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094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094A
KR19980080094A KR1019980007973A KR19980007973A KR19980080094A KR 19980080094 A KR19980080094 A KR 19980080094A KR 1019980007973 A KR1019980007973 A KR 1019980007973A KR 19980007973 A KR19980007973 A KR 19980007973A KR 19980080094 A KR19980080094 A KR 19980080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witch
contact point
cov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270B1 (ko
Inventor
가즈요시 니시지마
가즈히로 가네코
미치타카 스즈키
도시유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히로세 마코토
니혼프라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 마코토, 니혼프라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 마코토
Publication of KR1998008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합성 수지의 커버 몸체로 감싸지는 에어백 장치를 개시한다. 박막 스위치 및 배면 플레이트를 구비한 스위치 장치가 커버 몸체와 에어백 사이에 배치된다. 박막 스위치는 배면 플레이트에 중앙부의 한 점에서 부착된다. 배면 플레이트의 연장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이에 의하여 에어백이 팽창하여 전개되는 시점에서 상기 커버로부터 독자적으로 바깥쪽으로 전개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스위치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충돌 등에 기인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의 보스(boss)부(중앙 패드부)에 배치된 에어백 장치가 통상적으로 알려져 왔다. 이 에어백 장치에는, 가스를 생성하는 팽창기와, 접혀지는 방식으로 수용되는 주머니와 같은 에어백과, 이 에어백을 감싸는 모듈 커버(중앙 패드)와, 상기 팽창기와 에어백과 커버 몸체 등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에어백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가스가 상기 팽창기로부터 방출될 때, 상기 커버가 도어처럼 열리도록 에어백의 팽창에 기인한 압력으로 소정의 균열 라인(파괴 라인)을 따라 파괴되고,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한 시점에서 에어백이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어서 착석자 측에서 팽창하여 전개되도록 한다.
또한 경적 등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통상적으로 상기 보스부의 내부에 배열된 패드 몸체에 조립되어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상기 보스부에 위치한 에어백 장치의 커버 몸체에 조립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에어백이 팽창하여 돌출되는 도어편 부분이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편 부분의 형성 및 개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절한 작동 감각으로, 다시 말하면 원활한 전개가 되면서, ON과 OFF 상태 사이에서 바꿀 수 있는 스위치 메카니즘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7-40838에 기술된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구조에서는, 박막과 같은 스위치(박막 스위치)가 커버의 표면 아래 내측에 장착되고, 이 박막 스위치의 배면은 단단한 패널(배면 패널)에 의하여 감싸여지며, 상기 단단한 패널의 외주 가장자리 부분은 커버 몸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몸체가 눌려지면, 상기 박막 스위치가 커버 몸체를 통하여 눌려지고, 이에 의하여 회로가 닫혀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7-40838에 기술된 구조에서는,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팽창되는 시점에서 찢어지는 커버 몸체에 상기 스위치 및 단단한 패널이 장착되고, 이에 의하여 3개의 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단한 패널은 복수개의 고정 위치에서 단지 상기 커버 몸체에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및 단단한 패널을 상기 커버 몸체에 견고하고 신뢰성 있게 장착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반면에 커버 몸체가 찢어지는 시점에서 상기 3개의 층이 원활하고 급격하게 바깥쪽으로 전개되는 것이 또한 필요하므로, 이것은 구조의 복잡성, 크기의 증가, 조립 시간의 증가 및 설계의 어려움에 기인한 제조 비용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커버의 도어편 부분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어백 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만들기가 어려워지게 되고, 스위치가 점유한 공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훌륭한 작동 감각을 가지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에어백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는 조향 핸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도 2의 라인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스위치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8h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적 조립 공정도로서,
도 8a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이며,
도 8c는 도 8a의 다음 공정의 평면도이고, 도 8d는 도 8c의 단면도이며,
도 8e는 도 8c의 다음 공정의 평면도이고, 도 8f는 도 8e의 단면도이며,
도 8g는 도 8e의 다음 공정의 단면도이고, 도 8h는 도 8g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일부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략도이다.
