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090B1 -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 Google Patents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090B1
KR102618090B1 KR1020187017596A KR20187017596A KR102618090B1 KR 102618090 B1 KR102618090 B1 KR 102618090B1 KR 1020187017596 A KR1020187017596 A KR 1020187017596A KR 20187017596 A KR20187017596 A KR 20187017596A KR 102618090 B1 KR102618090 B1 KR 10261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temperature
ferrite
coated
coat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541A (ko
Inventor
마야 고스포디노바
베로니끄 에베르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18009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23C2/0224Two or more thermal pre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4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cleaning or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O 표준 6892-1 에 따라 측정된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이며, 상기 인장 강도와 상기 총 연신율의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이고,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 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강의 화학 조성이, 중량% 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부를 함유하는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6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및 35% 이하의 이상영역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얻기 위하여 어닐링 온도 (TA) 에서 상기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 적어도 600℃ 의 온도로부터 200℃ ~ 270℃ 의 ??칭 온도 (QT) 로 20℃/s ~ 50℃/s 의 냉각 속도로 상기 강 시트를 ??칭하는 단계, - 400℃ ~ 480℃ 의 파티셔닝 온도 (PT) 로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고, 상기 파티셔닝 온도 (PT) 에서 50s ~ 250s 의 파티셔닝 시간 (Pt) 동안 상기 강 시트를 유지시키는 단계, - 515℃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강 시트를 용융 코팅하는 단계, - 상기 코팅된 강 시트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 시트는, 표면 분율에 있어서, - 3 % ~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 적어도 30%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프레시 (fresh) 마텐자이트, -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이 55% ~ 92% 인, 최대 35% 의 베이나이트, - 5% ~ 35% 의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미세조직을 갖는다.

Description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본 발명은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의 차체 패널 및 차체 구조 부재와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제조하기 위해, DP (이중상) 강 또는 TRIP (변태 유기 소성) 강으로 만들어진 시트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항복 강도가 약 750 MPa 이고, 인장 강도가 약 980 MPa 이고, 총 연신율이 약 8% 인, 약 0.2% 의 C, 약 2% 의 Mn, 약 1.7% 의 Si 를 함유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탄화물 침전물이 없는 베이나이트 조직을 가지는 강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Ac3 변태점보다 높은 어닐링 온도로부터 Ms 변태점보다 높은 홀딩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주어진 시간 동안 시트를 유지시킴으로써 연속 어닐링 라인에서 제조된다. 이러한 시트들 중 일부는 아연도금 또는 합금화 아연도금과 같은 금속 코팅에 의해 코팅된다.
지구 환경 보전을 고려하여 연료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차의 중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가 개선된 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또한 양호한 연성 및 양호한 성형성을 가져야 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양호한 신장 플랜지성 (stretch flangeability) 을 가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 이어서, 인장 강도 및 총 연신율의 곱은 14200MPa% 초과이고, 또한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인 코팅된 강 시트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강도 (TS) 및 총 연신율 (TE) 은 2009 년 10 월에 발표된 ISO 표준 ISO 6892-1 에 따라 측정된다. 측정 방법의 차이로 인해, 특히 사용된 샘플의 기하학적 형상의 차이로 인해, ISO 표준에 따른 총 연신율 (TE) 의 값은, JIS Z 2201-05 표준에 따른 총 연신율의 값과 매우 상이하고, 특히 낮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구멍 확장비 (HER) 는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라 측정된다. 측정 방법의 차이로 인해,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의 값은 JFS T 1001 (일본 철강 연맹 표준) 에 따른 구멍 확장비 (λ) 의 값들과 매우 상이하여 비교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특성들을 가지는 강 시트를 0.7 ~ 3 mm, 더 바람직하게는 1 ~ 2 mm 의 두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코팅된 강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ISO 표준 6892-1 에 따라 측정된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이며, 상기 인장 강도와 상기 총 연신율의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이고,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 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강의 화학 조성이, 중량% 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부
