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32Y1 - 볼트너트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볼트너트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32Y1
KR200362432Y1 KR20-2004-0019047U KR20040019047U KR200362432Y1 KR 200362432 Y1 KR200362432 Y1 KR 200362432Y1 KR 20040019047 U KR20040019047 U KR 20040019047U KR 200362432 Y1 KR200362432 Y1 KR 200362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main body
protective cover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우
서형권
정세영
전경우
조성주
김홍원
이종철
신은정
Original Assignee
(주)우진이엔피
전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이엔피, 전태우 filed Critical (주)우진이엔피
Priority to KR20-2004-0019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너트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하부가 개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개구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이 너트(16))의 형상에 대응되게 육각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너트(160)가 결합되는 너트결합부(110)와; 상기 본체(100) 내부의 너트결합부(110)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결합부(110) 내부와 연통되어 볼트(150)가 수용되는 볼트수용부(130)와; 상기 너트결합부(120)의 내표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너트(160)의 외표면에 밀착접촉되는 돌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너트가 너트결합부의 돌기부에 밀착접촉되어 볼트너트에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돌출된 볼트의 길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볼트너트 보호덮개{protection cover for bolt and nut}
본 고안은 볼트너트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너트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볼트너트의 상면에 견고히 결합되어 미관상 수려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볼트너트의 부식을 방지시키는 볼트너트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한전송전용 철탑, 가로등, 표지판, 교통신호제어기, 교통 신호등 및 각종 기계류 등을 지면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지면에 고정된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한 후에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을 기초 콘크리트에 앵커볼트(ANCHOR BOLT 또는 FOUNDATION BOLT)와 너트로 고정하게 되면 결합된 볼트와 너트는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고 자연부식이 되며, 안전사고 발생요인 등이 된다.
따라서 돌출된 부분에 덮개가 결합되는 바, 종래기술에 따른 앵커볼트 덮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53754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기계류, 지주, 시설물 등을 지면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와 너트를 보호하는 앵커볼트 덮개에 있어서, 상부의 외주면은 사각 또는 6각면으로 되고, 하부 내측으로 앵커볼트와 너트의 노출부가 삽입 가능한 원형의 홈(1`)이 구비되고, 홈(1`)의 상부 내면에는 앵커볼트와 나사결합 가능한 나사산(1``)이 구비되어, 앵커볼트의 노출부와 나사산(1``)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돌출된 앵커볼트가 반드시 나사산에 결합되어야 하나 돌출된 앵커볼트가 짧은 경우에는 나사산과 앵커볼트의 결합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돌출된 앵커볼트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덮개의 하단부가 앵커볼트를 완전히 덮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앵커볼트와 정확하게 결합하고 앵커볼트를 완전히 덮기 위해서는 앵커볼트의 돌출정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덮개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볼트너트와 결합되어 볼트너트를 외부로 부터 차단시킴과 동시에 너트에 안전하게 밀착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앵커볼트 덮개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덮개의 사시도.
도3 -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덮개의 요부종단면도.
도4 -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너트에 보호덮개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5 -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덮개의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주본체
102 : 보조본체 103 : 수나사산
104 : 암나사산 105 : 돌기
110 : 너트결합부 120 : 너트수용부
130 : 볼트수용부 140 : 돌기부
150 : 볼트 160 : 너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이 너트의 형상에 대응되게 육각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너트결합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너트결합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결합부 내부와 연통되어 볼트가 수용되는 볼트 수용부와; 상기 너트결합부의 내표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너트의 외표면에 밀착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외표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세로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주본체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본체와 나사결합되는 덮개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본체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외향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가 너트결합부의 돌기부에 밀착접촉되어 볼트너트에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돌출된 볼트의 길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도2는 본 고안에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덮개의 사시도이고, 도3은 요부종단면도이며, 도4는 볼트너트에 덮개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요부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덮개는 크게 본체(100)와, 너트결합부(110)와, 너트수용부(120)와, 볼트수용부(130) 그리고 돌기부(14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상부는 밀폐된 형상이고 하부는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너트(160)가 수용되는 너트결합부(110)가 형성되는 바, 상기 너트결합부(110)의 내표면은 통상적인 너트(160)의 형상인 육각 또는 사각으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결합부(110)에 너트(160)가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결합부(110)의 외표면은 내표면과 마찬가지로 육각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끼울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너트결합부(110)의 내부공간이 너트수용부(120)가 되며, 상기너트(160)가 상기 너트결합부(110)에 결합되어 너트수용부(120)에 수용된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너트결합부(110)에는 내측으로 소정돌출되며 반원형상의 돌기부(140)가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40)는 세로로 연장되게 형성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너트결합부(110)에 형성된 돌기부(140)는 상기 본체(100)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바, 소정의 탄력을 가지게 되어 상기 너트결합부(110)로 너트(16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140)가 상기 너트(160)의 외표면에 밀착접촉됨에 의해 너트(160)가 상기 너트결합부(110)에 안정되게 결합되게 한다.
