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52B1 -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52B1
KR102621152B1 KR1020210075172A KR20210075172A KR102621152B1 KR 102621152 B1 KR102621152 B1 KR 102621152B1 KR 1020210075172 A KR1020210075172 A KR 1020210075172A KR 20210075172 A KR20210075172 A KR 20210075172A KR 102621152 B1 KR102621152 B1 KR 10262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zika virus
seq
prt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443A (ko
Inventor
박현
여선주
누엔티비안
덩단바오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6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spectroscopic/fluorescent detection, e.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8Togaviridae; Flavivirid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상기 펩티드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및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Peptide specifically binding to zika viru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카 바이러스는 플라비비리대(Flaviviridae), 플라비바이러스 속의 모기-매개 계통형(clade)에 속한다. 지카 바이러스는 또한, 바이러스 다단백질에서 약 43%의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으로 스폰드웨니 바이러스(Spondweni virus) 그룹에 속하고, 뎅기 바이러스의 4가지 혈청형과 매우 유사한 특징이 있다. 지카 바이러스는 약 10.7kb의 (+)센스 RNA 게놈을 가진 20면체(icosahedral)의 외피성 바이러스이다. 지카 바이러스의 게놈은 단일 다단백질을 코딩하는데, 상기 다단백질은 캡시드(Capsid, C), 당단백질인 pre-membrane(prM) 및 외막(envelope, E)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 개의 구조 단백질과, 바이러스의 전사, 복제 및 숙주의 항바이러스 반응 지연을 조절하는 NS1, NS2A, NS2B, NS3, NS4A, NS4B 및 NS5를 포함하는 비구조적 단백질(nonstructural protein)로 나눠진다. 캡시드 단백질은 ~12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이러스의 게놈에 결합하여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 코어를 형성한다. prM 단백질은 ~16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숙주세포의 막과 미성숙 융합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며, 외막 단백질은 ~49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숙주세포에 부착, 도입 및 융합을 매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융합 단백질과 세포의 수용체-결합 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지카 바이러스는 1947년 우간다 옆 빅토리아 호수 근방에 위치한 지카 숲의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에서 최초로 발견되었고, 숲모기속(Ades) 모기에 의해 다른 종으로 전염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1953년 우간다 및 탄자니아에서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인간이 처음 보고되긴 하였으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이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아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지카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이 처음으로 밝혀진 이래로, 지카 바이러스는 대체로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2015년 9월, 브라질의 역학 연구에서 지카 바이러스 유행 지역에서 소두증(microcephaly), 즉 두부 및 뇌가 정상보다 작은 선천성 기형을 가지고 태어나는 신생아가 늘어났다는 보고가 있었고, 추가 연구들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가 심각한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제기되어,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은 전세계를 위협하는 질병이 되었다.
지카 바이러스 진단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인기있는 소재로 주로 항체가 사용되어 왔지만, 항체는 높은 생산 단가, 낮은 안정성 및 극도의 환경에서 낮은 기능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면역분석 시스템에서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티드와 지카 바이러스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진단 스트립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소수성(hydrophobicity)을 증가시킨 펩티드를 개발하고 이들을 이용한 지카 바이러스 진단 키트를 개발하였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6227호에는 '지카바이러스 수용체 AXL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및 그를 이용한 AXL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9-0086833호에는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상보성결정부로부터 지카 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후보 펩티드들을 디자인하였고, 후보 펩티드 중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한(결합에너지가 낮은) 펩티드(P6.1, 서열번호 12)를 선별하였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서 도출된 지카 바이러스 결합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일부를 치환하여 소수성을 증가시킨 펩티드(B2.33, 서열번호 41)를 개발하였다. 상기 P6.1 펩티드 및 B2.33를 합성하여 지카 바이러스와의 결합력을 FICT (fluorescent immunochromatographic test kit)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B2.33 (capture) 및 P6.1 (detector) 펩티드의 조합이 이전에 개발된 펩티드에 비해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결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및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지카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는 항체에 비해 크기가 작고, 단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발한 소수성이 높은 펩티드는 진단 스트립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여, 지카 바이러스 특이적 감염 진단을 위한 현장 검사용 키트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에 결합하는 두 항체 결합 구조 파일(Z021, Z004)로부터 SAbPred과 Paratome 도구를 사용하여 각각의 CDR을 예측하여 지카 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펩티드 후보를 도출한 결과이고, 도 1B 내지 도 1D는 각 후보 펩티드와 지카 바이러스(ZIKA) 또는 뎅기 바이러스(DENV)의 외막 단백질간 결합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P < 0.001.
