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17B1 -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517B1
KR102588517B1 KR1020230015931A KR20230015931A KR102588517B1 KR 102588517 B1 KR102588517 B1 KR 102588517B1 KR 1020230015931 A KR1020230015931 A KR 1020230015931A KR 20230015931 A KR20230015931 A KR 20230015931A KR 102588517 B1 KR102588517 B1 KR 10258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upling
unit
couple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규
Original Assignee
한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규 filed Critical 한복규
Priority to KR102023001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하부에 매설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슬라브커버를 포함하는 맨홀의 내부에서 보강을 하는 맨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내측에 중공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1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내부보강모듈 및 상기 내부보강모듈 상부에서 연속하여 결합되며 연속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2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보강모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내부보강모듈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고 최상단부에 상기 상부보강모듈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모듈의 상단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놓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본 발명은 맨홀 내부에 별도의 보강구조물과 같이 설치하여, 부식이나 파손 등에 의해 손상된 맨홀 내부에서 새로운 내면을 형성해 유로를 형성하고, 상단에 위치한 슬라브커버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맨홀이나 우수용 맨홀 등 각종 맨홀이 노후되거나, 지진 또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보강작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맨홀의 파손 정도가 경미한 경우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증을 내면에 추가적으로 도포하여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파손 정도가 크거나 광범위한 경우 맨홀 전체를 교체하거나 보강해야 한다.
다만, 맨홀을 교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많으며, 이에 따라 맨홀 전체를 보강재로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맨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 맨홀 내부를 보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 맨홀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맨홀 내부에 철근이나 프레임 등을 밴딩하여 설치하고, 철근에 추가적인 수지판을 결합하여 실린더 타입으로 격벽을 형성한 후 수지판과 맨홀의 내면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 및 경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보강재의 경우 일반적인 시멘트나 모르타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경화를 통해 맨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철근이나 프레임 등이 수지판과 고정 결합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우며, 지진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잦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수지판의 진동과 함께 경화된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면, 지반으로부터 지하수가 침수하여 수지판 등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지판을 이용해서 맨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더라도, 수지판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보강재로 침투되어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보강 주기가 짧아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맨홀의 보강 장치는 맨홀 내면에 수지판을 설치하고,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함으로써 맨홀의 보강을 수행하였으나, 수진판의 결합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보강을 하더라도 내구성을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17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맨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맨홀 내부를 보강할 수 있으며, 보강 후 슬라브 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의 하부에 매설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슬라브커버를 포함하는 맨홀의 내부에서 보강을 하는 맨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내측에 중공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1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내부보강모듈 및 상기 내부보강모듈 상부에서 연속하여 결합되며 연속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2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보강모듈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내부보강모듈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고 최상단부에 상기 상부보강모듈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모듈의 상단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놓여지며 상단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이 형성하는 상기 제2내벽의 내경이 상기 제1내벽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보강모듈이 단턱 또는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보강모듈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보강구조유닛, 상기 삽입홈에 치합되는 삽입돌기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연장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구조유닛에 걸쳐 결합되는 연결리브 및 상기 제1연장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연장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리브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폭 방향에 따른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커버유닛과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서로 인접한 상기 커버유닛에서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상기 연결부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기 커버유닛 함께 상기 제2내면을 형성하는 연결내벽부 및 상기 연결내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와 고정 결합되는 연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상기 제1내벽과 상기 제2내벽의 내경 차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3내벽을 형성하며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하측 끝단부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상기 제1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유닛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형성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정 곡률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수직형프레임, 일측이 상기 수직형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리브 및 상기 제1곡면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리브에 결합되되,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돔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몸체 내측으로 향한 면에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는 고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되며 돔형태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유닛은 복수 개의 부재가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보강모듈은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구조유닛, 상기 결합홈과 치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구조유닛에 걸쳐 결합되는 제1결합유닛 및 상기 제1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상기 제1내벽을 형성하는 제2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돌기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폭 방향에 따른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보강모듈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2결합유닛에서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기 제2결합유닛과 함께 상기 제1내면을 형성하는 탄성내벽부 및 상기 탄성내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와 고정 결합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보강모듈 또는 상부보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이 상기 맨홀의 내벽에 삽입되는 위치 및 깊이에 따라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또는 상부보강모듈의 배치 위치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맨홀 내부에서 제1내벽을 형성하는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의 제2내벽을 형성하는 상부보강모듈이 구비되어 새로운 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슬라브커버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용이하게 