도 12는 상기 에어백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략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조향 핸들 2...조향 핸들 몸체
4...에어백 장치 11...베이스 플레이트
12...팽창기 14...에어백
15...리테이너 16...박막 스위치
17,,,배면 플레이트 18...스위치 장치
21...커버 몸체 31...커버부
32...장착편 부분 36...균열 라인
38...스위치 배열부 41...걸림부
42...샤프트부 43...걸림 돌출부
44...슬릿 46...걸림 수용부
48...걸림면 부분 49...샤프트 수용홀 부분
50...삽입홀 부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팽창하고 부풀오르는 에어백과, 변형될 수 있고 찢어질 수 있는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커버부를 가지는 커버 몸체와, 상기 에어백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점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의 상기 에어백에 가까운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가지는 지지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를 상기 지지 몸체에 한점에서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커버 몸체의 커버부가 눌려질 때, 상기 스위치 장치의 접촉점 몸체가 상기 커버부를 통하여 눌려짐으로써, 상기 접촉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닫혀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의 지지부에 의하여 에어백에 가까운 측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 감각이 개선된다. 또한 가스가 에어백으로 유입되면, 이 에어백의 돌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부가 커버 팽창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찢어지고, 파손 등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커버 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그리고 그 다음에 팽창되어 전개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접촉점 몸체를 장착한 지지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커버부 아닌 다른 부분까지 독자적으로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몸체가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원활한 전개가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커버부가 찢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점 몸체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지만, 이 접촉점 몸체는 한 점에서 부착되므로, 이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부의 원활한 전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에 한 점에서 부착되므로, 구조 및 제작 공정 간단해짐으로써,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팽창하고 부풀오르는 에어백과, 변형될 수 있고 찢어질 수 있는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커버부를 가지는 커버 몸체와, 상기 에어백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점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의 상기 에어백에 가까운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가지는 지지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를 상기 지지 몸체에 상기 접촉점 몸체의 중앙에 위치된 부분에서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몸체의 커버부가 눌려질 때, 상기 스위치 장치의 접촉점 몸체가 상기 커버부를 통하여 눌려짐으로써, 상기 접촉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닫혀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의 지지부에 의하여 에어백에 가까운 측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 감각이 개선된다. 또한 가스가 에어백으로 유입되면, 이 에어백의 돌출구가 형성되도록, 파손 등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가 에어백의 팽창 및 전개에 기인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찢어진다. 따라서 에어백이 상기 커버 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그 다음에 팽창되어 완전히 전개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연장부를 상기 커버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촉점 몸체를 장착한 지지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독자적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몸체가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원활한 전개가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상기 커버부가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점 몸체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지만, 이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에 실질적으로 그 중앙부에서 부착되므로, 상기 접촉점 몸체는 상기 지지부의 원활한 전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촉점 몸체가 대략 중앙 부분에서 상기 지지 몸체에 부착되므로, 구조 및 제작 공정이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접촉점 몸체와 지지 몸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몸체에 배치되는 걸림부가 상기 부착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를 삽입함으로써 걸리게 되는 걸림 수용부가 상기 접촉점 몸체에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지지 몸체에 배치된 걸림부를 상기 접촉점 몸체에 배치된 걸림 수용부 안으로 삽입하고 그 사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에 쉽게 장착될 수 있어서, 제작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에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 수용부에는,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수용홀 부분과, 상기 샤프트 수용홀 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 부분과, 상기 걸림편 부분을 지지하는 걸림면 부분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샤프트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촉점 몸체와 지지 몸체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편 부분이 상기 삽입홀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점 몸체 및 지지 몸체가 상기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 부분이 상기 걸림면 부분에 걸려질 수 있고, 상기 접촉점 몸체가 상기 지지 몸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에 대체로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개시에도 상기 걸림 수용부가 상기 걸림편 부분에 의하여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에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개시에 상기 걸림편 부분이 상기 지지 몸체에 가하는 영향이 줄어들 수 있고, 전개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7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장치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쿠션 부재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작동 감각이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또는 그 이상의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면 더욱 완전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1은 자동차용 조향 핸들을 나타내는데, 이 조향 핸들(1)은 조향 핸들 몸체(2)와, 착석자에 가까운 측에서 상기 조향 핸들 몸체(2)에 부착되는 에어백 장치(에어백 모듈)(4)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조향 핸들(1)은 보통 경사진 상태로 마련되는 조향 샤프트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에어백 장치(4)의 전방 측에 해당하는 착석자에 가까운 측을 상부측으로 취급하고, 에어백 장치(4)의 바닥 측에 해당하는 차체에 가까운 측을 하부측으로 취급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 핸들 몸체(2)는, 환형의 림(rim)부(5)와, 이 림부(5)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스부(6)와, 상기 림부(5)와 보스부(6)를 연결하는 4개의 스포크(spoke)부(7)를 구비한다. 또한 조향 샤프트(미도시)에 끼워지는 보스가 상기 보스부(6)의 차체 측에 대응하는 하부에 마련되고, 보스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에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장착된다. 그리고 스포크부(7)의 금속 코아가 상기 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림부(5)의 금속 코아가 이 스포크부(7)의 금속 코아에 연결된다. 또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의 연질의 폼(foam) 등으로 만들어진 스킨부(8)가 림부(5)의 코아의 외주부 및 스포크부(7)의 금속 코아의 상기 림부(5)에 가까운 부분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또한 에어백 장치(4)가 보스부(6)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12) 및 에어백(14)이 장착 부재에 해당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되고, 리테이너(15)와 접촉점 몸체에 해당하는 박막 스위치(16)와 지지 몸체에 해당하는 배면 플레이트(17)를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18)와 커버 몸체(21)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부(11a)가 대체로 편편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 벽부(11b)가 이 상부 플레이트부(11a)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감으로써, 대체로 사각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강철판을 구부림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부(11a)에는, 원형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는 팽창기 장착홀(11c)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11d)이 상기 팽창기 장착홀(11c)의 주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양측에 배치된 1쌍의 브라켓 장착부(11f)가 외주 벽부(11b)에 형성되고, 너트가 상기 브라켓 장착부(11f)의 내측에 일체로 장착되며, 복수개의 리벳 관통홀(11h)이 외주 벽부(11b)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려진다. 또한 걸림홀(11i)이, 리벳 관통홀(11h)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방 및 후방 외주 벽부(11b)에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가 상기 브라켓 장착부(11f)의 너트에 맞물리는 볼트에 의하여 조향 핸들 몸체(2)의 보스 플레이트에 배치된 1쌍의 양측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가 구성된다.
