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373B1 -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373B1
KR102621373B1 KR1020210075485A KR20210075485A KR102621373B1 KR 102621373 B1 KR102621373 B1 KR 102621373B1 KR 1020210075485 A KR1020210075485 A KR 1020210075485A KR 20210075485 A KR20210075485 A KR 20210075485A KR 102621373 B1 KR102621373 B1 KR 10262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bolt
cover
fitt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73A (ko
Inventor
김영근
김태국
이종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유입방지체결안내부가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와 체결볼트를 체결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덮개의 개폐시 체결홀부와 체결볼트의 체결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는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홀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접속함을 커버하는 덮개의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덮개가 상기 접속함을 커버시 상기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유입방지체결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COVER FIXING DEVICE FOR UNDER GROUND LOW VOLTAG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방지체결안내부가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와 체결볼트를 체결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덮개의 개폐시 체결홀부와 체결볼트의 체결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상가, 빌딩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케이블은 저압 접속함의 내부에서 복수의 전력 수요처에 각각에 연결된 분기용 케이블들과 연결된다.
이러한 저압 접속함은 전기 케이블들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 공간이 구비된 접속함 본체가 도로나 인도 등의 지면 아래쪽에 매립 설치되고, 접속함 본체 상부에는 덮개가 덮여지는 것으로서, 관계자 외에는 쉽게 덮개를 개방시킬 수 없는 고정 구조로 시설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지중 저압접속함은 접속함 본체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덮개가 접속함 본체의 개방 부위를 차단시 덮개에 볼트를 삽입하여 접속함 본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함으로써,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조립하거나 접속함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흙 등의 이물질이 체결홀 내부로 유입되어 나사산 사이에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접속함 본체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접속함 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 이외에도 체결홀로 유입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홀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시 체결홀의 지름이 소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홀 내부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체결홀의 일부 깊이까지만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볼트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를 억지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체결홀의 나사산이 손상시 볼트 체결이 불가능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635호(2015.03.18. 등록, 명칭: 지중저압 접속함)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입방지체결안내부가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와 체결볼트를 체결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덮개의 개폐시 체결홀부와 체결볼트의 체결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는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홀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접속함을 커버하는 덮개의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덮개가 상기 접속함을 커버시 상기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유입방지체결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방지체결안내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고정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터드볼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홀부와, 상기 결합홀부가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시 상기 체결볼트를 상기 덮개에 유동 방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유동방지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고정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덮개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부를 밀착 가압하도록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밀착가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의 상측에는 상기 관통홀부와 연통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부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를 보호 가능하게 커버하는 보호캡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보호캡은 상기 안착홈부에 수용시 이탈방지부에 의해 이탈 방지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둘레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끼움돌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보호캡에 형성되는 끼움홈부와, 상기 끼움홈부가 상기 끼움돌부에 끼워짐시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상기 끼움홈부와 상기 끼움돌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끼움돌부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 및 상기 걸림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면과 상기 끼움돌부의 내측 둘레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볼트는 체결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파지되고, 상기 체결기구는 한 쌍이 힌지 연결된 채로 교차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로스부재와,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분리끼움부재와, 상기 분리끼움부재가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끼워짐시 탄성력에 의해 끼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크로스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 조작하는 복원회동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회동조작부는 지지축부와, 상기 지지축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이동파지부와, 상기 이동파지부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끼움부재는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끼워짐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 단부 측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에 상호 겹쳐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 덮개 고정장치는 유입방지체결안내부가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와 체결볼트를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덮개의 개폐시 체결홀부와 체결볼트의 체결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에서 체결볼트가 체결기구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에서 체결볼트가 체결기구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는 체결홀부(10), 체결볼트(20) 및 유입방지체결안내부(30)를 포함한다.
체결홀부(10)는 접속함(3)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함(3)은 상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에 덮개(5)가 안착되도록 안착턱부(3a)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홀부(10)는 접속함(3)의 안착턱부(3a)에 복수개로 함몰 형성되어 유입방지체결안내부(30)를 통해 체결볼트(20)와 체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체결볼트(20)는 체결홀부(10)와 마주하도록 접속함(3)을 커버하는 덮개(5)의 관통홀부(5a)에 삽입된다. 이러한 덮개(5)는 접속함(3)의 안착턱부(3a)에 안착되어 접속함(3)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접속함(3)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관통홀부(5a)는 덮개(5)가 접속함(3)의 안착턱부(3a)에 안착시 체결홀부(10)와 연통되도록 덮개(5)에 형성된다.