를 함유하는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6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및 35% 이하의 이상영역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얻기 위하여 어닐링 온도 (TA) 에서 상기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 적어도 600℃ 의 온도로부터 200℃ ~ 270℃ 의 ??칭 온도 (QT) 로 20℃/s ~ 50℃/s 의 냉각 속도로 상기 강 시트를 ??칭하는 단계,
- 400℃ ~ 480℃ 의 파티셔닝 온도 (PT) 로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고, 상기 파티셔닝 온도 (PT) 에서 50s ~ 250s 의 파티셔닝 시간 (Pt) 동안 상기 강 시트를 유지시키는 단계,
- 515℃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강 시트를 용융 코팅하는 단계,
- 코팅된 상기 강 시트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 시트는, 표면 분율에 있어서,
- 3 % ~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 적어도 30%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프레시 마텐자이트,
-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이 55% ~ 92% 인, 최대 35% 의 베이나이트,
- 5% ~ 35% 의 페라이트
로 이루어지는 미세조직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방법은, 어닐링 단계와 ??칭 단계 사이에, 600℃ 이상의 온도로 적어도 10s 의 시간 동안 10℃/s 미만의 냉각 속도로 상기 강 시트를 서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면적 분율에 있어서, 0% ~ 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태 페라이트는 서냉 단계 동안 형성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칭된 상기 강 시트는, 파티셔닝 온도 (PT) 로 가열하기 직전에, 표면 분율에 있어서, 5% ~ 35% 의 페라이트, 적어도 3% 의 오스테나이트, 적어도 30% 의 마텐자이트, 하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보체로 이루어지는 조직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 상기 강으로 만들어진 시트를 열간 압연하여,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얻는 것,
- 400℃ ~ 650℃ 의 온도 (Tc) 에서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권취하는 것,
- 400℃ ~ 700℃ 의 온도 (THBA) 에서 열처리를 수행하고 120s ~ 15 h 의 시간 동안 상기 온도 (THBA) 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냉간 압연하여,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얻는 것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열처리는 550℃ ~ 700℃ 의 온도 (THBA) 에서 열간 압연되어 권취된 시트에 대해 수행된 배치 어닐링 (batch annealing) 이고, 상기 열간 압연되어 권취된 시트는 상기 온도 (THBA) 에서 5 ~ 15 h 의 시간 동안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처리는 연속 어닐링이고, 상기 온도 (THBA) 는 600℃ ~ 700℃ 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온도 (THBA) 에서 120s ~ 360s 의 시간 동안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시트가 상기 ??칭 온도 (QT) 로 ??칭된 후에 그리고 상기 강 시트가 상기 파티셔닝 온도 (PT) 로 가열되기 전에, 상기 강 시트는 2s ~ 8s, 바람직하게는 3s ~ 7s 의 홀딩 시간 동안 상기 ??칭 온도 (QT) 에서 홀딩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의 화학 조성은 이하의 조건들, C ≥ 0.17 %, C ≤ 0.21 %, Mn ≤ 2.5 %, 0.010% ≤ Nb, Cr ≤ 0.05%, 또는 Cr ≥ 0.1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강의 화학 조성은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강의 화학 조성은 0.2% ≤ Si < 1.0% 및 0.4% ≤ Al ≤ 1.2% 이도록 되어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0.2% ≤ Si ≤ 0.8% 및 0.7% ≤ Al ≤ 1.2% 이도록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용융 코팅 단계는 아연도금 단계 또는 480℃ ~ 515℃ 의 합금화 온도 (GAT) 를 갖는 합금화 아연도금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강 시트들의 저항 스폿 용접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세스는,
-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강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상기 제조하는 단계,
-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인록 조성을 가지는 제 2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강 시트를 상기 제 2 강 시트에 저항 스폿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된 강 시트에 관한 것으로,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잔부
를 함유하고,
상기 강 시트는, 표면 퍼센테이지에 있어서,
- 3 % ~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 적어도 30%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프레시 마텐자이트,
-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은 55% ~ 92% 인, 최대 35% 의 베이나이트,
- 5% ~ 35% 의 페라이트
로 이루어지는 미세조직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표면 분율에서, 0% ~ 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의 C 함량은 0.9% ~ 1.2%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시트는, ISO 6892-1 에 따라, 항복 강도가 적어도 500 MPa 이고, 인장 강도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이 적어도 12% 이고, 또한 인장 강도와 총 연신율의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이고, 또한 ISO 16630:2009 따라 측정된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이다.
