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075B1 -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075B1
KR102621075B1 KR1020210152692A KR20210152692A KR102621075B1 KR 102621075 B1 KR102621075 B1 KR 102621075B1 KR 1020210152692 A KR1020210152692 A KR 1020210152692A KR 20210152692 A KR20210152692 A KR 20210152692A KR 102621075 B1 KR102621075 B1 KR 10262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rona
supply line
uni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7040A (ko
Inventor
임광근
Original Assignee
임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광근 filed Critical 임광근
Priority to KR102021015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0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라인부;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라인부; 및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합지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Protection Film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름에 인쇄, 건식 라미내이팅 처리(dry laminating treatment) 또는 코팅 등의 다양한 도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필름 표면에 코로나 처리(corona treatment, 고주파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코로나 처리란, 폴리에틸렌 필름(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등)에 고주파수의 고전압의 전자를 투과시켜 표면상의 수십 nano 의 거친 정도를 만들어 인쇄, 코팅의 젖음성의 향상 또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등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코로나 처리가 된 필름은, 필름과 인쇄물 간 층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반면, 코로나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필름은 슬립 현상으로 인해 필름과 인쇄, 코팅 또는 합지 간 층 분리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4639호(1998.11.05.)는 라미네이팅 연포장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는데,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에틸렌필름, 연신 알루미늄증착 폴리프로필렌필름, 무연신 알루미늄증착 폴리프로필렌필름 및 알루미늄증착 폴리에틸렌필름 중 임의의 두 필름을 접합하여 얻는 연포장 필름에 있어서, 두 접합필름의 접합 계면에 실리콘 롤에서 코로나 처리를 하면서 같은 실리콘롤로 지체없이 가압하여 두 필름을 접합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2530호(2013.09.23.)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는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라미네이팅 필름을 생성하는 라미네이팅 롤; 및 라미네이팅 필름을 생성하는 라미네이팅 롤 주변의 일정 영역을 일정 기압 또는 기 설정된 가스 환경으로 형성하는 라미네이팅 챔버를 포함하고, 라미네이팅 챔버는, 제1 기압 환경을 형성하는 제1 라미네이팅 챔버; 및 제1 라미네이팅 챔버 내부에 형성되며, 제1 기압보다 낮은 제2 기압 환경을 형성하는 제2 라미네이팅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에는 보호필름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즉, 앞면과 뒷면 모두 고주파 처리가 된 필름)를 하여, 장기간(예를 들어, 상온에서 10일 이상) 보관할 시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감겨있던 필름이 풀리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463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1253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라인부;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라인부; 및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합지롤러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공급라인부는,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길이의 제1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1필름공급롤러수단;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코로나처리수단;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처리수단; 및 상기 제1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기 위한 제1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공급라인부는, 기 설정된 길이의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2필름공급롤러수단; 및 상기 제2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코로나처리수단; 상기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쇄수단; 및 상기 제2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기 위한 제2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을 와인딩 하기 위한 와인딩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하기 위한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공급라인부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하는 제1필름공급단계; 제2공급라인부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하는 제2필름공급단계; 및 합지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와인딩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을 와인딩하는 와인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합지함으로써, 단면 코로나 처리 및 양면 코로나 처리된 필름을 보호테이프 사양에 적합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인쇄 처리된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녹는 현상을 제거하여 잉크가 번지거나 퍼져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공급라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2공급라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제1공급라인부(100), 제2공급라인부(200), 합지롤러부(300)를 포함한다.
제1공급라인부(100)는,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합지롤러부(300)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1필름은,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25 내지 30㎛ 등)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필름(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필름의 두께가 25㎛ 이하일 경우에는, 생산이 어렵고, LD-PE 또는 HD-PE 등이 코로나 처리 작업 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녹아버릴 수 있으며, 제1필름의 두께가 25㎛ 내지 30㎛ 이상일 경우에도, 양면(앞면과 뒷면)을 동시에 코로나 처리를 하면 동시 코로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견디지 못하고 역시 녹아버릴 수 있다.
따라서 일면에만 코로나 처리된 두께가 25㎛ 내지 30㎛의 제1필름을 공급받아 2차 코로나 처리를 함으로써, 양면(앞면과 뒷면)을 동시에 코로나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고열을 견디지 못하고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공급라인부(100)는, 코로나 처리를 코로나 방전 처리(discharge treatment)라고도 하며,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염을 발생시켜 그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켜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로 대신할 수 있다.
