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772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772B1
KR102619772B1 KR1020180131529A KR20180131529A KR102619772B1 KR 102619772 B1 KR102619772 B1 KR 102619772B1 KR 1020180131529 A KR1020180131529 A KR 1020180131529A KR 20180131529 A KR20180131529 A KR 20180131529A KR 102619772 B1 KR102619772 B1 KR 10261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zone
control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901A (ko
Inventor
주환엽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7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2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s
    • B60Q2300/23Driver's line of s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 소정 주기로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인식 유닛,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상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전방 차량의 폭 및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소정의 고정 범위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고, 상기 암영대가 변화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영대가 변화한 방향으로 추가 범위를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상기 고정 범위 중 적어도 한 곳에 부가하여 상기 추가 범위가 속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추가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기 차량과 전방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를 유지하면서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광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 소정 주기로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인식 유닛,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상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전방 차량의 폭 및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소정의 고정 범위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고, 상기 암영대가 변화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영대가 변화한 방향으로 추가 범위를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상기 고정 범위 중 적어도 한 곳에 부가하여 상기 추가 범위가 속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추가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전방 차량의 폭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고정 범위에 대응하는 암영대를 계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램프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복수의 광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모듈에서 형성된 복수의 패턴 영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모듈에서 형성된 복수의 패턴 영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서 형성된 빔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의 광 조사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전방 차량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차량의 폭에 부가된 고정 범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차량과 자기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인식되는 전방 차량의 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추가 범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전방 차량이 기준선보다 좌측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좌측에 위치한 전방 차량의 위치에 의해 형성된 추가 암영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도 22는 기준선 상에 위치한 전방 차량의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기준선 상에 위치한 전방 차량의 위치에 의해 형성된 추가 암영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복수의 전방 차량에 식별자 설정 시 발생하는 오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에 형성된 제1 암영대 및 제2 암영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암영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램프 유닛(100), 영상 획득 유닛(200), 인식 유닛(300), 감지 유닛(400) 및 제어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키거나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여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소등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점등될 수 있다.
램프 유닛(10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램프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복수의 광원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유닛(100)은 복수의 패턴영역을 포함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은 차량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헤드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110)은 차량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며, 제2 램프 모듈(120)은 차량의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램프 모듈(110)은 좌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램프 모듈(120)은 우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모듈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램프 유닛(100)이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으로서, 본 발명의 램프 모듈의 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램프 유닛(100)의 용도에 따라 램프 모듈의 개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 각각 복수의 광원(111~117, 121~127)을 포함될 수 있다.
제1 램프 모듈(11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117)은 차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1 내지 제7 광원(111~117)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제2 램프 모듈(1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21~127)도 차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8 내지 제14 광원(121~127)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111~117, 121~127)은 광을 조사하여 분할된 패턴 영역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광이 하나의 패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은 각각 제1 램프 모듈(11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111~117)이 조사한 광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각각 제2 램프 모듈(12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121~127)이 조사한 광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패턴 영역(P21~P27)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램프 모듈(110)은 도 4과 같이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을 포함하는 제1 빔 패턴(P1)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램프 모듈(120)은 도 5와 같이 V-V선, 즉 차량의 전방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빔 패턴(P1)과 대칭되도록 복수의 패턴 영역(P21~P27)을 포함하는 제2 빔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빔 패턴(P1) 및 제2 빔 패턴(P2)이 합쳐져 도 6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P), 즉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P21~P27) 각각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빔 패턴(P1)의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및 제2 빔 패턴(P2)의 복수의 패턴 영역(P21~P27)은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빔 패턴(P1) 및 제2 빔 패턴(P2)은 차량의 원거리 시야가 향상될 수 있도록 빔 패턴(P)의 중심 부분에서 서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밝기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 빔 패턴(P1) 및 제2 빔 패턴(P2)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117, 121~127)의 광 조사각을 살펴보면 도 7과 같다