멘홀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맨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맨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에서 내부보강모듈과 상부보강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내부보강모듈과 상부보강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른 맨홀 보강장치에서 메인구조유닛이 손상된 맨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메인구조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맨홀 내부에 메인구조유닛과 보강구조유닛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유닛이 메인구조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2결합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2결합유닛이 제1결합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고정유닛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서 고정유닛이 내경에 따라 결합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의 맨홀보강장치에서 내부보강모듈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보강구조유닛이 상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의 맨홀보강장치에서 보강구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리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리브가 보강구조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커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커버유닛이 연결리브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의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체결유닛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커버유닛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의 맨홀보강장치에 있어서, 하부지지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의 맨홀보강장치에 있어서, 내부보강모듈 상부에 상부보강모듈 및 하부지지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은 도 21에서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 상부보강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1의 맨홀 보강장치에서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 수직형프레임이 고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21의 맨홀 보강장치에서 결합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1의 맨홀 보강장치에서 고리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26은 도 21의 맨홀 보강장치에서 상부보강모듈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는 부식되거나 파손된 맨홀의 내면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맨홀 내면과 구조물 사이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단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는 크게, 내부보강모듈(1000), 상부보강모듈(2000) 및 고정모듈(3000)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이 상하방향으로 상기 맨홀(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맨홀(10)의 경우 지하에 매설된 배관(P)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수직형태로 배치되는 몸체(14) 및 몸체(14)의 상단에 별도로 안착되는 슬라브커버(12)를 포함한다. 이때, 슬라브커버(12)에는 별도로 소형 홀이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되며 본 실시예에서 슬라브커버(12)는 노면 하부에 함께 매설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는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 상부보강모듈(2000)이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제2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브커버(12)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은 상기 몸체(14)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내측에 중공(A)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4) 내부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4)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결합된다.
이때, 복수 개의 부재가 일정길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14)의 내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몸체(14)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1내벽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구조유닛(1100), 제1결합유닛(1200), 제2결합유닛(1300), 고정유닛(14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상기 맨홀(10) 내부에 가장 먼저 설치되는 구성으로, 맨홀(10)의 반경에 따라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맨홀(10)의 내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맨홀(10)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맨홀 보강장치는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진 맨홀(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맨홀(10)의 내부 형상 및 둘레에 대응하여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맨홀(1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이 사각링 형태로 중공(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맨홀(10)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중공(A)이 형성되며, 상기 맨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서 이격되어 소정을 두께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상기 맨홀(10)의 내면 단차나 돌기 등을 고려하여 둘레에 따른 최대 지름이 상기 맨홀(10)의 내면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맨홀(10)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외부 둘레가 상기 맨홀(10)의 내면 둘레에 근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상기 맨홀(10)의 내면 상태가 이미 온전한 면을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복수 개의 부재가 맨홀(10)의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일체의 단일한 부재로 맨홀(10)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140)과, 적어도 일부가 맨홀(1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구조형성부(1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일체로 형성되어 폐곡선 형태로 중공(A)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이 연결되어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부재는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각각이 연속하여 연결되며, 그 재질은 강철이나 합금 등의 고강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따른 일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모듈(3000)이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복수의 결합홈(114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40)는 구조형성부(1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1140)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1결합유닛(1200)이 상기 결합홈(1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상기 구조형성부(1120)가 상기 맨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형성부(1120)는 상기 맨홀(10)과 접촉하는 방향에 접촉면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맨홀(10)의 내면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조형성부(1120)는 일부가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고 연통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추후 상기 맨홀(10) 내면과의 사이에 충진재가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하며,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내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상기 맨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의 개수는 상기 맨홀(10)의 직경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은 제1베이스부(1220)와, 상기 제1베이스부(1220)로부터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1140)과 치합되는 결합돌기부(124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부(1240) 역시 전술한 결합홈(1140)과 치합되며, 각각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1240)가 상기 결합홈(114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홈(1140) 및 상기 결합돌기부(1240)가 서로 치합되어 안정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은 상기 제1베이스부(1220)로부터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1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는 후술할 제2결합유닛(1300)의 제2고정결합부(13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1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돌기(1262)는 상기 제1베이스부(1220)로부터 맨홀(10)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단에서 절곡되며 후크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돌기(1262)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결합유닛(12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가 