제2공급라인부(200)는,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한 면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2필름은,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25 내지 30㎛ 등)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필름(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합지롤러부(300)는, 제1공급라인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합지롤러부(300)는, 제1공급라인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제1필름 중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제2공급라인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제2필름 중 인쇄 처리된 면을 합지할 수 있다. 즉, 합지된 필름의 양 면 중 일면(즉, 제1필름의 양면 중 합지되지 않은 면)은 코로나 처리된 면이며, 다른 일면(즉, 제2필름의 양면 중 합지되지 않은 면)은 코로나 처리가 되지 않은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합지롤러부(300)는, 건식 라미네이션 처리(dry lamination treatment)에 의해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 라미네이션 처리(dry lamination treatment)는, 접착제를 칠하여 우선 건조한 후, 피접착제와 밀착시켜 가열 가압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합치는 공법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합지롤러부(300)는, 습식 라미네이션 처리(wet lamination treatment)에 의해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습식 라미네이션 처리(wet lamination treatment)는, 물 또는 용제에 녹인 접착제를 칠한 후 즉시 겹쳐 붙이는 공법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합지롤러부(300)는, 실리콘롤러 및 스틸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롤러는, 제1공급라인부(100)로부터 제1필름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제1필름을 스틸롤러로 전달한다.
스틸롤러는, 실리콘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제2필름을 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와인딩롤러부(400)를 더 포함한다.
와인딩롤러부(400)는, 합지롤러부(300)(즉, 스틸롤러)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을 와인딩한다.
이때, 합지롤러부(300)에서 와인딩롤러부(400)로 필름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와인딩롤러부(40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제1공급라인부(100)에서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200)에서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합지롤러부(300)를 이용하여 합지함으로써, 단면 코로나 처리 및 양면 코로나 처리된 필름을 보호테이프 사양에 적합하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테이프란, 중량물 포장할 때 또는 제품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랩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 되어있으며, 약간의 접착력이 있어서 철골이나 금속같은 표면에도 잘 붙어 감긴다.
또한, 접착제 처리와 인쇄 처리를 동시에 진행하지 않고, 제1공급라인부(100)와 제2공급라인부(200)에서 접착제 처리와 인쇄 처리를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인쇄 처리된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녹는 현상을 제거하여 잉크가 번지거나 퍼져보이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공급라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공급라인부(100)는,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 제1코로나처리수단(120), 접착제처리수단(130), 제1건조수단(140)을 포함한다.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은,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3,000m 내지 7,000m 등)의 제1필름을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필름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은, 필요에 따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필름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은,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한 제1필름을 접착제처리수단(13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은,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즉, 코로나 처리되지 않은 면)에 코로나 처리를 1회 수행하기 위해 1개로 형성되거나, 복수회 수행하기 위해 복수개(예를 들어, 2개 내지 5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은, 제1코로나처리기(121) 및 제1냉각풍발생기(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코로나처리기(121)는,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제1냉각풍발생기(122)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코로나처리기(121)는, 폴리에틸렌 필름(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등)에 고주파수의 고전압의 전자를 투과시켜 표면상의 수십 nano 의 거친 정도를 만들어 인쇄, 코팅의 젖음성의 향상 또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등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냉각풍발생기(122)는, 제1코로나처리기(121)에서 전달되는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에 바람을 불어 냉각시키며, 해당 냉각된 필름을 접착제처리수단(140)으로 전달한다.
이때, 제1냉각풍발생기(122)는, 제1필름이 제1코로나처리기(121)에서 코로나 처리 시 발생되는 열을 견디지 못하고 균열 또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처리수단(130)은,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건조수단(14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접착제처리수단(130)은,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에서 코로나 처리한 면에 해당하는 제1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제1건조수단(140)은, 접착제처리수단(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며, 열풍 건조한 제1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건조수단(140)은, 접착제처리수단(130)에서 접착제 처리된 제1필름을 열풍 건조하기 위해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m 내지 20m 등) 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건조수단(140)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 내지 80 ℃ 등)의 열풍을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된 열풍을 접착제처리수단(13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제1필름에 불어서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건조수단(140)은, 제1전송롤러(141) 및 제1열풍기(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전송롤러(141)는, 접착제처리수단(130)에서 전달되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필름을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0m 내지 20m 등)만큼 전송시키며, 해당 전송된 제1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전송롤러(141)는, 제1필름이 전송되는 길이가 줄어들면 제1열풍기(142)에 의해 건조되는 정도가 줄어들고, 제1필름이 전송되는 길이가 늘어나면 제1열풍기(142)에 의해 건조되는 정도가 늘어나는 바, 접착제처리수단(130)에 의해 접착되는 접착제의 양에 대응하여 전송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1열풍기(142)는, 제1전송롤러(141)에 의해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0m 내지 20m 등)만큼 전송되는 제1필름에 열풍을 불어 건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열풍기(142)는,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 내지 80 ℃ 등)의 열풍을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된 열풍을 접착제처리수단(13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제1필름에 불어서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열풍기(142)는, 제1전송롤러(141)에 의해 전송되는 필름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공급라인부(100)는,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 제1코로나처리수단(120), 접착제처리수단(130) 및 제1건조수단(140)간에 전달되는 제1필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2공급라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공급라인부(200)는,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 제2코로나처리수단(220), 인쇄수단(230), 제2건조수단(240)을 포함한다.