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38B1 -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38B1
KR102618738B1 KR1020230044049A KR20230044049A KR102618738B1 KR 102618738 B1 KR102618738 B1 KR 102618738B1 KR 1020230044049 A KR1020230044049 A KR 1020230044049A KR 20230044049 A KR20230044049 A KR 20230044049A KR 102618738 B1 KR102618738 B1 KR 10261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long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em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규
Original Assignee
한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규 filed Critical 한복규
Priority to KR102023004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1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replacement of the damaged par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며 배관의 내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배관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보강모듈 및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모듈 사이에 서 상호 결합시키고,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모듈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모듈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영역과 밴딩영역이 연속하여 반복되며, 상기 배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밴딩영역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관 외부에서 접힘상태로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모듈은 각각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모듈과 체결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 gap maintaining unit}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별도의 지지구조물과 같이 설치하여, 부식이나 파손 등에 의해 손상된 배관 내부에서 새로운 내면을 형성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배관이나 우수용 배관 등 각종 배관이 노후되거나, 지진 또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보강작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파손 정도가 경미한 경우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증을 내면에 추가적으로 도포하여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파손 정도가 크거나 광범위한 경우 배관 전체를 교체하거나 보강해야 한다.
다만, 배관을 교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많으며, 이에 따라 배관 전체를 보강재로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배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 배관 내부를 보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 배관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배관 내부에 철근이나 프레임 등을 밴딩하여 설치하고, 철근에 추가적인 수지판을 결합하여 실린더 타입으로 격벽을 형성한 후 수지판과 배관의 내면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 및 경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보강재의 경우 일반적인 시멘트나 모르타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경화를 통해 배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철근이나 프레임 등이 수지판과 고정 결합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우며, 지진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잦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수지판의 진동과 함께 경화된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면, 지반으로부터 지하수가 침수하여 수지판 등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지판을 이용해서 배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더라도, 수지판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보강재로 침투되어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보강 주기가 짧아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배관의 보강 장치는 배관 내면에 수지판을 설치하고,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함으로써 배관의 보강을 수행하였으나, 수진판의 결합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보강을 하더라도 내구성을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17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배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배관 내부를 보강할 수 있으며, 배관 외부에서 일부분을 조립 후 내부에서 체결되는 형태 만으로도 보강 후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며 배관의 내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배관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보강모듈 및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모듈 사이에 서 상호 결합시키고,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모듈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모듈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영역과 밴딩영역이 연속하여 반복되며, 상기 배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밴딩영역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관 외부에서 접힘상태로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모듈은 각각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모듈과 체결된다.
또한, 상기 보강모듈은 상기 배관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중공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유닛 및 일정 길이를 가지며 관로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구조유닛이 결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유닛은 상기 배관의 둘레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며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고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 및 일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되어 함께 고리 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이 연속하여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프레임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틸팅 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관의 내벽을 향해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모듈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부를 동시에 감싸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인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에 접촉하여 상기 배관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내벽부, 상기 신축내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신축내벽부와 적층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신축내벽부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내벽부는 이종 소재로 구성되어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축내벽부와 일정길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내벽부의 신축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형태로 안착되어 밀착시키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모듈은 보강모듈 및 연결모듈을 포함하여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새로운 유로를 형성하며, 각각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관 외부에서 대부분의 구성을 조립한 후 배관 내부에서 확장시켜 고정하여 배관 내부에서의 작업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이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또는 일정각도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도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보강모듈과 연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보강모듈이 배관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보강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연결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보강모듈과 연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연결모듈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연결모듈이 적용되어 보강모듈이 