도 7에서 "+"는 차량의 중심인 기준선(C)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의미하고, "-"는 차량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서 V선은 기준선(C)뿐만 아니라 램프 유닛(100)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의 중심축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제1 램프 모듈(11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117)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21~127)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이 조절되어 암영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램프 유닛(100)은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이 제어됨에 따라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의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소등될 수 있고, 이 경우 소등되는 발광 영역에 광이 발생되지 않아 제1 빔 패턴(P1)의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및 제2 빔 패턴(P2)의 복수의 패턴 영역(P21~P27)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암영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량을 조절한다는 것은 광원을 소등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광원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켜 광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램프 모듈(11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117) 각각에 의한 광의 광 조사각은 서로 일부가 중첩되고, 제2 램프 모듈(1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21~127) 각각에 의한 광의 광 조사각은 서로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P21~P27)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단일의 열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요구되는 빔 패턴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P21~P27)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빔 패턴(P)의 일부는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개수의 열로 패턴 영역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빔 패턴(P1) 및 제2 빔 패턴(P2)과 이들이 합쳐져 형성되는 빔 패턴(P)은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스크린 상에 광이 조사되는 경우 형성되는 빔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상 획득 유닛(200)은 차량 전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획득 범위에 따라 카메라의 개수나 카메라의 화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유닛(200)은 소정 주기로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로 환경이나 차량의 주행 속도 등에 따라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주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인식 유닛(300)은 전방 영상으로부터 전방 차량을 인식하고, 대향 차량의 헤드 램프 또는 선행 차량의 테일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장이나 인식된 전방 차량 영역 등을 인식함에 따라 전방 차량의 위치, 전방 차량 영역의 경계선, 전방 차량 영역의 일측단부터 타측단까지인 폭, 자기 차량과 전방 차량 간의 제1 거리(l1), 전방 차량의 대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 유닛(300)은 전방 영상으로부터 전방 차량을 인식함에 따라 자기 차량 및 전방 차량 사이의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인식 유닛(300)은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C)을 기준으로 자기 차량과 전방 차량 사이의 각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획득 유닛(200)이 자기 차량의 중심에 설치되어 기준선(C)이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자기 차량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식 유닛(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차량(V)의 전방에 전방 차량(VO)이 위치하는 경우, 기준선을 기준으로 자기 차량과 인식된 전방 차량 영역의 일측단이 이루는 제1 각도(θ1) 및 기준선(C)을 기준으로 자기 차량과 인식된 전방 차량 영역의 타측단 간의 제2 각도(θ2)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차량 영역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전방 차량 폭의 일측 및 타측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대항 차량이 기준선(C)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각도(θ1), 제2 각도(θ2)는 음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차량 영역의 이측단과 양측단은 전방 차량의 경계선을 인식함으로써 형성된 경계선의 양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차량(V)의 전방에 선행 차량(V0)이 위치하는 경우, 자기 차량(V)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C)과 선행 차량(V0) 영역의 일측단 및 타측단 또는 전방 차량 폭의 일측 및 타측이 이루는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항 차량이 기준선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각도(θ1)은 음각 및 제2 각도(θ2)는 양각으로 인식 유닛(300)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인식 유닛(300)에 의해 판단되는 각도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가지는 것은 자기 차량(V)의 주행 방향에 나란한 기준선(C)을 기준으로 방향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기준선(C)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각도는 음의 값으로 표시하고, 우측 방향으로의 각도는 양의 값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음의 각도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각도로 이해될 수 있고, 양의 각도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의 각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방 차량의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는 것은 기준선(C)과 이루는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 간의 각도는 전방 차량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전방 차량(V0)의 복수의 헤드 램프 또는 리어 램프의 광량을 인식 유닛이 인식함에 따라 전방 차량과 자기 차량 간의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선(C)과 전방 차량의 광량을 통해 인식된 제1 헤드 램프 모듈 위치 및 제2 헤드 램프 모듈 위치가 이루는 각도들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 유닛(200)과 인식 유닛(300)는 하나의 카메라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감지 유닛(400)은 차량의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400)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모듈(410),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밝기 감지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유닛(400)은 램프 유닛(100)의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500)은 인식 유닛(300)에 의해 전방 차량(V0)이 인식된 경우 램프 유닛(100)을 제어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전방 차량(V0)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암영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의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광원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거나 