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49B1 -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49B1
KR101764849B1 KR1020160031791A KR20160031791A KR101764849B1 KR 101764849 B1 KR101764849 B1 KR 101764849B1 KR 1020160031791 A KR1020160031791 A KR 1020160031791A KR 20160031791 A KR20160031791 A KR 20160031791A KR 101764849 B1 KR101764849 B1 KR 10176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shape
sensor
senso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휘
Original Assignee
윤승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휘 filed Critical 윤승휘
Priority to KR102016003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49B1/ko
Priority to CN201610166720.4A priority patent/CN10720403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H04N13/0007
    • H04N13/004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화재 건축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화재 건축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되고, 기설정 시간단위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감지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센서값을 수신하고, 센서모듈와 연계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환 전후의 상태를 중첩시켜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cultural structure}
본 발명은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계측은 구조물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고가의 센서 장비를 구조물에 설치하고, 센서에서 전송된 계측 결과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할 수 있는 중앙 통제실 내에 설치된 고가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별도의 운영자를 두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의 시간대별 수치를 2D와 같은 그래프 등으로 제공한다. 이에,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의 수치 파악을 위한 전문가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수치 파악을 위한 시간이 오래걸린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장 설비 라인에 적용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계측이 가능하나, 문화재 구조물 계측은 온라인 상이 아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변화에 의해 문화재 구조물에 위험 요소가 발생되었을때, 위험 요소에 대해 계측하거나 대처 방안을 세우기가 힘든 실정이었다.
따라서, 수치해석의 어려움없이 관리자가 용이하게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문화재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문제 해결 방안을 세울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887호(2008.07.02.)
본 발명은 문화재 구조물의 위치변화를 센서와 연계된 BIM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되고, 기설정 시간단위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감지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센서값을 수신하고, 상기 센서모듈와 연계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해당 부재의 위치변환 전후의 상태를 중첩시켜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장치는, 상기 문화재 구조물을 3차원 스캐닝하여 실측된 외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외부 형상을 모델링하는 모델링부, 상기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의 식별자를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 중 해당 부재 형상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센서값에 따라 상기 해당 부재 형상을 복제하여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값은, 상기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의 식별자, 상기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3차원 좌표값 및 기울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장치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서값으로부터 상기 부재의 위치변화크기 및 위치변화방향을 산출하여 지진, 피로파괴 및 뒤틀림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변환 원인 및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기설정 구간단위로 변화추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예측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위치변화가 예측된 부재의 형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화재 구조물의 위치변화를 센서와 연계된 BIM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 전후의 상태를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 원인 및 위치변화 정도에 따른 위험여부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부재에 대한 수리, 해체, 보수 등의 방안을 세울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니터링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모델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S42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되는 다수의 센서모듈(100a 내지 100n) 및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1000)의 센서모듈(100a 내지 100n)은 지진, 산사태, 태풍 등의 자연재해, 기후변화, 시간경과 등에 따른 물리적 변화의 발생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대응되는 센서값을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는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 내지 100n)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동, 변동원인, 그에 따른 위험여부 등을 센서모듈(100a 내지 100n)과 연계된 BIM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화면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화재 구조물은 사찰, 석탑 등의 문화재로 지정된 구조물이 될 수 있고, 부재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둥, 활주, 공포, 지붕, 기단석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니터링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센서모듈(100a)은 위치변화 감지부(111) 및 전송부(112)를 포함하며,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20), 모델링부(230), 시뮬레이션부(240) 및 판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센서모듈(100a 내지 100n)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부(111)는 기설정 시간단위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유클리드 공간함수를 기반으로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3차원 좌표값 및 기울기(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모듈(100a)의 부착시의 부재 상태를 정상위치상태로 설정하고, 정상위치상태에서 제1특징점(+x,+y,+z)과 제2특징점(-x,-y,-z)의 평균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제1특징점(+x,+y,+z)과 제2특징점(-x,-y,-z)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기준 기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부(111)는 기설정 시간단위로 해당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며, 기설정된 기준점 및 기준 기울기로부터 위치변화된 변화점(x',y',z') 및 변화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변화 감지부(111)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진동센서 등과 같이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전송부(112)는 위치변화 감지부(111)에서 산출된 위치변화에 따른 변화점 및 기울기를 모니터링 단말장치(200)에서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3차원 좌표값(x',y',z') 및 기울기에 해당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의 식별자를 부가한 센서값을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112)는 기설정 시간단위로 감지된 부재의 위치에 따른 센서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는 센서모듈(100a)로부터 감지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센서값을 수신하고, 센서모듈(100a)와 연계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환 전후의 상태를 중첩시켜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모니터링 단말장치(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20), 모델링부(230), 시뮬레이션부(240) 및 판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100a 내지 100n)로부터 디지털변환된 센서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센서값은 해당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의 식별자,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3차원 좌표값 및 기울기가 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부(220)에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수신된 센서값을 수신되는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고, 모델링부(230)의 모델구축을 위한 데이터 및 모니터링을 위한 각종 처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모델링부(230)는 문화재 건축물의 각 부재를 실측하는 3차원 스캐닝을 통해, 각 부재의 형상, 수치, 위치 등의 외부 형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고, 획득된 외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화재 건축물을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이 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각 부재에 대한 외부 형상 데이터 및 이에 대응되는 실제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 내지 100n)의 식별자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델링부(230)는 센서모듈(100a 내지 100n) 각각의 기준값(즉, 기준점에 대한 3차원 좌표값 및 기준 기울기)을 해당 외부 형상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40)는 수신된 센서값에 대응하는 해당 부재 형상을 모델링부(230)로부터 추출하여 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델링부(230)의 저장된 기준값(기준점 및 기준기울기)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값을 기준으로 수신된 센서값 즉, 위치변화에 따른 부재의 3차원 좌표값 및 변화 기울기를 가지도록 복제된 해당 부재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40)는 수신된 센서값에 따라 해당 부재 형상을 복제하여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모델링부(230)에 의해 모델링된 문화재 구조물의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위치변화된 해당 부재는 위치변화 이전의 부재와 색상을 달리하여 구분할 수 있다.