곡선형태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연결모듈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부식되거나 파손된 배관의 내면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배관 내면과 구조물 사이에 충진재(콘크리트: C)를 충진하여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강모듈(100) 및 연결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상기 보강모듈(100)과 상기 연결모듈(200)이 체결되어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배관(P) 내부에 삽입되어 뼈대를 이루며 부식된 배관(P)의 내면과 독립적으로 새로운 유로를 구성하는 구성으로써 내측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배관(P)의 내면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관(P)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며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배관(P)의 내면 단차나 돌기 등을 고려하여 둘레에 따른 최대 지름이 상기 배관(P)의 내면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P)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보강모듈(100)의 외부 둘레가 상기 배관(P)의 내면 둘레에 근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상기 배관(P)의 내면 상태가 이미 온전한 면을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P)은 사각링 형태의 단면을 가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다각형, 말굽형 등 다양한 형태의 배관(P)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강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강모듈(100)은 크게 뼈대를 이루는 구조유닛(110), 상기 구조유닛(110)에 결합되어 밀폐되는 내벽을 형성하는 커버유닛(120) 및 상기 구조유닛(110)과 상기 커버유닛(120)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유닛(110)은 상기 배관(P)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중공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유닛(110)은 링 형태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밴딩되며 접힘 상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정영역(A)과 밴딩영역(B)이 연속하여 반복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조유닛(110)은 강성소재로 복수 개의 프레임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밴딩영역(B)에서 밴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조유닛(110)은 크게 고정프레임(112) 및 결합프레임(11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상기 배관(P)의 둘레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며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고정영역(A)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구조유닛(11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영역(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일반적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뼈대를 이루며 후술하는 상기 결합프레임(114)과 함께 링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일반적인 바(bar)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조유닛(110)의 둘레를 따라 고정영역(A)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120)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P)은 사각링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유닛(110) 역시 사각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사각링 형태에서 직선구간인 고정영역(A)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유닛(120)의 형상을 고정 및 지지한다.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달리 상기 밴딩영역(B)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프레임(114)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일부만 결합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2)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고정된 일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관(P)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2) 사이에서 상기 밴딩영역(B)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결합되어 함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114) 사이에 고정 결합되며, 결합 시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고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만 체결되어 틸팅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 시에만 결합되거나 또는 일부가 틸팅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시 2차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밴딩영역(B)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후, 후술하는 상기 커버유닛(120)과 상기 구조유닛(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보강모듈(100)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프레임(114)과 상기 고정프레임(112)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틸팅이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유닛(110)은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볼트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각각 복수 개의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상기 결합프레임(114)은 하나의 볼트체결만 된 상태에서 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된 상태로 상기 결합프레임(114)과 상기 고정프레임(112)의 나머지 볼트가 체결 됨으로써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유닛(110)은 상기 고정프레임(112) 및 상기 결합프레임(114)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고정영역(A)과 상기 밴딩영역(B)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연결함과 동시에 밴딩 가능하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밴딩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유닛(110)은 상기 구조유닛(110)은 하나의 상기 보강모듈(100)에 복수 개가 각각 구비되며, 복수 개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커버유닛(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구조유닛(11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구조유닛(11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유닛(110)은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조유닛(1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120)은 중앙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배관(P)의 내부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구조유닛(1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구조유닛(1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지며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유닛(120)이 탄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배관(P)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영역(A)과 상기 밴딩영역(B)에 모두 배치되며, 상기 밴딩영역(B)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구조유닛(110)과 함께 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면을 이루도록 관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조유닛(110)에 의해 외형을 유지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구조유닛(110)의 밴딩 시 함께 상기 밴딩영역(B)에 위치한 부분이 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120)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밴딩영역(B)에는 상기 배관(P)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주름이 형성되어 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밴딩영역(B)에 위치한 부분에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유닛(110)의 밴딩 시 함께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유닛(120)은 사각통 형태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부재가 상기 배관(P)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12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영역(A)과 상기 밴딩영역(B)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른 적어도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모듈(200)과 결합되어 상기 