광량을 조절하거나 소등시켜 빔 패턴(P)에 암영대를 형성하는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00)은 암영대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인식된 전방 차량의 폭인 전방 차량의 양측 또는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고정 범위가 부가된 범위를 기준으로 암영대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500)이 전방 차량의 폭에 고정 범위(Ws)가 부가된 범위를 기준으로 암영대(S)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영상 획득 유닛(200)에 의해 획득된 전방 영상으로부터 인식 유닛(300)이 전방 차량을 인식하고, 제어 유닛(500)이 인식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램프 유닛(100)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도 전방 차량(V0)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암영대(S)에 여유를 두어 전방 차량(V0)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 유닛(500)이 전방 차량의 폭(Wc)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 제어 유닛(500)이 인식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램프 유닛(100)을 제어하는 동안 전방 차량이 이동하여 암영대를 벗어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방 차량의 이동을 고려하여 전방 차량의 양측에 소정의 고정 범위를 부가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500)은 도 10과 같이 전방 차량(VO)의 폭(Wc)에 전방 차량(VO)의 양측에 소정 간격의 고정 범위(Ws)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 자기 차량의 기준서(C)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전방 차량(V0)과 자기 차량(V)이 일직선 상 위치한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과 같이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P21~P27) 중 전방 차량(V0)의 폭(Wc) 및 고정 범위(Ws)의 적어도 일부가 속하는 패턴 영역(P11, P21)을 형성하는 발광 영역을 소등시켜 암영대(S)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중 전방 차량(V0)으로부터 인식된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에 각각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 간의 거리 및 고정 범위(Ws)에 따라 형성된 제3 각도(θ3)가 부가되어 제1 각도 범위를 형성하고, 제1 각도 범위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 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소등 또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암영대(S)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각도(θ3)는 음각으로 제1 각도(θ1)에 더해지고, 제2 각도(θ2)에 부가되는 제3 각도(θ3)는 양각으로 제2 각도(θ2)에 더해져 제1 각도 범위(θs)로 형성되어 제1 각도 범위(θs)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된 제1 광원(111) 및 제8 광원(121)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각도 범위는 암영대 제어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환경에서 주행 도로 상태나 외부환경에 의하여 전방 차량이 자기 차량의 기준선(C)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인식 유닛에서 인식된 자기 차량과 대상 차량 간의 거리로 제3 각도(θ3)를 판단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각각의 광 조사각은 자기 차량의 직선 방향 즉 기준선(C)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패턴 영역을 형성하게 되므로 자기 차량과 대상 차량 간의 거리로 제3 각도(θ3)를 판단할 경우, 고정 범위(Ws)에 대응되는 암영대(S)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은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간의 거리인 제1 거리(l1)를 기준선(C)과 평행한 제2 거리(l2)로 변환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500)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 제2 거리(l2)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은 제1 각도, 는 제2 각도, l1은 제1 거리, l2는 상기 제2 거리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전방 차량이 자기 차량 차선과 다른 차선에 위치할 경우, 도 13 및 도 14과 같이 빔 패턴(P)에 포함되는 복수의 패턴 영역(P11~P17, P_21~P27) 중 전방 차량의 폭(Wc) 및 고정 범위(Ws)의 적어도 일부가 속하는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소등시켜 암영대(S)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램프 모듈(110) 및 제2 램프 모듈(12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중 대향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에 각각 제2 거리(l2) 및 고정 범위(Ws)에 따라 형성된 제3 각도(θ3)가 더해져 제1 각도 범위(θs)를 형성하고, 제1 각도 범위(θs)에 대응되는 영역을 조사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소등 또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암영대(S)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3 각도(θ3)는 제2 거리(l2) 및 고정 범위(Ws)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Ws)는 일정하지만 자기 차량(V)에서 위치가 멀어질수록 인식 유닛(300)에서 인식되는 고정 범위 및 배광 패턴내에서 차지하는 고정 범위의의 폭은 작아지므로 이에 따라 암영대(S)를 효율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500)은 제3 각도(θ3)를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 간의 거리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500)은 제2 거리(l2)가 커질 경우, 제3 각도(θ3)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제2 거리(l2)가 작아질 경우, 제3 각도(θ3)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각도(θ2)의 크기, 자기 차량과 전방 차량간의 거리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에 의하여 암영대(S)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야간의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500)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제3 각도(θ3)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Ws는 고정 범위, l2는 제2 거리, 는 제3 각도를 나타낸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간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고정 범위(Ws)와 차량간 거리 별로 형성된 제3 각도(θ3)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고정 범위(Ws)가 0.5m이고 차량간 거리가 1~10m 일 경우, 제3 각도(θ3)는 전술한 수학식 2를 바탕으로 약 6도로 설정되어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500)이 제2 거리(l2)를 판단하고, 제2 거리(l2)와 저장부의 테이블에 설정된 거리 범위와 비교하고, 대응되는 거리 범위에 설정된 제3 각도(θ3)를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3)에 각각 부가하고 제1 각도 범위를 설정함에 따라 암영대(S)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의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2 거리(l2)에 따라 효율적으로 암영대(S)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500)은 인식 유닛(300)에 의해 인식된 전방 차량의 대수가 소정 대수 이하인 경우에만 램프 유닛(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전방 차량이 소정 대수를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램프 유닛(100)에 포함되는 거의 모든 발광 영역을 소등시키게 되므로, 암영대(S) 형성으로 인한 눈부심 방지 등과 같은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 유닛(500)이 램프 유닛(100)을 소등시키게 되는 전방 차량의 대수는 대략 전방 차량이 예를 들어 8대 이하인 경우 램프 유닛(100)이 점등되고, 전방 차량이 9대 이상인 경우에는 램프 유닛(100)이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500)는 차량의 주변 밝기가 기준 밝기 이하인 경우 램프 유닛(100)을 점등시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 밝기가 기준 밝기보다 높은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램프 유닛(100)을 소등시키게 된다.