도 2는 이전에 개발한 펩티드로부터 B2.33 펩티드를 디자인 한 것으로, 도 2A는 모체 펩티드(Z_10.8) 및 이로부터 아미노산 잔기가 변형된 다양한 후보 펩티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B 및 도 2C는 지카 바이러스 또는 뎅기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과 후보 펩티드간 결합 에너지 분석 결과이다. ***P < 0.001.
도 3A는 3차 구조 모델링에 의한 결합 에너지 예측 결과이고, 도 3B는 지카 바이러스(ZIKA) 또는 뎅기 바이러스(DENV) 외막 단백질과 후보 펩티드간 상호작용 도킹 모델이고, 도 3C는 후보 펩티드와 항원(외막 단백질) 사이의 수소 결합 예측 결과이다. *P < 0.05, ***P < 0.001.
도 4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과 펩티드간 상호작용을 평가한 것으로, Z_10.8, P6.1, P29.1 및 B2.33 펩티드를 각각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직접 점적한 후 Z_10.2 펩티드(A) 또는 P6.1 펩티드(B)를 detector로 하여 지카 바이러스(ZIKA)의 검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C는 B2.33 펩티드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점적한 후 Z_10.2 또는 P6.1 펩티드를 detector로 하여 치쿤구니아 바이러스(CHIKV) 및 뎅기 바이러스(DENV)에 대한 교차 반응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P < 0.01, ***P < 0.001.
도 5A는 B2.33 펩티드가 검사선(TL)에 고정된 신속진단키트에서 detector 펩티드의 종류에 따른 바이러스 반응성(형광)을 검사선(test line)과 대조선(control line)에서 분석한 결과이고, 도 5B는 펩티드가 검사선(TL)에 고정된 신속진단키트에서 Eu-NP 축합 마우스 IgG 점적 후 형광값(TL/CL) 분석 결과이다. UN: 바이러스 무처리, CHIKV: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DENV: 뎅기 바이러스, ZIKA: 지카 바이러스, *P < 0.05, **P < 0.01, ***P < 0.001.
도 6은 B2.33 펩티드가 고정된(capture 기능) 신속진단키트에서 detector 펩티드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 검출 한계 분석 결과이다. *P < 0.05, **P < 0.01, ***P < 0.001.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펩티드(peptide)'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의 범위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한다.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티드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펩티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펩티드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의 아미노 말달에 형광물질이 결합된 펩티드일 수 있고, 상기 형광물질은 유로피움(Europium) 형광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펩티드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로 상술한 것과 같으며, 형광물질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는 소수성이 높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에 직접적으로(directly) 점적되어, 지카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는(capture) 특성이 있다.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은 검출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예컨대, 항체) 또는 완충액(buffer)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및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는 형광물질이 결합된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는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기판에 흡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으로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막, 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검출용 키트는 분석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을 가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는 본 발명의 펩티드와 형광물질이 결합된 결합체를 포함하여 목적하는 항원을 면역검출할 수 있는 형광면역측정법을 사용하는 형광면역진단키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LISA (Fluorescenc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또는 FICT (fluorescent immunochromatographic test kit)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FIC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FICT는 스트립 형태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유리 섬유(glass fiber) 또는 코튼(cotton) 재질의 패드를 결합시켜서 시료를 투입(흡착)할 수 있는 시료주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료주입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카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는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고정된 