보강모듈(100)을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결합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연결모듈(200)이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연결모듈(200)의 구성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P)의 내벽을 향해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구조유닛(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결합부(122)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에는 상기 고정홈이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보강모듈(100)이 인접한 상기 커버유닛(120)의 결합부(122)를 동시에 감싸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홈 내부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조유닛(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22)는 상기 커버유닛(120)의 단부에서 상기 배관(P)의 내벽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22a)와, 상기 제1연장부(122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22b)와, 상기 제2연장부(122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배관(P)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122c)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3연장부(122c)의 끝단에서 절곡된 보조후크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부(350)는 전체적으로 누운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상기 제3연장부(122c)가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122a) 내지 상기 제3연장부(122c)에 의해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연결모듈(20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조후크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배관(P)의 내면을 향한 일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상기 지지유닛(130)과 고정 결합되는 별도의 돌출연결부(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연결부(124)는 상기 커버유닛(120)상에서 상기 배관(P)을 향해 일정 두께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연속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돌출연결부(124)는 일반적인 시트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유닛(120)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연결부(124)는 링 형태로 상기 배관(P)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는 시트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120)에서 상기 구조유닛(110)과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서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상기 지지유닛(1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120)은, 관로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에 따른 단부에 상기 결합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모듈(20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보강모듈(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이격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후술하는 상기 연결모듈(200)이 상기 결합부(122)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강모듈(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30)은 상기 구조유닛(110) 및 상기 커버유닛(120)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유닛(12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유닛(120)과 결합된다. 이때,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는 각각 상기 구조유닛(11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유닛(110)과 함께 뼈대를 이루고 상기 커버유닛(12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130)은 길게 형성된 바(bar)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연결부(124)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조유닛(110)과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돌출연결부(124)를 연속하여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구조유닛(11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출연결부(124)는 상기 지지유닛(130)이 삽입관통 가능한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삽입되지 않고 별도의 고리나 결합수단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상기 지지유닛(13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13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돌출연결부(124)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관(P)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30)은 상기 구조유닛(110)과 함께 상기 커버유닛(120)이 특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커버유닛(120)이 새로운 배관(P)의 내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구조유닛(110) 상기 커버유닛(120) 및 상기 지지유닛(130)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복수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상기 연결모듈(2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새로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영역(A)과 밴딩영역(B)이 연속하여 반복되며, 상기 배관(P)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밴딩영역(B)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P) 외부에서 접힘 상태로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된 후 복수 개의 상기 보강모듈(100)은 각각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모듈(200)과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배관(P)의 외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상기 결합프레임(114)이 접힘 가능한 상태까지만 조립된 후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조립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모듈(100)은 상기 배관(P) 외부에서 대부분의 구성을 조립한 후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시켜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상기 결합프레임(114)을 고정 시킴으로써 배관(P) 내부에서의 작업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모듈(100)이 상기 배관(P)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강모듈(100)과 후술하는 상기 연결모듈(200)이 반복하여 투입 됨으로써 상기 보강모듈(100) 사이에 상기 연결모듈(200)을 위치하여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보강모듈(100) 사이에서 링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모듈(100)을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모듈(100) 사이에 배치되며 인접한 상기 보강모듈(100)을 상호 결합시키고,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모듈(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인 폭 방향을 따라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관(P)의 설치 영역이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 구성 되더라도 상기 연결모듈(200)의 신축길이를 조절해 설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보강모듈(100)과 함께 연통되며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벽을 함께 형성하는 신축내벽부(210), 상기 신축내벽부(210)에서 상기 배관(P)의 내벽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2)와 결합되는 고정부(220) 및 상기 신축내벽부(2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모듈(2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모듈(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120)를 감싸는 형태로 커버함과 동시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결합부(122)의 보조후크와 체결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상기 커버유닛(120)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22)와 결합 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120)이 형성하는 새로운 내벽의 내경에 대응해 곡률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인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이종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모듈(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곡선형태의 구간에서는 곡률에 대응하여 