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904B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904B1 KR101847904B1 KR1020160028853A KR20160028853A KR101847904B1 KR 101847904 B1 KR101847904 B1 KR 101847904B1 KR 1020160028853 A KR1020160028853 A KR 1020160028853A KR 20160028853 A KR20160028853 A KR 20160028853A KR 101847904 B1 KR101847904 B1 KR 101847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pile
- steel pipe
- installing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art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은 중공 콘크리트로 형성된 파일 내부에 강관(200)이 결합되기 때문에 압축강도 , 전단강도 및 휨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동일한 단면을 기준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에 비하여 긴장재의 긴장력을 더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는 경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에 비하여 적은 단면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한국특허 10-2015-0075404호에 따른 접합연결구 결합 공정도.
도 3은 한국특허 10-2014-0143013호에 따른 피에이치씨파일과 강관파일 결합 공정도.
도 4는 한국특허 10-2014-0143013호에 따른 피에이치씨파일과 강관파일의 결합부 확대도.
도 5는 한국특허 10-2013-0017310호에 따른 강합성말뚝 사시도.
도 6은 한국특허 10-2013-0017310호에 따른 덮개부재 결합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거푸집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 측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판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설치단계, 강관설치단계 공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배치단계 공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재 설치단계 공정도.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측 마감부재를 설치하는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재인장단계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력도입단계 공정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력도입단계 공정도.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측 및 상측 측면 거푸집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긴장재인장단계 공정도.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생단계 및 긴장력도입단계 공정도.
200 : 강관 210 : 전단연결재
300 : 긴장재 310 : 돌출부
400 : 철근 410 : 나선철근
500 : 거푸집 510 : 측면거푸집
511 : 본체부 512 : 보강부
513 : 세로보강부 514 : 결합부
520 : 덮개 521 : 덮개본체부
521a : 긴장재 정착홀 522 : 강관결합부
530 : 받침판 600 : 콘크리트
Claims (12)
- 중공콘크리트로 형성된 파일(100);
상기 파일(100)의 양 단부에 결합된 마감부재(110);
상기 마감부재(110)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100)의 내측 중공면에 결합된 강관(200);
상기 파일(100)의 길이방향으로 긴장되도록, 상기 파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파일(100) 내부에 결합된 복수의 긴장재(300);
상기 파일 내부에 결합된 철근(400);을 포함하되,
상기 강관(200)의 두께는 3mm ~ 20mm 이고,
상기 긴장재(300)는 강선, 강연선 또는 강봉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파일(100)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600)는 압축강도가 60~100MPa이고,
상기 마감부재(110)에는 상기 콘크리트(600)가 충전되는 충전홀(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 쌍의 측면거푸집(510a,b);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510a,b)의 적어도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강관(200)의 단부 내주면에 삽입되는 강관결합부(522)가 덮개본체부(521)에 돌출결합되는 덮개(520);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520)에는 상기 콘크리트(600) 충전을 위한 콘크리트충전부(523)가 상기 충전홀(111)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부(521)에는 상기 긴장재(300)가 관통되는 긴장재 정착홀(521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거푸집(510a,b)은
상기 파일(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511);
상기 본체부(51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측면거푸집(510a,b)의 외주면을 둘러 결합된 보강부(512);
이웃하는 상기 보강부(512)의 사이 구간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부(51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세로보강부(513);
상기 측면거푸집(510a,b)을 한 쌍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511)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514);를 포함하는 거푸집(500)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400)은 상기 긴장재(30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나선철근(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1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일(100)에 삽입고정되도록 전단연결재(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10).
