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09B1 - 반죽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반죽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09B1
KR102619209B1 KR1020210044910A KR20210044910A KR102619209B1 KR 102619209 B1 KR102619209 B1 KR 102619209B1 KR 1020210044910 A KR1020210044910 A KR 1020210044910A KR 20210044910 A KR20210044910 A KR 20210044910A KR 102619209 B1 KR102619209 B1 KR 10261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utting
cylinder
cylindrical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932A (ko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102021004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와 동축선상으로 연결된 절단장치에 의해 반죽물의 균일한 절단, 속도조절모터의 속도조절에 의해 반죽물의 절단길이의 설정 및 절단속도의 극대화에도 균일한 반죽물의 절단이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반죽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압출기(10)를 통해 압송되는 반죽물(F/P)은 압출성형통체(140)의 내부압출공간(141)에서 압축됨과 동시에 속도조절모터(180)의 구동에 의해 동기 회전하는 압출성형통체(140)의 반죽물토출공(142,142a,142b,143c)을 통해서 배출됨과 동시에 절단칼날통체(120)의 절단칼(121)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절단배출구(122)를 통해 배출하여 튀김에 의한 소정형상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는 반죽물 절단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죽물 절단장치{Dough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반죽물을 속도조절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해 반죽물의 성형 절단크기를 조절하여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반죽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묵은 생선살을 주성분으로 하여 식염 등의 조미료를 가하여 으깬 혼합물을 일정 형태로 성형하여 튀겨낸 것으로 어묵볶음, 오뎅탕, 어묵조림, 떡볶이의 부재료 등의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묵은 최근에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식재료를 반죽물을 소정크기로 절단하고 튀겨서 포장 판매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어묵제품은 즉석에서 생선, 갈분 및 조미료를 섞어 어묵 반죽물을 만들고 이 반죽을 나무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수작업에 의해 판매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어묵 반죽물의 절단시간과 노고가 많이 들고, 일정 형상의 어묵 성형이 어려움이 많아 소비자에게 판매는 일정형상 및 길이로 공업적 양산을 통해 진공포장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떡, 어묵의 양산을 위해 반죽물, 특히 봉형상의 반죽물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튀겨내기 전 단계에 해당하는 반죽물 절단장치에 속한다.
이러한 반죽물 절단장치와 관련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으나, 일예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호퍼을 통해 담긴 어묵 반죽물을 압축기의 압출로울러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송시켜 노즐을 통해 이송벨트 상면으로 압축 성형된 어묵 반죽물이 압출되면 외부 일측에 설치된 회전절단칼이 회전하면서 절단하여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튀김기에 투하하는 어묵성형기를 제공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성형된 반죽이 수직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반죽수용체와, 상기 배출공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절단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선형의 반죽절단체와, 상기 반죽절단체가 고정된 절단체프레임과, 상기 반죽절단체가 위치하는 수평면 상에서 상기 반죽절단체의 연장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반죽절단체가 진행하도록 상기 절단체프레임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와, 일단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절단체프레임을 진행시키도록 타단에서 상기 절단체프레임과 결합되는 선회구동바와, 상기 반죽절단체가 왕복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선회바를 소정각도로 왕복선회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어묵제조장치용 어묵반죽 절단장치가 개시되었다.