함께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일정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폭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이종 소재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폭 방향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이종접합이나 이중사출을 통해 생산되며, 폭방향으로 신축 시 상기 고정부(220)와 함께 이동하여 고정부(220)간 이격거리가 함께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내벽부(120)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성질의 이종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결합부(122)를 감싸며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부분과 이종 소재로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신축내벽부(120)는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부분이 신축됨으로써 상기 신축내벽부(12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일정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상에서 상기 결합부(122)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2)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후크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커버유닛(120) 각각의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가 상기 고정홈 및 한 쌍의 상기 결합부(122)를 상부에서 커버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122)는 각각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삽입 시 함께 치합되며,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배관(P)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와 달리 외형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에서 상기 제2부분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함께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와 마찬가지로 돌출된 링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상에서 돌출 형성되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고정부(220)상에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신축내벽부(21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가지며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축내벽부(21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30)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신축 시 함께 슬라이딩하여 횡 방향위치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220) 각각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호 적층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이 증가하는 경우 슬라이딩하여 상호 위치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220) 각각에 구비되며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서 위치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신축내벽부(210), 상기 고정부(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모듈(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보강모듈(100)을 상호 연결시키며 새로운 내벽을 함께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모듈(200) 역시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보강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되며 상기 보강모듈(1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신축내벽부(210)는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230)는 이와 연동하여 일부가 슬라이딩하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지지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연결모듈(200)이 폭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모듈(200)은 별도의 날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40)는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신축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120)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형태로 안착되어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기 고정부(22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상기 커버유닛(120)과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240)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돌출되며,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120)과 안정적으로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모듈(200)이 상기 커버유닛(120)과 결합 시 상기 날개부(240)가 상기 커버유닛(120)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형태로 안착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커버유닛(120)간의 접촉하거나 또는 이격된 틈을 감싸며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상기 보강모듈(100) 및 상기 보강모듈(100)을 연결하는 연결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P) 외부에서 조립하는 작업을 진행 후 접힘상태로 상기 배관(P)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상기 보강모듈(100)과 상기 연결모듈(200)이 확장되며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새로운 내벽과 함께 유로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P) 내부 보강모듈(100)에서 연결모듈(200)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연결모듈(20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모듈(200)이 적용되어 보강모듈(100)이 곡선형태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220)도 적층된 상태로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7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길이가 증가하지 않은 상태로써, 상기 고정부(220) 각각에서 돌출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고정부(220) 사이에서 각각 돌출되어 이중레이어로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220)간의 이격거리도 함께 증가하며, 이와 연동하여 각각에서 돌출된 상기 지지부(230)가 상호 슬라이딩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20) 각각에서 돌출된 상기 지지부(230) 중 어느 하나는 상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호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0)는 상부에 배치된 부재의 돌출된 끝단부에는 하부로 돌기가 돌출되고, 하부에 배치된 부재의 돌출된 끝단부에는 상부로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지지부(230)가 상호 슬라이딩하지만, 돌출된 끝단부의 돌기가 서로 맞물리며 일정 길이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230)가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의 (b)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후 도 7의 (c)와 같이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커버유닛(120)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122)에 상기 고정부(220)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유닛(120)간 이격공간을 감싸며 새로운 내벽을 함께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모듈(200)에서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벽을 이루는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밴딩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P)의 내부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의 구간이나 또는 각도가 꺾이는 구간에서 상기 연결모듈(20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모듈(200)에 열을 가해 상기 신축내벽부(210)가 상기 배관(P)의 새로운 내면을 이루는 영역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하여 일정각도 휘어지게 조절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보강모듈(10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P)이 꺾이는 구간이나 곡선의 구간에서 상기 연결모듈(200)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 자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상기 보강모듈(100) 및 상기 연결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200)이 신축 또는 일정각도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도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모듈(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1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서 연결모듈(2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9의 (a)의 