제2고정결합부(1340)와 결합 시 접촉되는 면에는, 팽창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R)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수분에 의해 팽창 가능한 수팽창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 및 상기 제2고정결합부(1340)의 결합 이후 팽창되도록 함에 따라 보다 큰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수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부재(R)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팽창부재(R)는 본 실시예에 나타난 모든 결합 구조들의 접촉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은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의 내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결합유닛(1200)과 마찬가지로 상기 맨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메인구조유닛(1100)에 걸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은 복수 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1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개수는 상기 맨홀(10)의 내경의 크기나 형상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1300)과 접촉되는 접촉부(1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6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은 제2베이스부(1320)와,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13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고정결합부(1340)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126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6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13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돌기(1342)는 상기 제2베이스부(1320)로부터 상기 제1결합유닛(120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끝단이 양단으로 갈라지는 화살표 형태로 절곡되어 후크형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돌기(1342)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62)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크가 서로 맞물리며 걸리는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제1결합유닛(1200) 및 제2결합유닛(1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1320)는,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맨홀(10)의 새로운 제1내벽을 형성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결합유닛(12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이 상기 제2베이스부(1320), 상기 제2고정결합부(13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유닛(120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맨홀(10)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기 제2베이스부(1320)에 후술하는 별도의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결합부(1340)의 크기 및 단면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베이스부(1320)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1300)과 접촉되는 접촉부(13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1360)는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부(1320)로부터 상기 제1결합유닛(1200) 방향으로 일부가 함몰된 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끝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끝단부에 별도의 보조후크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부(1360)는 전체적으로 누운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2결합유닛(1300)은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서로 접촉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에서 상기 고정모듈(3000)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1300)이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13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유닛(1400)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접촉부(1360)의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함께 상기 맨홀(10)의 새로운 상기 제1내벽을 형성하는 탄성내벽부(1420)와, 상기 탄성내벽부(142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한 쌍의 보조후크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탄성고정부(14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1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360)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후크와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맨홀(10)의 상기 제1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내벽부(1420)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1360)와 결합 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이 형성하는 새로운 내벽의 내경에 대응해 곡률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360)를 형성하되 상기 접촉부(1360)가 형성되는 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1400)은 상기 탄성내벽부(1420)의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접촉부(1360)의 경사진 부분에 접촉하며 해당 부분을 가압 함으로써 발생하는 틈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1400)은 상기 접촉부(136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내벽부(1420)가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결합 시 하부에 형성된 상기 탄성고정부(1440)가 상기 접촉부(136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탄성내벽부(1420) 하부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유닛(1400)은 상기 탄성내벽부(1420)의 탄성에 의해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을 가압하며 안정적으로 접촉 함으로써 상기 맨홀(10)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1400)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1300)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1360)를 감싸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유닛(1400)의 외면과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제2베이스부(1320) 외면이 서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유닛(1400)이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맨홀(10)의 내경에 따른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내벽부(1420)가 탄성을 가지며 대응하는 형태로 휘어져 내벽을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보강모듈(1000)은 상기 맨홀(10)의 하단부에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상기 제1결합유닛(1200), 상기 제2결합유닛(1300) 및 상기 고정유닛(1400) 순으로 설치되어 상기 맨홀(10)의 내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 사이에 충진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공간(B)은 상기 맨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에 의해 분할된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형태의 상기 충진공간(B)에 추가적으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충진공간(B)의 내부가 채워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가 상기 맨홀(10)과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충진재는 모르타르나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소재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유닛(1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은 PVC나 합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 경화성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상기 제1결합유닛(1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1300) 간의 결합은 가압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강된 상기 맨홀(10) 및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은 경화된 충진재에 의해 결합상태가 보강되어 상기 맨홀(10)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맨홀(10)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제2결합유닛(1300) 및 상기 고정유닛(1400)과 접촉하여 유동함으로써 추가적인 충진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10) 내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둘레가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맨홀(10)과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모듈(30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 또는 상부보강모듈(2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몸체(14)의 내면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모듈(3000)이 상기 맨홀(10)의 내벽에 삽입되는 위치 및 깊이에 따라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또는 상부보강모듈(2000)의 