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957Y1 -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957Y1
KR910002957Y1 KR2019890009043U KR890009043U KR910002957Y1 KR 910002957 Y1 KR910002957 Y1 KR 910002957Y1 KR 2019890009043 U KR2019890009043 U KR 2019890009043U KR 890009043 U KR890009043 U KR 890009043U KR 910002957 Y1 KR910002957 Y1 KR 910002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opening
closing
protective cap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980U (ko
Inventor
양재진
Original Assignee
보원기계공업 주식회사
최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원기계공업 주식회사, 최무웅 filed Critical 보원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9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957Y1/ko
Publication of KR910000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8Guiding yokes for spindles; Means for closing housings; Dust caps, e.g. for ty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요소인 보호캡과 연결커버의 외형을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요소인 연결커버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관 3 : 개폐로드
4 : 개폐변 6 : 작동로드
8 : 연결커버 10 : 플랜지
10' : 작동로드 삽입공 10" : 부싱삽입공
11 : 링삽입홈 12, 12' : 끼움홈
13, 13' : 경사단 14, 14' : 수평단부
15, 15' : 걸림턱 16 : 보호캡
18, 18' : 끼움돌기 19 : 접촉면
20 : 기밀유지용 링
본 고안은 개폐변의 보호캡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매설된 가스관에 관접 설치되는 개폐변에 있어서, 개폐변에 연결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상태로서 지상가까이 위치되는 상태의 연결커버 상단부에 보호캡을 조립결합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로드 상단의 상단돌기부위가 외부 영향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에 매설하고 있는 가스관(1)의 라인상에는 상단에 플랜지부(2)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부에 개폐로드(3)가 장착되어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된 개폐변(4)을 관접 설치하고, 개폐변(4)의 개폐로드(3)상단에는 상단부가 지상 가까이 매설되는 맨홀(5)에 위치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작동로드(6)를 연결설치 함으로서 지상에서 적정수공구(7)를 이용하여 작동로드(6)의 상단돌기(6')를 회동시키면서 개폐변(4)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폐변(4)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에는 하단에 플랜지(8')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가 맨홀(5)에 위치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관상의 연결커버(8)를 연결 설치하여 개폐로드(3) 및 작동로드(6)를 감싸주도록 함으로써 개폐로드(3) 및 작동로드(6)가 외부 영향으로 인해 부식되는 일이 없도록하고 있는 바, 이와같은 개폐변(4)의 설치는 가스관(1)의 연결공사 또는 일부 구간에 매설된 가스관(1)의 보수 및 교체 공사시에 가스관(1)으로의 가스 유통을 일시적으로 차단해주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하단이 개폐변(4)의 개폐로드(3)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단부는 맨홀(5)의 공간부에 위치되는 상태의 작동로드(6)가 맨홀(5)상에 노출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되게 되면서 지상에서 투입되는 오물이나 누수 및 습기 등으로 인해 작동로드(6)의 상단돌기(6')가 부식되게 되거나, 개폐변(4)의 플랜지부(2)에 연결 설치된 관상의 연결커버(8)와 작동로드(6) 사이로 습기나 물이 스며들게 되면서 작동로드(6)가 연결 설치되는 개폐변(4)의 개폐로드(3) 또한 부식되게 됨으로서 개폐변의 개폐조절 기능을 상실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가스가 누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개폐변(4)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폐단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동로드 및 개페로드를 감싸는 상태로 개폐변의 플랜지부에 연결 설치되는 관상의 연결커버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커버 상단에 일련의 결합 수단을 갖는 플랜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한 연결커버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결합수단과 일치되면서 자유롭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수단을 