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869U - 지중 저압접속함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69U
KR20140001869U KR2020120008544U KR20120008544U KR20140001869U KR 20140001869 U KR20140001869 U KR 20140001869U KR 2020120008544 U KR2020120008544 U KR 2020120008544U KR 20120008544 U KR20120008544 U KR 20120008544U KR 20140001869 U KR20140001869 U KR 20140001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junction box
hole
fastening hol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인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20008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869U/ko
Publication of KR20140001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 저압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체결홀부가 형성된 접속함 본체와, 접속함 본체의 개방부를 커버링하는 덮개와, 덮개에 형성되고,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설치 시 체결홀부에 끼워지고 회전 조작에 의해 체결홀부에 인접한 걸림턱부에 걸려 체결되는 덮개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저압접속함{LOW-VOLTAGE CONNECTION BOX FOR UNDERGROUND}
본 고안은 지중 저압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함 본체에 덮개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중 저압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상가, 빌딩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케이블은 저압접속함(또는 사각형의 맨홀) 내부에서 복수의 전력 수요처에 각각에 연결된 분기용 케이블들과 연결된다.
저압접속함은 복수개의 전기 케이블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공간을 구비하여 도로나 인도 등의 지면 아래에 매립 설치되는 접속함 본체와, 접속함 본체 내부의 접속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8625호(2005.10.07.등록, 고안의 명칭 : 지중저압 접속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지중 저압접속함은 접속함 본체와 덮개에 볼트체결홀을 형성하고 볼트부재를 덮개를 관통하여 접속함 본체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에 체결함으로써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고정시키고 있다.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또는 상기와 같이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조립하거나 접속함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흙 등의 이물질이 볼트체결홀 내부에 유입되어 나사산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접속함 본체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접속함 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 이외에도 볼트체결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형의 너비를 가지는 볼트체결홀 내부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볼트체결홀의 일부 깊이까지만 볼트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볼트부재를 억지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볼트체결홀의 나사산이 손상되어 볼트체결이 불가능해지고, 볼트체결 없이 단순히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안착시키는 상태로만 덮개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볼트 체결에 의해 접속함 본체에 덮개를 결합시키던 기존의 구조를 탈피하여, 360°미만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덮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지중 저압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은, 체결홀부가 형성된 접속함 본체; 상기 접속함 본체의 개방부를 커버링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접속함 본체에 설치 시 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 끼워지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홀부에 인접한 걸림턱부에 걸려 체결되는 덮개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고정장치는, 볼트형상을 가지고, 상기 덮개에 형성된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덮개의 외면부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걸림턱부에 접하여 걸리면서 상기 접속함 본체에 결합되는 회전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헤드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간 경계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이루는 와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고정장치는, 상기 설치홀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며, 둘레가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덮개의 외면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설치홀부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외부패킹부; 상기 외부패킹부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설치홀부로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내부패킹부; 및 상기 외부패킹부와 상기 내부패킹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외부패킹부와 상기 내부패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는, 5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회전걸림구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회전걸림구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의 회전 동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는,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걸림턱부의 하부에 상기 체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보호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는, 상기 걸림턱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보호홀부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 중인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와 접하여 그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걸림구를 접속함 본체의 체결홀부에 끼운 후, 하향 가압하여 관통시키고 360°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고정장치가 덮개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기존에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고정시키던 경우와 비교해, 접속함 본체와 덮개를 연결시키는 고정부재의 분실 우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패킹부재가 설치홀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다단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덮개에 형성된 설치홀부와 접속함 본체에 형성된 체결홀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른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설치하거나 접속함 본체 내부의 전기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접속함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하는 작업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부분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와 덮개고정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D부분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의 저면측에서 도 2의 D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를 접속함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 1의 A-A선상에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 1의 A-A선 단면상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회전걸림구를 체결홀부를 통해 걸림턱부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체결홀부와 회전걸림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로부터 덮개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4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부분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와 덮개고정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D부분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접속함 본체의 저면측에서 도 2의 D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를 접속함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 1의 A-A선상에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덮개를 접속함 본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 1의 A-A선 단면상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회전걸림구를 체결홀부를 통해 걸림턱부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의 체결홀부와 회전걸림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은 접속함 본체(100), 덮개(200), 덮개고정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접속함 본체(100)는 복수개의 전기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덮개(200)가 안착되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상향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플랜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130)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120)는 덮개(200)를 하단 지지하는 받침면을 이루는 받침부(121)와, 받침부(121)에 안착된 덮개(20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받침부(121)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틀부(127)를 포함한다.
