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243Y1 - 볼트 너트 보호용 캡 - Google Patents

볼트 너트 보호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243Y1
KR200295243Y1 KR2020020024880U KR20020024880U KR200295243Y1 KR 200295243 Y1 KR200295243 Y1 KR 200295243Y1 KR 2020020024880 U KR2020020024880 U KR 2020020024880U KR 20020024880 U KR20020024880 U KR 20020024880U KR 200295243 Y1 KR200295243 Y1 KR 200295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cap
cap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봉
Original Assignee
유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정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4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243Y1/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 너트 보호용 캡에 관한 것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캡본체(100)와; 상기 캡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보호하고자 하는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 및 볼트(170)가 수용되는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의 상측에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너트 결합부(120)와; 상기 너트결합부(120)의 상측에 상기 너트결합부(120)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볼트(170)의 단부인접부가 수용되는 연장수용부(130); 상기 너트결합부(120)에 결합수용되어, 너트(171)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볼트(17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캡본체(100)를 볼트(17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 그리고, 상기 캡본체(100)의 외표면상의 너트결합부(120) 대응위치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캡본체(100)를 볼트(170)에 나사 결합/해제하는 경우 회전접촉력을 제공하는 접촉돌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보호용 캡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너트와 결합된 볼트너트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되어 볼트와 너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미관상 수려하며, 보호용캡과 볼트너트는 볼트부의 나사산과 보호용캡의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됨에 의해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며, 보호용캡이 지면에 접촉되게 됨에 의해 지면을 통한 누수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볼트 너트 보호용 캡{protective cap for bolt and nut}
본 고안은 볼트 너트 보호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너트에 결합된 볼트와 너트를 외부로 부터 밀폐시켜 볼트와 너트를 보호시켜, 볼트 너트의부식을 방지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으며, 볼트의 나사산에 안정되게 결합됨에 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며, 필요시 나사결합을 해제시켜 착탈이 가능한 볼트 너트 보호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조임 하거나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 너트를 사용하는 바, 너트가 결합된 볼트가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의 경우에는 비나 눈 등의 수분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됨에 의해 부식 등이 발생하게 되며, 야간인 경우에는 심지어 노출된 부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존재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1998-24854호에는 착탈 가능한 볼트 너트캡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이종의 부품을 상호 결합시키거나, 소정의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용부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볼트(10)와 너트(20)에 있어서: 볼트머리(11) 내지 너트(20)를 수용하여 상기 볼트머리(11) 내지 너트(20) 등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볼트머리(11) 내지 너트(20)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키 위한 볼트너트수용부(31); 상기 볼트(10)와 너트(20)의 체결시 상기 너트(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나사부(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너트수용부(31)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나사수용부(32); 그리고 상기 볼트너트수용부(31) 및 나사수용부(32)를 수용하여 밀폐시키도록 형성되는 덮개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볼트너트캡이 볼트 너트를 덮개되는 경우 볼트너트캡이 볼트나 너트에 밀착 고정 되지 못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볼트너트캡의 무단이탈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볼트너트수용부에 너트가 수용되는 바,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가 두개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볼트너트수용부의 형상이 너트의 외표면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너트가 정렬되지 못하면, 두개이상의 너트가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에 동시에 수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볼트너트캡으로 볼트너트를 덮개하는 경우 볼트너트캡을 상기 볼트너트에 억지 끼워 맞춤함에 의해 볼트너트의 외표면을 모두 덮개하기 위해서는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볼트너트캡을 볼트너트에 덮은 후에는 지면과 볼트너트캡의 단부를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너트와 결합된 볼트너트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되어 볼트와 너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미관상 수려한 볼트너트 보호용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호용캡과 볼트너트는 볼트부의 나사산과 보호용캡의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됨에 의해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며, 보호용캡이 지면에 접촉되게 됨에 의해 지면을 통한 누수도 방지되는 볼트너트 보호용캡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볼트너트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용캡의 사시도.
도3 - 요부 단면도.
도4 - 볼트너트에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캡본체 110 : 볼트너트수용부
120 : 너트결합부 130 : 연장수용부
140 : 결합부재 150 : 접촉돌기
160 : 와셔수용공간부 170 : 볼트
171 : 너트 172 : 와셔