상기 볼트수용부(130)는 본체(100) 내부 상기 너트수용부(120) 상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상기 너트수용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5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수용부(130)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볼트(150)의 돌출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도 무방한 바, 이는 돌출된 볼트너트에 덮개가 결합되는 경우 볼트(150)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볼트(150)의 돌출된 부분은 단지 볼트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출된 볼트(150)의 길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너트(160)에 결합된 볼트(150)의 돌출부에 덮개를 씌워야 하는 바, 상기 보호덮개 본체(100)의 개구부를 돌출된 볼트너트 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본체(100)를 볼트너트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너트(160)가 상기 너트결합부(110)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160)의 외표면이 상기 돌기부(140)에 밀착되어 너트결합부(110)가 너트(160)와 결합되어 상기 보호덮개가 상기 볼트너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볼트너트를 외부와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된 볼트(150)는 상기 본체(100)의 볼트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제1실시예는 본체(10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 제2실시예 >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체(100)가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상기 본체(100)는, 크게 주본체(101)와 덮개본체(102)로 구성된다.
상기 주본체(101)는 상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너트결합부(110)가 형성되는 바, 상기 너트 결합부(110)의 형상 및 기능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 결합부(110) 상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수나사산(10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덮개본체(102)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덮개본체(102)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암나사산(104)이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104)이 상기 주본체(101)의 수나사산(103)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주본체(10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본체(102)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세로방향을 따라 외향돌출된 돌기(105)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본체(102)를 상기 주본체(101)에 나사결합시키는 경우 나사결합이 쉽게 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본체(101)는 일정한 규격으로 유지하고 돌출된 볼트(15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덮개본체(102)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적용함에 의해 볼트(150)의 길이에 맞는 보호덮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너트가 너트결합부의 돌기부에 밀착접촉되어 보호덮개가 볼트너트에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돌출된 볼트의 길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부가 개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개구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이 너트(16))의 형상에 대응되게 육각 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너트(160)가 결합되는 너트결합부(110)와;
    상기 본체(100) 내부의 너트결합부(110)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결합부(110) 내부와 연통되어 볼트(150)가 수용되는 볼트수용부(130)와;
    상기 너트결합부(120)의 내표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너트(160)의 외표면에 밀착접촉되는 돌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110)는 외표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40)는 세로로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103)이 형성된 주본체(101)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104)이 형성되어상기 주본체(101)와 나사결합되는 덮개본체(10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102)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외향돌출된 돌기(10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덮개.
KR20-2004-0019047U 2004-07-05 2004-07-05 볼트너트 보호덮개 KR200362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47U KR200362432Y1 (ko) 2004-07-05 2004-07-05 볼트너트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47U KR200362432Y1 (ko) 2004-07-05 2004-07-05 볼트너트 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32Y1 true KR200362432Y1 (ko) 2004-09-18

Family

ID=4943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047U KR200362432Y1 (ko) 2004-07-05 2004-07-05 볼트너트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45B1 (ko) 2006-12-20 2009-01-14 태형 주식회사 볼트 너트 체결구 헤드 캡
KR102082073B1 (ko) * 2019-01-24 2020-02-26 이효석 부식 방지용 보호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45B1 (ko) 2006-12-20 2009-01-14 태형 주식회사 볼트 너트 체결구 헤드 캡
KR102082073B1 (ko) * 2019-01-24 2020-02-26 이효석 부식 방지용 보호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785B1 (en) Decorative cap and nut for toilet base
KR200400249Y1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KR200462194Y1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KR200362432Y1 (ko) 볼트너트 보호덮개
KR200383524Y1 (ko) 너트 보호캡
JP2009155957A (ja) 自発光装置
KR20010067026A (ko) 뚜껑 이탈방지용 체결구가 형성된 맨홀
KR100773042B1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KR200295243Y1 (ko) 볼트 너트 보호용 캡
KR100577981B1 (ko) 맨홀 잠금장치
KR200393778Y1 (ko) 볼트 너트 보호용 캡
KR20130101699A (ko)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KR200360163Y1 (ko) 풀림방지용 너트 캡
KR200390643Y1 (ko) 볼트/너트 보호용 캡
KR100270749B1 (ko) 합성수지제매립배선박스
JP4815520B2 (ja) 定着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安定化構造並びに法面安定化工法
KR200211922Y1 (ko) 지붕판 이음구 고정구
KR200344284Y1 (ko) 앵커볼트용 캡
KR20080058591A (ko) 볼트 너트 보호캡
JP2010106632A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0580848B1 (ko) 앵커볼트용 캡
KR200310785Y1 (ko) 앵커볼트용 캡
KR200302098Y1 (ko) 건축용 보호캡
JPH0660651B2 (ja) 鉄枠に対する鉄蓋取付装置
KR200253754Y1 (ko) 앵커볼트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