덮개(200)는 상기와 같이 받침부(121)에 의해 받쳐지고 틀부(12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 도 7, 도 8을 참조하면, 플랜지부(120)에는 체결홀부(122), 걸림턱부(123), 보호홀부(124)가 형성된다.
체결홀부(122)는, 덮개고정장치(300)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걸림구(350)가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홀부(122)는 회전걸림구(35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걸림구(350)보다 큰 너비로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턱부(123)는 체결홀부(122)를 관통한 회전걸림구(350)가 회전되면서 접하는 부분으로, 체결홀부(122)를 관통한 회전걸림구(350)의 회전 동선을 따라 형성된다. 즉, 회전걸림구(350)의 회전 동선이 되는 원형의 영역 중 일부에는 체결홀부(122)가 형성되고, 체결홀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는 걸림턱부(123)가 형성된다.
보호홀부(124)는 체결홀부(122)와 걸림턱부(123)의 하부에 체결홀부(12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보호홀부(124)는 체결홀부(122)를 관통하여 체결홀부(122) 하측에 위치되는 회전걸림구(350)의 회전 동선이 되는 원형의 영역상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체결홀부(122)를 관통한 회전걸림구(350)는 보호홀부(124)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접속함 본체(100)가 설치되는 지중의 이물질에 걸리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다.
덮개(200)는 접속함 본체(100)의 개방부(130)를 커버링하는 부분으로, 덮개고정장치(300)의 조립 상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에 결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덮개(200) 중 접속함 본체(100)의 체결홀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덮개고정장치(30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홀부(210)가 형성된다.
덮개고정장치(300)는 덮개(200)의 설치홀부(210)를 관통하여 덮개(200)에 설치되고, 덮개(200)와 일체로 연결된다.
덮개(20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덮개고정장치(300)는 덮개(200)와 함께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덮개(20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의 플랜지부(120)에 설치하는 경우, 덮개고정장치(300)는 자연히 접속함 본체(100)의 설치홀부(210)에 접하게 된다.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설치한 상태에서, 덮개고정장치(300)를 덮개(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덮개고정장치(300)의 회전걸림구(350)와 이탈방지부재(340)를 고정부재(310)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도 3, 도 4 참조)
회전걸림구(350)는 접속함 본체(100)에 형성된 보호홀부(124) 내부에 위치되고 이탈방지부재(340)는 체결홀부(122)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부에서 임의의 조작력을 가하여 덮개고정장치(300)를 덮개(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고정시키던 경우, 외부의 회전 조작력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던 볼트부재의 이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고정장치(300)는 고정부재(310), 패킹부재(320), 스프링(330), 이탈방지부재(340), 회전걸림구(35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10)는 헤드부(311), 몸체부(313), 와셔부(315)를 포함하는 볼트형상을 가지고, 덮개(200)에 형성된 설치홀부(2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고정부재(31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홀부(210)는 외부단턱부(211), 관통홀부(212), 내부단턱부(213)가 연통되게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도 5 참조)
관통홀부(212)는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고,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외부단턱부(211)는 고정부재(310)의 헤드부(311)와 접하는 관통홀부(212)의 일단부(상단부)에 관통홀부(21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패킹부재(320)와 스프링(330)이 내부에 위치된다.(도 3, 도 4 참조)
내부단턱부(213)는 이탈방지부재(340)와 접하는 관통홀부(212)의 타단부(하단부)에 관통홀부(21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340)가 내부에 위치된다.(도 9 참조)
몸체부(313)는 덮개(200) 상측에서 설치홀부(210)를 관통하여 접속함 본체(100)에 형성된 체결홀부(122)까지 도달가능한 길이로 형성된다.
헤드부(311)는 몸체부(313)의 일단부(상단부)에 몸체부(313)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고정부재(310)의 헤드부(311)는 5각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6각 렌치가 일반인에게 보편화되어 있는 반면, 5각 렌치는 전력설비 시공업체 등 특수 시공과 관련된 일부 업종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인이 렌치를 이용하여 덮개(200)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부재(310)의 헤드부(311)를 고의로 회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고정부재(310)를 조작을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와셔부(315)는 헤드부(311)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헤드부(311)와 몸체부(313)간 경계부에 설치되고, 스프링(330)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이룬다.