또한 팽창기(12)에는 대체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팽창기 몸체(12a)가 마련되고, 가스를 향하게 하는 가스 주입구(12b)가 이 팽창기 몸체(12a)의 상부측 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장착 플랜지부(12c)가 팽창기 몸체(12a)로부터 돌출되고,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12d)이 이 플랜지부(12c)에 형성된다. 또한 팽창기 몸체(12a)의 하부측으로부터 도입된 리드 와이어(12e; lead wire)에 연결되는 시동부(점화 장치 또는 도화폭죽)가 팽창기 몸체(12a)의 내부에 마련되고, 이 시동부가 점화 부분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펠리트(pellets)에 의하여 채워진다. 그럼으로써 상기 점화 부분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드러그 펠리트의 반응이 점화되고, 따라서 많은 양의 불활성 기체, 예를 들면 질소 가스가 순간적으로 생성되어 가스 주입구(12b)로부터 확산된다.
또한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원형 직물 천 등을 겹쳐서 그 외주를 꿰맴으로써, 에어백(14)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원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팽창기의 상부 반쪽 부분이 삽입되는 개구부(14c)가 에어백(14)의 하부면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14d)이 상기 개구부(14c)의 주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1개 또는 그 이상의 통풍공(미도시)이 개구부(14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환형의 보강용 직물이 상기 개구부(14c) 및 배기구 근처에 각각 겹쳐져서 일체로 꿰매짐으로써, 확실하게 보강이 되도록 한다.
또한 환형의 베이스부(15a)와 이 베이스부(15a)의 내주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팽창 부재에 해당되는 컵부(15b)가 리테이너(15)에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5a)에서, 평면상의 외부 형상이 둥근 코너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은 원형의 형상으로 개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미도시)이 베이스 플레이트(15a)의 편편한 부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장착 볼트(24)가 상기 각 관통홀에 그 상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점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너트(미도시)가 상기 각 장착 볼트(24)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베이스부(15a)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부(15c)와, 이 실린더부(15c)의 상부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방향을 향하여 지름이 감소도록 된 각원추대 부분(15d) 및 이 각원추대 부분(15d)의 상단면을 폐쇄하는 상단 플레이트부(15e)가 상기 컵부(15b)에 형성된다. 그리고 팽창기(12)의 팽창기 몸체(12a)의 상부 반쪽 부분이 컵부(15b)의 실린더부(15c) 안에 수용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가스 삽입구(15f)가 실린더부(15c)로부터 각원추대 부분(15d)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몸체(21)는 연질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같은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커버 몸체(21)는 조향 핸들 몸체(2)의 보스부와 스포크부(7)의 일부의 감싸는 커버부(31)와 이 커버부(31)의 배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장착편 부분(32)을 구비하여, 실질적으로 사각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의 표면(상부 표면)은 4개의 스포크부(7)를 감싸는 스킨부(8)에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만들어지고,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부러진 곡선면들을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서, 이에 의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일치되게 된다. 또한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의 배면(하부 표면)이 장착편 부분(32)의 내측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H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커버부(31)의 다른 부분보다 더 약한 파괴부(파손 유도 부분)에 해당하는 균열 라인(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균열 라인(36)에는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수평 횡단부(36a)와, 이 수평 횡단부(36a)의 양단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장착편 부분(32)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1쌍의 수직 횡단부(36b)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커버부(31)가 균열 라인(36)을 따라 파괴되고 개방되어서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되도록 상기 균열 라인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1쌍의 도어편 부분(37a,37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균열 라인(36)의 수평 횡단부(36a)가 커버부(31)의 중앙부로부터 차체에 대하여 후방측으로(착석자에 대하여는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전방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수직 횡단부(36b)의 종단부(36c)은 그 전방 단부가 상기 수직 횡단부(36b)에 평행하게 되도록 역전되어서,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편 부분(37a,37b)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파손이 균열 라인(36)이 아닌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도어편 부분(37a)의 배면측에 스위치 배열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얇은 부분(38a)이 상기 스위치 배열부(38)에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경적 스위치 작동부를 형성한다. 또한 복수개의 돌출부(38d)가 얇은 부분(38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돌출부들(38d)의 전방 단부들을 연결하는 가상면이 실린더 면 또는 필요에 따라 평탄한 면이 되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커버 몸체(21)의 장착편 부분(3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 벽부(11b)의 외측에 끼워지는 실질적으로 사각 실린더 형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외주 벽부(11b)의 리벳 관통홀(11h)과 교통되는 복수개의 리벳 관통홀(32a)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장착부를 위한 1쌍의 노치부가 그 양측에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부(11f)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걸림 돌출부가 상기 리벳 관통홀(32a) 사이에 위치되어지도록 전방 및 후방 장착편 부분(32)에서 돌출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면 플레이트(17)에는, 대체로 편편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에 해당하는 스위치 유지부(17a)와 이 스위치 유지부(17a)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7b)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탄성중합체와 같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착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부(41)가 스위치 유지부(17a)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1)는 T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실린더 형상을 형성하도록 스위치 유지부(17a)의 중앙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샤프트부(42)와 이 샤프트부(42)의 상단부로부터 스위치 유지부(17a)를 따라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슬릿(44)이 상기 걸림편 부분(4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스위치 유지부(17a)에 형성되고, 이것은 수직 방향으로 부착되고 분리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금속 금형에 의하여 몰딩되도록 구성된다. 그라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끄럼 메카니즘을 가지는 금속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이 언제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양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17c)가 배면 플레이트(17)의 연장부(17b)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고, 장착홀(17d)이 양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부(17c)에 형성된다.