검사선 및 상기 검사선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우스 IgG를 검출할 수 있는 이차 항체(항-마우스 IgG)가 고정된 대조선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형광체의 경우 여기(excitation) 파장과 방출(emission) 파장대가 높을수록, 즉, 낮은 에너지로 여기가 가능할수록 보다 저렴한 형태의 광원을 선택할 수 있어 측정 장비들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역 물질과 형광체와의 축합(conjugation) 반응 결합체는 형광면역측정법을 이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사용할 준비가 된(ready-to-use) 형태의 형광체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상기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지카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형광물질과 결합된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트를 이용한다. 상기 키트는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검사선(test line)에 고정되어 있어 시료 내 지카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에 포획된 지카 바이러스는 형광물질과 결합된 서열번호 12의 펩티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 가능성이 있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료'는 검출 대상체로 샘플 또는 검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상기 시료는 예컨대, 혈액, 림프, 골수액, 타액, 유즙, 소변, 분변, 안구액, 정액, 뇌추출 액, 척수액, 관절액, 복수, 양막액 또는 세포조직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시약
본 발명에 사용된 펩티드는 펩트론(한국)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S/V-COOH) 유로피움 나노파티클(Europium nanoparticle, Eu-NP) 비드(0.1㎛)는 Bangs Laboratories Inc.(미국)에서 구입하였으며, EDC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및 Sulfo-NHS (N-hydroxysulfosuccinimide sodium salt)는 Thermo Scientific(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펩티드 디자인 및 분석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는 PDB bank (https://www.rcsb.org/)에 등록된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과 항체 결합 구조 파일[Z021;PDB 6DFI, Z004;6UTA]에서 SAbPred (http://opig.stats.ox.ac.uk/webapps/newsabdab/sabpred/)과 Paratome (http://www.ofranlab.org/paratome/)에 의해 예측된 상보성결정부(complementarity-determining region, CDR) 서열로 디자인되었다.
지카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과 펩티드의 3D 구조는 I-TASSER (https://zhanglab.ccmb.med.umich.edu/I-TASSER/)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PyMOL molecular Graphic 시스템으로 시각화하였다. 펩티드의 결합력은 PyRx-virtual Screening Tool (https://sourceforge.net/projects/pyrx/)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킹 결과는 펩티드들의 방향이 표적하는 활성자리에서 유연하고 차등있는 세트가 선호됨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분자로서 수용체 결합 자리를 도입한 지카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3. 유로피움(Europium)과 펩티드 결합체 제조
유로피움 결합체는 여선주 등(Sci Rep. 2017, 7:7933)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카복실레이트 아민(carboxylate amine) 응집법에 기반하여, 10㎕ 유로피움(0.1㎛, 1% w/t, Bangs lab.)과 500㎕의 0.05M MES 버퍼(pH 6.1)를 반응시켰다. 그 후, EDC/HNS 시약을 첨가하여 유로피움-나노파티클(이하, Eu-NP) 표면에 교차결합을 만들었다. 25℃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17,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반응하지 않은 성분들은 제거하였다. 활성화된 Eu-NP는 100μM 농도의 펩티드 60㎕과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은 470㎕의 0.1M 인산나트륨(pH 8.0)에서 25℃, 2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1% BSA와 0.2% 붕사(Borax, pH 9.0)를 함유한 저장 버퍼로 반응물을 세척한 후, 200㎕의 저장 버퍼를 넣고 4℃에서 보관하였다.
4. 펩티드 기능성 분석
후보 펩티드의 소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1㎎/㎖의 펩티드를 점적시킨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고정화시킨 후, Eu-NP 결합된 펩티드(detector로 기능)를 이용하여 지카 바이러스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형광분석은 Infinite F200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분석하였고, 여기파장(Ex), 방출파장(Em)은 각각 365, 610nm이다.