패킹부재(320)는 설치홀부(210)의 외부단턱부(211)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310)의 와셔부(315)와 스프링(330) 사이에 설치되며, 둘레가 외부단턱부(211)의 내면부와 접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320)는 외부패킹부(321), 이격부(322), 내부패킹부(323)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외부패킹부(321)는 덮개(200)의 외면부(상면부)측에 위치되고, 설치홀부(210)의 내면부와 접하여 덮개(200) 상측의 이물질이 설치홀부(210)로 하향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내부패킹부(323)는 외부패킹부(321) 하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설치홀부(210)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측의 이물질이 스프링(330)측으로 하향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이격부(322)는 외부패킹부(321)와 내부패킹부(323)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외부패킹부(321)와 내부패킹부(323) 사이에 위치된다.
이격부(322)가 설치홀부(210)의 내면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설치홀부(210)와 이격부(322)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부패킹부(321)와 내부패킹부(323)는 설치홀부(210)의 내면부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격부(32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외부패킹부(321)와 내부패킹부(323)가 설치홀부(21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다단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설치홀부(210)와 체결홀부(122)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330)은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 둘레에 끼워지고, 고정부재(310)의 와셔부(315)와 덮개(200)의 관통홀부(212) 사이에 위치된다.
스프링(330)의 일단부는 패킹부재(320)와 접하여 와셔부(315)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스프링(330)의 타단부는 덮개(200)의 외부단턱부(211)와 관통홀부(212)간 경계부에 접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에 의해 스프링(330)은 고정부재(310)의 헤드부(311)와 와셔부(315)를 덮개(20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상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 2,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10)를 하향 가압하면 스프링(330)은 그 길이가 단축되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하향 가압력을 해제하거나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면 스프링(330)은 도 2,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신장되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도 5, 도 9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340)는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스프링(330)에 의해 접속함 본체(100)와 접하는 덮개(200)의 내면부(저면부)에 탄성 접촉된다.
이탈방지부재(340)는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가 관통하는 관통홀부(212)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며, 덮개(200)의 관통홀부(212)를 사이에 두고 스프링(330)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탈방지부재(340)로는 고정부재(310)의 몸체부(313)에 볼트체결되는 6각너트를 적용할 수 있으며(도 5, 도 6 참조),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한 고정부재(310)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340)는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단턱부(213)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홀부(212)와 내부단턱부(213)간 경계부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회전걸림구(350)는 고정부재(310)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체결홀부(122)에 삽입되거나 체결홀부(122)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부재(3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걸림턱부(123)에 접하여 걸리면서 접속함 본체(100)에 결합된다.
회전걸림구(350)를 체결홀부(122)에 끼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홀부(124) 내부로 유입시킨 후, 360°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덮개(2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의 (a)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림구(350)는 고정부재(310)와 연결되는 연결부(351)를 중심으로 하여 부채꼴형상을 가지는 2개의 걸림부(353)가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체결홀부(122)는 회전걸림구(35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걸림구(350)를 체결홀부(122)에 끼우고 고정부재(310)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회전시키면 회전걸림구(350)를 걸림부(353)측으로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걸림구(350)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스토퍼부(125)를 추가로 형성하면, 회전걸림구(350)가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스토퍼부(125)에 걸리면서 그 회전이 구속된다.
회전스토퍼부(125)는 걸림턱부(123)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보호홀부(124)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회전스토퍼부(125)를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회전걸림구(350)가 회전스토퍼부(125)에 접하기까지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b)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림구(350)는 2개의 걸림부(353)가 대칭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나, 상기와 같이 360°미만의 회전조작에 의해 걸림턱부(123)에 걸리도록 조립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의 (a), (b), (c), (d)는 회전걸림구(35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것으로, 도 12의 (a), (b)는 회전걸림구(350)의 부채꼴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걸림부(353)가 등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회전걸림구(350)를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회전걸림구(350)가 복수개의 개소에서 걸림턱부(123)에 안정되게 접하여 걸릴 수 있다.