도 16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범위에 추가 범위가 부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를 참고해보면, 제어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전방 차량의 폭(Wc) 및 전방 차량 폭의 양측에 부가된 소정의 고정 범위(Ws)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암영대(S)를 형성하고, 암영대가(S) 변화될 경우, 암영대(S)가 변화한 방향으로 추가 범위(Wv)를 전방 차량 폭(Wc)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 범위(Ws) 중 적어도 한곳에 부가하고 추가 범위(Wv)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암영대(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차량과 전방 차량간의 제2 거리(l2), 제1 각도(θ1),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주기를 기준으로 도 17과 같이 이전 시점에 기준선(C)의 좌측에 있는 전방 차량(V0)과 자기 차량(V) 간의 거리에 따라 형성된 암영대와 도 18과 같이 현재 시점에서 형성된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 간의 거리에 따라 형성된 암영대에 의해 제어 유닛(500)은 시점 차이에 의하여 암영대가 왼쪽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00)은 전방 차량의 고정 범위(Ws)의 왼쪽에 추가범위(Wv)를 부가하고 추가 범위(Wv)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여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영대(S)가 움직인 왼쪽 방향으로 추가 범위(Wv)에 해당하는 제4 각도(θ4)만큼 제3 각도(θ3)에 더 부가함에 따라 복수의 광원 중 부가된 제4 각도(θ4)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제어하여 기존 암영대(S)에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암영대 이동 방향으로 전술한 제1 각도 범위에 제4 각도(θ4)가 부가됨에 따라 기존 암영대의 범위가 커질 수 있다. 한편 제4 각도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3 각도에 음각 및 양각 중 적어도 하나로 부가함에 따라 기존 암영대의 범위가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정 주기를 기준으로 도 21와 같이 기준선(C) 상에 위치한 이전 시점에서의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의 거리에 의하여 형성된 암영대와 도 22 현재 시점에서 형성된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의 거리에 의하여 형성된 암영대에 의해 제어 유닛(500)은 시점 차이에 따라 암영대(S)가 좌우측 양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00)은 전방 차량(V0)의 고정 범위(Ws)의 양쪽에 추가 범위(Wv)를 부가하고 추가 범위(Wv)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방향으로 커진 암영대(S)의 변화에 따라 추가 범위에 해당하는 제4 각도(θ4)만큼 복수의 제3 각도(θ3)에 각각 더 부가함에 따라 복수의 광원 중 부가된 제4 각도(θ4)에 대응되는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제어하여 기존 암영대(S)의 양측에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각도 범위(θs) 양측에 제4 각도(θ4)가 부가됨에 따라 기존 암영대가 변화된 방향으로 암영대가 커질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이 오른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암영대가 우측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각도 범위(θs) 우측에 제4 각도(θ4)가 부가됨에 따라 기존 암영대의 우측에 추가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 암영대를 형성하는 이유는 전방 차량(V0)의 급격한 이동 또는 자기 차량(V)의 급격한 이동할 경우, 기존의 암영대만으로 효율적으로 전방 차량(V0)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암영대(S)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할 경우, 급격하게 전방 또는 자기 차량이 이동되더라도 효율적으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방 차량(V0)이 기준선(C)에 우측에 위치하고 점차 자기 차(V)량과 가까워지거나, 우측 방향으로 차선 변경을 할 경우, 제어 유닛(500)는 암영대(S)가 오른 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 암영대(SS)는 기존 암영대(S)에 우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 유닛(300)에서 인식되는 전방 차량(V0)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암영대(S)의 변화에 따라 제어 유닛(500)은 추가 암영대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차량(V0) 운전자의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암영대(SS)가 변화한 방향으로 추가 암영대(SS)를 형성하는 이유는 카메라의 인식 때문이다.카메라는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 간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차량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이 식별자를 바탕으로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암영대(S)와 추가 암영대(S)를 형성한다. 다만, 식별자의 번호는 자기 차량(V)과 전방 차량(V0)이 가까운 순서대로 설정됨에 따라 추가 암영대(SS) 형성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에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1 전방 차량(V01)과 우측에 제2 전방차량(V02)을 인식하고, 제1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제2 전방 차량과의 거리 보다 작은 것으로 인식 유닛이 판단할 경우, 카메라는 제1 전방 차량(V01)을 제1 식별자(a1) 제2 전방 차량(V02)을 제2 식별자(a2)로 설정되고, 이에 바탕으로 종래의 제어 유닛은 암영대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현 시점에서 제1 전방 차량(V01)이 주행 속도를 높여 제1 전방 차량(V01)과의 거리가 제2 전방 차량(V02)과의 거리보다 커질 경우,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 차량(V02)이 제1 식별자(a1)로 설정되고, 제1 전방 차량(V01)이 제1 식별자(a2)로 설정되어 제1 전방 차량(V0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제어 유닛은 제1 전방 차량(V01)이 있는 위치부터 제2 전방 차량(V02)이 있는 