경우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길이가 증가하지 않은 상태이며, 기본적은 구성은 유사하지만 상기 지지부(230)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3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고정부(220)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축내벽부(210)와 일정길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하나의 부재가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한 쌍의 고정부(2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타측이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22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30)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220)에는 상기 지지부(230)가 관통하는 링 형태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3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하여 상기 신축내벽부(210)의 하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고정부(220)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고정부(2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230)의 변형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23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한 쌍의 상기 고정부(220) 사이에서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슬라이딩 하되 상기 가이드에 의해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 하는 것을 억제 함으로써 상기 신축내벽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보강모듈
110: 구조유닛
112: 고정프레임
114: 결합프레임
120: 커버유닛
122: 결합부
124: 돌출연결부
130: 지지유닛
200: 연결모듈
210: 신축내벽부
220: 고정부
230: 지지부
240: 날개부
P: 배관

Claims (11)

  1.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며 배관의 내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배관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보강모듈; 및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모듈 사이에 서 상호 결합시키고, 중앙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모듈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모듈은 상기 배관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중공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유닛 및 일정 길이를 가지며 관로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구조유닛이 결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보강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관의 내벽을 향해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모듈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부를 동시에 감싸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결합부를 감싸며 상기 배관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된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부분과 이종 소재로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 가능한 제2부분을 가지는 신축내벽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상기 배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부분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고정부; 및
    상기 신축내벽부에 대하여 상기 배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한 쌍의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신축내벽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모듈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영역과 밴딩영역이 연속하여 반복되며, 상기 배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밴딩영역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관 외부에서 접힘상태로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모듈은 각각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모듈과 체결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유닛은,
    상기 배관의 둘레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며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고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 및
    고정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밴딩영역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되어 함께 고리 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이 연속하여 반복 배치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프레임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틸팅이 고정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축내벽부와 일정길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내벽부의 신축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형태로 안착되어 밀착시키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20230044049A 2023-04-04 2023-04-04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261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49A KR102618738B1 (ko) 2023-04-04 2023-04-04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49A KR102618738B1 (ko) 2023-04-04 2023-04-04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738B1 true KR102618738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49A KR102618738B1 (ko) 2023-04-04 2023-04-04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57A (ja) * 2003-08-01 2005-03-03 Intes Co Ltd 管路内面の補修工法
KR20050041765A (ko)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배관의 보수공법
JP2012067555A (ja) * 2010-09-27 2012-04-05 Osaka Bosui Constr Co Ltd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2015013433A (ja) * 2013-07-05 2015-01-22 株式会社大阪防水建設社 ライニング工法、ライニング構造物
JP2020062790A (ja) * 2018-10-16 2020-04-23 株式会社大阪防水建設社 ライニング体、帯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57A (ja) * 2003-08-01 2005-03-03 Intes Co Ltd 管路内面の補修工法
KR20050041765A (ko)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배관의 보수공법
JP2012067555A (ja) * 2010-09-27 2012-04-05 Osaka Bosui Constr Co Ltd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2015013433A (ja) * 2013-07-05 2015-01-22 株式会社大阪防水建設社 ライニング工法、ライニング構造物
JP2020062790A (ja) * 2018-10-16 2020-04-23 株式会社大阪防水建設社 ライニング体、帯体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688B1 (ko)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JP2006037628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20160079458A (ko)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4761B1 (ko) 내부중공재의 부력을 방지하는 부력방지부재를 구비한 강합성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7385A (ko) 보강판을 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구조
KR102001041B1 (ko) Cft사각기둥의 철골보 접합구조
KR101791248B1 (ko) 조적조벽 내진보강구조
JP4819605B2 (ja) 端部と中央部とで強度の異なる緊張材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102618738B1 (ko)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JP4461914B2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57672A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184790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KR102459330B1 (ko)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20110085984A (ko) 단차가 있는 구조체
KR20030009832A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01895898B1 (ko) 내다이아프램용 수평 철근콘크리트 블록이 내장된 cft기둥
KR102588517B1 (ko)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KR20040085957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18305B1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주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