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은,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3,000m 내지 7,000m 등)의 제2필름을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은, 필요에 따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필름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은,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된 제2필름을 인쇄수단(23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은, 폴리에틸렌 필름(예를 들어,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등)에 고주파수의 고전압의 전자를 투과시켜 표면상의 수십 nano 의 거친 정도를 만들어 인쇄, 코팅의 젖음성의 향상 또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등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은, 제1코로나처리수단(12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인쇄수단(230)은,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 처리를 하며, 해당 인쇄 처리한 제2필름을 제2건조수단(24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수단(230)은,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용 도료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문자, 도형, 그림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쇄수단(230)은,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에서 코로나 처리된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 처리를 하기 위해 1개 또는 복수개(예를 들어, 2개 내지 10개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건조수단(240)은, 인쇄수단(2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며, 열풍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건조수단(240)은, 인쇄수단(230)에서 인쇄 처리된 제2필름을 건조하는 것으로, 히팅롤러, 열풍기 등 다양한 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건조수단(240)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 내지 80 ℃ 등)의 열풍을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된 열풍을 인쇄수단(230)에서 인쇄 처리된 제2필름에 불어서 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공급라인부(200)는,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 제2코로나처리수단(220), 인쇄수단(230) 및 제2건조수단(240)간에 전달되는 제2필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에 감겨있는 제2필름을 기준으로 외면에 인쇄를 할 경우,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필름을 공급받아, 제2필름의 외면에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을 통해 코로나 처리한 후에 인쇄수단(230)과 제2건조수단(240)을 이용하여 인쇄 및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제2필름의 내면에는 별도로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에 감겨있는 제2필름을 기준으로 내면에 인쇄를 할 경우,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필름을 공급받아, 제2필름의 내면에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을 통해 코로나 처리한 후에 인쇄수단(230)과 제2건조수단(240)을 이용하여 인쇄 및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제2필름의 외면에는 별도로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코팅부(500)를 더 포함한다.
코팅부(500)는,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한다.
여기서, 전도성 코팅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술폰산 (PEDOT/PSS), 폴리아닐린(polyaniline) 및 폴리피롤(polypyrrole)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부(500)는,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양표면 중 어느 하나에만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하거나, 필름의 양표면 전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부(500)는,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부(500)는, 합지롤러부(300)와 와인딩롤러부(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호필름 가공 장치(10)는, 1공급라인부(100)에서 양면에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접착제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200)에서 일면만 코로나 처리된 필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롤러부(300)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합지된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정전기 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제조, 운반 및 사용 중에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필름 가공 방법은, 제1필름공급단계(S100), 제2필름공급단계(S200), 합지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1필름공급단계(S100)는, 제1공급라인부(100)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단계(S100)는,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을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3,000m 내지 7,000m 등)의 제1필름을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단계(S100)는,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을 이용하여 제1필름공급롤러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한 제1필름을 접착제처리수단(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단계(S100)는, 접착제처리수단(130)을 이용하여 제1코로나처리수단(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건조수단(1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필름공급단계(S100)는, 제1건조수단(140)을 이용하여 접착제처리수단(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며, 열풍 건조한 제1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필름공급단계(S200)는, 제2공급라인부(200)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단계(S200)는,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3,000m 내지 7,000m 등)의 제2필름을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단계(S200)는,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을 이용하여 제2필름공급롤러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며, 해당 코로나 처리된 제2필름을 인쇄수단(2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단계(S200)는, 인쇄수단(230)을 이용하여 제2코로나처리수단(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 처리를 하며, 해당 인쇄 처리한 제2필름을 제2건조수단(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필름공급단계(S200)는, 제2건조수단(240)을 이용하여 인쇄수단(2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며, 열풍 건조한 제2필름을 합지롤러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합지단계(S300)는, 합지롤러부(300)를 이용하여 제1공급라인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제2공급라인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합지단계(S300)는, 제1공급라인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제1필름 중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제2공급라인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제2필름 중 인쇄 처리된 면을 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호필름 가공 방법은, 와인딩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와인딩단계(S400)는, 와인딩롤러부(400)를 이용하여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을 와인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호필름 가공 방법은, 코팅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코팅단계(S500)는, 코팅부(500)를 이용하여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단계(S500)는, 분사 노즐을 통해 합지롤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분사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팅단계(S500)는, 와인딩단계(S40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와인딩단계(S400)는, 코팅단계(S500)에서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가 코팅된 필름을 와인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보호필름 가공 장치
