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376B1 - 지중 저압 접속함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376B1
KR102621376B1 KR1020210081597A KR20210081597A KR102621376B1 KR 102621376 B1 KR102621376 B1 KR 102621376B1 KR 1020210081597 A KR1020210081597 A KR 1020210081597A KR 20210081597 A KR20210081597 A KR 20210081597A KR 102621376 B1 KR102621376 B1 KR 10262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fixing
cover par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580A (ko
Inventor
정필중
이승희
이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 E05Y2900/6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for electron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저압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고정되고, 본체부와 커버부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 및 커버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저압 접속함{LOW VOLTAG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지중 저압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저압 케이블을 접속하거나 분기하는 장소에 매설되는 지중 저압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상가, 빌딩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케이블은 지중 저압 접속함 내부에서 여러 개의 분기용 케이블들을 통하여 다수의 전력 수요처에 각각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지중 저압 접속함은 전기 케이블들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 공간이 구비된 접속함 본체가 도로나 인도 등의 지면 아래쪽에 매립 설치되고, 별도의 덮개에 의해 접속 공간이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지중 저압 접속함은 덮개의 모서리 4개소에서의 볼트 체결에 의해 덮개와 본체의 잠금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볼트 체결 부위에 이물질이 침투되어 덮개의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볼트가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함과 커버 사이에 수분의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용 고무패킹을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고무패킹은 커버와 분리된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변형 및 이탈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786호(2008.06.20 등록, 발명의 명칭: 저압접속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공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각 부재간 고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중 저압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은: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로부터 상기 커버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고, 외주면이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부; 상기 회전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상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단부가 초기 위치에서 일측으로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작업자에게 상기 제1고정부의 회전 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지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에 내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은 제1고정부의 회전 조작만으로 커버부를 본체부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은 패킹부가 커버부에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별도의 사전 작업 없이도 커버부가 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본체부와 커버부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은 제2고정부에 의해 커버부의 본체부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제1고정부가 회전되기에 앞서 가이드부를 제1삽입부에 대해 정위치에 위치시킴에 따라 제1고정부의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은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커버부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부품의 분실 우려가 낮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1)은 본체부(100), 커버부(200), 패킹부(300), 제1고정부(400), 지시부(500), 제2고정부(600),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1)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지중에 매설된다.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전기 공급을 위한 메인 케이블과 복수개의 분기용 케이블들이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구비된다. 메인 케이블은 수용부(110)에서 분기용 케이블들과 상호 접속되어 각각의 전력 수요처로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내부는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1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수용부(110)를 외부 공간과 연통시킨다. 본체부(10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수용부(110)를 구비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고정부(400)와 제2고정부(600)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120) 및 제2삽입부(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삽입부(120)와 제2삽입부(130)는 본체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며늘 향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삽입부(120)와 제2삽입부(130)는 본체부(100)의 서로 다른 내측면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부(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삽입부(120)와 제2삽입부(130)의 단면 형상 및 깊이는 후술하는 제1고정부(400) 및 제2고정부(60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체부(100)의 내측면 둘레에는 후술하는 커버부(200)를 지지하는 돌출부(1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40)는 제1삽입부(120) 및 제2삽입부(130)의 하방에 배치되고, 본체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용부(110)를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되는 단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40)는 커버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폐곡선의 형태로 연장된다.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10)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개구된 측으로 삽입된다. 커버부(200)는 하측면이 돌출부(140)의 상면에 안착됨에 따라 수용부(110)의 상측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지지된다. 커버부(200)의 높이는 커버부(200)가 돌출부(140)에 안착된 경우, 상측면이 본체부(10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본체부(100)의 상측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부(200)의 폭은 본체부(100)의 내측면 사이의 폭 즉, 수용부(110)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200)는 외측면이 본체부(10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유격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2고정부(600)가 제2삽입부(130)로 원활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커버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부(110)의 단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커버부(20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패킹부(300)를 고정하는 이탈방지홈(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홈(210)은 커버부(200)의 하측면으로부터 커버부(200)의 상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홈(210)은 커버부(2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홈(210)은 커버부(200)의 내부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커버부(200)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고정부(40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430)의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20)는 제1삽입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커버부(2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커버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220)는 일측 단부의 폭이 타측 단부의 폭보다 좁은 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220)의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부(41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가이드부(220)의 타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외부 공간 또는 제1삽입부(120)와 연통된다. 가이드부(220)의 양 내측면은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20)는 양 내측면에 의해 제1고정부재(430)가 소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패킹부(300)는 본체부(100)와 커버부(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본체부(100)와 커버부(200)의 사이를 밀폐하여 수용부(110)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패킹부(300)는 커버부(200)와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패킹부(300)는 외력, 변형 등에 의해 밀폐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300)는 별도의 사전 작업 없이도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본체부(100)와 커버부(200)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300)는 패킹부재(310), 이탈방지부(320)를 포함한다.
