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854U -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854U
KR19980020854U KR2019960034116U KR19960034116U KR19980020854U KR 19980020854 U KR19980020854 U KR 19980020854U KR 2019960034116 U KR2019960034116 U KR 2019960034116U KR 19960034116 U KR19960034116 U KR 19960034116U KR 19980020854 U KR19980020854 U KR 19980020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pper body
coupling
roa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588Y1 (ko
Inventor
오명환
오남식
Original Assignee
오명환
오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환, 오남식 filed Critical 오명환
Priority to KR201996003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5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의 제수변을 보호하기 위한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자동차들이 빈번하게 통행하는 도로상에 덮개가 안착되는 상부몸통을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매설이 되는데, 이때 통행하는 자동차가 주행상의 도로여건에 따라 잠시 정차하거나 서행하다가 급출발 또는 급제동하면서 자동차의 바퀴에 의해 도로면과 일치된 덮개가 약간씩 회전이 되며, 도로사정에 따라 주행하는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해 덮개가 열려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삽입홈(20)과 돌출환테(22)를 형성하고, 덮개(10)의 외주면과 하단면에 대칭되는 고정돌기부(12)와 L자형이 결합돌기(14) 및 결합부(16)를 형성시켜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안착된 덮개(10)는 회전되지 않고, 특히 도로상에 매설된 제수변 보호통(30)의 덮개(10)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16)에 의해 수직상 돌출환테(22)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어 종래와 같은 덮개(4)가 개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의 제수변을 보호하기 위한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수변 보호통의 상부몸체에 안착되는 덮개에 양측으로 고정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와 직각을 이루는 양측에 결합돌기와 결합부를 각각 형성시켜 안착된 덮개가 자연적으로 열리지 않고 회전하지 않도록 한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변의 상수도 배관을 지하에 매설할 때 일정구간(매설되는 지역에 따라 0.3㎞~1㎞ 간격으로 매설됨)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수도 배관의 교환이나 수리와 같은 공사를 하려할 때 매설된 상수도 배관을 임의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밸브이다.
상기 제수변은 상·하부로된 원통형의 보호통에 의해 쓰워져 있으며, 상기 보호통은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으로 이뤄지고, 상부몸통의 상단부에는 원판형의 덮개가 덮혀져서 지면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보호통 내부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1 은 종래 보호통의 덮개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제수변 보호통(1)은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몸통(2)의 상단부에 원편형 덮개(4)가 안착되어 지되, 상기 상부몸통(2) 상단부에는 내측면으로 대칭되는 삽입부(5)와 돌출환(6)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4)는 그 하단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된 L자형의 결합돌기(7)가 상기 삽입부(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제수변 보호통(1)은 도면상 미도시되었으나 제수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수변의 상부에 매설되어지고, 상기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은 결합되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몸통(2)의 상단부 내측면에 대칭되는 삽입부(5)와 돌출환(6)이 형성되어 있어, 원판형의 덮개(4)가 안착되어 돌출환(6)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삽입부(5)를 통해 삽입된 수직하방향의 L자형 결합돌기(7)는 덮개(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환(6)과 수직상 결합을 이루게 되어 제수변을 감싸고 있는 제수변 보호통(1)의 상단부는 밀폐가 되고, 필요에 따라 덮개(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수변 보호통(1)의 상부몸통(2)을 개폐시키는 덮개(4)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자동차들이 빈번하게 통행하는 도로상에 덮개(4)가 안착되는 상부몸통(2)을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매설이 되는데, 이때 통행하는 자동차가 주행상의 도로여건에 따라 잠시 정차하거나 서행시 급출발 또는 급제동하면서 자동차의 바퀴(9)에 의해 도로면과 일치된 덮개(4)가 약간씩 회전이 되며, 도로사정에 따라 주행하는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해 덮개(4)가 개방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제수변 보호통의 상부몸체에 안착되는 덮개에 양측으로 고정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와 직각을 이루는 양측에 결합돌기와 결합부를 각각 형성시켜 안착된 덮개가 자연적으로 열리지 않고 회전하지 않도록 한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수변 보호통의 상부몸통 상단부 내주면에 원판형의 덮개가 결합되도록 된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의 외주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와 직각을 이루는 하단면에 L자형의 결합돌기와 결합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몸통 상단부에 대칭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돌출환테를 형성시켜 이루어진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이다.