바람직하게는, 강의 화학 조성은 이하의 조건들,
C ≥ 0.17 %,
C ≤ 0.21 %,
Mn ≤ 2.5 %,
0.010% ≤ Nb,
Cr ≤ 0.05%, 또는
Cr ≥ 0.1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강의 화학 조성은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강의 화학 조성은 바람직하게는 0.2% ≤ Si < 1.0% 및 0.4% ≤ Al ≤ 1.2% 이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0.2% ≤ Si ≤ 0.8% 및 0.7% ≤ Al ≤ 1.2% 이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된 강 시트의 두께는 0.7 ~ 3 mm, 바람직하게는 1 ~ 2 mm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강 시트들의 적어도 10 개의 저항 스폿 용접부들을 포함하는 용접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제 1 강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고,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고,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고, 제 2 강 시트는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인 조성을 가지고, 저항 스폿 용접부 당 평균 균열 개수는 6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강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차량 내의 구조 부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 시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강 시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차량 내의 구조 부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저항 스폿 용접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된 구조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지만 제한을 도입하지 않고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조성은, 중량% 로, 이하를 포함한다:
-  만족스러운 강도를 보장하고 충분한 연신율을 얻는데 필요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0.15% ~ 0.23% 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탄소 함량은 0.16%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7% 이상 및/또는 0.21% 이하이다. 탄소 함량이 너무 높으면, 열간 압연된 시트는 냉간 압연하기 너무 어렵고 용접성이 불충분하다. 탄소 함량이 0.15% 미만이면, 인장 강도는 1100 MPa 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 2.0% ~ 2.7% 의 망간. 망간 함량이 2.0% 미만이면, 강은 충분한 경화능을 갖지 못하여서, 적어도 55% 의 마텐자이트와 베이나이트의 합을 포함하는 미세조직 및 1100 MPa 초과의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없다. 최소 망간 함량은 연성에 유해한 편석 문제들을 회피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망간 함량은 2.5% 이하이다.
- 0% ~ 0.40% 의 크롬. Cr 은 파티셔닝 동안 오스테나이트 분해를 강력하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경화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0.40% 초과의 Cr 은 플랜지성 (flangeability) 에 유해하고, Cr 함량이 0.40% 초과인 경우, 25% 초과의 HER 비를 얻을 수 없다. 실시형태에 따라, 크롬은 사용될 수 없고, 그 함량은 0.05% 미만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0.05% 미만의 함량은 불순물로서의 Cr 의 존재에 해당된다. Cr 이 자발적으로 첨가될 때에, 그 함량은 적어도 0.10% 이다.
더욱이, 1100 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ISO 6892-1 에 따른 적어도 12% 의 총 연신율을 얻기 위하여 탄소 및 망간 함량은 (C+Mn/10) ≥ 0.420% 이도록 되어 있고, 또한 망간 및 크롬 함량은 (Mn+Cr) ≥ 2.25% 이도록 되어 있다. (C+Mn/10) < 0.420 및/또는 (Mn+Cr) < 2.25% 이면, 1100 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적어도 12% 의 총 연신율은 달성되지 못한다.
- 0.2% ~ 1.6% 의 규소 및 0.02% ~ 1.2% 의 알루미늄, 1.0% ~ 2.2% 의 규소와 알루미늄 함량의 합.
특정 양의 알루미늄은 Al2O3 로서 산소와 그리고 AlN 으로서 질소와 결합된다; 이러한 양은 O 및 N 함량에 의존하고, 또한 0.025% 미만으로 유지된다. 잔부는 존재할 경우 결합되지 않고, 또한 "유리 알루미늄 (free aluminum)" 으로 구성된다.