패킹부재(310)는 커버부(200)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3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패킹부재(310)의 상면은 커버부(100)의 하면에 밀착된다. 패킹부재(310)는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 하면이 돌출부(140)의 상면에 밀착된다. 패킹부재(310)는 고무, 실리콘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310)는 압축 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면이 커버부(200)의 하면과 돌출부(140)의 상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보다 강한 실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20)는 패킹부재(310)로부터 커버부(200)를 향해 연장된다. 이탈방지부(320)는 커버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패킹부재(310)가 커버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20)는 패킹부재(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20)는 패킹부재(3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20)는 커버부(200)의 하면에 형성된 이탈방지홈(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탈방지부(320)는 외측면이 이탈방지부(2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패킹부재(310)를 지지한다. 이탈방지부(320)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이탈방지홈(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고정부(400)는 커버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고정부(4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부(1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커버부(200)의 일측의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 상태를 조절한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400)는 회전부(410), 헤드부(420), 제1고정부재(430), 너트부(440)를 포함한다.
회전부(410)는 커버부(200)를 관통하고, 외주면이 커버부(20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회전부(410)는 커버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한다. 회전부(4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커버부(20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회전부(410)는 측면이 커버부(200)의 일측 단부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부(220)의 일측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회전부(410)의 하단부는 커버부(2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회전부(410)의 하단부는 너트부(440)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너트부(410)는 중공형의 너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부(41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410)는 커버부(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헤드부(420)는 회전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커버부(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즉, 헤드부(420)는 회전부(4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420)는 렌치 등의 작업 공구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각 볼트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20)는 하단부가 회전부(410)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헤드부(420)는 커버부(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단부가 커버부(200)의 상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헤드부(420)는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 보행자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430)는 회전부(4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고정부재(430)는 회전부(41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삽입부(120)로 삽입되거나 제1삽입부(120)로부터 이탈되며 커버부(200)의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 상태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430)는 회전부(41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430)는 일단부가 가이드부(220)로 삽입되어 회전부(41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된다. 제1고정부재(430)는 회전부(410)의 회전 시 일단부를 축으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고정부재(430)는 측면이 가이드부(220)의 양측면에 접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제1고정부재(430)의 타단부는 초기 위치에서 커버부(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고정부재(430)의 타단부는 초기 위치에서 일측으로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됨에 따라 커버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삽입부(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430)의 초기 위치는 가이드부(220)의 양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의 위치로 예시될 수 있다.
지시부(500)는 작업자에게 제1고정부(400)의 회전 방향을 지시하도록 커버부(20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즉, 지시부(500)는 작업자에게 제1고정부(400)의 회전방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시부(500)는 커버부(200)와 별도로 제작되어 커버부(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커버부(200)의 상면에 일체로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시부(5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고정부(400)의 회전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고정부(600)는 커버부(20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다. 제2고정부(600)는 커버부(200)의 타측을 본체부(100)에 대해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1고정부(400)가 회전되기에 앞서 가이드부(220)가 제1삽입부(120)에 대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600)는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경우, 제2삽입부(13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커버부(200)의 타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600)는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제2삽입부(130)로 끼움 결합된다. 제2고정부(600)의 폭, 높이는 제2삽입부(130)로의 삽입 및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삽입부(130)의 폭, 높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도록 커버부(20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700)는 커버부(200)의 설치 및 분리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로 하여금 커버부(200)의 운반 또는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700)는 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상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700)는 인상 고리 등으로 예시되는 작업 공구와 걸림 결합되어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커버부(200)에 전달한다. 연결부(700)는 제1고정부(400)가 위치한 커버부(200)의 단부(도 1 기준 우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부(7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커버부(200)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7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한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함 접속함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작업자는 작업 공구를 연결부(7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커버부(200)를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운반한다.
이후, 작업자는 제2고정부(600)를 제2삽입부(130)의 내부로 삽입하여 커버부(200)의 타측을 본체부(100)에 대해 고정시킨다.