한편, 유입방지체결안내부(30)는 덮개(5)가 접속함(3)을 커버시 체결홀부(10)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10)와 체결볼트(20)가 체결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유입방지체결안내부(30)는 체결홀부(10)에 고정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터드볼트(31)와, 스터드볼트(31)에 결합되도록 체결볼트(20)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부(32)와, 결합홈부(32)와 스터드볼트(31)가 결합시 체결볼트(20)를 덮개(5)에 유동 방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유동방지고정부(33)를 포함한다.
이때, 유동방지고정부(33)는 관통홀부(5a)에 연통되도록 덮개(5)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33a)와, 체결볼트(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33b)와, 체결볼트(20)가 관통홀부(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홈부(33a)를 밀착 가압하도록 나사산부(33b)에 체결되는 밀착가압너트(33c)를 포함한다.
즉, 체결볼트(20)가 덮개(5)의 관통홀부(5a)에 삽입된 채로 밀착가압너트(33c)와 체결된 상태에서 덮개(5)를 접속함(3)의 안착턱부(3a)에 안착시키면 스터드볼트(31)와 결합홈부(32)는 상호 체결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스터드볼트(31)와 결합홈부(32)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20)를 회전 조작하면 밀착가압너트(33c)는 나사산부(33b)에 의해 체결볼트(20)의 헤드 측으로 이동하여 수용홈부(33a)에 걸림 가능하게 밀착된다.
이로써, 스터드볼트(31)는 체결홀부(1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20)의 결합홈부(32)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여 체결홀부(10)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시킬 수 있고, 체결볼트(20)는 스터드볼트(31)와 결합홈부(32)가 체결되면 밀착가압너트(33c)에 의해 덮개(5)에 유동 방지되도록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5)의 상측에는 관통홀부(5a)와 연통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체결볼트(20)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홈부(5b)가 구비되고, 안착홈부(5b)에는 체결볼트(20)의 헤드를 보호 가능하게 커버하는 보호캡(40)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보호캡(40)은 안착홈부(5b)에 수용시 이탈방지부(50)에 의해 이탈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50)는 안착홈부(5b)에 안착되도록 체결볼트(2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둘레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돌부(51a)가 돌출 형성되는 패킹부재(51)와, 끼움돌부(51a)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보호캡(40)에 형성되는 끼움홈부(52)와, 끼움홈부(52)가 끼움돌부(51a)에 끼워짐시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끼움홈부(52)와 끼움돌부(51a)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53)를 포함한다.
이때, 패킹부재(51)에는 안착홈부(5b)에 안착되는 부위에 실링패드(51b)가 구비된다.
아울러, 위치고정부(53)는 끼움홈부(5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53a) 및 걸림돌기부(53a)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도록 끼움돌부(51a)의 내측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53b)를 포함한다.
즉, 보호캡(40)이 안착홈부(5b)에 수용되어 끼움돌부(51a)에 끼움홈부(52)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끼움홈부(52)는 걸림돌기부(53a)가 끼움돌부(51a)의 단부에 접촉되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되다가 걸림돌기부(53a)가 걸림홈부(53b)에 수용되는 순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보호캡(40)이 안착홈부(5b)에 수용되면 안착홈부(5b)에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20)와 관통홀부(5a)의 사이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20)는 체결기구(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기구(60)는 한 쌍이 힌지 연결된 채로 교차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로스부재(61)와, 체결볼트(2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크로스부재(6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리끼움부재(62)와, 분리끼움부재(62)가 탄성력에 의해 체결볼트(20)의 둘레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크로스부재(61)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 조작하는 복원회동조작부(63)를 포함한다.
이때, 복원회동조작부(63)는 지지축부(63a)와, 지지축부(63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크로스부재(61)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이동파지부(63b)와, 이동파지부(63b)가 지지축부(63a)에서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크로스부재(61)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63c)를 포함한다.