173 : 단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보호하고자 하는 볼트와 결합된 너트 및 볼트가 수용되는 볼트너트 수용부와;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의 상측에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너트 결합부와;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측에 상기 너트결합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볼트의 단부인접부가 수용되는 연장수용부; 상기 너트결합부에 결합수용되어, 너트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볼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캡본체를 볼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캡본체의 외표면상의 너트결합부 대응위치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캡본체를 볼트에 나사 결합/해제하는 경우 회전접촉력을 제공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보호용 캡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캡본체 내부에는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보호하고자 하는 와셔가 수용되는 와셔수용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너트 결합부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너트와 결합된 볼트너트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되어 볼트와 너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미관상 수려하며, 보호용캡과 볼트너트는 볼트부의 나사산과 보호용캡의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됨에 의해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며, 보호용캡이 지면에 접촉되게 됨에 의해 지면을 통한 누수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3은 요부단면도이며, 도4는 볼트너트에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트너트 보호용캡은 크게 캡본체(100)와,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너트결합부(120)와, 연장수용부(130)와, 결합부재(140)와, 접촉돌기(150) 그리고, 와셔수용공간부(160)로 구성된다.
먼저 캡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캡본체(1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측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50)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150)는 상기 캡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세로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돌기(150)의 형성위치는 후술하는 너트 결합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의해 너트 결합부(120)에 결합부재(140)가 결합되어, 결합부재(140)가 볼트(17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상기 접촉돌기(150)가 회전접촉력을 제공하여 상기 캡본체(100)를 용이하게 회전되게 하여 결합부재(140)와 볼트(170)의 나사산의 나사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캡본체(100)의 내부에는 연통된 다수개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캡본체(100)의 내부 제일 상측에는 소정폭을 가지는 연장수용부(13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연장수용부(130)는 원주형상이며, 너트(171)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70)의 단부 인접부가 수용되는 공간부이다.
따라서 상기 연장수용부(130)는 볼트(17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볼트(17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수용부(130) 하측에는 상기 연장수용부(130)와 연통되어 너트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결합부(120)는 통상적으로 후술하는 결합부재(140)의 외각모양이 육각형인 것을 고려하여 볼때 육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결합부재(140)의 외각모양을 고려하여 팔각, 원통 또는 사각 등의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너트결합부(120)에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결합부재(140)가 상기 너트결합부(120)에 삽입수용된 체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통상적인 육각너트로 구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육각이 아니라도 무방하며, 상기 결합부재(140)의 용도는 너트(171)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볼트 등 볼트(1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캡본체(100)를 너트(171)와 결합된 볼트(170)와 결합시킴에 의해 볼트너트를 캡본체(100)가 덮게한다.
즉,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너트결합부(120)에 결합되어 볼트(170)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됨에 의해 캡본체(100)가 볼트너트의 상측을 덮게하여 외부와 밀폐되게 한다.
상기 너트결합부(120) 하측에는 상기 너트 결합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폭이 더 넓은 볼트너트 수용부(11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에는 통상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가 수용되는 바, 너트(171)인 경우에는 통상 하나가 결합되나, 특수 목적상 2개이상이 결합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폭을 넓게 구성하였으며, 직경은 너트(171)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가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에 용이하게 수용되게 구성된다.
즉,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의 캡본체(100) 수용은 용이하게 하며 캡본체(100)와 볼트(170)의 결합은 상기 너트결합부(120)에 접착수용된 결합부재(140)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와셔수용공간부(160)는 상기 볼트너트수용부(110) 하측에 상기 볼트너트수용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수용공간부(160)에는 너트(171) 하측에서 볼트(170)와 결합되는 와셔(172)가 수용된다.
상기의 와셔수용공간부(160)의 형성에 의해 상기 캡본체(100)의 하측단부에는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자연스런 단턱(173)이 형성되며 상기 캡본체(100)가 상기 볼트너트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단턱(173)부분이 지면과 접촉되며 지면과 압착접촉됨에 의해 지면과 캡본체(100) 내부를 차단하여 지면을 통하여 캡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먼지 등도 차단시킴에 의해 볼트너트의 손상을 최소화 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캡본체(100)가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캡본체(100) 내부의 너트결합부(120)에 결합부재(140)를 수용접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캡본체(100)의 개구부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너트(171)와 결합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70)에 캡본체(100)를 덮어 씌운다.
이때 상기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는 상기 볼트너트수용부(110)에 일부수용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캡본체(100)를 나사 회전시킨다.
캡본체(100)가 나사 회전되면 상기 캡본체(100)의 너트결합부(120)에 결합된 결합부재(140)와, 상기 너트(171)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70)의 나사부분이 상호간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캡본체(100)는 볼트너트의 상측을 완전히 덮게된다.
계속된 나사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170)의 단부인접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캡본체(100)의 연장수용부(130)에 일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캡본체(100)의 단턱(173)부는 지면과 압착 접촉되게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캡본체(100)는 볼트(170)에 결합됨과 동시에 볼트(170)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캡본체(100)를 해제하고자 하면 상기 캡본체(100)를 반대로 나사회전시키면 캡본체(100)는 볼트(170)로 부터 분리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너트와 결합된 볼트너트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되어 볼트와 너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미관상 수려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호용캡과 볼트너트는 볼트부의 나사산과 보호용캡의 결합부재 나사부의 결합에 의한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됨에 의해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며, 보호용캡이 지면에 압착 접촉되게 됨에 의해 지면을 통한 누수 등도 방지된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3)