한편 박막 스위치(16)는 자동차용 경적 스위치를 구성하는데, 이것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될수 있으며 즉 유연성이 있으며, 평탄한 타원 플레이트 형상 다시 말하면 (얇은) 필름 형상, 시트(sheet) 형상 또는 표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 몸체(16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몸체(16a)는 스위치 유지부(17a)와 유사하여 스위치 유지부(17a)상에 완전히 장착되고, 상호 겹치는 1쌍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몸체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수지로 만들어진 시트가 마련되며, 환형의 구리 포일(foil)과 같은 도전성 필름을 상기 시트의 마주보는 면에 부착함으로써 접촉점을 형성한다. 또한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압축성의 변형가능한 스페이서가 상기 도전성 필름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린팅 등에 의하여 도트 방식으로 배열된다. 힘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필름이 상호 분리되며, 스위치 몸체(16a)를 누른 상태에서는 도전성 필름이 상호 접촉되게 되므로 스위치(회로)가 닫혀진다. 또한 리드 와이어(16d)가 터미널부를(16c) 통하여 하나씩 상기 도전성 필름에 연결되고, 이것은 리드 와이어(16d)의 단부에 배치된 커넥터(16e)를 통하여 그리고 또한 케이블 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차체 측의 경적 회로에 연결된다.
또한 박막 스위치(16)의 스위치 몸체(16a)의 중앙부에 걸림 수용부(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림 수용부(46)의 상부면은 걸림면 부분(48)에 해당하고, 원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 수용홀 부분(49) 및 이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의 전방 및 후방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삽입홀 부분(50)이 상기 걸림부(41)의 샤프트부(42) 및 걸림편 부분(43)에 유사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가 원형의 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의 중심이 되는 복수개의 동심원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복수개의 동심 리브(17e)와 방사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심 리브(17e) 사이를 연결하는 방사 리브(17f)가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17a)에 실질적으로 걸림부(41)의 샤프트부(42)를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심 리브(17e)는 박막 스위치(16)의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위치, 다시 말하면 상기 도전성 필름이 상호 직접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방사 리브(17f)는 그 높이가 동심 리브(17e)의 높이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 장치의 조립 공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처음에 박막 스위치(16)가 배면 플레이트(17)에 장착되고, 이에 의하여 스위치 장치(18)가 구성된다. 이 시점에서, 걸림부(41) 샤프트부 및 걸림편 부분(43)이 걸림 수용부(46)의 샤프트 수용홀 부분(49) 및 삽입홀 부분(50)에 정열되어서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샤프트부(42)가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서 유지되어 있다. 그 다음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막 스위치(16)를 약 90도로 회전시켜서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걸림편 부분(43)이 걸림면 부분(48)상에 걸리도록 하여서, 박막 스위치(16)가 그 중앙부의 위치에서 배면 플레이트(17)에 접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용 필름(51)이 사용되는데, 이에 의하여 걸림 수용부(46)가 보강되고 걸림부(41)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용 필름(51)은 그 하부면에 부착 부분을 편편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샤프트 수용홀 부분(49) 및 삽입홀 부분(5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장공(51a)이 형성된다. 그래서 걸림부(41)를 걸림 수용부(46)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51a)을 걸림부(41)에 삽입하고 배면 플레이트(17)상에 부착하고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수용부(46)의 삽입홀 부분(50)은 폐쇄되고 걸림부(41)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걸림부(41) 및 걸림 수용부(46)는 코깅(caulking) 등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리드 와이어(16d)가 박막 스위치(16)로부터 외부로 도입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용 필름(51) 또는 코킹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 위치를 리드 와이어(16d)에 고정시킴으로써 박막 스위치(16)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걸림부(41)가 걸림 수용부(46)에 대하여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에어백(14)을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하기 위하여, 리테이너(15)가 에어백(14)에 그 개구부(14c)로부터 삽입되고, 장착 볼트(24)가 에어백(14)의 각 볼트 관통홀(14c)에 삽입된다. 그리고 에어백(14)의 개구부(14c)와 리테이너(15)의 베이스부(15a)의 내주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호 정열된다. 계속하여, 에어백(14)으로부터 돌출된 장착 볼트(24)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볼트 관통홀(11c) 안으로 그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팽창기 장착홀(11c)이 에어백(14)의 개구부에 정열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백(14)이 리테이너(15)와 베이스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유지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계속하여, 예를 들면 에어백(14)을 리테이너(15)의 컵부(15b)의 외주 부분 주위에 꽃입 모양으로 접음으로써, 에어백(14)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단 플레이트 부분(11a)의 외주 형상 내부에 수용되도록 접혀진다. 이 시점에서 에어백(14)은, 대체로 기초 직물의 단지 하나의 시트만이 컵부(15b)의 상단 플레이트부(15e)상에 위치되고 다른 부분들은 상기 컵부(15b)의 외주상에 접혀지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박막 스위치(16)를 배면 플레이트(17)에 장착시켜서 된 스위치 장치(18)가 커버 몸체(21)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배열되고, 또한 접혀진 에어백(14)을 장착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 벽부(11b)가 커버 몸체(21)의 장착편 부분(32)의 내측에 끼워짐으로써, 에어백(14)이 커버 몸체(21)에 의하여 감싸여진다.