갖는 적정 형상의 밀폐용 보호캡을 별도 형성하여 연결커버 상단의 플랜지에 결합시켜 줌으로써 맨홀에 위치되는 연결커버의 플랜지 상부측 및 연결커버의 내측부에 완전한 밀폐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작동로드 및 개폐로드의 부식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에 플랜지부(2)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개폐로드(3)가 장착되며 개폐로드(3)에는 상단돌기(6')가 맨홀(5)에 위치되는 상태의 작동로드(6)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개폐변(4)을 형성함에 있어서, 개폐변(4)의 플랜지부(2)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로드(3) 및 작동로드(6)를 감싸주는 연결커버(8)는 상단부에 플랜지(10)를 연장 형성하여 이루되 플랜지(10)의 중앙부에는 작동로드 삽입공(10') 및 부싱삽입공(10")을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하고, 상단면에는 링 삽입홈(11)을 요설하며, 외주연상에는 적정 넓이의 끼움홈(12, 12')을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서 각각 형성하고, 외주연 하단면은 각각의 끼움홈(12, 12')일측면을 기점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삭 가공하여 상호 대향되는 상태의 경사단(13, 13')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단(13, 13')를 형성하며, 수평단부(14, 14')의 끝단에는 걸림턱(15, 15')을 형성하여 연결커버(8)의 상부측 플렌지(10)를 이루고, 3단형태의 외형을 갖는 보호캡(16)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한 연결커버(8)의 플랜지(10)에 조립결합 하도록하되, 보호캡(16)의 최하단 내경은 연결커버(8)의 플랜지(10)가 갖는 직경과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내경 최하단부에는 플랜지(10)의 끼움홈(12, 12')에 일치하는 끼움돌기(18, 18')를 각각 형성하며 끼움돌기(18, 18')의 상단면과 1단 내경부에 형성되는 접촉면(19)사이의 간격은 플랜지(10)상단면과 수평단부(14, 14')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크게 형성하여 보호캡(16)을 이룸으로써 연결커버(8)의 플랜지((10)에 조립 결합하도록 하는 한편, 플랜지(10)의 링삽입홈(11)상에는 기밀 유지용 링(20)을 삽설한 상태에서 보호캡(16)을 조립결합 함으로써 연결커버(8)의 내측부 및 플랜지(10)상측부에 완전한 밀폐 상태가 유지되도록하여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21은 보호캡(16)을 적정 수공구로써 회전시킬 수 있도록한 돌출단을 나타낸 것이고 22는 부싱 23은 연결커버(8)의 부식방지를 위한 F. R. P코팅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개폐변(4)의 플랜지부(2)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커버(8)의 상부측 플랜지(10)가 맨홀(5)에 위치됨과 동시에 개폐변(4)의 개폐로드(3)에 연결 설치된 작동로드(6)의 상단돌기(6') 부위가 플랜지(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상태로서 지하에 매설되는 가스관(1)에 관접설치 되게 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로 형성한 보호캡(16)의 최하단 내경에 돌설된 끼움돌기(18, 18')를 플랜지(10)의 끼움홈(12, 12')에 일치시키면서 끼워넣고 상단의 돌출단(21)에 적정 수공구를 끼워 넣어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끼움돌기(18, 18')가 플랜지(10) 하단면의 경사단(13, 13')을 따라 안내되면서 수평단부(14, 14')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는 플랜지(10)의 상단면상에 요설된 링삽입홈(11)에는 기밀유지용링(20)이 삽설되어 있어 보호캡(16)의 최하단 내경부에 형성되는 접촉단(19)이 기밀유지용 링(20)을 압압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보호캡(16)이 플랜지(10)하단의 수평단부(14, 14')를 거치면서 걸림턱(15, 15')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계속 회전시켜 줌으로서 보호캡(16)을 연결커버(8)의 플랜지(10)상에 간단히 조립 결합하게 되며 이때의 결합 상태는 일정거리를 갖는 수평단부(15, 15')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조립 결합 되면서 불의하게 느슨해지거나 분리되게 되는 일이없이 원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게되어 연결커버(8)의 내측부 및 플랜지(10)의 상측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주게 되는 바, 작동로드(6) 및 개폐로드(3)는 맨홀(5)의 공간부로 투입되는 오물이나 누수 또는 주위에 조성되는 습기 등에 전혀 영향을 받지않게 됨으로서 부식되는 일이없이 원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게 되고, 각종 공사의 시공으로 개폐변(4)을 조절하고자 하면 맨홀(5)뚜껑(5')을 연후 적정수공구로서 결합시와는 역방향으로 보호캡(16)을 회전시켜 플랜지(10)상에서 간단히 분리시키고 개폐변(4)의 개폐로드(3)에 연결 설치된 작동로드(6)의 상단돌기(6')를 수공구(7)로서 회전시켜 가스관(1)으로의 가스유통 여부를 조절하게 되며, 공사가 종료된 후에는 분리했던 보호캡(16)을 전술한 바와같이 플랜지(10) 상에 간단히 조립결합시켜 연결커버(8)의 