따라서, 상부몸통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환테와 상단부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홈에 덮개의 결합돌기와 고정돌기부를 안착시켜 상부몸통의 상단부에 덮개를 안착시키고 결합돌기와 대칭되는 위치에 부착된 결합부에 의해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제수변 보호통이 어디에 매설이 되더라도 상부몸통의 상단부에 결합된 덮개가 자연적으로 열리지 않고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가 지면에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에 부착되는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에 부착된 요부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의 안착상태 종단면도로서, (가)는 보호통의 상부에 덮개가 안착되는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나)는 덮개에 부착된 요부의 작동상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덮개12 : 고정돌기부
14 : 결합돌기16 : 결합부
18 : 상부몸통20 : 삽입홈
22 : 돌출환테24 : 결합봉
26 : 회동편28 : 가이드홈
30 : 제수변 보호통32 : 손잡이
34 : 가이드돌부36 : 결합핀
38 : 결합홀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수변 보호통(30)의 상부몸통(18) 상단부 내주면에 원판형의 덮개(10)가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외주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12)와 직각을 이루는 하단면 양측에 L자형의 결합돌기(14)와 결합부(16)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부(12)가 안착되는 상부몸통(18) 상단부에는 삽입홈(20)을 형성하고 내주면에 돌출환테(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이다.
상기 결합부(16)는 결합봉(24)과 회동편(2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봉(24)은 하측부에 길이방향의 가이드홈(28)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손잡이(32)가 결합되며, 회동편(26)은 내측면에 가이드돌부(34)를 갖춘 결합홀(38)을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홈(28)이 형성된 결합봉(24)의 하측부를 삽입시켜 하단부에 결합핀(36)을 고정시켜 손잡이(32)와 동일하게 회동편(26)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40은 덮개(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요홈, 42는 상부몸통(18)과 결합되는 하부몸통, 44는 상부몸통(18)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 46은 하부몸통(42)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수변 보호통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사시도로서, 제수변 보호통(30)은 상부몸통(18)과 하부몸통(4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몸통(18)의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환테(2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대칭되는 삽입홈(20)이 형성되어 원판형의 덮개(10)가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안착되어진다.
상기 덮개(10)는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2)와 직각을 이루는 하단면 일측에는 L자형의 결합돌기(14)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부(16)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결합부(16)는 하측부에 길이방향의 가이드홈(28)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손잡이(32)가 결합된 결합봉(24)과 내측면에 가이드돌부(34)가 형성된 결합홀(38)로 이루어진 회동편(26)을 결합봉(24) 하측부의 가이드홈(28)에 가이드돌부(34)를 삽입시켜 결합이 되고, 결합봉(24)의 하단부에 결합핀(36)을 고정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덮개(10)의 결합부(16)는 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덮개(10)의 일측에 형성된 요홈(40)내에 손잡이(32)가 형성된 결합봉(24)의 상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결합봉(24)의 하단부에는 결합핀(36)이 삽착되어 회동편(26)이 일체로 결합이 되며, 손잡이(32)가 회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회동편(26)이 작동되어 회동편(26)의 일단부가 돌출환테(22)에 걸려 수직상 결합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6의 (가)와 (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덮개(1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2)를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0)과 수직상 일치를 시킨 상태에서, 덮개(10)의 하단면 일측의 L자형 결합돌기(14)를 상부몸통(18)의 내주면 돌출환테(22)와 결합이 되도록 덮개(10)를 기울여 삽입시키면 삽입홈(20)에 고정돌기부(12)가 삽입된 상태로 덮개(10)는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내주면의 돌출환테(22)에 의해 지지 안착이 된다.
이때 덮개(10) 하단면의 결합돌기(14)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16)의 손잡이(32)를 90°회동시키면 결합봉(24)의 하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26)이 회동되어 상부몸통(18)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환테(22)의 하측으로 회동되어 덮개(10)는 상부몸통(18)과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게 된다.