판단부(25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서값으로부터 부재의 위치변화크기 및 위치변화방향을 산출하여 지진, 피로파괴 및 뒤틀림 등의 위치변환 원인 및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위치변화크기는 모델링부(230)에 기설정된 해당부재의 기준값과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서값들을 비교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위치변화크기 및 위치변화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50)는 현상(지진, 피로파괴 및 뒤틀림)판단 기준을 가질 수 있다. 판단부(250)는 특정시간 동안 해당 부재의 위치 변동이 기설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지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50)는 해당 부재의 위치변동 거리가 설정거리를 벗어나면 해당 부재 및 해당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피로파괴 몇 형상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재가 기설정된 이동방향 이외의 방향(수직, 수평, 역수 등)으로 이동시 뒤틀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50)는 해당 부재의 현상(지진, 피로파괴 및 뒤틀림) 정도에 따라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세뮬레이션부(240)를 통해 경보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50)는 기설정 구간단위로 변화추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예측하고, 시뮬레이션부(240)는 위치변화가 예측된 부재의 형상을 생성하여 모델링된 문화재 구조물의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공된 화면(300)은 시뮬레이션부(2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40)는 모델링부(230)에 의해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에 위치변화된 부재(20)의 형상을 중첩시켜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100a 내지 100n)로부터 센서값 수신시 위치변동이 발생된 부재(10)에만 위치변화된 부재(20)상태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부재의 선택시 확대하여 표시(400)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되는 화면(300)에는 위치변화에 따른 위험여부를 문구 등으로 경보(500)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센서모듈(100a 내지 100n)과 연계된 모델을 이용하여 센서값에 따른 위치변동을 3차원 외부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문화재 구조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해당 부재에 대한 수리, 해체, 보수 등의 방안을 세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 내지 100n)로부터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센서값을 수신하고(S410), 기설정된 BIM모델을 이용하여 해당부재의 위치변환 전후의 상태를 중첩시킨 3차원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420).
이때, BIM모델 구축은 도5의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화재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모델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문화재 건축물의 각 부재를 실측하는 3차원 스캐닝을 통해(S401), 각 부재의 형상, 수치, 위치 등의 외부 형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획득된 외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화재 건축물을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다(S402).