1. 한국 공개실용 제20-2000-0003565호(2000.02.25. 공개) 2. 한국 공개특허 제20-2013-0009449호(2013.01.23. 공개)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어묵 반죽물을 노즐의 선단과 일정 간격을 갖고 상부에서 하측으로 회전하는 회전절단칼에 의해 절단하고 있으나, 이는 회전절단날과 노즐 단부면과의 어느정도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절단으로 절단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 압출로울러에 의해 압출 이송되는 어묵 반죽물이 노즐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회전절단날의 회전에 의해 어묵 반죽물을 절단함으로서 필요한 길이로의 절단을 조절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한 특허문헌 2는 절단면의 균일성을 보장하고 있으나, 전동기에 의한 볼스크류를 나선 회전시키어 가압판에 의해 원통형 용기에 수용된 어묵 반죽물을 압축하고, 절단체프레임의 반죽절단체가 수평의 전후진 반복에 의해 어묵 반죽물을 소정크기로 반복 절단함으로서, 배출되는 어묵 반죽물의 절단크기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특히 반죽물을 가압판의 압축에 의해 성형틀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어묵 반죽물을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유,공압실린더)의 전, 후진으로 절단이 제공되어 크기 조절이 어려운 점으로 특허문헌 1의 단점인 필요한 소정 크기의 절단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용기에 투입된 어묵 반죽물을 성형틀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함으로서, 압축되는 어묵 반죽물의 쥐어짜는 압축과정에서 어묵 반죽물의 수분이 성형틀 하측으로 집중됨으로서 상층에 있는 어묵 반죽물은 수분이 부족한 상태로 절단됨으로서 어묵 반죽물의 제품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은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압출기와 동축선상으로 연결된 절단장치에 의해 반죽물의 균일한 절단, 속도조절모터의 속도조절에 의해 반죽물의 절단길이의 설정 및 절단속도의 극대화에도 균일한 반죽물의 절단이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반죽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기의 외부에 동축선상으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 후에 구성부재의 분리 및 세척이 간편하여 위생성의 극대화가 제공되며, 구성부재의 교체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반죽물의 제조가 가능한 반죽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죽물 절단장치은.
압출기의 제1, 제2 압송스크류의 대향회전으로 호퍼함체로 투입된 반죽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2 압송스크류의 실린더를 통해 압송 배출하고 이 배출되는 반죽물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토출구에 동축선상으로 연결되는 원통몸체, 이의 내주면과 관통된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하우징;
상기 원통몸체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구 측으로서 축선방향의 상, 하부에 절단칼을 형성하여 절단배출구를 관통한 절단칼날통체;
상기 배출하우징의 일측에 결속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일측 이탈을 차단하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고정커버원판링;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의 토출구와 일측이 연통되는 내부압축공간, 상기 내부압축공간과 외부에 관통하는 반죽물 토출공 및 상기 내부압축공간의 축선방향 외측에 축보스를 구비한 압출성형통체;
상기 배출하우징의 타측과 축지지 원통몸체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타측 이탈을 차단하는 중간연결하우징;
상기 축지지 원통몸체의 내주면을 축 관통하여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축보스와 일측이 조립되는 스핀들;
상기 중간연결하우징의 타측과 커플링몸체의 일측이 연결되고, 내주면에 구비된 커플링으로 상기 스핀들의 타측을 결속 상태 조립된 커플링하우징; 및,
상기 커플링의 타측과 모터축으로 결속되고 모터몸체의 일측에 상기 커플링하우징의 타측과 결속된 속도조절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를 통해 압출되는 반죽물이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내부압축공간에 압송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조절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스핀들과 동기회전하는 상기 압출성형통체가 반죽물 토출공을 통해 압출되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절단칼에 의해 절단되어 절단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와 동축선상으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으로 반죽물에 맞게 절단날칼날통체의 교체사용이 편리한 효과, 구성부재의 분리 및 세척이 간편하여 위생성이 보장되며, 구성부재의 교체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반죽물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하, 본 발명에 의하면, 반죽물의 균일한 절단, 속도조절모터의 속도조절에 의해 반죽물의 절단길이의 설정 및 절단속도의 극대화에도 균일한 반죽물의 절단이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부인 압출기와 절단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일부 생략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7은 6의 IV-IV선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절단단계를 보여주는 작동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절단칼날통체에 형성된 절단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압출성형통체의 반죽물 토출공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부인 압출기와 절단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일부 생략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며, 도 7은 6의 IV-IV선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상의 압출기(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압출기(10)는, 호퍼 함체(40)에 병렬 설치된 제1, 제2 압송스크류(20)(30) 각각의 축에 구비된 구동기어(60) 및 종동기어(70)로 상호 간이 치합된 상태에서 제1 압송스크류(20)의 축에 구비된 벨트풀리(80)가 벨트(9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제1, 제2 압송스크류(20(30)가 대향회전하면서 상기 호퍼함체(40)로 투입된 반죽물(F/P)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2 압송스크류(30)의 실린더(50)를 통해 압송 배출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압출기(10)의 상기 실린더(50)에 조립되어 압송 배출되는 반죽물(F/P)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반죽물 절단장치(100)는 배출하우징(110), 절단칼날통체(120), 고정커버원판링(130), 압출성형통체(140), 중간연결하우징(150), 스핀들(160), 커플링하우징(170), 속도조절모터(18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하우징(110)은 압출기(10)의 실린더(50)의 토출구에 동축선상으로 원통몸체(110)가 고정커버원판링(130)을 개재한 상태로 볼트(B/T)로 상호 간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원통몸체(111)는 일측에 배출구(112)가 가공되고, 상기 원통몸체(111)의 내주면에 상기 절단칼날통체(120)가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절단칼날통체(120)는 무독성 합성수지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출구(112) 측으로서 축선방향의 상, 하부에 절단칼(121)을 형성하여 절단배출구(122)가 관통된다.