그리고 커버 몸체(21)의 장착편 부분(21b)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출부를 배면 플레이트(17)의 걸림홀(17d)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 벽부(11b)의 걸림홀(11i)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위치를 잡고 임시로 고정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리벳(R)을 리벳 관통홀(32a)에 커버 몸체(21)의 장착편 부분(32)의 외부로부터 삽입하고, 코킹이 이루어지도록 배면 플레이트(17)의 중앙 걸림홀(17d)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 벽부(11b)의 리벳 관통홀(11h)을 통과시킴으로써, 커버 몸체(21)의 장착편 부분(32)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박막 스위치(16)의 스위치 몸체(16a)가 커버 몸체(21)의 경적 스위치 작동부와 리테이너(15)의 상단 플레이트부(15e)상의 에어백(14) 사이에 위치하고, 배면 플레이트(17)의 장착부(17c)가 고정되어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 벽부(11b)와 커버 몸체(31)의 장착벽 부분(32)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팽창기(12)의 팽창기 몸체(12a)가 컵부(15b)의 내부에 배열되도록 이 팽창기 몸체를 팽창기 장착홀(11c)을 통하여 에어백(14)의 개구부(14c) 안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면측으로부터 삽입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장착 볼트(24)를 플랜지부(12c)의 볼트 관통홀(12d) 안으로 삽입시키며, 너트(25)에 의하여 조임으로써, 에어백 장치(4)가 조립된다.
그리고 볼트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브라켓 장착부(11f)를 조향 핸들 몸체(2)의 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에어백 장치(4)가 조향 핸들 몸체(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박막 스위치(16)의 커넥터(16e)를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통하여 케이블 릴 장치 또는 미끄럼 링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박막 스위치(16)가 자동차 몸체 측에 배치된 경적 장치의 회로에 연결된다.
그 다음에 손가락 등에 의하여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의 경적 스위치 작동부를 누름으로써(가압함으로써), 상기 경적 스위치 작동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경적 스위치 작동부의 배면에 마련된 돌출부(38d)가, 그 두께의 크기만큼 압축하도록 변형되기 위하여, 배면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면을 가지는 박막 스위치(16)의 상단면을 누르고, 이것은 커버 몸체(21)의 방사상의 돌출부(38d)와 배면 플레이트(17)의 동심 리브(17e)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마주보는 도전성 필름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회로가 닫혀짐으로써, 경적이 작동된다.
또한 자동차가 충돌하면, 팽창기(12)의 점화 장치가 충돌 진단 유니트(미도시)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고, 채워진 추진체가 반응하며, 이에 의하여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기체가 팽창기(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스 주입구(12b) 및 리테이너(15)의 실린더 형상의 부분(15c)에 형성된 가스 삽입구(15f)를 통하여 에어백(14) 안으로 급격하게 방출됨으로써, 접혀진 에어백(14)이 급격하게 팽창된다. 그리고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가 에어백(14)의 팽창 압력 때문에 대체로 H와 같은 형상의 균열 라인(36)을 따라 찢어져서 개방됨으로써, 1쌍의 전방 및 후방 도어편 부분(37a,37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편 부분(37a,37b)은 길이 방향으로(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고, 박막 스위치(16)를 장착한 배면 프레이트(17)가 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에어백(14)의 돌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백(14)이 착석자의 전방측으로 팽창하여 전개되도록 상기 돌출구로부터 돌출되고, 이에 의하여 충돌에 기인한 충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의 경적 스위치 작동부를 누름으로서, 박막 스위치(16)가 상기 커버부(31)를 통하여 눌려지고 스위치 몸체(16a)의 적어도 일부가 압축 방식으로 변형됨으로서, 상기 마주보는 도전성 필름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회로가 닫혀지고 경적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박막 스위치(16)를 장착한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17a)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7b)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장치(18)가 지지되고, 에어백(14)이 에어백(14)의 돌출구을 형성하도록 팽창되고 전개되는 시점에서 이 스위치 장치(18)는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 유지부(17a) 및 연장부(17b)는 변형되는 동안에 배면 플레이트(17)가 커버 몸체(21)로부터 의존되지 않는 방식으로 전개됨으로써, 이에 의하여 커버 몸체(21)의 도어편 부분(37a,37b)의 개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박막 스위치(16)가 단지 하나의 점에서 배면 플레이트(17)에 고정되기 때문에, 배면 플레이트(17)는 박막 스위치(16)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스스로 변형될 수 있고 전개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부착점의 경우에서와 같이 인장력 또는 압축력과 같은 어떠한 힘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어편 부분(37a,37b), 커버 몸체(21) 및 스위치 장치(18)가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고, 에어백(14)이 급격하고 원활하게 팽창되고 부풀려질 수 있다.
