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23Y1 -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23Y1
KR200379623Y1 KR20-2004-0036337U KR20040036337U KR200379623Y1 KR 200379623 Y1 KR200379623 Y1 KR 200379623Y1 KR 20040036337 U KR20040036337 U KR 20040036337U KR 200379623 Y1 KR200379623 Y1 KR 200379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ut
main body
power box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전기
Priority to KR20-2004-0036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CB is inserted longitudinal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05K5/0095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hermetically-sea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내측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형성하고, 본체 측벽에는 컨테이너에 전기접속되는 소켓뭉치가 마련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너트를 별도로 고정하지 않고도 본체와 커버 간의 결합이 가능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커버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커버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서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를 밀봉하는 커버패킹과, 상기 너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버패킹과 함께 상기 너트를 고정하는 너트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TRANSFER POWER BOX WITH IMPROVED PACKING STRUCTURE FOR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 특히 냉동컨테이너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박스에서 방수를 위한 밀봉 요구 부분, 즉, 본체와 커버 사이 또는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 구조를 개선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특히, 냉동컨테이너는 야채, 생선, 육류, 또는 이들의 가공제품과 같은 물건을 저온 보관하는데 이용되며, 특히, 트레일러, 선박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은 수송수단에 탑재되어 자체 내에 저장된 물건을 수송지까지 신선한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통상의 컨테이너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수송수단에는 전원박스가 마련되며, 이 전원박스는 내부의 설치공간에 전기 차단기 및 터미널 블록 등을 구비하며, 본체 측벽에는 소켓뭉치를 구비하여, 그 소켓뭉치에 컨테이너의 플러그가 전기 접속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를 저온분위기로 조성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한 전원박스 및 그 전원박스에 설치된 소켓뭉치 구성에 대한 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냉동컨테이너용 전기소켓"이라는 명칭으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188469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소켓뭉치는 볼트에 의해 본체 측벽에 결합되며,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을 위해서, 편평한 구조의 소켓패킹이 이용된다. 이 소켓패킹은 볼트에 의해 본체와 소켓뭉치 사이에 고정되는데, 이 경우, 볼트 주위에 미세한 틈이 생겨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전원박스에 물이 침투하여 스파크 등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원박스는 커버를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본체 내측에 터미널 블록 및 전기 차단기 등이 설치되는 내부 설치공간이 구획형성되는데, 커버와 본체의 결합은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에 커버를 관통한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너트가 마모 또는 부식 등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이를 교체하기 어렵고, 너트의 손상으로 인해 커버 패킹에 의한 본체와 커버 사이의 밀봉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에 대해, 너트를 임의의 공구로써 본체의 개방단부에 고정하고 커버를 관통한 볼트를 다른 공구를 이용해 너트에 체결하여 전원박스의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기술이 종래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본체와 커버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편하고 복잡하였으며,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본체와 커버가 부정확하게 결합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에서 밀봉이 요구되는 부분, 즉, 본체와 커버 사이 및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 구조를 개선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본체와 커버를 서로 결합하되, 커버패킹과 함께 너트를 고정하는 너트케이스를 구비하여, 너트를 별도로 고정하지 않고도 본체와 커버 간의 결합과 이에 따른 전원박스 내부의 밀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켓뭉치와 본체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그 두 부분의 결합을 위한 소켓홀더 고정볼트 주위의 틈을 확실하게 막아,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성이 크게 향상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본체와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내측에 전기 차단기 및 터미널 블록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측벽에는 소켓뭉치가 마련되어지되,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커버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서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를 밀봉하는 커버패킹과, 상기 너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너트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케이스가 커버패킹과 함께 너트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너트 손상시에 너트의 교체가 가능하고, 또한, 블트와 너트와의 체결시, 너트를 별도로 고정해 줄 필요가 없게 해준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패킹은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어지고,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 형성된 돌출턱은 상기 커버패킹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커버패킹을 바람직하게 고정시켜 준다. 