나는 부분에 각재 프레임을 설치하여 복수의 보호 판넬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스트링 와이어로 보호 판넬과 각재 프레임을 단단하게 감싸서 석조 건조물을 보양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다음, 양중 단계(S200)에서는 상술한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부로 들어올려 양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중 단계(S200)에서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는 설정된 구조로 프레임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석조 건조물을 수용하고, 프레임부에 설치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양중할 수 있다. 이때,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는 설정된 양중 위치로 석조 건조물을 옮겨 석조 건조물을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프레임부를 형성하여 석조 건조물의 양중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는 프레임부에 설치된 리프트부의 크로스바에 X형 조인트 구조의 집게부가 연결되고, 리프트부가 동력제공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프레임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석조 건조물의 하부(층급 받침)에 접촉하고, 석조 건조물의 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석조 건조물을 지지하여 석조 건조물을 양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프트부는 동력제공부와 연결된 유압잭의 작동으로 크로스바가 상승하게 되면 집게 동작으로 석조 건조물의 하부에 집게부의 아웃리거가 접촉하여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제공부는 아웃리거의 센서부에서 감지(측정)한 위치별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아웃리거의 위치별 지지력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이송 단계(S300)에서는 상술한 이송 장치가 양중 위치로 옮겨진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송 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반대차가 양중 위치로 이동하여 양중된 석조 건조물의 하부에 위치하고,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의 리프트부가 내려놓는 석조 건조물을 받아서 제1 승하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장치는 서스펜션을 이용하여 석조 건조물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석조 건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는 제1 승하강 위치에 도착시 감속기어 및/또는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감속으로 인한 석조 건조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하강 단계(S400)에서는 상술한 승하강 장치가 제1 승하강 위치로 이송된 석조 건조물을 제2 승하강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하강 장치는 접속부재가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의 접속을 해제시키고, 엘리베이터가 하강하여 석조 건조물을 제2 승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반출 단계(S500)에서는 제2 승하강 위치로 옮겨진 석조 건조물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반출 단계(S500)에서는 승하강 장치가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석조 건조물을 외부로 반출시키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반출된 석조 건조물은 보양 부재를 해체한 후 설정된 과정에 따라 수리 및/또는 복원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석조 건조물은 전부 또는 일부가 순서대로 해체되고, 이송 및 하강의 과정을 거쳐 손상없이 안전하게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도 17은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은 석조 건조물을 제2 승하강 위치로 반입하는 반입 단계(S11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승강하는 승강 단계(S12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 위치로 하는 이송 단계(S1300),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양중 단계(S1400), 및 상기 석조 건조물을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안착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은 반입 단계(S1100), 승강 단계(S1200), 이송 단계(S1300), 양중 단계(S1400), 및 안착 단계(S1500)를 복원 대상이 되는 석조 건조물의 상태 등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은 상술한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복원방법은 보양 단계(S1100) 이후,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의 역순에 해당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과 동일 내지 유사한 과정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보양 단계(S1100)에서는 석조 건조물의 안전한 승강, 이송 및 양중을 위하여 석조 건조물을 보양할 수 있다. 이러한 보양 단계(S1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조 건조물 해체방법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반입 단계(S1200)에서는 석조 건조물을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의 제2 승하강 위치로 반입할 수 있다.
다음, 승강 단계(S1300)에서는 상술한 승하강 장치가 제2 승하강 위치로 반입된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하강 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승강하여 석조 건조물을 제1 승하강 위치로 이동시키고, 접속부재가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를 접속 또는 체결시킬 수 있다.
다음, 이송 단계(S1400)에서는 상술한 이송 장치가 제1 승하강 위치로 옮겨진 석조 건조물을 양중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반대차가 석조 건조물을 양중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는 양중 위치에 도착시 감속기어 및/또는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감속으로 인한 석조 건조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양중 단계(S1500)에서는 상술한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를 이용하여 하중 위치에 있는 석조 건조물을 상부로 들어올린 후 석조 건조물을 설정된 복원 위치로 옮겨 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양중 단계(S200)에서는 상기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고, 이송 장치가 이동한 후 석조 건조물을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석조 건조물은 전부 또는 일부가 순서대로 승강, 이송 및 양중의 과정을 거쳐 손상없이 안전하게 해체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탑과 같은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시 해당 과정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전도를 사전에 설정하여, 설정된 안전도를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부재 자체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하고 각종 장치가 작동하여 해체 또는 복원이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전반에 걸쳐 각종 센서로 지지력이 분산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지지력의 균형 상태를 만들어 안전하게 해체 또는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조 건조물의 하중을 양중하기 충분한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석조 건조물 해체 및 복원시스템
100: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110: 프레임부
120: 리프트부
130: 동력제공부
200: 이송 장치
210: 가이드레일
220: 운반대차
300: 승하강 장치
310: 엘리베이터
320: 접속부재