산소와 결합되는 알루미늄은 액체 단계에서 탈산에 기인한다. 이는 연성 특성에 유해하고, 따라서 그 함량은 가능한 한 많이 제한되어야 한다.
질소와 결합되는 알루미늄은 어닐링 동안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둔화시킨다. 질소는 제련에 기인한 잔류 원소이고, 또한 강 시트에서는 0.010% 미만이다.
발명자들은 Si 및 유리 Al 이 탄화물의 형성을 지연시킴으로써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킨다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특히 강 시트가 부분 마텐자이트 변태를 얻기 위한 온도로 냉각되고, 즉시 재가열되어, 탄소가 마텐자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 재분배되는 온도 (PT) 에서 유지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Si 및 유리 Al 함량 추가가 충분한 양으로 이뤄진다면, 탄소 재분배는 상당한 탄화물 침전 없이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Si+Al 는 1.0 중량% 이상 (그러나 2.2 중량% 이하) 이어야 한다. 또한, Si 는 고용체 강화를 제공하고, 또한 구멍 확장비를 개선한다. 그러나, 코팅성 (coatability) 에 유해한 시트의 표면에서 규소 산화물의 형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Si 함량이 1.6% 로 제한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들은, LME (액체 금속 취화 현상) 으로 인해, Si/10 > 0.30%-C (Si 및 C 는 중량 퍼센트로 표시됨) 일 때, 규소가 코팅된 시트, 특히 아연도금 또는 합금화 아연도금 또는 전기아연도금 시트의 스폿 용접에 유해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ME 발생은 용접된 조인트의 용접 금속에서 그리고 열영향부 (Heat Affected Zones) 의 경정립계에서 균열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특히 시트가 코팅되어야 할 경우, (C+Si/10) 는 0.3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들은, LME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되는 조성의 도메인에 대해, Al 함량이 6(C+Mn/10)-2.5%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특히 LME 가 나타나지 않을 때에, Al 은 오로지 탈산시키기 위해 또는 선택적으로는 어닐링 동안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제어하기 위해 첨가되고, 그의 함량은 0.5% 미만, 예를 들어 0.1% 미만으로 유지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20% 이다.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Si 함량은 1.2% ~ 1.6% 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C+Si/10) 는 C 의 함량에 따라 0.30% 초과일 수도 있거나 0.30% 이하일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특히 LME 문제가 고려되어야 할 때에, C 및 Si 함량은 (C+Si/10) ≤ 0.30% 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Al 은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Si 를 대체하도록 Al 이 더 중요한 양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서, Al 함량은 0.4% ~ 1.2%, 바람직하게는 0.7% ~ 1.2% 이고, 이때 Al ≥ 6(C+Mn/10)-2.5% 이고, Si 는 0.2% ~ 1.2%, 바람직하게는 0.2% ~ 1.0%, 더 바람직하게는 0.2% ~ 0.8% 이다. Al 함량은 Ac3 변태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1.2% 로 제한되고, 이는 어닐링 단계에서 강 시트의 오스테나이트화를 얻기 위해 고온으로 가열할 때에 비용을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 선택적으로, 열간 압연 동안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정제하고 석출 강화를 제공하기 위한 0.010% ~ 0.035% 의 니오븀. 0.010% ~ 0.035% 의 Nb 함량은 만족스러운 항복 강도 및 연신율, 특히 적어도 500 MPa 의 항복 강도를 얻을 수 있다.
- 선택적으로, 최대 0.1% 의 몰리브덴.