게다가, 상기 커버패킹은 외측면을 따라 상기 너트케이스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상기 커버패킹은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너트케이스는, 본체의 개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너트를 덮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볼트와 너트의 나사체결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선단이 상기 커버패킹의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커버패킹을 고정해준다. 또한, 상기 너트케이스는 커버패킹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너트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고, 그 나머지 면들이 막혀 있어, 상기 너트의 위치변화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본체와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내측에 전기 차단기 및 터미널 블록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측벽에는 소켓뭉치가 마련되어지되, 소켓뭉치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소켓홀더 고정볼트와, 상기 소켓뭉치에 구비되며 소켓홀더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소켓홀더와, 상기 소켓홀더와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소켓홀더 고정볼트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수축되는 삽입돌부를 일체로 갖는 소켓패킹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돌부의 수축에 의해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켓홀더의 관통구멍은 삽입돌부가 끼워지는 후단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도시된 전원박스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II-II를 따라 도시된 전원박스의 분해단면도 및 조립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박스(1)는 상단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의 본체(2)를 구비하며, 본체(2)의 개방단부(29) 위로 커버패킹(4)과 커버(3)가 연속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전원박스(1)는 본체(2)와 커버(3)가 볼트(52)와 너트(54)로 구성된 커버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2) 내측에 내부 설치공간(26)을 구획형성하며, 상기 내부 설치공간(26)에는 터미널 블록 및 전기차단기(미도시됨) 등과 같은 전기장치들이 내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원박스 내부의 구성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어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되었으며, 도시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 블록 및 전기차단기와 같은 전기장치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 때, 상기한 전원박스(1)는 본체(2) 측벽에 설치되는 소켓뭉치(6)에 컨테이너의 플러그(미도시됨)가 접속됨으로써 컨테이너의 냉동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컨테이너에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커버패킹(4)은 4각의 액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2)의 개방단부 (29)위로 안착되며, 탄력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버(3)와 본체(2) 간의 결합시, 커버(3)에 의해 눌려져서 전기장치 등이 내장된 본체의 내부 설치공간(26)을 밀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버패킹(4)은 외측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너트케이스(20)에 대응되어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42)을 갖는데. 이 삽입홈(42)은 후술되는 너트케이스(20)의 일 부분에 삽입되어진다.
한편, 본체(2)의 개방단부(29)에는 커버패킹(4)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돌출턱(21)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돌출턱(21)은 커버패킹(4)의 내측면에 접해 본체(2)의 개방단부(29)에 안착된 커버패킹(4)의 위치 변화를 막아준다.
그리고, 본체(2)의 개방단부(29) 상에는 너트(54)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너트케이스(20)가 고정 설치된다. 이 너트케이스(20)는 본체(2)의 개방단부(29)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부(22)와, 측벽부(22)의 상단부를 덮는 덮개부(24)를 일체로 구비하며, 전술한 너트(54)는 측벽부(22)와 덮개부(24)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분리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때, 덮개부(24)는 너트(54) 위쪽을 덮도록 배치되어지되 너트 구멍에 상응하는 구멍(25)을 구비하여 그 구멍(25)을 통해 볼트(52)와 너트(54) 간의 나사체결을 가능케 해준다. 추가로, 덮개부(24)의 선단은 전술한 커버패킹(4)의 테두리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삽입홈(42)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패킹(4)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켜 주도록 선단이 측벽부(22)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볼트(52)와 너트(54) 간의 나사 체결시에 커버패킹(4)의 변형과 너트(54)의 위치변화를 막아 커버(3)가 본체(2)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며, 커버패킹(4)이 밀봉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기여한다.
한편, 전술한 너트케이스(20)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패킹(4)과 마주하는 일 면이 개방되어 너트(54)의 삽입을 허용하는 한편, 나머지 3면이 전술한 측벽부(22)에 의해 모두 막혀 있는 구조를 이루어 너트케이스(20)에 삽입된 너트(54)의 위치변화를 막아준다.