회전걸림구(35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51)의 일측에 걸림부(353)가 편중되게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걸림구(350)는 부채꼴형상이 아닌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펠러(Imprller)형상 등을 포함한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함은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안착시키면 덮개고정장치(300)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걸림구(350)가 자연히 접속함 본체(100)에 형성된 체결홀부(122)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안착시키고 회전걸림구(350)가 체결홀부(122)를 관통하도록 덮개고정장치(300)의 고정부재(310)를 하측으로 누른 후, 회전걸림구(350)를 걸림턱부(123)측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고정장치(300)가 덮개(200)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기존에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고정시키던 경우와 비교해, 접속함 본체(100)와 덮개(2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재(310)의 분실 우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패킹부재(320)가 설치홀부(21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다단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덮개(200)에 형성된 설치홀부(210)와 접속함 본체(100)에 형성된 체결홀부(122)로 이물질의 유입됨에 따른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덮개(200)를 접속함 본체(100)에 설치하거나 접속함 본체(100) 내부의 전기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접속함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하는 작업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접속함 본체 110 : 본체부
120 : 플랜지부 121 : 받침부
122 : 체결홀부 123 : 걸림턱부
124 : 보호홀부 125 : 회전스토퍼부
127 : 틀부 130 : 개방부
200 : 덮개 210 : 설치홀부
211 : 외부단턱부 212 : 관통홀부
213 : 내부단턱부 300 : 덮개고정장치
310 : 고정부재 311 : 헤드부
313 : 몸체부 315 : 와셔부
320 : 패킹부재 321 : 외부패킹부
322 : 이격부 323 : 내부패킹부
330 : 스프링 340 : 이탈방지부재
350 : 회전걸림구 351 : 연결부
353 : 걸림부

Claims (11)

  1. 체결홀부가 형성된 접속함 본체;
    상기 접속함 본체의 개방부를 커버링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접속함 본체에 설치 시 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 끼워지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홀부에 인접한 걸림턱부에 걸려 체결되는 덮개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고정장치는,
    볼트형상을 가지고, 상기 덮개에 형성된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덮개의 외면부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걸림턱부에 접하여 걸리면서 상기 접속함 본체에 결합되는 회전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헤드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간 경계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이루는 와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고정장치는,
    상기 설치홀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며, 둘레가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덮개의 외면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설치홀부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외부패킹부;
    상기 외부패킹부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접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설치홀부로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내부패킹부; 및
    상기 외부패킹부와 상기 내부패킹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외부패킹부와 상기 내부패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부와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는, 5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구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회전걸림구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의 회전 동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 본체는,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걸림턱부의 하부에 상기 체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한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보호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 본체는, 상기 걸림턱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보호홀부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 중인 상기 덮개고정장치의 단부와 접하여 그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함.
KR2020120008544U 2012-09-24 2012-09-24 지중 저압접속함 KR20140001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44U KR20140001869U (ko) 2012-09-24 2012-09-24 지중 저압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44U KR20140001869U (ko) 2012-09-24 2012-09-24 지중 저압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69U true KR20140001869U (ko) 2014-04-02

Family

ID=5244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544U KR20140001869U (ko) 2012-09-24 2012-09-24 지중 저압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8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35B1 (ko) * 2014-10-28 2015-04-07 김상수 지중저압 접속함
KR20220166573A (ko) *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35B1 (ko) * 2014-10-28 2015-04-07 김상수 지중저압 접속함
KR20220166573A (ko) *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접속함용 덮개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7975A1 (en) Well that can be buried for housing and protecting electro-hydraulic apparatuses
US9869081B1 (en) Toilet flange cover system
KR20140001869U (ko) 지중 저압접속함
EP3140627B1 (en) Photocell receptacle
US20120181054A1 (en) Split Junction Box
KR100754900B1 (ko) 가로등
KR100632448B1 (ko) 볼트를 이용한 맨홀덮개 잠금장치
KR20130142672A (ko) 맨홀 잠금장치
KR101365250B1 (ko) 스틸그레이팅
KR20140002180U (ko)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KR20080059116A (ko) 도난방지용 맨홀뚜껑 및 맨홀뚜껑 개폐렌치
KR100577981B1 (ko) 맨홀 잠금장치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US9671515B2 (en) Valve box
KR101361349B1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KR100320687B1 (ko) 이중뚜껑을갖는안전맨홀
US20140216328A1 (en) Hideout utility test station and marker
KR200306637Y1 (ko) 맨홀의 잠금장치
KR10101617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KR20110008046U (ko) 도난방지 그레이팅 구조
KR200497164Y1 (ko) 맨홀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용 중간 덮개 잠금장치
KR100835937B1 (ko) 맨홀뚜껑 결합장치
KR200315158Y1 (ko) 전주의 조류둥지 확산방지용 차단판
JP4191530B2 (ja) 鉄蓋開閉構造
KR20070023327A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