더욱이 박막 스위치(16)가 배면 플레이트(17)에 하나의 점(하나의 부분)에서 고정될 수 있고, 회전되도록 걸림부(41)를 걸림 수용부(46) 안으로 삽입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상기 박막 스위치(16)가 쉽게 고정될 수 있으며, 제작 공정이 단수화될 수 있고, 조립 시간 및 제작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1)의 샤프트부(42)를 걸림 수용부(46)의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는 방식으로 유지함으로써 맞물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에 의하여 샤프트부(42)를 유지함으로써 삽입홀 부분(50)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어서, 박막 스위치(16)가 견고하게 위치를 잡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1)가 배면 플레이트(17)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많은 부품들이 증가하지는 않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배면 플레이트(17)에 그 중앙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박막 스위치(16)가 일점에서 고정된 경우에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배면 플레이트(17)의 걸림편 부분(43)이 양측 방향을 따라, 다시 말하면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17a)의 전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화살표 B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배면 플레이트(17)의 변형에 가해지는 영향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 장치가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걸림편 부분(43)이 샤프트부(4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T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지 일측으로 돌출되는 L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에 비교하여 볼 때, 배면 플레이트(17)의 전개되는 시점에서도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걸림 수용부(46)의 샤프트 수용홀 부분(49) 및 삽입홀 부분(50)이 압축 방향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하여 박막 스위치(16)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게다가 얇은 부분(38a)이 박막 스위치(16)를 마주보는 방식으로 커버 몸체(21)에 형성되고, 커버부(31)의 경적 작동부를 누른 시점에서 박막 스위치(16)의 하부면이 배면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스위치 몸체(16a)가 효율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작동 하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신뢰성이 개선되고 작동 감각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 시점에서, 배면 플레이트(17)의 경도를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의 경도와 동일하거나 더 단단하게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작동 감각이 더욱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컵부(15b)가 리테이너(15)에 배치되고, 커버부(31)의 경적 작동부를 누른 시점에서 배면 플레이트(17)의 하측이 기초 직물의 1개의 시트를 통하여 지지되어서, 적절한 반응이 생성될 수 있으며 작동 감각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구현예에서는, 스위치 장치(18)가 박막 스위치(16)와 배면 플레이트(17)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재들 위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쿠션 부재(55)를 적층함으로써 3층 구조가 구성되면, 작동 감각이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쿠션 부재(55)가 최상부 다시 말하면 박막 스위치(16)의 커버 몸체(21)에 가까운 측에 배열되는데, 이에 더하여 이것이 박막 스위치(16)와 배면 플레이트(17) 사이에 즉 최하부층에, 다시 말하면 배면 플레이트(17)의 에어백(140에 가까운 측에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구현예에서, 걸림편 부분(43)을 샤프트부(42)의 상단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한 실질적으로 T 형상으로 상기 걸림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수용부(46)에는 상기 샤프트부(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수용홀 부분(49)과 상기 걸림편 부분(43)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 부분(50)이 마련된다. 그러나 걸림부(41) 및 걸림 수용부(46)는 상호 맞물리도록 된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1) 및 걸림 수용부(46)가 길고 편편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 수용홀 부분(49) 및 삽입홀 부분(5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걸림홀 부분(50)이 형성되도록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을 원형 구멍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 부분(50)을 그 종단측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부(42)가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삽입홀 부분(50) 쪽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박막 스위치(16)가 용이하고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1) 및 걸림 수용부(46)가 선대칭 형상 또는 회전 대칭 형상과 같이 항상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1) 및 걸림 수용부(46)가 중앙 라인(D)에 대하여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을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박막 스위치(16)의 전방 및 후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e에 도시된 비대칭 구조는, 박막 스위치(16)의 전방과 후방에서 필름의 두께를 다르게 만든 구조나 박막 스위치(16)의 평탄한 형상이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또한 