상기한 본체(2)와 커버(3) 간의 결합 및 이에 따른 전원박스(1)의 개폐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에 커버(3)를 결합하기 위해서, 너트(54)가 너트케이스(20)에 수용되고, 커버패킹(4)이 본체(2)의 개방단부(29) 위에 안착되며, 이에 의해, 너트케이스(20)에 수용된 너트(54)는 너트케이스(20)와 커버패킹(4)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그 후, 커버(3)가 커버패킹(4) 위로 안착되고, 볼트(52)는 커버(3) 및 너트케이스(20)에 형성된 구멍(32, 25)들을 통해 연장하여 너트(54)에 체결된다. 커버패킹(4)은 볼트(52)와 너트(54)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커버(3)와 본체(2) 사이에서 눌려진다. 이 때, 너트(54)가 너트케이스(20)와 커버패킹(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트(52)와 너트(54) 간의 나사체결시 너트(54)를 별도로 고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커버(3)를 본체(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볼트(52)와 너트(54) 간의 나사체결을 해제하면, 커버(3)는 본체(2)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다. 커버(3)가 본체(2)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커버패킹(4) 또한 본체(2)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으며, 커버패킹(4)의 분리는 너트케이스(20)의 일면을 개방하여, 너트(54)가 너트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따라, 커버패킹(4)이 본체(2)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커버패킹(4)이 본체(2)의 개방단부(29)에 고정 부착되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너트(54)는 커버패킹(4)의 탄력성를 이용하여 너트케이스(20)와 커버패킹(4) 사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박스의 소켓뭉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박스(1)는 본체(2)의 측벽에 소켓뭉치(6)가 설치되며, 이를 위해, 본체(2) 측벽에는 소켓뭉치(6)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소켓 설치공(27)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원박스(1)는 소켓뭉치의 일부인 소켓홀더(62)와, 소켓홀더(62)를 본체(2)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소켓홀더 고정볼트(7)와, 소켓홀더(62)와 본체(2)사이를 밀봉하는 소켓패킹(8)을 포함한다.
소켓홀더(62)는 본체(2) 측벽에 대응하는 부분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그 편평한 부분에 소켓홀더 고정볼트(7)의 관통을 허용하는 다수의 관통구멍(64)이 형성된다. 또한, 소켓패킹(8)은 본체(2) 측벽과 소켓홀더(62)에 면하는 편평부(82)를 구비하며, 그 편평부(82)의 대략 중앙에는 소켓 설치공(27)에 상응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패킹(8)은 상기 편평부(82)로부터 돌출된 중공 원통형의 삽입돌부(83)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삽입돌부(83)에는 상기 소켓홀더 고정볼트(7)의 관통을 허용하는 구멍(8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패킹(8)은 구멍(84)이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삽입돌부(83)를 구비하며, 이 삽입돌부(83)는 편평부(82)로부터 연장하여 소켓홀더(62)의 관통구멍(64)에 끼워진다. 따라서, 소켓홀더 고정볼트(7)가 소켓홀더(62) 및 소켓패킹(8)을 관통하여 본체(2) 측벽에 체결될 때, 상기의 삽입돌부(83)는 소켓홀더(62)의 관통구멍(64)에 끼워져서 소켓홀더 고정볼트(7)에 의해 수축되어지며, 이 삽입돌부(83)의 수축은 소켓홀더 고정볼트(7) 주위의 틈을 없애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소켓홀더(62)의 관통구멍(64)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부(83)가 끼워지는 후단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며, 이 테이퍼 구조는 상기한 삽입돌부(83)의 수축을 배가시켜 소켓패킹(8)에 의한 소켓뭉치 결합부분의 밀봉을 배가시켜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너트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어 너트의 부식 및 마모에 따른 전원박스의 밀봉성 및 방수성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너트를 별도의 공구로 고정해주는 작업 없이 볼트 체결에 의한 본체와 커버의 상호 결합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전원박스의 밀봉성 저하를 미연에 막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커버패킹이 분리가능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그 커버패킹이 본체의 개방단부 상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 전원박스의 밀봉성 향상에 기여하고 또한 너트의 위치변화를 확실하게 제한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는 소켓뭉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틈을 소켓패킹의 삽입돌부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막아 전원박스의 밀봉성을 향상시켜준다. 게다가,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소켓홀더의 관통구멍을 테이퍼진 구조로 함으로써, 삽입돌부의 수축량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이 수축량의 배가는 소켓뭉치 결합부위의 보다 확실한 밀봉을 가능케 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전원박스가 도면에 예시된 냉동컨테이와 같은 컨테이너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냉동컨테이너 이외에도 전기공급을 필요로 하는 수송용 컨테이너 및 기타의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박스로도 본 고안 전원박스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냉동컨테이너, 더 나아가 컨테이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도시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를 따라 도시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컨테이너용 전원박스를 조립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본체 3: 커버
4: 커버패킹 6: 소켓뭉치
7: 소켓홀더 고정볼트 8: 소켓패킹
20: 너트케이스 21: 돌출턱
22: 측벽부 24: 덮개부
42: 삽입홈 52: 볼트
54: 너트 62: 소켓홀더
82: 편평부 83: 삽입돌부

Claims (8)