최종 선택된 후보 펩티드의 기능성은 직접 FICT (fluorescent immunochromatographic test kit)를 통해 확인하였다. 키트는 도 5A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시료주입부에 Eu-NP 결합된 펩티드(detector) 2㎕ 및 Eu-NP 결합된 마우스 IgG (내부 대조구) 2㎕를 먼저 로딩한 후,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는 시료에 스트립을 담궈 전개시켰다. 그 후, 검사선(TL)과 대조선(CL)의 형광분석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 검출 여부를 분석하였다. 형광분석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1. 펩티드 디자인 및 도킹
두 항체 [Z021;PDB 6DFI, Z004;6UTA]에서 SAbPred과 Paratome tool을 이용하여 상보성결정부(CDR) 서열을 예측하였다(도 1A). 예측된 각 CDR 서열의 아미노 말단에 형광물질의 -COOH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리신(lysine, K) 잔기를 추가하였다. 도출된 후보 펩티드와 지카 바이러스(ZIKV) 또는 뎅기 바이러스(DENV) 외막 단백질간 결합 에너지 및 RMSD (Root Mean Square Deviation)를 PyR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IKV 외피 단백질에 대해, P6.1은 -8.1±0.28 kcal/mol(평균±SD)의 결합 에너지를 보여 다른 펩티드와 비교하여 ZIKV 외피 단백질에 대해 높은 결합력이 예측되었다. 또한, P29.1은 ZIKV 외피 단백질에 대해 -7.18±0.18 kcal/mol의 결합 에너지를 보여주었다. 상기 두 개의 펩티드는 ZIKV 외피 단백질에 대한 결합 에너지가 DENV 외피 단백질에 대한 결합 에너지보다 유의성 수준(P <0.001)에서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도 1 B-D), 상기 두 개의 펩티드를 선택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발명자는 현장 검사용 진단 키트에 적용하기 위해, 스트립에 직접 점적가능한 지카 바이러스 특이적 펩티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알려진 Z_10.8 펩티드에서 Z_2.1 펩티드(KRHVVSCLGS)로 변형한 후 상기 펩티드를 주형으로 이용하여 여러 변이 펩타이드를 설계하고 3D 구조상에서 결합 에너지 및 RMSD를 분석하여 ZIKA 외피 단백질에 대한 결합 에너지가 낮은(=결합력이 우수한) B2.33 펩티드(KRHVWVSLSYSCAEA; 서열번호 41)를 선택하였다(도 2).
상기에서 선택된 후보 펩티드 3종(P6.1, P29.1 및 B2.33)과, 이전의 연구(한국등록특허공보 10-2004693)에서 개발한 Z_10.2(음성 대조구, KRQTVSCAEA; 서열번호 43) 및 Z_10.8 (양성 대조구, KRAVVSCAEA; 서열번호 44) 펩티드에 대해서 3차 구조 모델링에 의한 결합 에너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펩티드 Z_10.8에 비해 신규 펩티드 P6.1이 보다 낮은 결합 에너지를 보여,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보다 높은 결합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도 3A). 또한, 3차 구조 모델링을 통해 신규 펩티드 P6.1이 지카 바이러스 외막 단백질에 결합하는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추되었고(도 3B), 수소 결합을 일으키는 아미노산의 총 개수 합산 값과 총 거리의 합산 값을 통해 개수 합이 크고, 거리 합이 적을수록 지카 바이러스에 유리할 것으로 예측되는 수소 결합의 값도 P6.1이 개수 합이 가장 높아 본 발명의 신규 펩티드인 P6.1이 기존 펩티드에 비해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 결합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되었다(도 3C).
실시예 2. 후보 펩티드의 소수성(hydrophobicity) 분석
본 발명자는 실시예 1에서 선택된 후보 펩티드들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직접 점적하여 포획(capture)용 펩티드로 사용가능한지 평가하였다.
각 펩티드의 소수성 성질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 4A 및 도 4B에 개시된 바와 같이, B2.33 펩티드를 점적(capture)한 조건에서만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형광 신호가 검출되었다. 또한, B2.33 펩티드를 포획용으로 사용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신규 펩티드(P6.1)가 음성 대조구 펩티드(Z_10.2)보다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 인식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B2.33 펩티드를 포획용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점적하였을 때 뎅기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일부 형광 신호가 확인되었으나,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형광 신호가 뎅기 바이러스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게 확인되었으므로, 점적되는 B2.33 펩티드의 농도를 조절하여 비특이적 반응에 대한 반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소수성을 예측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후보 펩티드들의 소수성 값을 분석한 결과, B2.33이 Hopp-Woods index에서 -0.21, Eisengerg index에서 0.01, Cornette index에서 1.29 값을 보여주었다(표 1).