잔부는 철 및 제강으로부터 발생하는 잔류 원소들이다. 이 점에서, 적어도 Ni, Cu, Ti, V, B, S, P 및 N 은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류 원소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그들의 함량은 Ni 에 대해 0.05% 미만, Cu 에 대해 0.03% 미만, V 에 대해 0.007% 미만, B 에 대해 0.0010% 미만, S 에 대해 0.003% 미만, P 에 대해 0.02% 미만 및 N 에 대해 0.007% 미만이다. Ti 함량은 0.05% 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값을 초과하면, 라지 사이즈의 탄질화물이 주로 액체 단계에서 석출되고 강 시트의 성형성이 감소되어, 총 연신율에 대한 목표인 12% 에 도달하기 더 어려워지고 또한 구멍 확장비 (HER) 에 대해 25% 의 목표가 도달되기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시트가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될 때에, 핫 스폿 용접성은 LME 현상 (액체 금속 취화) 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특정 강의 감도는 고온에서 수행된 인장 시험에 의해 평간된다. 특히, 이러한 고온 인장 시험은 Gleeble RPI 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디바이스는 그 자체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Gleeble LME 시험"이라 불리는 이러한 시험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 0.7 mm ~ 3 mm 의 두께를 가지는 코팅된 시트의 샘플들은 용접된 구역 주변에 균열이 발생하는 최소 임계 변위를 결정하기 위해 고온 인장 시험에 제공된다. 시험될 시트에서 절단되는 샘플들은 길이가 10 mm 이고 폭이 10 mm 인 교정 구역, 및 길이가 40 mm 이고 폭이 30 mm 인 헤드들을 가지고, 교정 부분과 헤드들 사이의 곡률 반경은 5 mm 이다.
- 고온 인장 시험은 각 샘플을 급속 가열 (1000℃/s) 시키고, 상기 샘플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유지시키고, 가열된 샘플을 미리 정해진 연신율 또는 변위로 제공한 다음, 샘플을 공기 중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연신율 또는 변위는 유지되고, 변위는 Gleeble RPI 열 시뮬레이터의 격자들의 변위이다. 냉각 후에, 샘플들은 LME 균열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관찰된다. 적어도 2 mm 의 적어도 하나의 균열이 샘플에 형성되면, 샘플에는 균열이 있다고 결정된다.
- 시험은 복수의 미리 정해진 온도들, 예컨대 700℃, 750℃, 800℃, 850℃, 900℃ 및 950℃ 에서 그리고 0.5 mm, 0.75 mm, 1 mm, 1.25 mm, 1.5 mm, 1.75 mm, 2 mm, 등의 연신율 또는 변위로 실시되고; 연신율 또는 변위는 Gleeble 시뮬레이터에 샘플을 유지시키는 조 (jaw) 의 연신율 또는 변위이다.
- 균열 개시에 대한 임계 변위는 보고되고, 최소 임계 변위, 즉 크랙이 발생하는 최소 변위는 고려되는 온도 범위에 대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최소 임계 변위가 700℃ ~ 800℃ 의 온도에서 1.5 mm 미만일 때에,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LME 발생 확률이 높고, 최소 임계 변위가 적어도 1.5 mm 일 때에, 저항 스폿 용접에서 많은 LME 균열을 관찰할 확률이 낮다.
이 점에서,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상응하는 강들 또는 이러한 강들에 유사한 강들에 대해, (C+Si/10) 이 0.30% 이하이고 Al 이 6(C+Mn/10)-2.5% 이상이도록 조성이 되어 있다면, 최소 임계 변위는 적어도 1.5 mm 이다. (C+Si/10) 이 0.30% 초과이고, 그리고/또는 Al 이 6(C+Mn/10)-2.5% 미만일 때에, 최소 임계 변위는 1.5 mm 미만, 심지어 1 mm 미만이다.