즉, 상기 절단칼(121)은 상기 절단배출구(122)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칼날통체(120)의 일부를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서 상호 대향된 상태로 상,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절단칼(121)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선방향과 경사진 사선방향의 절단칼(121a)이나, 축선방향에 대해 볼록형의 절단칼(121b) 또는 오목형의 절단칼(121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칼(121, 121a, 121b. 121c)은 반죽물(F/P)의 특성에 따라서 절단면을 균일하게 위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원판링(130)은 상기 배출하우징(110)의 일측에 결속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120)의 일측 이탈을 차단하고 상기 실린더(50)와 볼트(B/T) 체결로 상기 배출하우징(120)과 동시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110)의 원통몸체(111)는 일측에 세팅나사공(113)이 관통되고, 이에 대응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120)의 일측에는 세팅홈(123)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세팅나사공(113)과 세팅홈(123)을 고정나사(114)로 일치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서, 상기 배출하우징(110)의 배출구(112)와 절단칼날통체(120)의 절단배출구(122)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압출성형통체(140)는 상기 절단칼날통체(120)의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50)의 토출구와 일측이 연통되는 내부압축공간(141)과 외부에 관통하는 반죽물 토출공(142)이 관통되며, 상기 내부압축공간(141)의 축선방향 외측에 사각축공(144)이 관통된 축보스(143)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110)의 타측과 축지지 원통몸체(151)의 일측으로 중간연결하우징(150)이 연결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120)의 타측은 이탈이 차단되어 조립된다.
상기 축지지 원통몸체(151)의 내주면에 상기 스핀들(160)이 축 관통하여 상기 압출성형통체(140)의 축보스(143)와 일측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160)의 단부에는 사각축돌기(161)가 돌출되어 상기 사각축공(144)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압축공간(141)의 개구측에서 기밀링(145)과 압착링(146)이 바닥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축돌기(161)의 나사공(162)에 체결볼트(147)에 의해 나사체결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압출성형통체(140)의 사각축공(144)과 스핀들(160)의 사각축돌기(161)의 계면이 상기 기밀링(145)에 의해 기밀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압출성형통체(140)의 반죽물 토출공(142)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원통구멍으로 복수개 내지 4개의 범위로 관통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반죽물 토출공(142)은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의 반죽물 토출공(142a), 사각형상의 반죽물 토출공(142b), 삼각형상의 반죽물 토출공(142c)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하우징(170)은 상기 중간연결하우징(150)의 타측과 커플링몸체(171)의 일측이 연결되고, 내주면에 구비된 커플링(172)으로 상기 스핀들(160)의 타측을 결속하여 조립된다.
이러한 커플링하우징(170)은 상기 압출성형통체(140)를 회전시키는 상기 스핀들(160)과 상기 속도조절모터(180)의 모터축(182)의 선단과 상기 커플링(172)이 연결되고, 상기 속도조절모터(180)의 모터몸체(181)와 결속된다.