  1.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캡본체(100)와;
    상기 캡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보호하고자 하는 볼트(170)와 결합된 너트(171) 및 볼트(170)가 수용되는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의 상측에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너트 결합부(120)와;
    상기 너트결합부(120)의 상측에 상기 너트결합부(120)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볼트(170)의 단부인접부가 수용되는 연장수용부(130);
    상기 너트결합부(120)에 결합수용되어, 너트(171)와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볼트(17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캡본체(100)를 볼트(17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 그리고,
    상기 캡본체(100)의 외표면상의 너트결합부(120) 대응위치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캡본체(100)를 볼트(170)에 나사 결합/해제하는 경우 회전접촉력을 제공하는 접촉돌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의 하측에 상기 볼트너트 수용부(110)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보호하고자 하는 와셔가 수용되는 와셔수용공간부(16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용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결합부(120)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보호용 캡.
KR2020020024880U 2002-08-21 2002-08-21 볼트 너트 보호용 캡 KR200295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80U KR200295243Y1 (ko) 2002-08-21 2002-08-21 볼트 너트 보호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80U KR200295243Y1 (ko) 2002-08-21 2002-08-21 볼트 너트 보호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243Y1 true KR200295243Y1 (ko) 2002-11-18

Family

ID=7312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880U KR200295243Y1 (ko) 2002-08-21 2002-08-21 볼트 너트 보호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2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5961A1 (en) * 2008-11-12 2010-05-20 Young Soon Lee Anti-corrosion cap for bolts
KR101317332B1 (ko) * 2011-03-22 2013-10-11 심석래 체결부재 및 차단부를 구비한 락볼트 및 너트 보호캡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419251B1 (ko) 2021-07-30 2022-07-11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볼트 보호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5961A1 (en) * 2008-11-12 2010-05-20 Young Soon Lee Anti-corrosion cap for bolts
KR101317332B1 (ko) * 2011-03-22 2013-10-11 심석래 체결부재 및 차단부를 구비한 락볼트 및 너트 보호캡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419251B1 (ko) 2021-07-30 2022-07-11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볼트 보호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658B1 (en) Enclosure for protecting a lug and lug nut
US5290131A (en) Barbed shank fastener
KR200400249Y1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KR20120122118A (ko) 볼트, 너트 도난방지용 캡
WO2011024885A1 (ja)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KR200295243Y1 (ko) 볼트 너트 보호용 캡
JP2001165138A (ja) ロックボルトの防錆装置
KR101317332B1 (ko) 체결부재 및 차단부를 구비한 락볼트 및 너트 보호캡
JPH1137132A (ja) ボルト
KR200362432Y1 (ko) 볼트너트 보호덮개
KR20080058591A (ko) 볼트 너트 보호캡
CN212926503U (zh) 防护结构
KR200360163Y1 (ko) 풀림방지용 너트 캡
JP5275905B2 (ja) 蛇口の止水構造
JP2003232056A (ja) 配管構造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KR100773042B1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보호캡
JP3811497B2 (ja) 止水シート防護装置
US20230286231A1 (en) Apparatus for sealing a hole in a lining or wall
JPH11311234A (ja) 防護ナット
KR19980060439U (ko)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JP2777237B2 (ja) プラスチック封入ナット/ワッシャ組立体
CN112196126A (zh) 防护结构
KR200211922Y1 (ko) 지붕판 이음구 고정구
KR20110028793A (ko) 온도센서를 구비한 볼트너트 보호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807

Effective date: 200712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07

Effective date: 2008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07

Effective date: 200801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9

Effective date: 200810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