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026B1 -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026B1
KR100484026B1 KR10-2002-0025652A KR20020025652A KR100484026B1 KR 100484026 B1 KR100484026 B1 KR 100484026B1 KR 20020025652 A KR20020025652 A KR 20020025652A KR 100484026 B1 KR100484026 B1 KR 10048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aw material
mold
guid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283A (ko
Inventor
이정식
Original Assignee
이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식 filed Critical 이정식
Publication of KR2002008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래떡에 있어 상기 가래떡의 중앙에 속재료인 양념이 권취되는 롤형으로 충진되도록 하여 가래떡에 속재료의 양념 침투에 따른 다양한 맛의 제공 또는 가래떡을 식음자의 기호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ROLL-TYPE RICECAKE AND THE DEVICE}
본 발명은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래떡의 내부에 양념 재료인 속재료가 권취상태의 롤형으로 충진되도록 하여 미식가들에게 새롭고 다양한 맛의 제공 또는 맛깔스러움 및 씹힘성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래떡은, 멥쌀가루를 쪄서 안반에 놓고 떡메로 쳐서 덩어리로 만드는 흰떡이며 설날의 대표적인 절식이다.
초기에는, 멥쌀을 충분히 불려 소금을 넣고 빻아서 고운 체로 친 다음 물을 뿌려가며 버무려서 찜통이나 시루에 베보자기를 깔고 쪄내어 절구에 찧는다. 그런다음 찧은 떡을 조금씩 떼내어 도마위에 올려놓고 두 손으로 굴리듯이 하여 길개 밀어서 가래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후에는, 방앗간에서 떡가루를 만들고 찜통에 찐 후 다시 기계에 넣어 원형으로 빼내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가래떡은, 소정폭으로 가늘게 썰은 경우 계절음식인 떡국으로 이용되고, 소정길이로 컷팅시키게 되면 떡볶이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가래떡은, 재료가 쌀로만 구성되어 있어 사람이 섭취시에는 다른 양념과 함께 먹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가래떡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시킬 수 있는 장치 및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90-11332호, 제91-16187호, 제95-7776호, 제98-10273호, 제2000-4194호, 제2001-137호로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즉, 상기한 가래떡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빈 공간에 양념이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것, 또는 빈 공간에 양념이 채워져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공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가래떡은 내부에 단순한 홀을 형성시켜 양념으로 제공된 내용물이 골고루 투입되도록 하는 것, 또는 이 홀에 내용물을 충진시켜 가래떡과 함께 속재료를 함께 섭취하도록 하는 것에만 한정된 것으로 속재료의 양념이 소정면적을 갖는 가래떡에 고르게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점 또는 떡국, 떡볶이용으로 썰을 때 속재료가 가래떡으로부터 이탈되어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래떡의 내부 중앙에 속재료의 내용물이 롤형으로 충진되도록 하여 가래떡에 속재료의 양념 침투에 따른 다양한 맛의 제공 또는 가래떡을 식음자의 기호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즉, 롤형의 틈새를 갖는 원재료의 틈새에 속재료인 양념이 삽입 충진되도록 하여 가래떡 내에 양념이 롤형으로 고르게 삽입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래떡에 제공되는 속재료가 롤형 뿐만 아니라 별모양 또는 태극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쌀 또는 밀가루로 제조되는 가래떡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가 채워진 가래떡 원재료에 롤 형상의 홀을 상기 가래떡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롤 형상의 홀에 양념인 속재료를 가래떡 원재료의 제조와 함께 충진시켜 그 단면이 원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 롤형의 속재료가 보이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형의 가래떡을 제조하기 위해, 반죽된 가래떡 원재료 및 양념으로 제공되는 속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각기 이송된 원재료와 속재료를 롤형으로 합침시키는 롤형 합침부와, 합침된 가래떡을 이송시키면서 동시에 압축시키는 가래떡 안내부와, 안내된 가래떡을 적정길이로 컷팅시키는 가래떡 컷팅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쌀 또는 밀가루 등으로 반죽되어 이루어진 가래떡 원재료 내에 양념으로 제공되는 속재료가 롤형상을 가지며 합침되어 양념이 가래떡에 고루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속재료는 원재료와 동일하며 색상만 다르게 또는 액체상태의 양념재 및 고기 등이 첨가된 재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됨이 가능하다.