즉, 탄성부재(63c)는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이동파지부(63b)가 지지축부(63a) 상에서 이동되면 복원 가능하게 신장되어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부재(61)가 벌어지게 하고, 이동파지부(63b)를 지지축부(63a) 상에서 이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 가능하게 복원되어 X자 형태로 교차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부재(61)가 오므려지게 한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63c)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분리끼움부재(62)는 체결볼트(20)의 둘레면에 끼워짐시 탄성부재(63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 단부 측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크로스부재(61)에 상호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로써, 체결볼트(20)는 분리끼움부재(62)가 체결볼트(20)의 둘레면에 밀착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축부(63a)를 외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부(63a)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체결홀부 20: 체결볼트
30: 유입방지체결안내부 31: 스터드볼트
32: 결합홀부 33: 유동방지고정부
40: 보호캡 50: 이탈방지부
51: 패킹부재 52: 끼움홈부
53: 위치고정부 60: 체결기구
61: 크로스부재 62: 분리끼움부재
63: 복원회동조작부

Claims (9)

  1. 접속함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홀부;
    상기 체결홀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접속함을 커버하는 덮개의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덮개가 상기 접속함을 커버시 상기 체결홀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유입방지체결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상측에는 상기 관통홀부와 연통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부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를 보호 가능하게 커버하는 보호캡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보호캡은 상기 안착홈부에 수용시 이탈방지부에 의해 이탈 방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둘레 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끼움돌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보호캡에 형성되는 끼움홈부 및 상기 끼움홈부가 상기 끼움돌부에 끼워짐시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상기 끼움홈부와 상기 끼움돌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체결안내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고정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결합홀부가 상기 스터드볼트에 결합시 상기 체결볼트를 상기 덮개에 유동 방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유동방지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고정부는,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덮개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부;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부를 밀착 가압하도록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밀착가압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끼움돌부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 및
    상기 걸림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면과 상기 끼움돌부의 내측 둘레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체결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파지되고,
    상기 체결기구는,
    한 쌍이 힌지 연결된 채로 교차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로스부재;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분리끼움부재; 및
    상기 분리끼움부재가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끼워짐시 탄성력에 의해 끼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크로스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 조작하는 복원회동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회동조작부는,
    지지축부;
    상기 지지축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이동파지부; 및
    상기 이동파지부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끼움부재는 상기 체결볼트의 둘레면에 끼워짐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 단부 측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크로스부재에 상호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KR1020210075485A 2021-06-10 2021-06-10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KR10262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85A KR102621373B1 (ko) 2021-06-10 2021-06-10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85A KR102621373B1 (ko) 2021-06-10 2021-06-10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73A KR20220166573A (ko) 2022-12-19
KR102621373B1 true KR102621373B1 (ko) 2024-01-08

Family

ID=8453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485A KR102621373B1 (ko) 2021-06-10 2021-06-10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677Y1 (ko) * 1996-09-23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대쉬패널의 인슐레이션 결합구조
KR102215919B1 (ko) * 2020-05-12 2021-02-15 김수빈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869U (ko) * 2012-09-24 2014-04-02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접속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677Y1 (ko) * 1996-09-23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대쉬패널의 인슐레이션 결합구조
KR102215919B1 (ko) * 2020-05-12 2021-02-15 김수빈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73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2619C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US5439759A (en) Cover for battery cable terminal
US4902855A (en) End seal for splice closure
KR102621373B1 (ko)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EP352808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mponent-protecting structure
EP2832497A1 (de)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US4465393A (en) Plastic ball socket extruded in one piece for a ball-and-socket joint
KR101448569B1 (ko) 수압조절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DE202006007103U1 (de) Ummantelung für einen IEC-Steckeranschluß
JP5203180B2 (ja) 減圧弁
JP362974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1909063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KR101909067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JP2660482B2 (ja) 外ねじヨーク式バルブ
EP0406139A2 (fr) Dispositif amovible pour l'assemblage étanche des gants et des bottes sur une combinaison de protection
KR102439372B1 (ko)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KR101899954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EP2273294B1 (fr) Boîtier de raccordement de fibres optiques
CN202167685U (zh) 用于连接器装置的壳体
KR102621376B1 (ko) 지중 저압 접속함
KR101909066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KR101909064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KR101909065B1 (ko) 프로텍터의 마운팅 커버장치
KR20200057939A (ko) 케이블 글랜드
KR101901336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보호용 절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