- 삭제
- 삭제
- 제1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 거푸집(510) 중 하측 측면 거푸집(510a)을 설치하는 하측측면거푸집설치단계;
상기 강관(200)을 상기 하측 측면 거푸집(510a)의 내부에 결합하는 강관결합단계;
상기 철근(400)을 상기 강관(200)의 외주에 설치하는 철근배치단계;
상기 강관(200)과 상기 철근(400)의 사이 구간에 상기 긴장재(300)를 설치하는 긴장재설치단계;
상기 마감부재(110)를 설치하는 마감부재설치단계;
상측 측면거푸집(510b)과 상기 덮개(520)를 결합하는 거푸집결합단계;
긴장장치(A)를 이용하여 상기 긴장재(300)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긴장재인장단계;
상측 측면거푸집(510b)에 형성된 콘크리트타설부(515)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510a,b)과 상기 강관(2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콘크리트(600)를 충전하는 콘크리트충전단계;
상기 콘크리트(600)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및
상기 긴장재(300)에 도입된 상기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파일(10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긴장력도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마감부재(110) 중 하측 마감부재를 설치하는 마감부재설치단계;
상기 강관(200)을 설치하는 강관설치단계;
상기 강관(200)의 외측에 상기 철근(400)을 배치하는 철근배치단계;
상기 강관(200)과 상기 철근(4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긴장재(300)를 설치하는 긴장재설치단계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510a,b)이 기립하도록 설치하는 측면거푸집설치단계;
긴장장치(A)를 이용하여 상기 긴장재(300)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긴장재인장단계;
상기 마감부재(110) 중 상측 마감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520)를 상기 한 쌍의 측면 거푸집(510)에 결합고정하는 덮개결합단계;
상기 덮개(520)에 형성된 콘크리트충전부(523)를 이용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510a,b)과 상기 강관(2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콘크리트(600)를 충전하는 콘크리트충전단계;
상기 콘크리트(600)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및
상기 긴장재(300)에 도입된 상기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파일(10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긴장력도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53A KR101847904B1 (ko) | 2016-03-10 | 2016-03-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53A KR101847904B1 (ko) | 2016-03-10 | 2016-03-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778A KR20170105778A (ko) | 2017-09-20 |
KR101847904B1 true KR101847904B1 (ko) | 2018-04-11 |
Family
ID=6003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853A Active KR101847904B1 (ko) | 2016-03-10 | 2016-03-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9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41033B (zh) * | 2019-07-04 | 2021-04-27 | 福建省大地管桩有限公司 | 耐压抗裂管桩的制造工艺 |
CN110387878B (zh) * | 2019-08-02 | 2021-07-13 | 绍兴市上虞舜江管桩有限公司 | 一种内层抗渗透的抗腐型混泥土预制方桩制备工艺 |
KR102282583B1 (ko) * | 2019-11-22 | 2021-07-29 | 가온쏠라 주식회사 |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설치용 기초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3627B1 (ko) * | 2011-10-28 | 2012-11-21 | 안창일 | 중공관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중굴형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중굴형 복합말뚝 시공방법 |
KR101465480B1 (ko) * | 2013-06-07 | 2014-11-26 | (주)에스앤씨산업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파일 시공방법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853A patent/KR10184790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3627B1 (ko) * | 2011-10-28 | 2012-11-21 | 안창일 | 중공관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중굴형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중굴형 복합말뚝 시공방법 |
KR101465480B1 (ko) * | 2013-06-07 | 2014-11-26 | (주)에스앤씨산업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파일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778A (ko) | 201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7194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US20140331596A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57077B1 (ko) |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 |
KR102075165B1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 |
KR101862278B1 (ko) |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 | |
KR101062592B1 (ko) |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 |
KR100969586B1 (ko) |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9881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
KR10184790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375382B1 (ko) | 프리캐스트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
KR101672991B1 (ko) |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 |
JP2010261270A (ja) | 複合構造および複合構造建築物の施工方法 | |
KR101892073B1 (ko) | 강관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36473B1 (ko) |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90057672A (ko) |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 |
KR20180114821A (ko) | 프리캐스트 분절형 중공기둥의 철근 배근 및 접합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 |
KR20160012670A (ko) | 철근연결구 및 이의 콘크리트 매입 시공방법 | |
KR20080111973A (ko) |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 |
JP6590571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 |
KR102200400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기둥 구조물, 이를 이용한 기둥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2213216B1 (ko) | 프리캐스트 기둥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기둥 구조물 | |
KR101846245B1 (ko) | 나선형 횡보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 |
KR101621657B1 (ko) | 거더 측면으로 돌출된 2차 추가강선 정착구와 거더 단부 하단에 소성힌지 가받침을 갖는 개선된 라멘구조 시스템 및 거더 측면으로 돌출된 2차 추가강선 정착구와 거더 단부 하단에 소성힌지 가받침을 갖도록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 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102535525B1 (ko) | 프리캐스트 전단벽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