걸림편 부분(43)을 샤프트부(42)의 양측에 돌출시킴으로써 걸림부(41)가 실질적으로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편 부분(43)을 샤프트부(42)의 일측에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가 실질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 수용부(46)에 대하여는, 삽입홀 부분(50)이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T 형상을 가지며 걸림편 부분(43)을 샤프트부(42)의 양측에 돌출시킨 걸림부(41)가 삽입홀 부분(50)을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의 일측에만 형성시킨 걸림 수용부(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 부분(50)을 1개의 걸림편 부분(43)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스위치(16)를 변형되도록 유연성을 이용하여 끌어 당김으로써, 그리고 먼저 마주보는 걸림편 부분(43)을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에 삽입시킴으로써, 그리고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걸림편 부분(43)의 걸림편 부분(43)을 삽입홀 부분(50)에 삽입함으로써, 또한 도 8g 및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스위치(16)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박막 스위치(16)가 배면 플레이트(17)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에서, 샤프트 수용홀 부분(49)이 걸림편 부분(4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어서 용이하게 걸릴 수 있으며, 걸림부(41)가 걸림 수용부(46)로부터 빠져 나오기 어렵게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구현예에서, 배면 플레이트(17)의 걸림부(41)의 걸림편 부분(43)에서, 양측 방향, 다시 말하면 전개되는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정하는데,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 부분(43)이 길이 방향, 다시 말하면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17a)의 전개 방향(화살표 B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 플레이트(17)가 전개될 때에도, 걸림편 부분(43)을 상기 전개 방향을 따라 돌출시킴으로써 박막 스위치(16)가 용이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걸림편 부분(43) 등이 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쿠션 부재(55)가 박막 스위치(16) 위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긴 원형 관통홀(56)이 박막 스위치(16)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소정의 방향으로부터 약 90도 회전된 위치에서 걸림부(41)을 상기 각 구멍부(49,50) 및 관통홀(56)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약 90도로 회전시키고, 리드 라인(16d)을 연장부(17b)에 정열시킴으로써, 박막 스위치(16) 및 쿠션 부재(55)가 배면 플레이트(17)에 걸려지는데, 이에 의하여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것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각 구현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클립 고정)에 의하여 박막 스위치(16)의 리드 라인(16d)을 유지하는 유지부(58)가 배면 플레이트(17)의 연장부(17b)에 독자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리드 와이어(16d)는 소정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유지부(58)를 마련하여 리드 와이어(16d)를 유지함으로써 배면 플레이트(17)에 대한 박막 스위치(16)의 상대 회전과 같은 위치상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C 형상을 가지는 리브 부분(59)이 박막 스위치(16)의 외주 가장자리 부분에 접촉되어지도록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에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위치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각 구현예에서, 박막 스위치(16)가 배면 플레이트(17)에 걸림에 의하여 장착되나, 이 박막 스위치(16)는 리벳을 사용한 코킹, 열 용착, 본딩 등과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하여 배면 플레이트(17)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스위치(16), 배면 플레이트(17) 및 쿠션 부재(55)에 걸림부 및 걸림 수용부가 형성되지 않지만, 원형의 구멍들(61,62,63)이 각각 거기에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형상의 보스(65)가 상기 원형 구멍(62)을 둘러싸도록 배면 플레이트(17)의 상단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65)는 박막 스위치(16)의 원형 구멍(61)에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박막 스위치(16)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약 0.5 mm), 다시 말하면 박막 스위치(16)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66)가 상기 원형 구멍(62)을 둘러싸도록 배면 플레이트(17)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구멍들(61,62,63) 안으로 그 상부로부터 삽입된 리벳(68)을 코킹함으로써, 박막 스위치(16), 배면 플레이트(17) 및 쿠션 부재(55)가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리벳(68) 위의 머리부(68a)의 지름은 박막 스위치(16) 및 쿠션 부재(55)의 원형 구멍들(61,63)의 지름보다 크고, 그 하부측의 코킹된 다리부(68b)는 배면 플레이트(17)의 원형 구멍(62)의 지름보다 더 크게 되어서 상기 오목부(66) 안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박막 스위치(16), 배면 플레이트(17) 및 쿠션 부재(55)가 리벳(68)의 머리부(68a)와 다리부(68b) 사이에서 유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리벳(68)의 머리부(68a)와 커버 몸체(21)의 커버부(31) 사이의 이격 크기(h1)가 박막 스위치(16)의 상단면과 커버부(31)의 돌출부(38d) 사이의 이격 크기(h2)보다 더 크다. 다시 말하면, h1 h2의 관계식이 만족됨으로써, 박막 스위치(16)가 커버 몸체(31)를 누름으로써 원활하게 닫혀진다.