위치까지 대응되는 빔 패턴 영역의 광량을 모두 제어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상관없이 암영대를 기준으로 하여 암염대의 위치 변화를 제어할 경우, 위와 같은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가 암영대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500)은 암영대(S)의 변화율을 판단하고 변화율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소정 주기를 기준으로 다음 시점에서 전방 차량(V0)의 고정 범위(Ws)에 부가할 추가 범위(Wv)의 간격 및 제4 각도(θ4)를 판단에 따라 추가 암영대(SS)를 기존 암영대(S)의 좌측, 우측 및 양측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정하도록 복수의 패턴 영역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암영대 변화율이 커질 수록 추가 범위(Wv)는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500)은 암영대 설정 및 변화 판단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암영대(S)에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차량이 복수개로 감지되고, 제어 유닛(500)에서 설정되는 암영대가 복수의 전방 차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제어 유닛(500)은 자기 차량(V)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암영대에 순차적으로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암영대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각각의 암영대에 식별자가 설정거나, 반대로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각각의 암영대에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C)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1 전방 차량(V01)과 우측에 제2 전방 차량(V02)이 인식 유닛에 의하여 인식되고, 제어 유닛(500)에 의하여 제1 전방 차량(V01)에 대응되는 제1 암영대(S1)가 제2 전방 차량(V02)에 대응되는 제2 암영대(S2)에 비해 좌측에 형성될 경우, 제어 유닛(500)은 제1 암영대(S1)에 제1 식별자를 설정하고 제2 암영대(S2)에 제2 식별자를 설정하여 각 식별자를 기준으로 각각의 암영대(S1, S2)의 변화를 판단하므로 차량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경우에 비해 암영대 형성을 위한 연산량을 줄임과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추가 암영대 형성 오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암영대가 중첩될 경우,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방 차량(V01) 및 제2 전방 차량(V0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암영대(S1)와 제2 암영대(S2)가 가까워질 경우, 제어 유닛(500)은 제1 암영대(S1)와 제2 암영대(S2)를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하여 하나의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방 차량(V01) 폭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Ws)와 제2 전방 차량(V02) 폭 양측에 부가된 고정 범위(Ws)가 중첩될 경우 제1 암영대(S1)와 제2 암영대(S2)가 중첩될 수 있으므로, 제1 암영대(S1)와 제2 암영대(S2)를 하나의 암영대로 인식하여 하나의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500)의 연산량이 줄어들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복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의 암영대간 간격이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암영대와 제2 암영대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기준선(C)을 기준으로 복수의 암영대에 순차적으로 식별자를 부여할 경우, 다음과 같은 예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주기를 기준으로 이전 시점에서 제1 전방 차량과 제2 전방 차량이 인식되어 각각 암영대와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 시점(일 시점)에 제1 전방 차량(V01)과 제2 전방 차량(V02) 사이에 제3 전방 차량(V03)이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500)이 식별자를 설정할 경우, 제3 전방 차량(V03)에 제2 식별자를 설정되고 제2 전방 차량(V02)에 제3 식별자를 설정되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암영대의 변화에 따라 추가 범위가 부가되어 추가 암영대가 형성되므로 제어 유닛(500)은 제2 암영대(S2)가 좌측으로 급하게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 범위(Wv)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전방 차량(V02)위치에서 제3 전방 차량(V03) 위치에 대응하되는 복수의 빔 패턴이 제어되는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500)은 제3 전방 차량(V03)에 대응하는 제3 암영대(S3)를 형성하되 추가 범위의 설정을 현 시점(일 시점) 또는 소정 주기 동안 일시 중단하여 제3 암영대(S3)를 제2 식별자로 설정하고 제2 암영대(S2)가 제3 식별자로 재 설정되어도 추가 암영대가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카메라 송출 주기 약 100ms만큼 추가 범위 설정을 일시 정지 또는 중단할 수 있다.
즉, 인식 유닛이 복수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고, 제어 유닛이 복수의 전방 차량에 대응하는 복수의 암영대를 형성한 후, 소정의 주기를 기준으로 일 시점에서 인식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여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암영대를 형성한 경우, 제어 유닛은 추가 범위 부가를 일 시점동안 일시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복수의 암영대 및 추가의 암영대를 포함하여 각 암영대에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식별자를 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램프 유닛
110: 제1 램프 모듈
120: 제2 램프 모듈
200: 영상 획득 유닛
300: 인식 유닛
400: 감지 유닛
500: 제어 유닛

Claims (10)

  1. 복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
