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310B1 -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310B1
KR100537310B1 KR10-2003-0063699A KR20030063699A KR100537310B1 KR 100537310 B1 KR100537310 B1 KR 100537310B1 KR 20030063699 A KR20030063699 A KR 20030063699A KR 100537310 B1 KR100537310 B1 KR 10053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cover
retainer
leaf spr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427A (ko
Inventor
김서홍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3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은 리드 와이어가 끼워진 리테이너를 덮는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리드 와이어에 밀착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향해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에 다수의 리브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드 와이어를 굵기에 상관없이 쉽게 커버와 홀더를 훅 결합시킬 수 있고, 아울러 리드 와이어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압박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The Clip for Lead-Wire i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에 리테이너를 향해 탄성되도록 형성되어 리드 와이어를 압박하는 판 스프링이 형성된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Bag, DAB)은 스티어링의 중앙에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커버(2)와, 상기 에어백 커버(2)의 뒤에 결합되어 일정 형상으로 접혀진 에어백(4)을 수납하는 에어백 하우징(6)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의 중앙 홀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에어백(4)이 운전석을 향해 전개되도록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8)는 충돌사고 발생시 내부에 충진된 가스가 점화될 수 있도록 전원을 전달하는 리드 와이어(10)가 연결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10)는 깔끔하게 배선 정리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의 배면에 설치된 클립(20)에 끼워진다.
상기 클립(20)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6)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상기 에어백 하우징(6)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10)가 끼워지는 아크형 리테이너(24)와,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의 일단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10)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와의 사이에 폐루프를 형성하는 아우터 커버(26)와, 상기 아우터 커버(26)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커버(28)와, 상기 아우터 커버(26)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26a)와 탄성력에 의해 훅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터(22)에 돌출 형성된 홀더(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커버(26)가 아크형 리테이너(24)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리드 와이어(10)를 아크형 리테이너(24)에 끼운 다음, 상기 아우터 커버의 후크(26a)가 홀더(29)에 걸리도록 상기 아우터 커버(26)가 아크형 리테이너(24) 측으로 접어지면, 상기 리드 와이어(10)가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와 이너 커버(28)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상기 리드 와이어(10)가 깔끔하게 배선 정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20)은 충돌사고 발생시 고압의 가스가 상기 에어백(4)에 고르게 충진되고 아울러 상기 에어백(4)이 신속하게 전개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8)가 2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인플레이터(8)에 각각 리드 와이어(10)가 연결된 경우, 상기 클립(20)은 2개의 리드 와이어(10)를 각각 배선 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와 아우터 커버(26), 이너 커버(28)가 2개씩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사고 발생시 리드 와이어(10)를 통해 인플레이터(8)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인플레이터(8)의 내부에 충진된 가스가 점화된 후 에어백(4)으로 분출되고, 상기 에어백(4)이 고압의 가스가 충진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커버(2)를 파단시키고 운전석을 향해 전개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에어백(4)에 의해 딱딱한 차체와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립(20)은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와 이너 커버(28) 사이의 공간보다 상기 리드 와이어(10)의 직경이 작으면 상기 리드 와이어(10)의 유동을 구속할 수 없고, 상기 아크형 리테이너(24)와 이너 커버(28) 사이의 공간보다 상기 리드 와이어(10)의 직경이 크면 상기 아우터 커버(26)를 아크형 리테이너(24)를 향해 완전하게 접을 수 없어 상기 아우터 커버(26)를 홀더(29)에 훅 결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아우터 커버(26)를 홀더(29)에 무리하게 훅 결합시킬 경우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립(20)은 다수개의 리드 와이어(10)를 독립적으로 배선 정리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10)의 개수만큼 상기 클립(20)과 리드 와이어(10)의 조립/분해 작업 공수가 늘어나 작업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리드 와이어를 한번에 배선 정리할 수 있고, 크기에 상관없이 리드 와이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은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리드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가 끼워지는 리테이너의 개구부위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리테이너의 개구부위를 덮을 때, 상기 커버와 훅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더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리테이너를 향해 탄성 가능토록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60)은 에어백 하우징(50)의 배면에 끼움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6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2)에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2개의 리드 와이어(52)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리테이너(64)와, 상기 리테이너(64)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52)가 끼워지는 리테이너의 개구부위(64a)를 개폐시키는 커버(66)와, 상기 커버(66)가 상기 리테이너의 개구부위(64a)를 덮을 때, 상기 커버(66)와 훅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2)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68)와, 상기 커버(66)의 내측면에 상기 리테이너(64)를 향해 탄성 가능토록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52)의 유동을 방지하는 판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너(64)는 상기 리드 와이어(52)를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일정 곡률로 하향 굴곡된 U형 패널(64a)과, 상기 U형 패널(64a)의 외측면 중앙 측과 베이스 플레이트(6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U형 패널(64a)과 베이스 플레이트(62)를 연결하는 립(6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U형 패널(64a)에는 내측면 중앙 측에 2개의 리드 와이어(52)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나의 격벽(64c)이 돌출되는데, 상기 격벽(64c)은 상기 U형 패널(64a)의 곡률 또는 상기 리드 와이어(52)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커버(66)는 상기 U형 패널(64a)의 나머지 둘레를 덮음으로써 상기 리테이너(64)와의 사이에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리테이너(64)를 덮을 때, 양단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50)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52)가 상기 리테이너(64)와 커버(66) 사이를 통과하되, 상기 리테이너(64)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66)는 상기 리테이너(64)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U형 패널(64a)의 둘레방향으로 절첩 가능토록 상기 U형 패널(64a)의 일단과의 사이에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브리지(65)를 통해 상기 U형 패널(64a)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홀더(68)는 상기 리테이너의 립(64b)에 상기 U형 패널(64a)의 타단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상기 U형 패널(64a) 측으로 상기 U형 패널(64a)의 일단과 연결되지 않는 상기 커버(66)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된 훅(66a)과 탄성력에 의해 훅 결합되는 훅(68a)이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70)은 상기 U형 패널(64a)의 일단과 연결된 커버(66)의 타단 내측면에서 상기 커버(66)의 일단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커버(66)의 타단에서 커버(66)의 일단을 향하여 상기 커버(66)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U형 패널(64a)을 향해 탄성력을 갖는다.
참고로 상기 U형 패널(64a)에 끼워진 리드 와이어(52)는 사양에 따라 그 굵기가 다른데, 상기 판 스프링(70)이 상기 U형 패널(64a)에 끼워진 리드 와이어(52)의 굵기에 따라 상기 커버(66) 측으로 탄성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판 스프링(70)은 비교적 굵기가 작은 리드 와이어(52)의 유동방지를 고려하여 상기 커버(66)로부터 20 내지 50°의 기울기(θ)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70)은 상기 U형 패널(64a) 측 내측면에 상기 U형 패널(64a)을 향해 다수개의 리브(7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66)가 리테이너(64)를 덮을 때 상기 리브(72)가 판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U형 패널(64a)에 끼워진 리드 와이어(52)를 압박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52)를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와이어(52)는 그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2개의 리드 와이어(52)의 굵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리드 와이어(52)가 상기 리브(72)에 의해 충분히 압박될 수 있도록 상기 리브(72)는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버(66)와 홀더(68) 간 훅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커버(66)를 U형 패널(64a)로부터 상기 홀더(68)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펼쳐 놓은 후 상기 U형 패널(64a)에 리드 와이어(52)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커버(66)를 상기 U형 패널(64a) 측으로 접고 상기 커버(66)가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커버(66)와 홀더(68)를 다시 탄성력에 의해 훅 결합시킨다. 그러면, 판 스프링(70)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드 와이어(52)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52)가 견고하게 배선 정리된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70)은 상기 U형 패널(64a)을 향해 탄성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52)의 굵기가 작더라도 상기 판 스프링(70)에 의해 압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리드 와이어(52)의 굵기가 크더라도 상기 판 스프링(70)이 상기 커버(66) 측으로 탄성될 수 있는 여유가 있어 상기 커버(66)와 홀더(68)를 무리하지 않고 훅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70)에 리브(72)가 다수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72)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52)와의 사이에 슬립이 생기지 않아 상기 리드 와이어(52)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그 기술분야가 운전자용 에어백 모듈에 한정되지 않고 조수석 에어백 모듈, 사이드 에어백 모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은 리드 와이어가 끼워진 리테이너를 덮는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리드 와이어에 밀착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향해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에 다수의 리브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드 와이어를 굵기에 상관없이 쉽게 커버와 홀더를 훅 결합시킬 수 있고, 아울러 리드 와이어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압박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리드 와이어를 하나의 리테이너에 끼운 후 상기 리테이너에 커버를 접어 넣음으로써 한번의 공수로 리드 와이어의 배선을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효율이 향상되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드 와이어 클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와이어 클립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 와이어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에어백 하우징 52 : 리드 와이어
60 : 리드 와이어 클립 62 : 베이스 플레이트
64 : 리테이너 66 : 커버
68 : 홀더 70 : 판 스프링
72 : 리브