상기한 롤형의 가래떡은 후술하는 가래떡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롤형 가래떡이 제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인 롤형 금형을 분해시켜 정면과 배면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쌀 또는 밀가루 등으로 제조되는 가래떡 원재료와 양념으로 제공되는 속재료를 압출 이송시키게 되는 원재료 공급부(300) 및 속재료 공급부(400)와, 공급된 원재료(100)와 속재료(200)를 롤형으로 합침시키는 롤형 합침부(500)와, 합침된 가래떡을 소정압으로 압축 이송시키는 가래떡 안내부(600)와, 이송되는 가래떡을 적정길이로 컷팅시키는 가래떡 컷팅부(700)로 구성된다.
상기 원재료 공급부(300)는, 상기 속재료 공급부(400)와 동일한 방식의 이송수단을 통해 본체(800)내의 롤형 합침부(500)로 재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은, 호퍼(310)(410)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를 파이프(320)(420)내에서 반죽시킴과 동시에 압출 이송시키는 압출 스크류(330)(430)와, 상기 압출 스크류(330)(430)를 회전시키는 모터(340)(440)와, 상기 모터(340)(440)와 압출스크류(330)(430)를 연결하며 모터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기(350)(450)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340)(440)의 구동시 감속기(350)(450)가 압출스크류(330)(43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압출스크류는 공급되는 재료를 압출시켜 상기 롤형 합침부(500)로 각기 투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형 합침부(500)는, 본체(800)에 제공되는 롤형 금형(510)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원재료 및 속재료 공급부(300)(400)를 통해 유입되는 각 재료를 롤형 금형(510)내에 제공되는 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속재료(200)가 롤형으로 가래떡 원재료(100) 내에 합침되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롤형 금형(510)의 일면으로 공급되는 원재료가 롤형으로 토출되도록,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지는 롤 형상을 가지며 관통 형성되는 원재료 안내홀(520)과, 관통되는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에 의해 롤형 금형(5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부재(512)가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재(512)의 롤형 라인을 따라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에 복수개 설치되는 리브(530)와, 상기 롤형 금형(510)의 다른면에서 상기 상기 롤형 금형(510)의 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속재료(200)가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을 통해 토출되는 원재료내에 합침되도록 상기 안내부재(512)의 롤형 라인에 상기 롤형 금형(510)의 다른면으로 개방되는 속재료 안내홈(540)이다.
또한, 상기 롤형 금형(510)의 토출면에,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2차 원재료 안내홀(562)을 형성하고, 상기 속재료 안내홈(540)과 동일한 축방향의 속재료 안내홀(564)을 형성하되 상기 속재료 안내홀(564)의 입구단에 라인을 따라 원형홀(566)을 복수개 형성시켜서 된 이송판이 제공되어 속재료가 원형홀(566)을 통해 이송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보조 금형(560)이 더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512)에 형성된 속재료 안내홈(540)은 외측 입구단으로부터 중앙 끝단까지 상기 롤형 금형(510)의 토출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시켜 속재료가 빠르게 압출 이송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래떡 안내부(600)는, 속재료(200)가 롤형으로 합침된 원재료를 압축 이송시키는 것이며, 상기 롤형 금형(510)의 출구측 방향에 결합되는 안내관(6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관(610)은 내측에 롤형 금형(510)을 통해 토출되는 가래떡이 소정폭 압축되면서 이동되도록 축소관 형태의 경사면(620)이 소정구간 형성된다.
상기 가래떡 컷팅부(700)는, 상기 가래떡 안내부(600)를 통해 이송된 합침 재료를 소정길이로 컷팅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관(6100의 출구측에 제공되어 하우징 몸체(710)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의 전후진시 로드(720) 선단에 구비된 컷팅날(730)이 가래떡을 소정길이로 컷팅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쌀 재료로 반죽되어 가열된 원재료를 원재료 공급부(300)의 호퍼(310)로 투입한다. 그러면 호퍼(310)내로 투입된 원재료(100)는 원재료 공급부(300)의 압출 스크류(330)를 통해 이송되어 압출 스크류(330)의 회전에 의해 롤형 합침부(500)의 롤형 금형(510)에 형성된 원재료 안내홀(520)로 이송되게 된다.