배치 위치나 크기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모듈(3000)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또는 후술하는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의 보강구조유닛(2100)에 연결되어 상기 맨홀(10)의 몸체(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모듈(3000)이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과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 모두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세부적인 설명은 메인구조유닛(1100)에 결합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모듈(30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맨홀(10)의 내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배치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크게 바디부(3200) 및 설치부(31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3200)는 상기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3200)는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후술하는 메인구조유닛(11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3200)는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3100)는 상기 바디부(3200)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1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3200)의 타측에서 상기 맨홀(1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맨홀(10)내부에 강제로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설치부(3100)는 상기 바디부(3200)상에서 일방향을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맨홀(10)의 내면을 향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3100)는 일반적인 송곳이나 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이나 다각형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모듈(3000)은 상기 바디부(3200) 및 상기 설치부(310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3200)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에 고정되고 상기 설치부(3100)가 상기 맨홀(10)의 내면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이 상기 맨홀(10) 내부에서 올바르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모듈(3000)은 복수 개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맨홀(10)의 내면 상태나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적절히 결합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모듈(3000)은 상기 맨홀(10)의 내면 형상에 상관 없이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 시킴으로써,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이나, 후술하는 커버유닛(2300)이 상기 맨홀(10) 내부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 시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모듈(30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 및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10)의 내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부보강모듈(20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 상부에서 연속하여 결합되며 연속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14)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2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에 상기 슬라브커버(12)가 안착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내벽보다 상기 제2내벽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단턱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이 새로운 내벽과 함께 상기 슬라브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별도의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일반적인 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술한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 간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과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며 각각이 복수 개의 메인구조유닛(1100) 또는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의 이격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일부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을 살펴보면 크게 보강구조유닛(2100), 연결리브(2200), 커버유닛(2300) 및 체결유닛(2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상기 맨홀(10)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10)의 내면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복수 개의 부재가 맨홀(10)의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일체의 단일한 부재로 맨홀(10)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삽입홈(2140)과, 적어도 일부가 맨홀(1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보강프레임(2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2120)은, 일체로 형성되어 폐곡선 형태로 중공(A)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이 연결되어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부재는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각각이 연속하여 연결되며, 그 재질은 강철이나 합금 등의 고강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따른 일부에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모듈(30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삽입홈(2140)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2140)은 보강프레임(2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연결리브(2200)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2140)은 함몰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리브(2200)에 형성된 삽입돌기부(2240)가 상기 삽입홈(214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돌기부(2240) 및 상기 삽입홈(2140)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다각형이나 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상기 보강프레임(2120)이 상기 맨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프레임(2120)은 상술한 구조형성부(1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맨홀(10)과 접촉하는 방향에 접촉면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맨홀(10)의 내면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2120)은 일부가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고 연통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추후 상기 맨홀(10) 내면과의 사이에 충진재가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10)의 내면과 접촉하며, 각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경우 조립이 완성된 상태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단순히 메인구조유닛(1100)만 상기 맨홀(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리브(2200)는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의 내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상기 맨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리브(220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연결리브(2200)의 개수는 상기 맨홀(10)의 직경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리브(2200)는 제1지지부(2220) 와, 상기 제1지지부(2220)로부터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홈(2140)과 치합되는 삽입돌기부(2240) 및 상기 제1지지부(2220)로부터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연장결합부(226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기부(2240)는 상술한 상기 삽입홈(214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제1연장결합부(2260)는 상기 삽입돌기부(224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커버유닛(2300)의 제2연장결합부(2340)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2200) 및 상기 커버유닛(23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장결합부(2260)는 상술한 제1고정결합부(1260)와 유사한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연장돌기(22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돌기(2262)는 상기 제1지지부(2220)로부터 맨홀(10)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단에서 절곡되며 후크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장돌기(2262)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버유닛(23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리브(2200)는 상기 보강구조유닛(2100)에 결합된 상태로 후술하는 커버유닛(2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술한 제1결합유닛(1200)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규격 및 크기를 가지고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상기 