상기 중간연결하우징(150)은 축지지 원통몸체(151)의 내주면에 플라스틱베어링(152)을 개재하고 일측에 오일씰(153)를 설치한 상태로 상기 스핀들(160)이 축결합되어 상기 속도조절모터(180)의 구동에 따른 회전진동의 흡수 및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압출기(10)의 실린더(50), 상기 배출하우징(110)의 원통몸체(111), 상기 고정커버원판링(130), 상기 중간연결하우징(150)의 축지지 원통몸체(151), 커플링하우징(170)의 커플링몸체(171)는 각각에 대응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인접되는 플랜지 간을 볼트(B/T) 및 너트체결로 상호간이 견고히 조립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압출기(10)의 실린더(50)를 통해 반죽물(F/P)이 압송되어 상기 압출성형통체(140)의 내부압축공간(141)에 압송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조절모터(180)의 구동에 의한 모터축(182)과 커플링(172)으로 결속된 상기 스핀들(160)에 의해 상기 압출성형통체(140)가 동기회전하면서 반죽물 토출공(142, 142a, 142b, 143c)을 통해 압출되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120)의 절단칼(121, 121a, 122b, 122c)에 의해 절단되어 절단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출기(10)를 통해 압송되는 반죽물(F/P)은 압출성형통체(140)의 내부압출공간(141)에서 압축됨과 동시에 속도조절모터(180)의 구동에 의해 동기 회전하는 압출성형통체(140)의 반죽물토출공(142,142a,142b,143c)을 통해서 배출됨과 동시에 절단칼날통체(120)의 절단칼(121)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절단배출구(122)를 통해 배출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압출기(10)의 실린더(50)와 고정커버원판링(130), 배출하우징(110)을 결속한 볼트(B/T)를 풀어 분리하고, 절단칼날통체(120), 압출성형통체(140)을 세결볼트(147), 압착링(146), 기밀링(145)을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상기 절단칼통체(120)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압출기 50 : 실린더
100 : 반죽물 절단장치 110 : 배출하우징
120 : 절단칼날통체 121, 121a, 121b, 121c : 절단칼
130 : 고정커버원판링 140 : 압출성형통체
141 : 내부압축공간
142, 142a, 142b, 142c : 반죽물토출공
143 : 축보스 144 : 사각축공
145 : 기밀링 146 : 압착링
147 : 체결볼트 150 : 중간연결하우징
152 : 플라스틱베어링 153 : 오일씰
160 : 스핀들 161 : 사각축돌기
162 : 나사공 170 : 커플링하우징
171 : 커플링몸체 172 : 커플링
180 : 속도조절모터 181 : 모터몸체
182 : 모터축 B/T : 볼트

Claims (8)

  1. 압출기의 제1, 제2 압송스크류의 대향회전으로 호퍼함체로 투입된 반죽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2 압송스크류의 실린더를 통해 압송 배출하고 이 배출되는 반죽물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토출구에 동축선상으로 연결되는 원통몸체, 이의 내주면과 관통된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하우징;
    상기 원통몸체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구 측으로서 축선방향의 상, 하부에 절단칼을 형성하여 절단배출구를 관통한 절단칼날통체;
    상기 배출하우징의 일측에 결속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일측 이탈을 차단하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고정커버원판링;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의 토출구와 일측이 연통되는 내부압축공간, 상기 내부압축공간과 외부에 관통하는 반죽물 토출공 및 상기 내부압축공간의 축선방향 외측에 축보스를 구비한 압출성형통체;
    상기 배출하우징의 타측과 축지지 원통몸체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타측 이탈을 차단하는 중간연결하우징;
    상기 축지지 원통몸체의 내주면을 축 관통하여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축보스와 일측이 조립되는 스핀들;
    상기 중간연결하우징의 타측과 커플링몸체의 일측이 연결되고, 내주면에 구비된 커플링으로 상기 스핀들의 타측을 결속 상태 조립된 커플링하우징; 및,
    상기 커플링의 타측과 모터축으로 결속되고 모터몸체의 일측에 상기 커플링하우징의 타측과 결속된 속도조절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를 통해 압출되는 반죽물이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내부압축공간에 압송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조절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스핀들과 동기회전하는 상기 압출성형통체가 반죽물 토출공을 통해 압출되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절단칼에 의해 절단되어 절단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축보스는 사각축공이 관통되고, 상기 스핀들의 단부에는 사각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사각축공과 