후보 펩티드의 소수성 값 분석 결과
Hydrophobicity Scales Hydrophobicity Average Value of Peptides
Z_10.2 Z_10.8 P6.1 P29.1 B2.33
Hopp-Woods 0.56 0.38 0.02 -0.02 -0.21
Eisenberg -0.32 -0.06 -0.37 -0.06 0.01
Cornette 0.05 1.01 -0.47 0.06 1.29
Wimley-White 0.48 0.44 0.14 0.11 0.08
-http://resources.qiagenbioinformatics.com/manuals/clcgenomicsworkbench/650/Hydrophobicity_scales.html
-https://doi.org/10.1016/0161-5890(83)90029-9 Hopp-Woods
-https://doi.org/10.1016/0022-2836(84)90309-7 Eisenberg
-https://doi.org/10.1016/0022-2836(87)90189-6 Cornette
-https://blanco.biomol.uci.edu/hydrophobicity_scales.html Wimley-White

Calculated method:
Hydrophobicity average value = Sum (hydrophobicity index of all aa) / number of aa
표 1의 결과를 도 4의 결과에 비춰 판단할 때, Hopp-Woods index, Eisengerg index, Cornette index 값이 향후 스트립 막에 점적할 수 있는 펩티드를 선정하는데 유용한 지표 값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는 B2.33 펩티드 0.5㎎/㎖을 검사선(test line)에 직접 점적하여 고정하고, 대조선(control line)에는 0.3㎎/㎖의 anti-mouse IgG (goat polyclonal anti-mouse IgG, KOMABIOTECH)가 고정된 스트립을 제조한 후, Eu-NP와 축합한 후보 펩티드들을 검출용(detector)으로 사용하여 3.2x105 TCID50/㎖의 지카 바이러스,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검출 여부를 분석하였다. 방법은, Eu-NP와 축합한 각 펩티드와 Eu-NP 축합 마우스 IgG (mIgG; IgG from mouse serum, SIGMA)를 동시에 스트립에 반응시킨 후 각 바이러스 시료를 처리하고 20분 후 검사선과 대조선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B2.33은 검사선에서 지카 바이러스 외, 뎅기 바이러스에도 높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anti-mouse IgG가 점적되어 있어 어떤 종류의 펩티드와도 결합이 일어날 수 없는 대조선에서도 비특이적 결합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5A). 이를 통해 비특이성이 높은 B2.33은 검출용(detector) 펩티드로는 부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펩티드 Z_10.8보다 본 발명의 신규 P6.1 펩티드가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보다 우수한 반응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신속진단키트에서 지카 바이러스의 검출 한계 분석
본 발명자는 B2.33 펩티드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검사선(TL)에 고정하고, 항-마우스 IgG 항체를 대조선(CL)에 고정한 신속진단키트(도 5A)에, detector 펩티드로 Z_10.2(음성 대조구), Z_10.8 (한국등록특허공보 10-2004693), P6.1 또는 P29.1을 조합하여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검출 한계를 분석하였다. Detector 펩티드는 유로피움과 결합된 형태이고, 각 실험에 대한 내부 대조구로 유로피움과 결합한 항-마우스 IgG 항체를 사용하였다.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펩티드 조합의 검출 한계 비교 결과, 본 발명에서 개발한 P6.1 펩티드를 detector로 사용한 경우 검출 한계가 20x103 TCID50/㎖로 확인된 반면, 이전에 개발한 펩티드(Z_10.8)를 detector로 사용한 경우 검출 한계가 40x103 TCID50/㎖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서 개발한 펩티드(P6.1)가 기존 펩티드에 비해 두 배 높은 민감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6). 또한, 본 발명에서 개발한 펩티드는 치쿤구니아 바이러스(CHIKV) 및 뎅기 바이러스(DENV)에는 교차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110>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Peptide specifically binding to zika virus and uses thereof <130> PN21163 <160> 4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 peptide <400> 1 Gly Gly Ser Ile Asp Thr Tyr Tyr Trp Ser 1 5 10 <210> 2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1 peptide <400> 2 Lys Gly Gly Ser Ile Asp Thr Tyr Tyr Trp Ser 1 5 1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 peptide <400> 3 Tyr Tyr Ser Val Asp Asn His Phe Asn Pro 1 5 10 <210> 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1 peptide <400> 4 Lys Tyr Tyr Ser Val Asp Asn His Phe Asn Pro 1 5 10 <210> 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 peptide <400> 5 Arg Asn Gln Pro Gly Gly Arg Ala Phe Asp Tyr 1 5 10 <210> 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1 peptide <400> 6 Lys Arg Asn Gln Pro Gly Gly Arg Ala Phe Asp Tyr 1 5 10 <210> 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 peptide <400> 7 Arg Ala Ser Gln Ser Val Ser Asn Tyr Phe Ala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 peptide <400> 8 Lys Arg Ala Ser Gln Ser Val Ser Asn Tyr Phe Ala 1 5 10 <210> 9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5 peptide <400> 9 Tyr Asp Thr Ser Lys Arg Ala Thr Gly Thr Pro Ala 1 5 10 <210> 10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5.1 peptide <400> 10 Lys Tyr Asp Thr Ser Lys Arg Ala Thr Gly Thr Pro Ala 1 5 10 <210> 1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6 