내측부 및 플랜지(10) 상측부를 완벽하게 밀폐시켜 줌으로써 작동로드(6) 및 개폐로드(3)를 외부 영향으로 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원리를 적용하여 플랜지(10) 상에 보호캡(16)을 결합시켜 줌으로서 개폐변(4)을 이루는 개폐로드(3) 및 작동로드(6)가 외부 영향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도록 하여 개폐변(4)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킴은 물론 가스 누출에 의한 안전 사고등의 위험을 배제하게 되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 플랜지부(2)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개폐로드(3)가 장착되며 개폐로드(3)에는 상단돌기(6')가 맨홀(5)에 위치되는 상태의 작동로드(6)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개폐변(4)을 형성함에 있어서, 개폐변(4)의 플랜지부(2)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로드(3) 및 작동로드(6)를 감싸주는 연결커버(8)는 상단부에 플랜지(10)를 연장 형성하여 이루되 플랜지(10)의 중앙부에는 작동로드 삽입공(10') 및 부싱삽입공(10")을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하고, 상단면에는 링삽입홈(11)을 요설하며, 외주연 상에는 적정 넓이의 끼움홈(12, 12')을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서 각각 형성하고, 외주연 하단면은 각각의 끼움홈(12, 12') 일측면을 기점으로 하향경사 지면서 상호 대향되는 상태의 경사단(13, 13')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단(13, 13')이 끝나는 지점부터 적정길이의 수평단부(14, 14')를 형성하며, 수평 단부(14, 14')의 끝단에는 걸림턱(15, 15')을 형성하여 연결커버(8)의 상부측플랜지(10)를 이루고, 3단 형태의 외형을 갖는 보호캡(15)을 별도 형성하여 상기 연결커버(8)의 플랜지(10)에 조립 결합하되, 보호캡(16)의 내경 최하단부에 끼움 돌기(18, 18')를 각각 형성하여 보호캡(16)을 이룸으로써 연결커버(8)의 플랜지(10)에 조립 결합하도록 하는 한편, 플랜지(10)의 링삽입홈(11)상에는 기밀 유지용 링(20)을 삽설한 상태에서 보호캡(16)을 조립 결합함으로써 연결커버(8)의 내측부 및 플랜지(10)상측부에 완전한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KR2019890009043U 1989-06-28 1989-06-28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KR910002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043U KR910002957Y1 (ko) 1989-06-28 1989-06-28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043U KR910002957Y1 (ko) 1989-06-28 1989-06-28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80U KR910000980U (ko) 1991-01-23
KR910002957Y1 true KR910002957Y1 (ko) 1991-05-03

Family

ID=1928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043U KR910002957Y1 (ko) 1989-06-28 1989-06-28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9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80U (ko)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528B1 (en) Fluid pressure device pipe joint
US5590679A (en) Wall water hydrant having backflow and back siphonage preventor
KR910002957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결합장치
JP3604086B2 (ja) 弁構造
KR920001146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KR920001147Y1 (ko) 개폐변 밀폐용 보호캡
KR19980060439U (ko)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KR101733482B1 (ko) 결로 방지용 맨홀
FR2590198A1 (fr) Dispositif obturateur pour boite a gants
KR101803076B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부단수밸브
KR200485170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커버
KR200143588Y1 (ko) 제수변 보호통의 덮개 개폐장치
KR100591921B1 (ko) 제수밸브의 2단 조절용 밸브디스크 조작장치
KR200385736Y1 (ko) 지수전 보호관
US4206777A (en) Vacuum breaker valve and stem packing assembly
KR200369132Y1 (ko) 압력게이지 보호용 개폐밸브
KR200165918Y1 (ko) 밸브핸들 보호캡
KR200205818Y1 (ko) 가스배관용 폴리에틸렌 밸브의 개폐 구동장치
KR100508117B1 (ko) 글로우브 밸브
KR200245085Y1 (ko) 가스배관용 폴리 밸브장치
JPH0328217Y2 (ko)
KR20230003877A (ko) 내구성이 향상된 부동급수전
JP2002005326A (ja) 弁装置
KR19990037508U (ko) 가스배관용 퍼지밸브의 가스유출 방지구조
KR200219470Y1 (ko) 상수도용 계량기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