Claims (6)

  1.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리드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가 끼워지는 리테이너의 개구부위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리테이너의 개구부위를 덮을 때, 상기 커버와 훅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더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리테이너를 향해 탄성 가능토록 형성되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드 와이어의 사이를 분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와 커버가 연결되는 부위 측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커버로부터 20 내지 50°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리테이너를 향한 면에 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리브의 끝단이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KR10-2003-0063699A 2003-09-15 2003-09-15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KR100537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699A KR100537310B1 (ko) 2003-09-15 2003-09-15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699A KR100537310B1 (ko) 2003-09-15 2003-09-15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27A KR20050027427A (ko) 2005-03-21
KR100537310B1 true KR100537310B1 (ko) 2005-12-16

Family

ID=3738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699A KR100537310B1 (ko) 2003-09-15 2003-09-15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722A (zh) * 2011-01-06 2012-07-1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位置控制的线缆引导夹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526B1 (ko) * 2022-03-30 2024-01-09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722A (zh) * 2011-01-06 2012-07-1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位置控制的线缆引导夹具
CN102587722B (zh) * 2011-01-06 2015-03-2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位置控制的线缆引导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27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884B2 (en) Air bag device
US5810390A (en) Module case for side impact airbag module
EP1764271B1 (en) Mounting component and mounting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US683280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US7232151B2 (en) Airbag device
JP3792796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40124617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5925885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980008856A (ko) 압출 성형된 커버를 구비한 측면 충격 에어백 모듈
KR20070094856A (ko) 에어백 모듈
US8172258B2 (en)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for vehicle
WO2016010011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60038385A1 (en) Air bag door and attachment method
US6220623B1 (en) Side airbag device for restraining occupant&#39;s head
EP1644224A1 (en) Inflatable curtain asssembly
US6616175B2 (en) Gas bag restraint system
KR19980080094A (ko) 에어백 장치
KR100537310B1 (ko)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US7357409B2 (en) Gas bag module
US8011689B2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s
US6017055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CN116997489A (zh) 气囊安装构造
JP2001151065A (ja) エアバック装置
JPH10129385A (ja) エアバッグ装置
CN212267401U (zh) 一种气囊导向组件、帘式安全气囊模块、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