커버유닛(2300)은 상기 연결리브(2200)의 내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리브(2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맨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보강구조유닛(2100)에 걸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2300)은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상기 연결리브(2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커버유닛(2300)의 개수는 상기 맨홀(10)의 내경의 크기나 형상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2300)의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커버유닛(2300)과 접촉되는 연결부(23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2300)은 제2지지부(2320), 상기 제2지지부(23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부(2360) 및 상기 제2지지부(232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결합부(2260)와 결합되는 제2연장결합부(23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연장결합부(2340)는 상기 제1연장결합부(226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연장돌기(226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연장돌기(23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장돌기(2342)는 상기 제2지지부(2320)로부터 상기 연결리브(220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끝단이 양단으로 갈라지는 화살표 형태로 절곡되어 후크형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장돌기(2342)는 한 쌍의 제1연장돌기(2262)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크가 서로 맞물리며 걸리는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연결리브(2200) 및 커버유닛(2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2320)는,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제2내벽을 형성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리브(22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300)이 상기 제2지지부(2320), 상기 제2연장결합부(23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리브(220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서 맨홀(10)의 중심을 향해 단턱형태로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커버유닛(2300)과 접촉되는 연결부(23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2360)는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2320)로부터 상기 연결리브(2200) 방향으로 일부가 함몰된 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끝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끝단부에 별도의 확장후크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2360)는 전체적으로 누운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커버유닛(2300)은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서로 접촉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2300)은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혼용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독립적으로 크기 및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유닛(2400)은 한 쌍의 커버유닛(2300)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연결부(2360)를 감싸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연결부(23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삽입됨과 동시에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체결유닛(2400)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2360)의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기 커버유닛(2300)과 함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는 연결내벽부(2420)와, 상기 연결내벽부(242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한 쌍의 확장후크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연결고정부(24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2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360)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확장후크와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상기 커버유닛(23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맨홀(10)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내벽부(2420)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360)와 결합 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2300)이 형성하는 새로운 내벽의 내경에 대응해 곡률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내벽부(24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커버유닛(2300)을 가압하며 안정적으로 접촉 함으로써 상기 맨홀(10)의 새로운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유닛(2400)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커버유닛(2300)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연결부(2360)를 감싸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유닛(2400)의 외면과 상기 커버유닛(2300)의 제2지지부(2320) 외면이 서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2300)은, 상술한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동일 한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이한 형상이나 크기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과의 내경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단턱의 하부공간을 커버하는 별도의 하부지지유닛(250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과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턱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과 상기 맨홀(10)의 내벽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며 새롭게 형성되는 상기 맨홀(10)의 유로가 격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제1내벽과 상기 제2내벽의 내경 차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2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3내벽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결합유닛(1300) 및 상기 커버유닛(2300)과 함께 상기 맨홀(10)의 새로운 유로를 형성하며, 단턱 부분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제1내벽과 상기 제2내벽 각각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 둘레를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커버유닛(2300)의 하측 끝단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돌출된 돌기(2520)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2300)과 상기 몸체(14)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제1내벽에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경이 상기 커버유닛(2300)의 내경에 대응하고, 외경이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유닛(2300)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커버유닛(2300)의 하부에서 삽입되며, 외경이 상기 제2결합유닛(1300)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제3내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지지유닛(2500)은 상기 커버유닛(2300)의 하부에서 상기 제3내벽을 형성하며, 상기 맨홀(10)의 내면과의 사이에 충진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공간(B)에는 상술한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충진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충진공간(B)의 내부가 채워져 상기 상부보강모듈(2000)이 상기 맨홀(10)과 일체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는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며 독립적인 제2내벽 및 제3내벽을 가지는 상부보강모듈(2000)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맨홀(10)의 내부에 새로운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상부보강모듈(4000)과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보강모듈(4000)의 형태가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보강모듈(4000)은 원통형상이 아니라 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며,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상기 슬라브커버(12)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보강모듈(4000)은 크게 수직형프레임(4100), 결합리브(4200) 및 고리유닛(430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은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결합리브(4200)와 상기 고리유닛(4300)이 결합되는 뼈대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 개가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몸체(14)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돔 형태의 뼈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리브결합부(41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리브(4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술한 