  1. 본체와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내측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형성하고, 본체 측벽에는 컨테이너에 전기접속되는 소켓뭉치가 마련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에 있어서,
    커버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커버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서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를 밀봉하는 커버패킹과;
    상기 너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버패킹과 함께 상기 너트를 고정하는 너트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킹은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어지되, 상기 본체의 개방단부 위에 형성된 돌출턱이 상기 커버패킹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킹은 외측면을 따라 상기 너트케이스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너트케이스는, 본체의 개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너트를 덮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볼트와 너트의 나사체결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선단이 상기 커버패킹의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커버패킹을 고정해주도록 측벽부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너트케이스는 커버패킹과 마주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너트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고, 그 나머지 면들이 막혀 있어, 상기 너트의 위치변화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6. 본체와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내측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형성하고, 본체 측벽에는 컨테이너 등에 전기접속되는 소켓뭉치가 마련된 컨테이너용 전원박스에 있어서,
    소켓뭉치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소켓홀더 고정볼트와;
    상기 소켓뭉치에 구비되며, 소켓홀더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소켓홀더와;
    상기 소켓홀더와 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소켓홀더 고정볼트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수축되는 삽입돌부를 일체로 갖는 소켓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켓홀더의 관통구멍은 삽입돌부가 끼워지는 후단부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켓패킹은, 본체 측벽 및 소켓홀더에 면하는 편평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수축되는 삽입돌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삽입돌부는 소켓홀더 고정볼트의 관통을 허용하는 중공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KR20-2004-0036337U 2004-12-22 2004-12-22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KR200379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37U KR200379623Y1 (ko) 2004-12-22 2004-12-22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37U KR200379623Y1 (ko) 2004-12-22 2004-12-22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23Y1 true KR200379623Y1 (ko) 2005-03-24

Family

ID=4368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37U KR200379623Y1 (ko) 2004-12-22 2004-12-22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86B1 (ko) * 2019-01-24 2020-03-10 국방과학연구소 평판형 레이돔 조립체 및 그 제작 방법
KR102173511B1 (ko) * 2020-03-24 2020-11-03 안준학 밀폐성과 배수성이 개선된 선박용 컨트롤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86B1 (ko) * 2019-01-24 2020-03-10 국방과학연구소 평판형 레이돔 조립체 및 그 제작 방법
KR102173511B1 (ko) * 2020-03-24 2020-11-03 안준학 밀폐성과 배수성이 개선된 선박용 컨트롤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735B2 (en) Lift cover and gasket assembly
US9997974B2 (en) Connector device
CN101355209B (zh) 装置连接器、连接方法及其设备
EP2144332B1 (en) 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connecting method
US20100255728A1 (en) Connector for use with apparatus
US8662920B2 (en) Device connector and device connector system
US7740433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EP0913891A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70276B1 (ko) 차량용 방수 커넥터
US10431922B2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contact carrier for capturing set screws
CN110832710A (zh) 充电用插座
US6916203B2 (en) Water-proof modular connector
WO2012161297A1 (en) Connector
KR200379623Y1 (ko)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컨테이너용 전원박스
US10916897B1 (en) Battery mounted fuse holder
JP4222219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101282499B1 (ko) 전기 기기
JP2010129519A (ja) 集魚灯用給電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5890928A (en) Plug assembly for solenoid valve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102088328B1 (ko) 고전압 정션블록
KR200425649Y1 (ko) 대전류용 케이블 접속구
US2003018108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958052B2 (en) Enclosure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ables and the like
US20150004819A1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