코팅된 시트들의 스폿 용접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LME 저항 폿 용접 시험" 이고, 이 시험은, 예를 들어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들, 예를 들어 차체와 같은 부품들을 포함하는 제품들의 산업 생산에서, 중요한 개수의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균열 용접을 가질 확률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LME 스폿 용접 시험" 은 다수의 저항 스폿 용접부, 예를 들어 30 개의 저항 스폿 용접부가 함께 중첩된 3 개의 시트에서 수행되는 저항 스폿 용접부에 대한 전극 수명 시험으로부터 유도되고; 시험될 시트 및 두 개의 지지 시트는 아연도금된 저탄소 시트들, 예를 들어 EN 10346 에 따른 DX54D+Z 로 만들어진다. 시트들의 두께는 1.6 mm 이고, 저항 스폿 용접부는 이종 조립체들에 대해 ISO 표준 18278-2 에 따라 수행된다.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 전극 팁 직경: 8 mm,
- 용접력: 4.5 kN,
- 용접 시간: 180 ms 를 40 ms 주기 (냉각 시간) 로 나눈 3 펄스들,
- 홀딩 시간: 400 ms.
이러한 시험을 위해,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최종적인 균열 발생을 결정하기 위해, 샘플들은 절단되어 폴리싱된다. 그런 다음, 저항 스폿 용접부는 피크르산으로 에칭되고, 각 관찰된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의 균열 개수와 각 균열 저항 스폿 용접부의 균열 길이의 합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200x 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된다.
각각 (C+Si/10) ≤ 0.30% 및 (C+Si/10) > 0.30% 인 조성을 가지는 예들에 대해, 각 저항 스폿 용접부에 대한 균열 개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 (C+Si/10) ≤ 0.30%: Gleeble LME 시험 > 1.5 mm 이고, 적어도 80% 의 저항 스폿 용접부는 10 개 미만의 균열들을 갖고, 0% 의 저항 스폿 용접부는 20 개 이상의 균열들을 가진다.
- (C+Si/10) > 0.30%: Gleeble LME 시험 < 1.5 mm 이고, 오직 40% 의 저항 스폿 용접부는 10 개 미만의 균열들을 가지고, 30% 의 저항 스폿 용접부는 20 개 이상의 균열들을 가진다.
각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평균 균열 개수가 고려되는 경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Si/10 ≤ 0.30% 인 조성에 대해, 각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평균 균열 개수는 6 미만이고,
- C+Si/10 > 0.30% 인 조성에 대해, 각 저항 스폿 용접부에서 평균 균열 개수는 6 초과이다.
2 ~ 5 mm 의 두께를 가지는 열간 압연된 시트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강 조성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압연 전의 재가열 온도는 1200℃ ~ 1280℃, 바람직하게는 약 1250℃ 일 수 있고, 마무리 압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Ar3 ~ 950℃, 권취는 바람직하게는 400℃ ~ 6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C+Si/10) ≤ 0.30% 인 경우, 권취 온도는 450℃ ~ 550℃ 이다.
권취 후에, 시트는 페리토-펄라이트 (ferrito-pearlitic) 또는 페리토-펄리토-베이나이트 (ferrito-pearlito-bainitic) 조직을 갖는다.
권취 후에, 시트는 강 시트의 경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열처리되고, 예를 들어 배치 어닐링 또는 연속 어닐링되고, 따라서 열간 압연 및 권취된 강 시트의 냉간 압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열간 압연 및 권취된 강 시트는 400℃ ~ 700℃ 의 온도에서 열처리되고, 120s ~ 15h 의 시간 동안 배치 어닐링 온도 (THBA) 에서 유지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열처리는 550℃ ~ 700℃ 의 배치 어닐링 온도 (THBA) 의 온도에서 열간 압연 및 권취된 시트에서 수행된 배치 어닐링이고, 열간 압연 및 권취된 시트는 5 ~ 15 h 의 시간 동안 온도 (THBA) 에서 유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시트는 연속 어닐링되고, 어닐링 온도 (THBA) 는 600℃ ~ 700℃ 이고, 시트는 상기 온도 (THBA) 에서 120s ~ 360s 의 시간 동안 유지된다.
시트는 0.7 mm ~ 3 mm, 예를 들어 1 mm ~ 2 mm 의 두께를 가지는 냉간 압연된 시트를 얻기 위해 산세 및 냉간 압연된다.
그런 다음, 시트는 연속 어닐링 및 코팅 라인에서 열처리된다.
