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26B1 -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26B1
KR102621526B1 KR1020220039730A KR20220039730A KR102621526B1 KR 102621526 B1 KR102621526 B1 KR 102621526B1 KR 1020220039730 A KR1020220039730 A KR 1020220039730A KR 20220039730 A KR20220039730 A KR 20220039730A KR 102621526 B1 KR102621526 B1 KR 10262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protrusion
coupl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0895A (ko
Inventor
이석근
정인택
김동원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to KR102022003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2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 작업 없이 와이어를 와이어홀더에 삽입하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티어링 휠의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장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방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와이어결합부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부를 갖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Holder Coupling System of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작업 없이 와이어를 와이어홀더에 삽입하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향신호를 입력받는 스티어링 휠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핸들의 조작으로 발생된 회전력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기어 장치에 전달이 되고 기어장치가 타이로드를 움직여 바퀴를 회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에는 자동차의 사고시에 팽창 전개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자동차 주변으로 경고음을 발산하는 혼 및 운전자에게 각종 정보, 이벤트 등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등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은 상부 커버(3)와, 상부 커버(3)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미도시)과, 에어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커버(3)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백모듈은 스티어링 휠의 내측 공간에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아마추어 조립체(미도시)에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아마추어 조립체에 에어백모듈이 삽입될 때,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와이어(미도시)가 고정 플레이트(5)에 체결된다. 이때, 와이어(미도시)가 고정 플레이트(5)에 용이하게 체결되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5)에 홀더(10)가 결합되고, 홀더(10)에 와이어가 체결된다.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에 구비되는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의 (a)를 참조하면, 홀더(10)는 고정 플레이트(5)에 결합되는 결합부(12)와, 결합부(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체결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부(12)에 와이어가 체결되면, 도 2의 (b)와 같이, 후크체결부(14)의 일측이 구부려지도록 하여 후크체결부(14)의 타측이 결합부(12)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후크체결부(14)가 구부려지도록 하는 벤딩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726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590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작업 없이 와이어를 와이어홀더에 삽입하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의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장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방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와이어결합부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부를 갖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와 대향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가까워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절곡걸림부의 단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끼움결합부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단부 양측에서 상기 와이어결합부를 향하도록 외팔보 형태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을 지나가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일측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에는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걸림홈이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타측과 상기 오목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의 양측 사이의 양 단벽 중 어느 한 단벽에는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홀과, 상기 돌부삽입홀의 일측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볼록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은 와이어홀더가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므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 간의 조립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홀더의 삽입구의 간격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므로, 와이어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는 와이어결합부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결합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와이어가 와이어결합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결합부가 탄성적으로 형태 변형되어, 와이어가 삽입구를 통하여 와이어결합부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딩 작업 없이 와이어를 와이어홀더에 삽입하므로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돌부가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삽입되면 연장걸림부가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므로, 끼움결합부는 간단한 구조로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결합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홈이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의 내주연 타측과 오목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므로, 걸림홈은 오목부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어, 와이어홀더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끼움결합부는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통홀의 볼록삽입홀에 볼록부가 삽입되므로,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삽입된 끼움돌부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돌부를 관통홀의 돌부삽입홀에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끼움돌부의 좌우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므로, 작업자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조립 상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에 구비되는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결합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결합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결합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끼움결합부가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결합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20)의 고정 플레이트(22)의 하측에 장착되는 결합플레이트(100) 및 결합플레이트(100)에 끼움 결합되는 와이어홀더(2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20)의 상측에는 에어백모듈(미도시)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고정 플레이트(22)가 장착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22)의 하측에 결합플레이트(100)가 장착되고, 결합플레이트(100)에 와이어홀더(200)가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백모듈이 삽입될 때, 스티어링 휠(20) 및 에어백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와이어(W)(도 6 도시)가 와이어홀더(200)에 결합된다. 이처럼 와이어홀더(200)가 고정 플레이트(22)에 결합되므로 스티어링 휠(20)과 에어백모듈 간의 조립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결합플레이트(100) 및 와이어홀더(2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플레이트(100)는 고정 플레이트(22)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견고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와이어홀더(20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결합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와이어홀더(20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10: 도 7 도시)이 형성된다. 관통홀(110)은, 끼움돌부(222)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홀(112: 도 8 도시)과, 돌부삽입홀(112)의 내주연 일측에 볼록부(226: 도 8 도시)가 삽입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볼록삽입홀(114: 도 8 도시)을 포함한다.
와이어홀더(2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에 개방되도록 삽입구(219)가 형성되는 와이어결합부(210)와, 결합플레이트(100)에 끼움 결합되도록 와이어결합부(21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와이어결합부(21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C"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플레이트(100)에 세워지도록 위치된다. 와이어결합부(21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길 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212)와, 접촉지지부(21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결합플레이트(100)의 반대 방향인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4)와, 돌출부(214)의 단부에서 접촉지지부(212)와 대향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216)와, 탄성지지부(216)의 단부에서 접촉지지부(212)의 길이방향 타측과 가까워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걸림부(218)를 포함한다. 삽입구(219)는 절곡걸림부(218)의 단부와 접촉지지부(212)의 타측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삽입구(219)를 통하여 와이어결합부(210)의 내부로 와이어(W)가 삽입된다.
끼움결합부(220)는 관통홀(110)에 관통 삽입되도록 와이어결합부(21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222)와, 끼움돌부(222)의 단부 양측에서 와이어결합부(210)를 향하도록 외팔보 형태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부(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끼움돌부(222)의 양측 사이의 양 단벽 중 어느 한 단벽에는 볼록하게 볼록부(226: 도 8 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결합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와이어결합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의 끼움결합부가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끼움결합부(220)가 삽입된다. 끼움결합부(220)의 끼움돌부(222)가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끼움돌부(222)와 연결되지 않은 연장걸림부(224)의 단부가 끼움돌부(222)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의 내주연을 지나간다. 그리고 끼움돌부(222)가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되면, 끼움돌부(222)와 연결되지 않은 연장걸림부(224)의 단부가 끼움돌부(222)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걸림 위치된다. 이처럼 끼움돌부(222)가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되면 연장걸림부(224)가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므로, 끼움결합부(220)는 간단한 구조로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결합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결합부(2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의 내주연 일측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부(1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걸림부(224)의 단부에는 오목하게 걸림홈(2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돌부(222)가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되면, 연장걸림부(224)의 단부가 끼움돌부(222)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오목부(112a)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걸림홈(224a)이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의 내주연 타측과 오목부(112a)가 만나는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므로, 걸림홈(224a)은 오목부(112a)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어, 와이어홀더(2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끼움결합부(220)는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끼움결합부(220)가 관통홀(110)에 삽입되면, 와이어결합부(210)의 접촉지지부(212)가 관통홀(110)을 덮도록 위치되고, 끼움돌부(222)가 접촉지지부(212)에서 관통홀(110)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결합부(210)에 와이어(W)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삽입구(219)의 간격은 와이어(W)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므로, 와이어결합부(210)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W)는 와이어결합부(210)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결합부(21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와이어(W)가 와이어결합부(2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결합부(210)가 탄성적으로 형태 변형되어, 와이어(W)가 삽입구(219)를 통하여 와이어결합부(2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딩 작업 없이 와이어(W)를 와이어홀더(200)에 삽입하므로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끼움결합부(220)가 삽입될 때, 관통홀(110)의 볼록삽입홀(114)에 볼록부(226)가 삽입된다. 이처럼 관통홀(110)의 볼록삽입홀(114)에 볼록부(226)가 삽입되므로,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삽입된 끼움돌부(222)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돌부(222)를 관통홀(110)의 돌부삽입홀(112)에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끼움돌부(222)의 좌우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므로, 작업자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조립 상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결합플레이트 110: 관통홀
112: 돌부삽입홀 112a: 오목부
114: 볼록삽입홀 200: 와이어홀더
210: 와이어결합부 212: 접촉지지부
214: 돌출부 216: 탄성지지부
218: 절곡걸림부 219: 삽입구
220: 끼움결합부 222: 끼움돌부
224: 연장걸림부 224a: 걸림홈
226: 볼록부