peptide <400> 11 Gln Glu Arg Asn Asn Trp Pro Leu Thr Trp Thr 1 5 10 <210> 1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6.1 peptide <400> 12 Lys Gln Glu Arg Asn Asn Trp Pro Leu Thr Trp Thr 1 5 10 <210> 1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5 peptide <400> 13 Ser Gly Phe Thr Phe Arg Asp Tyr Ala Met 1 5 10 <210> 1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5.1 peptide <400> 14 Lys Ser Gly Phe Thr Phe Arg Asp Tyr Ala Met 1 5 10 <210> 15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6 peptide <400> 15 Tyr Ser Gly Ile Asp Asp Ser Thr Tyr Tyr Ala Asp Ser Val Lys Gly 1 5 10 15 Arg Phe Thr Ile Ser 20 <210> 16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6.1 peptide <400> 16 Lys Tyr Ser Gly Ile Asp Asp Ser Thr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Arg Phe Thr Ile Ser 20 <210> 1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7 peptide <400> 17 Lys Asp Arg Gly Pro Arg Gly Val Gly Glu Leu Phe Asp Ser 1 5 10 <210> 1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8 peptide <400> 18 Arg Ala Ser Gln Ser Ile Ser Lys Trp Leu Ala 1 5 10 <210> 19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8.1 peptide <400> 19 Lys Arg Ala Ser Gln Ser Ile Ser Lys Trp Leu Ala 1 5 10 <210> 20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9 peptide <400> 20 Tyr Thr Thr Ser Thr Leu Lys Ser Gly Val 1 5 10 <210> 2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9.1 peptide <400> 21 Lys Tyr Thr Thr Ser Thr Leu Lys Ser Gly Val 1 5 10 <210> 2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0 peptide <400> 22 Gln His Phe Tyr Ser Val Pro Trp Thr Phe 1 5 10 <210> 2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0.1 peptide <400> 23 Lys Gln His Phe Tyr Ser Val Pro Trp Thr Phe 1 5 10 <210> 2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_2.1 peptide <400> 24 Lys Arg His Val Val Ser Cys Leu Gly Ser 1 5 10 <210> 2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17 peptide <400> 25 Lys Cys His Gln Val Val Ser Cys Leu Gly Ser 1 5 10 <210> 2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18 peptide <400> 26 Lys Gln His Thr Met Ser Cys Leu Gly Ser 1 5 10 <210> 2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19 peptide <400> 27 Lys Gln His Thr Glu Ser Cys Leu Gly Ser 1 5 10 <210> 2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0 peptide <400> 28 Lys Gln His Thr Glu Ser Cys Leu Glu Ala 1 5 10 <210> 2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1 peptide <400> 29 Lys Arg His Val Trp Val Ser Cys Ala Glu Ala Leu Gly Ser Tyr 1 5 10 15 <210> 3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2 peptide <400> 30 Lys Arg His Val Trp Phe Val Ser Cys Leu Gly Ser Tyr His 1 5 10 <210> 3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3 peptide <400> 31 Lys Arg Ala Val Phe Val Ser Cys Ala Glu Ala His 1 5 10 <210> 3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4 peptide <400> 32 Lys Arg His Val His Val Ser Cys Leu Tyr Gly Ser Gln 1 5 10 <210> 3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5 peptide <400> 33 Lys Arg Ala Val Val Ser Trp Cys Ala Trp Glu Ala His 1 5 10 <210> 34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6 peptide <400> 34 Lys Arg His Val Trp Val Ser Cys Ala Glu Ala Trp Tyr 1 5 10 <210> 35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7 peptide <400> 35 Lys Arg His Val Trp Val Ser Cys Ala Glu Ala His Ala 1 5 10 <210> 36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8 peptide <400> 36 Lys Arg His Val Trp Gln Val Ser Cys Leu Gly Ser Tyr His 1 5 10 <210> 3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29 peptide <400> 37 Lys Arg His Trp Trp Ser Cys Leu Gly Ser Cys Ala Glu Ala 1 5 10 <210> 3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30 peptide <400> 38 Lys Arg His Trp Trp Ser Ser Cys Ala Glu Ala 1 5 10 <210> 39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31 peptide <400> 39 Lys Arg His Val Trp Val Ser Cys Leu Gly Ser Tyr Ser Cys Ala Glu 1 5 10 15 Ala <210> 40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32 peptide <400> 40 Lys Arg His Val Trp Val Ser Cys Trp Gly Ser Tyr Ser Cys Ala Glu 1 5 10 15 Ala <210> 4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33 peptide <400> 41 Lys Arg His Val Trp Val Ser Leu Ser Tyr Ser Cys Ala Glu Ala 1 5 10 15 <210> 4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34 peptide <400> 42 Lys Arg His Val His Val Ser Cys Ala Glu Ala Trp 1 5 10 <210> 4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_10.2 peptide <400> 43 Lys Arg Gln Thr Val Ser Cys Ala Glu Ala 1 5 10 <210> 4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_10.8 peptide <400> 44 Lys Arg Ala Val Val Ser Cys Ala Glu Ala 1 5 10