사각축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압축공간에서 기밀링과 압착링이 상기 사각축돌기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사각축공과 스핀들의 사각축돌기의 계면이 기밀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의 원통몸체는 일측에 세팅나사공이 관통되고, 이에 대응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일측에는 세팅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세팅나사공에 나사조립되는 고정나사가 상기 세팅홈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배출하우징의 배출구와 절단칼날통체의 절단배출구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하우징은 축지지 원통몸체의 내주면에 플라스틱베어링을 개재하고 일측에 오일씰를 설치한 상태로 상기 스핀들이 축결합되어 회전진동의 흡수하여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실린더, 상기 배출하우징의 원통몸체, 고정커버원판링, 중간연결하우징의 축지지 원통몸체, 커플링하우징의 커플링몸체는 각각에 대응되는 플랜지를 볼트체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의 절단칼은 축선방향과 경사진 사선방향 또는 축선방향에 대해 볼록형상 또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날통체는 무독성 합성수지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통체의 반죽물 토출공은 복수개 내지 4개의 범위로 단면형상이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또는 사각형상 또는 삼각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절단장치.
KR1020210044910A 2021-04-07 2021-04-07 반죽물 절단장치 KR10261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910A KR102619209B1 (ko) 2021-04-07 2021-04-07 반죽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910A KR102619209B1 (ko) 2021-04-07 2021-04-07 반죽물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32A KR20220138932A (ko) 2022-10-14
KR102619209B1 true KR102619209B1 (ko) 2023-12-27

Family

ID=8359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910A KR102619209B1 (ko) 2021-04-07 2021-04-07 반죽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65U (ko) 1998-07-18 2000-02-25 서순종 어묵성형기의 반출안내구
KR100371490B1 (ko) * 2000-05-03 2003-02-06 서상현 절단날이 부착된 떡 성형 장치
KR100603992B1 (ko) * 2004-04-14 2006-07-26 김영기 야채 및 가래떡 절단기
KR20160024480A (ko) * 2014-08-26 2016-03-07 박세윤 국수 제조기용 압출장치
KR102260381B1 (ko) * 2019-04-25 2021-06-03 우경제 곤약떡볶이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32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4198C (en) Variable diameter, variable pitch auger with material scraper and breaker bar
CN109127050B (zh) 剁椒生产设备
JPH03108471A (ja) 肉パッティ成形機
WO2020063487A1 (zh) 食品加工机和包子机
KR102619209B1 (ko) 반죽물 절단장치
EP1262111A1 (en) An apparatus for pressing granular food material
JP7231174B2 (ja) 押出し成形機
US5039295A (en) Apparatus for forming viscous flowable material into specific shapes
JP4758668B2 (ja) 竹及び木材の切削機械
US20040242140A1 (en) Portioning device for foodstuffs
CN112403628B (zh) 多向分料输送生产线、猪肉馅饺子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CN213663644U (zh) 膨化挤压设备
KR101833369B1 (ko)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CN220734215U (zh) 鲜湿面机
CN215992595U (zh) 一种高效钉螺去尾器
US2875798A (en) Meat chopper having axially reciprocating annular knives
CN217626426U (zh) 一种火锅锅底红油制备用原料定量添加装置
CN217910222U (zh) 一种进料方便的食品酱加工装置
KR200339895Y1 (ko) 자동 제면기용 야체반죽 혼합기
RU225844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0484026B1 (ko)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CN106239571B (zh) 一种食品压缩圆盘式电动机推动切片机
CN116965437A (zh) 鲜湿面机
JP2008079550A (ja) 食品成形装置
KR200349208Y1 (ko) 식품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