동시에 고기 등의 양념으로 이루어진 속재료(200)를 속재료 안내부(400)의 호퍼(410)로 공급하게 되면 속재료(200)는 압출 스크류(330)의 회전에 의해 안내부재(512)에 형성된 속재료 안내홈(540)을 통해 롤형 금형(510)의 출구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원재료(100)는 원재료 안내홀(520)을 통해 롤형의 이격틈새를 형성하며 토출되게 되고 동시에 속재료(200)는 속재료 안내홈(540)을 통해 이격틈새 내로 공급되어 원재료(100)내에 속재료(200)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형으로 합침되게 된다.
이후, 합침된 가래떡은 가래떡 안내부(600)의 안내관(610)에 형성된 경사면(620)에 의해 좀더 작게 원형을 가지며 압축됨과 동시에 토출되어 원재료(100)와 속재료(200)가 기공없이 2차로 합침되어 가래떡 킷팅부(700)에 의해 셋팅된 일정길이로 컷팅되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롤형의 속재료 안내홈에 속재료가 전체에 걸쳐 고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롤형 금형(510)의 외면 일측에 속재료 안내를 위한 2차 속재료 공급부(410)를 더 설치하여 상기 속재료 공급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속재료가 상기 리브(530)에 형성되는 연통홀(412)을 통과한 다음 상기 안내부재(512)의 안쪽 속재료 안내홈(540)에 직접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속재료 공급부(400)의 압출 압력이 약한 경우 속재료를 속재료 안내홈(540) 끝단까지 밀어내지 못하고 롤형 금형(510) 외부로 토출하게 됨에 따라 속재료 공급부(400)와 함께 동시에 속재료(200)를 안쪽으로 직접 주입시켜 속재료 안내홈(540)에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반죽된 가래떡의 원재료 내부에 양념된 속재료가 원재료와 함께 말려지는 롤형태로 충진되도록 하므로써, 가래떡 원재료에 속재료가 빠르게 흡수되고 또한 흡수된 속재료에 의해 다양한 맛의 제공 및 속재료를 달리하여 가래떡을 식음자의 기호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가래떡을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E - E"선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합침부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롤형 합침부에 2차 속재료 공급부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재료 200: 속재료
300: 원재료 공급부 400: 속재료 공급부
410: 2차 속재료 공급부 500: 롤형 합침부
510: 롤형 금형 512: 안내부재
520: 원재료 안내홀 530: 리브
540: 속재료 안내홈 560: 보조금형
600: 가래떡 안내부 700: 가래떡 컷팅부

Claims (7)

  1. 쌀 또는 밀가루로 제조되는 가래떡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가 채워진 가래떡 원재료에 롤 형상의 홀을 상기 가래떡 원재료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롤 형상의 홀에 양념인 속재료를 가래떡 원재료의 제조와 함께 충진시켜 그 단면이 원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 롤형의 속재료가 보이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2. 쌀 또는 밀가루의 반죽에 의한 가래떡 원재료와 양념으로 제공되는 속재료를 합침시켜 속심을 갖도록 하는 가래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재료(100)와 속재료(200)를 이송수단을 통해 각기 압출 이송시키게 되는 원재료 및 속재료 공급부(300)(400)와;
    상기 원재료 및 속재료 공급부(300)(400)를 통해 유입되는 각 재료를 롤형 금형(510)내에 제공되는 안내수단을 통해 상기 속재료가 롤형으로 가래떡 원재료 내에 합침되어 토출되도록 하는 내용물 합침부(500)와;
    속재료(200)가 롤형으로 합침된 원재료를 압축 이송시키는 가래떡 안내부(600)와;
    상기 가래떡 안내부(600)를 통해 이송된 합침 재료를 컷팅날을 통해 소정길이로 컷팅시키는 가래떡 킷팅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호퍼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를 파이프내에서 반죽시킴과 동시에 압출 이송시키는 압출 스크류와, 상기 압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압출스크류를 연결하며 모터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롤형 금형(510)의 일면으로 공급되는 원재료가 롤형으로 토출되도록,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지는 롤 형상을 가지며 관통 형성되는 원재료 안내홀(520)과; 관통되는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에 의해 롤형 금형(5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부재(512)가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재(512)의 롤형 라인을 따라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에 복수개 설치되는 리브(530)와; 상기 롤형 금형(510)의 다른면에서 상기 상기 롤형 금형(510)의 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속재료(200)가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을 통해 토출되는 원재료내에 합침되도록 상기 안내부재(512)의 롤형 라인에 상기 롤형 금형(510)의 다른면으로 개방되는 속재료 안내홈(540)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 형성된 속재료 안내홈(540)은 외측 입구단으로부터 중앙 끝단까지 상기 롤형 금형(510)의 토출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시켜 속재료가 빠르게 압출 이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금형(510)의 토출면에