다음으로,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100a 내지 100n)의 식별자 및 모델링된 외부 형상 중 해당 부재형상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S410). 이때, 센서모듈(100a 내지 100n) 각각의 기준값(즉, 기준점에 대한 3차원 좌표값 및 기준 기울기)을 해당 외부 형상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S42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서값이 수신되면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을 표시하고, 수신된 센서값에 따라 위치변동된 해당 부재 형상을 복제(S421)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제된 부재 형상을 센서값에 대응되게 위치 변동시킨 후,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S422). 이때, 기저장된 기준값과 수신된 센서값을 이용하여 변동된 위치를 산출하고, 해당위치에 모델링된 해당 부재 형상을 복제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서값을 이용하여 부재의 위치변화크기 및 위치변화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S423). 여기서 산출된 산출값을 이용하여 지진, 피로파괴, 뒤틀림 등의 위치변환원인 및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4). 또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S424단계에서 판단된 위치변환 원인과 위험여부를 3차원 외부 형상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로부터 해당 부재 상태에 대한 예측명령이 입력되면(S425), 기설정 구간단위로 센서값 변화추이를 실시간 분석하여 부재의 위치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예측명령 입력시 지진 강도, 태풍 세기 등의 자연재해 요인 및 물리적 변화 요인들을 수치적으로 입력하면, 입력된 환경요건에서 단기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변화되는 해당부재의 상태를 예측하고(S426), 예측된 부재의 형상을 현재상태를 기준으로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100a 내지 100n : 센서모듈 200 : 모니터링 단말장치
111 : 위치변화 감지부 112 : 전송부
210 : 수신부 220 : 저장부
230 : 모델링부 240 : 시뮬레이션부
250 : 판단부

Claims (5)

  1. 문화재 구조물의 부재에 부착되고, 기설정 시간단위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의 식별자, 상기 감지된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3차원 좌표값 및 기울기로 이루어진 센서값을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센서모듈와 연계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해당 부재의 위치변환 전후의 상태를 중첩시켜 3차원 화면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말장치는,
    상기 문화재 구조물을 3차원 스캐닝하여 실측된 외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외부 형상을 모델링하는 모델링부;
    상기 부재에 부착된 센서모듈의 식별자를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 중 해당 부재 형상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센서값에 따라 상기 해당 부재 형상을 복제하여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위치변화된 상태의 부재 형상을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외부 형상에 중첩시켜, 위치변화 전의 상태와 위치변화가 예측된 부재의 형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기설정된 해당부재의 기준값과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서값들을 비교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상기 부재의 위치변화크기 및 위치변화방향을 산출하여 지진, 피로파괴 및 뒤틀림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변환 원인 및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 구간단위로 변화추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해당 부재의 위치변화를 예측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31791A 2016-03-17 2016-03-17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91A KR101764849B1 (ko) 2016-03-17 2016-03-17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CN201610166720.4A CN107204038A (zh) 2016-03-17 2016-03-22 文化遗产构造物监视系统及其监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91A KR101764849B1 (ko) 2016-03-17 2016-03-17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849B1 true KR101764849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791A KR101764849B1 (ko) 2016-03-17 2016-03-17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810A (zh) * 2017-09-28 2018-04-13 中建局集团第二建筑有限公司 基于bim模型及移动定位技术的施工管理方法
KR102347732B1 (ko) 2021-02-08 2022-01-07 최준현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3279A (ko) 2021-12-31 2023-07-07 최준현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78458A (ko) 2022-11-24 2024-06-04 주식회사 리하이 문화유산 드론 이미지 인공지능 분석 보호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03B1 (ko) * 2014-02-20 2015-09-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 문화재의 건물 정보통합 모델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03B1 (ko) * 2014-02-20 2015-09-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 문화재의 건물 정보통합 모델링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기정 등, "비접촉 레이저 3차원 스캐닝 기반 BIM을 이용하는 노후화 시설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한국BIM학회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3 no.1, 2013.0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810A (zh) * 2017-09-28 2018-04-13 中建局集团第二建筑有限公司 基于bim模型及移动定位技术的施工管理方法
KR102347732B1 (ko) 2021-02-08 2022-01-07 최준현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3279A (ko) 2021-12-31 2023-07-07 최준현 석조 건조물 해체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78458A (ko) 2022-11-24 2024-06-04 주식회사 리하이 문화유산 드론 이미지 인공지능 분석 보호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849B1 (ko)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4847B1 (ko) 문화재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US20180082414A1 (en) Methods Circuits Assemblies Devices Systems Platforms and Functionally Associated Machine Executable Code for Computer Vision Assisted Construction Site Inspection
RU2643619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контроля заготовки
US20180053130A1 (en) Lod work package
US113604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a real installation and a digital twin of the installation
JP7114885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369549A (zh) 用于估计物体位置的信息创建设备、用于估计物体位置的信息创建方法和程序
JP6365906B1 (ja) 3次元侵入検知システムおよび3次元侵入検知方法
WO2019107420A1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6712778B2 (ja) 物体検知装置、物体検知システムおよび物体検知方法
JP2006067272A (ja) 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及び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20090064244A (ko) 혼합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210118234A1 (en) Quantitative quality assurance for mixed reality
KR101473956B1 (ko) 2d 평면도를 기초로 한 3d 공간정보 모델링 방법 및 해당 3d 공간 모델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256894B1 (ko) 3d이미지 및 사진이미지를 이용한 실시간 설비 모니터링 장치
JP2014002430A (ja) 設備点検システム及びその計測器
WO2020010033A1 (en) Building maintaining method and system
KR20150138958A (ko) Nfc 기반 플랜트 관리 시스템
JP2012023414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36253B2 (ja) 据付物の施工方法
JP7077514B2 (ja) 建物情報処理装置及び建物情報処理モデル学習装置
KR102039902B1 (ko)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reekanta et al. Error det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subtractive manufacturing process
JP6350988B2 (ja) 橋梁の損傷診断用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