상기 결합홈(114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은 각각에 복수 개의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구조유닛(1100)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결합리브(4200)는 후술하는 상기 고리유닛(4300)을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와 결합되는 제2리브결합부(4240) 및 상기 몸체(14)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곡면결합부(426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4)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리브(4200)는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14)의 둘레를 따라 바(bar)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에 삽입 고정되며,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단부와 하단부의 둘레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리브(4200)는 제1프레임부(4220)와, 상기 제1프레임부(4220)로부터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와 결합되는 제2리브결합부(4240) 및 상기 제1프레임부(4220)로부터 상기 맨홀(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곡면결합부(4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리브결합부(4240)는 상술한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곡면결합부(4260)는 상기 제1프레임부(4220)에서 상기 제1리브결합부(412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고리유닛(4300)과 결합되어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곡면결합부(4260)는 상술한 제1고정결합부(1260)와 유사한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곡면돌기(42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돌기(4262)는 상기 제1프레임부(4220)로부터 맨홀(10)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단에서 절곡되며 후크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곡면돌기(4262)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리유닛(43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리브(4200)는 상기 수직형프레임(4100)에 결합된 상태로 후술하는 고리유닛(4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술한 제1결합유닛(1200)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지만 단순 직선형태가 아닌 상기 몸체(14)의 둘레를 따라 곡선 형태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유닛(430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상기 고리유닛(4300)은 상기 결합리브(4200)의 내측에 결합하여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결합리브(4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맨홀(10)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수직형프레임(4100)에 걸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리유닛(4300)은 상술한 상기 제2결합유닛(1300)과 달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결합리브(420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리유닛(4300)은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돔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몸체(14) 내측으로 향한 면에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리유닛(4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부재가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됨으로써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유닛(4300)은 제2프레임부(4320)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곡면결합부(4260)와 결합되는 제2곡면결합부(43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곡면결합부(4340)는 상기 제1곡면결합부(426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곡면돌기(426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곡면돌기(43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곡면돌기(4342)는 상기 제2프레임부(4320)로부터 상기 결합리브(420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끝단이 양단으로 갈라지는 화살표 형태로 절곡되어 후크형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곡면돌기(4342)는 상기 제1곡면돌기(4262)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크가 서로 맞물리며 걸리는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결합리브(4200) 및 고리유닛(4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부(4320)는, 상기 맨홀(10)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제2내벽을 이루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결합리브(42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고리유닛(4300)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링 형태로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되어 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리유닛(4300)이 상기 제2프레임부(4320), 상기 제2곡면결합부(43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리브(420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보강모듈(1000)의 상부에서 맨홀(10)의 중심을 향해 만곡진 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강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보강모듈(40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단턱 형태와 달리, 링 형상을 가지며 상부방향으로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커버(12)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0: 내부보강모듈
1100: 메인구조유닛
1200: 제1결합유닛
1300: 제2결합유닛
1400: 고정유닛
2000, 4000: 상부보강모듈
2100: 보강구조유닛
2200: 연결리브
2300: 커버유닛
2400: 체결유닛
2500: 하부지지유닛
3000: 고정모듈
3100: 설치부
3200: 바디부
4100: 수직형프레임
4200: 결합리브
4300: 고리유닛
10: 맨홀
12: 슬라브커버
14: 몸체
P: 배관

Claims (19)

  1. 노면의 하부에 매설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슬라브커버를 포함하는 맨홀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브커버를 지지하는 맨홀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내측에 중공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고,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1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내부보강모듈; 및
    상기 내부보강모듈 상부에서 연속하여 결합되며 연속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새로운 제2내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보강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강모듈은,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정 곡률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수직형프레임. 일측이 상기 수직형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리브 및 상기 제1곡면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에 결합되되,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돔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몸체 내측으로 향한 면에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는 고리유닛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내부보강모듈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고 최상단부에 상기 상부보강모듈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모듈의 상단에 상기 슬라브커버가 놓여지는 맨홀 보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되며 돔형태의 상기 제2내벽을 형성하는 맨홀 보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유닛은,
    복수 개의 부재가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모듈은,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메인구조유닛;
    상기 결합홈과 치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구조유닛에 걸쳐 결합되는 제1결합유닛; 및
    상기 제1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상기 제1내벽을 형성하는 제2결합유닛;
    을 포함하는 맨홀 보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상단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폭 방향에 따른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맨홀 보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모듈은,
    서로 인접한 상기 제2결합유닛에서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맨홀 보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기 제2결합유닛과 함께 상기 제1내벽을 형성하는 탄성내벽부; 및
    상기 탄성내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와 고정 결합되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는 맨홀 보강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모듈 또는 상부보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이 상기 맨홀의 내벽에 삽입되는 위치 및 깊이에 따라 상기 내부보강모듈의 또는 상부보강모듈의 배치 위치나 크기가 조절되는 맨홀 보강장치.