Claims (17)

  1. 석조 건조물의 해체 및 복원을 위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석조 건조물을 수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을 상부로 양중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리프트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동력제공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 X형 조인트 구조의 집게 동작으로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는,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X형 조인트 구조로 이루어져 집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 상기 복수의 X형 조인트 구조체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여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의 연결바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에 접촉하여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아웃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리거는,
    상기 석조 건조물의 층급 받침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의 하부 내측을 향해 L 형상으로 절곡된 지그; 상기 지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층급 받침에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수직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다단의 가이드부가 설정된 높이로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완충재; 상기 완충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지그에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유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석조 건조물의 양중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석조 건조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평면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평면프레임 구조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의 상부 단면 폭이 위쪽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2 가이드부의 하부 단면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의 일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석조 건조물에 대한 상기 지그의 지지력 편심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지그의 위치별로 상기 로드셀을 배치하여 압력을 감지 및/또는 측정하고, 위치별로 감지 및/또는 측정된 압력 정보를 상기 동력제공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오일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유압공급부재;
    상기 유압공급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로 오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 및/또는 측정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의 위치별 압력 편차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194052A 2021-12-31 2021-12-31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62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052A KR102621638B1 (ko) 2021-12-31 2021-12-31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052A KR102621638B1 (ko) 2021-12-31 2021-12-31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279A KR20230103279A (ko) 2023-07-07
KR102621638B1 true KR102621638B1 (ko) 2024-01-05

Family

ID=8715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052A KR102621638B1 (ko) 2021-12-31 2021-12-31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557A (ja) * 2003-10-30 2005-05-26 Takenaka Komuten Co Ltd 天井クレーン
KR101469406B1 (ko) * 2011-07-14 2014-12-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철도 차량용 대차
KR101873546B1 (ko) * 2017-04-20 2018-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 대차
KR102130895B1 (ko) * 2018-09-21 2020-07-28 주식회사 대성목공기계산업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49B1 (ko) 2016-03-17 2017-08-04 윤승휘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557A (ja) * 2003-10-30 2005-05-26 Takenaka Komuten Co Ltd 天井クレーン
KR101469406B1 (ko) * 2011-07-14 2014-12-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철도 차량용 대차
KR101873546B1 (ko) * 2017-04-20 2018-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 대차
KR102130895B1 (ko) * 2018-09-21 2020-07-28 주식회사 대성목공기계산업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279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1676B (zh) 埋地管道施工方法
JP5769961B2 (ja)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KR102621638B1 (ko)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JP2002220185A (ja) 重量物の据付装置
KR102347732B1 (ko)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4984493B2 (ja) 高炉解体方法および高炉建設方法
JP4694859B2 (ja) 傾斜型乗客コンベア設備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その搬出方法
CN109488345A (zh) 一种隧道拱架快速安装的施工方法
JP4727136B2 (ja) 架台への重量物収納又は取り出し方法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重量物据付冶具
JP2019206423A (ja) 揚重雇、及び、その楊重雇を用いた重量物の楊重運搬方法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KR102265335B1 (ko) 지게차용 벽돌 운반장치
JP2001213584A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JP6798277B2 (ja) 段積み装置及び段積み方法
JP7430400B2 (ja) 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の嵩上げ工事方法、及び嵩上げ用ポスト
CN219993220U (zh) 运行核电站重型设备的输送系统
CN216071595U (zh) 一种具有多自由度的物流仓储机器人
AU2016277682A1 (en) Transport Device
JP2006274735A (ja) パネルの吊り上げ方法
JP6439880B1 (ja) エレベーター用長尺物運搬治具、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撤去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設置方法
JPH0941667A (ja) 建築部材を搬送する起伏装置付台車及び同台車による建築部材の搬送方法
JPS63247296A (ja) 搬送装置
JP3298488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
KR20230015789A (ko) 지상기기 운반용 레일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지상기기 운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