즉, 덮개(10)를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안착시키고 덮개(10)의 일측 요홈(40)에 형성된 손잡이(32)를 잡고 90°회동시키면 결합봉(24)이 회동되고 일체로 결합된 회동편(26)이 상기 손잡이(32)와 동일하게 90°회전하여 상부몸통(18)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환테(22) 측으로 작동되어 수직상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10)는 양측의 고정돌기부(12)가 상부몸통(18)의 삽입홈(20)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이 되고, 덮개(10)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L자형의 결합돌기(14)와 결합부(16)가 상부몸통(18)의 돌출환테(22)와 결합되어 덮개(10)는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게 되며, 상기 덮개(10)를 상부몸통(18)으로부터 분리시키려 할 경우에는 덮개(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요홈(40)내의 손잡이(32)를 인위적인 힘을 가해 회동시켜 돌출환테(22)와 결합된 회동편(26)을 분리한 후 손잡이(32)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삽입홈(20)과 돌출환테(22)를 형성하고, 덮개(10)의 외주면과 하단면에 대칭되는 고정돌기부(12)와 L자형이 결합돌기(14) 및 결합부(16)를 형성시켜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상부몸통(18)의 상단부에 안착된 덮개(10)는 회전되지 않고, 특히 도로상에 매설된 제수변 보호통(30)의 덮개(10)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16)에 의해 수직상 돌출환테(22)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어 종래와 같은 덮개(4)가 열려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수변 보호통(30)의 상부몸통(18) 상단부 내주면에 원판형의 덮개(10)가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외주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부(12)와 직각을 이루는 하단면에 L자형의 결합돌기(14)와 결합부(16)가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부(12)가 안착되는 상부몸통(18) 상단부에는 삽입홈(20)을 형성하고 내주면에 돌출환테(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2. 결합부(16)는 결합봉(24)과 회동편(2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봉(24)은 하측부에 길이방향의 가이드홈(28)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손잡이(32)가 결합되며, 회동편(26)은 내측면에 가이드돌부(34)를 갖춘 결합홀(38)을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홈(28)이 형성된 결합봉(24)의 하측부를 삽입시켜 하단부에 결합핀(36)을 고정시켜 손잡이(32)와 동일하게 회동편(26)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KR2019960034116U 1996-10-17 1996-10-17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KR200143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116U KR200143588Y1 (ko) 1996-10-17 1996-10-17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116U KR200143588Y1 (ko) 1996-10-17 1996-10-17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54U true KR19980020854U (ko) 1998-07-15
KR200143588Y1 KR200143588Y1 (ko) 1999-06-15

Family

ID=1946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116U KR200143588Y1 (ko) 1996-10-17 1996-10-17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8B1 (ko) * 2012-07-17 2013-01-21 서우실업 주식회사 제수밸브 보호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8B1 (ko) * 2012-07-17 2013-01-21 서우실업 주식회사 제수밸브 보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588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305B2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CO4750700A1 (es) Cierre recolocable para frasco
CA2121558C (en) Valve with safety lock-out
US4095713A (en) Tamper resistant cap for quick-disconnect coupling plug
US4334578A (en) Well casing closure
KR102313578B1 (ko) 맨홀 덮개 구조체
US5533641A (en) Locking cover assembly
KR200143588Y1 (ko)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CA1226264A (en) Gladhand with dirt protection plug
KR20010067026A (ko) 뚜껑 이탈방지용 체결구가 형성된 맨홀
FR2369176A2 (fr) Bouchon de reservoir de vehicule
JP2501091Y2 (ja) ガスコックにおける安全装置
JPS59183177A (ja) しや断コツク
KR920001147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KR200221892Y1 (ko) 맨홀
KR910002957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KR102621376B1 (ko) 지중 저압 접속함
JP3041148B2 (ja) 密閉型マンホール蓋
KR920001146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KR200485170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커버
JPH07229160A (ja) 点検窓付きマンホール蓋
KR200205762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010067025A (ko) 뚜껑 이탈방지용 체결구가 형성된 철개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JP2523352Y2 (ja) 盗水防止用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