    상기 원재료 안내홀(520)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2차 원재료 안내홀을 형성하고, 상기 속재료 안내홈(540)과 동일한 축방향의 속재료 안내홀(564)을 형성하되 이 속재료 안내홀(564)의 입구단에 원형홀(566)을 복수개 형성시켜서 된 이송판이 제공되어 속재료가 원형홀(566)을 통해 이송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보조 금형(560)을 더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금형(510)의 외면에 속재료 안내를 위한 2차 속재료 공급부(410)를 더 설치하여 상기 속재료 공급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속재료(200)가 상기 리브(530)에 형성되는 연통홀(412)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부재(512)의 안쪽 속재료 안내홈(540)에 직접 주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가래떡 제조장치.
KR10-2002-0025652A 2001-05-11 2002-05-09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KR100484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5857 2001-05-11
KR1020010025857 2001-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283A KR20020086283A (ko) 2002-11-18
KR100484026B1 true KR100484026B1 (ko) 2005-04-20

Family

ID=2770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652A KR100484026B1 (ko) 2001-05-11 2002-05-09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773A1 (en) * 2006-07-03 2008-01-10 Dae-Gu Lee Manufacturing method of fast food containing rice cake
KR101007066B1 (ko) 2008-10-30 2011-01-12 윤진수 떡 제조용 압출 금형 및 이를 갖는 떡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2U (ko) * 1997-02-28 1998-10-26 옥윤선 떡볶이용 떡
KR20000004194U (ko) * 1999-04-16 2000-03-06 이한형 가래떡
KR20000009635U (ko) * 1998-11-09 2000-06-05 김채진 식기세척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224482Y1 (ko) * 2000-10-12 2001-05-15 최동욱 이종소재가 삽입된 떡볶이용 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2U (ko) * 1997-02-28 1998-10-26 옥윤선 떡볶이용 떡
KR20000009635U (ko) * 1998-11-09 2000-06-05 김채진 식기세척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00004194U (ko) * 1999-04-16 2000-03-06 이한형 가래떡
KR200224482Y1 (ko) * 2000-10-12 2001-05-15 최동욱 이종소재가 삽입된 떡볶이용 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773A1 (en) * 2006-07-03 2008-01-10 Dae-Gu Lee Manufacturing method of fast food containing rice cake
KR101007066B1 (ko) 2008-10-30 2011-01-12 윤진수 떡 제조용 압출 금형 및 이를 갖는 떡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283A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7083B1 (en) Twin screw extruder with conical non/parallel converging screws
CA2148016C (en) Manufacture of pasta
EP01941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extruding food material
RU2185077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учны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888795B1 (ko)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US589150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stuff by extrusion
US5296247A (en) Method of making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by co-extrusion
US5216946A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Riaz Food extruders
US589150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stuff by extrusion
JP2918641B2 (ja) 食品の成形方法及び装置
KR100484026B1 (ko) 롤형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US4383813A (en) Pasta extruder apparatus
US10966433B2 (en) Stuffing filling and gas charging system of dough food product processing machine
KR100264612B1 (ko) 중공부를 갖는 국수제조장치 및 그 중공국수
KR20050038606A (ko) 고기말이 성형기
TW200305375A (en) An expanded sna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US6612825B2 (en) Pillow cutting extruder machine
KR100444296B1 (ko) 국수형 만두 제조장치
KR200244510Y1 (ko)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장치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CN111602693A (zh) 饺子皮擀皮机和饺子皮用挤子
AU677655B2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CN212754010U (zh) 一种防高温锅贴机
KR20000000711A (ko) 초심형 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