여기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쿠션 부재(55)가 박막 스위치(16)의 위에 마련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55)가 배면 플레이트(17)의 아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상기 쿠션 부재(55)가 박막 스위치(16)와 배면 플레이트(17)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쿠션 부재(55)를 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각 구현예에서는, 스위치 장치(18)의 박막 스위치(16)가 편편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원형 형상, 사각 형상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형상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박막 스위치(16)가 배면 플레이트(17)의 스위치 유지부(17a)의 상단면상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 박막 스위치(16)의 중앙부가 하나의 점에서 배면 플레이트(17)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스위치 장치(18)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각 구현예에서는, 조향용 핸들(1)에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4)가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스위치가 마련된 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시트 등에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설명상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화와 변형이 이루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훌륭한 작동 감각을 가지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에어백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팽창하고 부풀오르는 에어백과
    변형될 수 있고 찢어질 수 있는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커버부를 가지는 커버 몸체와
    상기 에어백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점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의 상기 에어백에 가까운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가지는 지지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를 상기 지지 몸체에 한점에서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접촉점 몸체와 지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에 배치되는 걸림부가 상기 부착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를 삽입함으로써 걸리게 되는 걸림 수용부가 상기 접촉점 몸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 수용부에는,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수용홀 부분과, 상기 샤프트 수용홀 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 부분과, 상기 걸림편 부분을 지지하는 걸림면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실질적으로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쿠션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팽창하고 부풀오르는 에어백과
    변형될 수 있고 찢어질 수 있는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커버부를 가지는 커버 몸체와
    상기 에어백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점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의 상기 에어백에 가까운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변형 가능한 연장부를 가지는 지지 몸체와,
    상기 접촉점 몸체를 상기 지지 몸체에 상기 접촉점 몸체의 중앙에 위치된 부분에서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접촉점 몸체와 지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에 배치되는 걸림부가 상기 부착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를 삽입함으로써 걸리게 되는 걸림 수용부가 상기 접촉점 몸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 수용부에는,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수용홀 부분과, 상기 샤프트 수용홀 부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편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 부분과, 상기 걸림편 부분을 지지하는 걸림면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실질적으로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스위치 몸체의 전개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쿠션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19980007973A 1997-03-11 1998-03-10 에어백장치 KR100287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55990 1997-03-11
JP9055990A JPH10250517A (ja) 1997-03-11 1997-03-11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94A true KR19980080094A (ko) 1998-11-25
KR100287270B1 KR100287270B1 (ko) 2001-04-16

Family

ID=1301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73A KR100287270B1 (ko) 1997-03-11 1998-03-10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04366A (ko)
JP (1) JPH10250517A (ko)
KR (1) KR100287270B1 (ko)
DE (1) DE19810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9646A (en) * 1997-02-13 2000-08-29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US6089600A (en) * 1998-09-24 2000-07-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l gas direction device for an air bag
DE29910711U1 (de) * 1999-06-18 1999-10-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KG, 63743 Aschaffenburg Baueinheit für ein Gassack-Modul und Gassack-Modul
JP2001146142A (ja) * 1999-11-19 2001-05-2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6616181B1 (en) * 2002-04-05 2003-09-09 Breed Automotive Tedhnology, Inc. Horn mechanism featuring immunity to cushion fold
KR100557773B1 (ko) * 2002-08-21 2006-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멤브레인 혼 스위치 구조
DE10361574A1 (de) * 2003-12-23 2005-07-21 Volkswagen Ag Befestigungsanordnung zum Halten eines Airbagmoduls
US7422236B2 (en) * 2005-03-21 2008-09-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US7497468B2 (en) * 2005-05-12 2009-03-03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ion deflection module
US7708309B2 (en) * 2005-10-20 2010-05-04 Delphi Korea Corporation Driver's airbag module assembly structure
JP4235224B2 (ja) * 2006-11-09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20080265550A1 (en) * 2007-04-25 2008-10-30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JP5926631B2 (ja) * 2012-06-27 2016-05-2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CN108725371B (zh) 2017-04-19 2021-07-13 福特环球技术公司 具有径向肋模式的乘客气囊滑槽通道
WO2020090167A1 (ja) * 2018-10-31 2020-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735A (en) * 1988-12-12 1990-06-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witch assembly for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419585A (en) * 1994-04-13 1995-05-30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Retrofit vehicular steering wheel assembly having an air bag assembly
JP3431349B2 (ja) * 1995-03-15 2003-07-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バッグカバーの保持構造
US5692770A (en) * 1995-09-15 1997-12-0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odular steering wheel and airbag combination
US5765860A (en) * 1996-02-16 1998-06-16 Autoliv Asp,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4366A (en) 1999-05-18
KR100287270B1 (ko) 2001-04-16
DE19810277A1 (de) 1998-09-17
JPH10250517A (ja) 199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822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79279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87270B1 (ko) 에어백장치
US6981719B2 (en) Airbag device
US8215667B2 (en) Kne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US6565113B2 (en) Air bag module
EP1908646B1 (en) Airbag and airbag system
JPH09267709A (ja) 膨張式抑止モジュール
JP2005521583A (ja) エアバッグドアのための動的かつ制御されたテザー配置構造
JP3467114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561538B2 (en) Annular air bag and driver side air bag module
JP3639045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60220357A1 (en) Pillar trim component
JP2010503582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949916B2 (ja)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エアバッグの収容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H0712560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62234B2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US5449195A (en) Constant diameter inflator retainer
JPH08207692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012938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JPH1027300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6089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27819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471758B1 (ko)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