    소정 주기로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전방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는 인식 유닛;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상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전방 차량의 폭 및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소정의 고정 범위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고,
    상기 암영대가 변화될 경우, 상기 암영대가 변화한 방향으로 추가 범위를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에 부가된 상기 고정 범위 중 적어도 한 곳에 부가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상기 추가 범위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의 광량을 추가로 제어하여 추가 암영대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 차량이 복수개로 감지 된 경우,
    상기 암영대는 상기 복수의 전방 차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자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암영대에 순차적으로 식별자를 설정하며,
    상기 인식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전방 차량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암영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추가 범위 부가를 소정 주기 동안 일시 중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영대는 상기 자기 차량 및 상기 전방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차량용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를 기준으로 두 시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암영대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추가 범위를 상기 전방 차량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범위에 부가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범위는
    상기 암영대의 변화율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자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암영대에 식별자를 설정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암영대가 중첩될 경우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영대간 간격이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하나의 암영대로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암영대 및 추가의 암영대를 포함하여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식별자를 재 설정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131529A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램프 KR10261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29A KR102619772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29A KR102619772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01A KR20200048901A (ko) 2020-05-08
KR102619772B1 true KR102619772B1 (ko) 2024-01-02

Family

ID=7067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29A KR102619772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807A (ja) * 2009-08-04 2011-02-1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2016159709A (ja) * 2015-02-27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809B2 (en)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KR20150125808A (ko) * 2014-04-30 2015-1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807A (ja) * 2009-08-04 2011-02-1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2016159709A (ja) * 2015-02-27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01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5271A1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ystem
RU247538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фа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фар для него
US8740431B2 (en) Head lamp system comprising a pair of head lamp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246810B2 (ja) アダプティブ・ライティング(配光可変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05377629A (zh) 车辆用前照灯的配光控制方法及配光控制装置
EP2495129B1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JP524818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1122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434930B2 (en) Lamp for vehicle
KR1023975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619772B1 (ko) 차량용 램프
JP6296734B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KR102289747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48900A (ko) 차량용 램프
KR101627569B1 (ko) 차량용 램프
JP554731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101982503B1 (ko) 차량용 램프
JP554731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101917211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59681A (ko) 차량용 램프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554731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20160074904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621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