100 : 제1공급라인부
110 : 제1필름공급롤러수단
120 : 제1코로나처리수단
121 : 제1코로나처리기
122 : 제1냉각풍발생기
130 : 접착제처리수단
140 : 제1건조수단
141 : 제1전송롤러
142 : 제1열풍기
200 : 제2공급라인부
210 : 제2필름공급롤러수단
220 : 제2코로나처리수단
230 : 인쇄수단
240 : 제2건조수단
300 : 합지롤러부
400 : 와인딩롤러부
500 : 코팅부

Claims (5)

  1.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라인부;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라인부; 및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합지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라인부는,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길이의 제1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1필름공급롤러수단;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코로나처리수단;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처리수단; 및
    상기 제1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기 위한 제1건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라인부는,
    기 설정된 길이의 제2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제2필름공급롤러수단; 및
    상기 제2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코로나처리수단;
    상기 제2필름의 일면에 인쇄 처리를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쇄수단; 및
    상기 제2필름을 이동시키면서 열풍 건조하기 위한 제2건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하기 위한 코팅부; 및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을 와인딩 하기 위한 와인딩롤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지롤러부는,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전달받은 제1필름 중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필름 중 인쇄 처리된 면을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공급라인부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된 제1필름을 전달받아, 상기 제1필름의 다른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공급하는 제1필름공급단계;
    제2공급라인부를 이용하여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한 후에 인쇄 처리를 하고 건조시킨 제2필름을 공급하는 제2필름공급단계; 및
    합지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필름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필름을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며,
    코팅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를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와인딩롤러부를 이용하여 표면에 전도성 코팅제가 코팅된 필름을 와인딩하는 와인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지단계는,
    상기 제1공급라인부로부터 전달받은 제1필름 중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상기 제2공급라인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필름 중 인쇄 처리된 면을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가공 방법.
KR1020210152692A 2021-11-09 2021-11-09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KR10262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692A KR102621075B1 (ko) 2021-11-09 2021-11-09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692A KR102621075B1 (ko) 2021-11-09 2021-11-09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40A KR20230067040A (ko) 2023-05-16
KR102621075B1 true KR102621075B1 (ko) 2024-01-03

Family

ID=8654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692A KR102621075B1 (ko) 2021-11-09 2021-11-09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0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052B1 (ko) 1993-12-22 2002-07-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보호라미네이트의제조방법
KR101530160B1 (ko) * 2015-01-21 2015-06-19 임광명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2146486B1 (ko) * 2020-07-09 2020-08-20 이원형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639A (ko) 1997-03-26 1998-11-05 윤석환 라미네이팅 연포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655B1 (ko) * 2007-10-19 2009-09-22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2530B1 (ko) 2011-04-29 2013-09-30 (주)비엠씨 라미네이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052B1 (ko) 1993-12-22 2002-07-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보호라미네이트의제조방법
KR101530160B1 (ko) * 2015-01-21 2015-06-19 임광명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2146486B1 (ko) * 2020-07-09 2020-08-20 이원형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40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741B2 (ja) 電極インクの塗布及び乾燥方法
KR101530160B1 (ko)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방법
MXPA04011176A (es) Proceso de grabado e impresion con adhesivo.
EP1919705B1 (en) Processes for producing oriented polymeric films provided with uv-active coatings
KR102621075B1 (ko)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AU2016271712B2 (en) Large surface laminating system and method
KR102146486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의 제조 장치
AU720985B2 (en) Method of coating a metallic substrate with thermoplastic coating material
JP4981258B2 (ja) 積層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8271A (ja) 水性又は水性化インキ用印刷機の複合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印刷機
JP6761052B2 (ja) シート状非浸透性基材の表面乾燥装置並びに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H10235833A (ja) 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KR102239357B1 (ko) 입체패턴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CN103008212A (zh) 巧克力热敏食品涂布膜的涂布方法及实施该方法的涂布系统
JP4797377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3101367B2 (ja) 剥離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96903B2 (ja) 容器成形用積層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72968A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ガスバリアフィルム
GB2072095A (en) A composite
JP5447878B2 (ja) ラミネート装置
DE4311235C2 (ko)
JP2012096458A (ja) 容器成形用耐熱発泡ポリスチレン積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54717B2 (ja) Pvaフィルム上の硬化性樹脂の乾燥方法
WO2023189668A1 (ja) コーティング層の除去方法及びコーティング層の除去装置
CN108325801A (zh) 窄面棱边高耐磨性光固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