작업자가 연결부(700)의 파지 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커버부(200)는 돌출부(140)에 의해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수용부(110)를 폐쇄한다.
커버부(200)의 하면에 고정된 패킹부재(310)는 양면이 각각 커버부(200)의 하면과, 돌출부(140)의 상면에 밀착되어 본체부(100)와 커버부(200)의 사이를 밀폐한다.
커버부(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220)는 제1삽입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2고정부(600)가 제2삽입부(1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가이드부(220)는 정위치에서 제1삽입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제1고정부(400)를 회전시켜 커버부(200)의 일측을 본체부(100)에 대해 고정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고정부(400)의 작동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렌치 등과 같은 작업 공구에 의해 헤드부(4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420)에 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의 회전력을 부가한다.
헤드부(420)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4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고정부재(430)는 회전부(410)의 회전에 의해 초기 위치 즉, 가이드부(220)의 양 내측면 중 상방(도 8 기준)에 위치한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고정부재(430)가 초기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부재(430)의 타측 단부는 커버부(200)의 일측 단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커버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430)의 타측 단부는 제1삽입부(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버부(200)의 일측을 본체부(100)에 대해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재(430)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부재(430)는 가이드부(220)의 양 내측면 중 하방(도 8 기준)에 위치한 내측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430)의 타측 단부는 제1삽입부(1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중 저압 접속함 100 : 본체부
110 : 수용부 120 : 제1삽입부
130 : 제2삽입부 140 : 돌출부
200 : 커버부 210 : 이탈방지홈
220 : 가이드부 300 : 패킹부
310 : 패킹부재 320 : 이탈방지부
400 : 제1고정부 410 : 회전부
420 : 헤드부 430 : 제1고정부재
440 : 너트부 500 : 지시부
600 : 제2고정부 700 : 연결부

Claims (8)

  1.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고, 외주면이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부; 및
    상기 회전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통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초기 위치에서 일측으로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됨에 따라 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로부터 상기 커버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상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상기 제1고정부의 회전 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
  8. 삭제
KR1020210081597A 2021-06-23 2021-06-23 지중 저압 접속함 KR10262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7A KR102621376B1 (ko) 2021-06-23 2021-06-23 지중 저압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7A KR102621376B1 (ko) 2021-06-23 2021-06-23 지중 저압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80A KR20220170580A (ko) 2022-12-30
KR102621376B1 true KR102621376B1 (ko) 2024-01-08

Family

ID=8453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97A KR102621376B1 (ko) 2021-06-23 2021-06-23 지중 저압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6193B (fi) * 2013-06-27 2016-08-15 Fibox Oy Ab Kotelo sähköasennuksia varten
KR20150057015A (ko) * 2013-11-18 2015-05-28 김경수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914340B1 (ko) * 2016-11-02 2018-11-01 서영곤 높이조절용 지중 저압접속함
KR20180104803A (ko) * 2017-03-14 2018-09-27 (주)경진이엠씨 방수용 전기플로어 시스템박스
KR102055743B1 (ko) * 2018-02-14 2019-12-13 (주)네오플램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80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6857B (zh) 一种电缆固定头
US7075008B2 (en) Universal wire guard
US7522112B2 (en) Roof antenna with protected access to a fastener through the cover
KR102621376B1 (ko) 지중 저압 접속함
US10770810B2 (en) Battery terminal cover
KR102313578B1 (ko) 맨홀 덮개 구조체
CA1058918A (en) Drilling holes in pressurized pipes
KR20050011308A (ko) 맨홀 잠금장치
US6332383B1 (en) Fastening torque control tool in fastening device
KR100320687B1 (ko) 이중뚜껑을갖는안전맨홀
KR102433231B1 (ko)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KR200269962Y1 (ko) 지중선로 표시기
GB2323979A (en) Electrical back boxes
KR19980020854U (ko)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KR102286782B1 (ko) 소음 및 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의 결합장치
KR102621373B1 (ko)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KR200362432Y1 (ko) 볼트너트 보호덮개
KR102059268B1 (ko) 패킹 결합 장치
KR200253754Y1 (ko) 앵커볼트 덮개
JP2000059969A (ja) 地中線用マンホールの防水管
KR200379623Y1 (ko)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JP3957867B2 (ja) マンホール受枠の固定装置
KR910002957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KR200402956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