Claims (7)

  1. 스티어링 휠의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장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방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와이어결합부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부를 갖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끼움결합부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단부 양측에서 상기 와이어결합부를 향하도록 외팔보 형태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을 지나가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결합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일측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끼움돌부와 멀어지도록 원상 복귀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와 대향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가까워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절곡걸림부의 단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에는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걸림홈이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타측과 상기 오목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의 양측 사이의 양 단벽 중 어느 한 단벽에는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홀과, 상기 돌부삽입홀의 일측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볼록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KR1020220039730A 2022-03-30 2022-03-30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KR10262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30A KR102621526B1 (ko) 2022-03-30 2022-03-30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30A KR102621526B1 (ko) 2022-03-30 2022-03-30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95A KR20230140895A (ko) 2023-10-10
KR102621526B1 true KR102621526B1 (ko) 2024-01-09

Family

ID=8829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730A KR102621526B1 (ko) 2022-03-30 2022-03-30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554B1 (ko) 1995-12-22 1999-10-01 정몽규 자동차용 트림 고정홀더
JP2013027225A (ja) * 2011-07-25 2013-02-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2030423B1 (ko) * 2019-08-21 2019-10-10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Src 와이어 정렬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310B1 (ko) * 2003-09-15 2005-1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KR20080022457A (ko) * 2006-09-06 2008-03-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100759040B1 (ko) 2006-09-13 2007-09-14 주식회사 코모스 스티어링 휠 운전석 에어백용 로어커버와 운전석 에어백모듈 고정용 볼트홀더 장착구조
KR101637264B1 (ko) 2010-09-29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554B1 (ko) 1995-12-22 1999-10-01 정몽규 자동차용 트림 고정홀더
JP2013027225A (ja) * 2011-07-25 2013-02-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2030423B1 (ko) * 2019-08-21 2019-10-10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Src 와이어 정렬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95A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9775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5742691B2 (ja) テザークリッ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
US7908713B2 (en) Operating knob
US9061650B2 (en) Device for assembling airbag cover
US5251843A (en) Noise-damped sensor for a safety belt retractor
US9464647B2 (en)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and tether clip
US9302632B2 (en) Tether clip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2013113419A5 (ko)
JP5156461B2 (ja) 車両用センサの取付構造
KR102621526B1 (ko)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KR100522870B1 (ko)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WO2014203683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10002965A1 (en) Structure for mounting to steering wheel
JP5580108B2 (ja) ボルト固定部構造
JP3596215B2 (ja) アンテナケース
US10788341B2 (en) Spring clip for sensor mounting
KR101926964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JP5876376B2 (ja) グロメット
JP2009144772A (ja) クランプの誤組付け防止構造
JP3613196B2 (ja) フェンダーライナー取付構造
JP2008110681A (ja)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機構
KR100745452B1 (ko)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JP201915634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987713B2 (ja) バンド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