KR1020230015931A 2023-02-07 2023-02-07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KR10258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31A KR102588517B1 (ko) 2023-02-07 2023-02-07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31A KR102588517B1 (ko) 2023-02-07 2023-02-07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517B1 true KR102588517B1 (ko) 2023-10-12

Family

ID=8829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931A KR102588517B1 (ko) 2023-02-07 2023-02-07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5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65Y1 (ko) * 2000-10-11 2001-04-0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높이조절 블럭이 내장된 맨홀
KR20050041765A (ko)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배관의 보수공법
KR20060072545A (ko) * 2004-12-23 2006-06-28 화평산업(주) 보강시트를 이용한 수지접합부를 갖는 맨홀
KR100820331B1 (ko) * 2007-03-30 2008-04-08 주식회사 한강개발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KR101272128B1 (ko) * 2012-08-0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맨홀 보수 공법
KR20140139573A (ko) * 2012-03-22 2014-12-05 페터 에쉔브레너 하수구 맨홀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
KR101563186B1 (ko) * 2014-05-30 2015-10-26 (주)유니텍기술 블록 라이닝 공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40455B1 (ko) * 2020-01-23 2020-08-03 이처례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2459330B1 (ko) * 2021-11-25 2022-10-28 주식회사 휴건설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내부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65Y1 (ko) * 2000-10-11 2001-04-0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높이조절 블럭이 내장된 맨홀
KR20050041765A (ko)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배관의 보수공법
KR20060072545A (ko) * 2004-12-23 2006-06-28 화평산업(주) 보강시트를 이용한 수지접합부를 갖는 맨홀
KR100820331B1 (ko) * 2007-03-30 2008-04-08 주식회사 한강개발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KR20140139573A (ko) * 2012-03-22 2014-12-05 페터 에쉔브레너 하수구 맨홀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
KR101272128B1 (ko) * 2012-08-0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맨홀 보수 공법
KR101563186B1 (ko) * 2014-05-30 2015-10-26 (주)유니텍기술 블록 라이닝 공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40455B1 (ko) * 2020-01-23 2020-08-03 이처례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2459330B1 (ko) * 2021-11-25 2022-10-28 주식회사 휴건설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내부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018B1 (ko) 배관 내부 보수장치
KR102183909B1 (ko)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9277B1 (ko) 강관이 구비된 교각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 구조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06658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장치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1658390B1 (ko) 암거 보강 공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2588517B1 (ko) 슬라브커버의 지지가 가능한 맨홀 보강장치
JP2007039898A (ja) トンネル用アーチ部材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459330B1 (ko)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내부 보강장치
JP2004504521A (ja)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KR101955534B1 (ko) 내진성능이 강화된 무용접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0455B1 (ko)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20030009834A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1631526B1 (ko) 외부 긴장재를 이용한 교각의 내진보강 공법
KR100508532B1 (ko) 속빈 슬래브교의 구조
KR101881075B1 (ko)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KR20030009835A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JP4870004B2 (ja) 定着構造
KR102618738B1 (ko)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1592933B1 (ko) 강합성 복합말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