Claims (6)

  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형광물질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5.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및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6.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제5항에 따른 지카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를 이용하여 지카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0075172A 2021-06-10 2021-06-10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62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72A KR102621152B1 (ko) 2021-06-10 2021-06-10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72A KR102621152B1 (ko) 2021-06-10 2021-06-10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43A KR20220166443A (ko) 2022-12-19
KR102621152B1 true KR102621152B1 (ko) 2024-01-09

Family

ID=8453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172A KR102621152B1 (ko) 2021-06-10 2021-06-10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47199A1 (en) 2017-04-07 2020-05-14 The Rockefeller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human neutralizing antibodies to zika and dengue 1 vir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47199A1 (en) 2017-04-07 2020-05-14 The Rockefeller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human neutralizing antibodies to zika and dengue 1 vir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olecules. 2019. Vol.9(9), Article 4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43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686B2 (en) Combination hepatitis C virus antigen and antibody detection method
EP3119801B1 (en) Distinguishing flavivirus infection using a recombinant mutant envelope protein
CN108650889B (zh) 用于诊断病毒感染的免疫测定法
KR20090056294A (ko) 병원성 뉴캐슬병 바이러스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CN106556592B (zh) 定量检测人tk1的化学发光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12285348B (zh) 新冠病毒疫苗表达抗原蛋白的电化学发光免疫检测试剂盒
CN112213497B (zh) 检测新型冠状病毒s蛋白独特性抗体的多肽-elisa试剂盒
ES2248357T3 (es) Composicion de antigeno mosaico de vhc.
CN113447651A (zh) 筛选SARS-CoV病毒的抑制剂的方法和试剂盒及其应用
WO2005106483A1 (en) Detection of west nile virus
US5824506A (en) Dengue virus peptides and methods
Holzmann et al.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envelope protein E-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study of low pH-induced conformational changes and immature virions
KR102621152B1 (ko) 지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190091823A (ko) 뎅기 바이러스 및 지카 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1에 동시에 결합 가능한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및 이로부터 생성된 항체, 이의 용도
ES232734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tectar el virus de la inmunodeficiencia felina.
KR102004693B1 (ko) 지카 바이러스의 외막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EP1664786B1 (en) Detection of west nile virus infection and vaccination
CN113512097A (zh) 多肽、三聚体、SARS-CoV-2中和抗体的检测试剂和检测试剂盒
KR102218561B1 (ko) 단일클론항체 쌍을 이용한 뎅기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
KR20210011273A (ko)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이의 용도
CN114478716B (zh) 一种多肽组合及其在新型冠状病毒抗体检测中的应用
KR102218517B1 (ko) 단일클론항체 쌍을 이용한 지카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
KR20220066581A (ko)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특이적 항체의 역가 측정방법
CN110317246A (zh) 人mog抗原表位肽、抗原、抗体、应用及化学发光试剂盒
KR102227257B1 (ko) 플라비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