열처리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어닐링 단계의 종료 시에, 강이 적어도 65% 및 최대 100% 의 오스테나이트, 및 0% ~ 3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가지도록, 어닐링 온도 (TA) 에서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당업자는 팽창계 시험으로부터 또는 반경험적 공식으로부터 어닐링 온도 (TA) 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닐링 온도 (TA) 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제한하기 위해 최대 Ac3+20℃ 이다. Ac3 은 가열 단계 동안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의 종료 온도를 나타낸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 온도 (TA) 는 최대 Ac3 이다.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30s 초과이지만 300s 초과일 필요는 없는 어닐링 시간 (tA) 동안 어닐링 온도에서, 즉 TA-5℃ ~ TA+10℃ 에서 유지된다.
- 선택적으로,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형성 없이, 5% ~ 35% 의 전체 페라이트 (이상영역 페라이트+변태 페라이트) 분율을 얻기 위하여, 10℃/s 미만, 바람직하게는 5℃/s 미만의 냉각 속도로 어닐링 온도 (TA) 로부터 냉간 정지 온도로 시트를 서냉시키는 단계. 이러한 서냉 단계는, 특히 어닐링 단계 후에 이상영역 페라이트의 분율이 5% 미만인 경우, 페라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한 경우, 서냉 동안 형성된 페라이트 분율은 5%-IF 이상이고, 35%-IF 이하며, IF 는 이상영역 페라이트의 분율이다. 이상영역 페라이트의 분율이 적어도 5% 인 경우, 서냉은 선택적이다. 임의의 경우에, 서냉 동안 형성된 페라이트의 분율은 35%-IF 이하여서, 전체 페라이트 분율은 최대 35% 로 유지된다. 냉각 정지 온도는 750℃ ~ 600℃ 이다. 실제로, 750℃ 초과의 냉각 정지 온도는 충분한 페라이트의 형성을 허용하지 않는 반면, 600℃ 미만의 냉각 정지 온도는 베이나이트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냉은 10s ~ 40s 의 냉각 시간 동안 수행된다. 서냉 단계 동안 형성될 수도 있는, "변태 페라이트" 라 또한 불리는 페라이트는 어닐링 단계의 종료 시에 조직 내에 남아있는 이상영역 페라이트와는 상이하다. 특히, 변태 페라이트와 달리, 이상영역 페라이트는 다각형이다. 게다가, 변태 페라이트는 탄소 및 망간이 풍부하고, 즉 이상영역 페라이트의 탄소 및 망간 함량보다 높은 탄소 및 망간 함량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변태 페라이트는 메타중아황산 (metabisulfite) 나트륨으로 에칭한 후에 2 차 전자를 이용하는 FEG-TEM 현미경의 현미경사진을 관찰함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 사진에서, 이상영역 페라이트가 중간 회색으로 나타나는 반면, 변태 페라이트는 더 높은 탄소 및 망간 함량으로 인해 짙은 회색으로 나타난다. 도면에서, FI 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를 나타내고, TF 는 변태 페라이트를 나타내고, FM 은 프레시 마텐자이트를 나타내고, 또한 RA 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나타낸다. 강의 각 특정 조성에 대해, 당업자는 원하는 변태 페라이트 분율을 얻는데 적합한 서냉 조건들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변태 페라이트 형성은 최종 조직에서 페라이트의 면적 분율을 더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프로세스의 견고성을 제공한다.
- 어닐링 또는 서냉 단계 직후에, 상부 및 과립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회피하면서 특히 마텐자이트 및 하부 베이나이트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냉각 속도로 적어도 600℃ 의 온도로부터 어닐링 및 서냉 후에 남아있는 오스테나이트의 Ms 변태점보다 낮은 ??칭 온도 (QT) 로 냉각시킴으로써 시트를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s ~ 100℃/s 이다. 강 및 각 조직의 각 특정 조성에 대해, 당업자는 어닐링 및 서냉 후에 남아있는 오스테나이트의 Ms 변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또한, 당업자는, ??칭 직후, 5% ~ 3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변태 페라이트의 합, 적어도 3% 의 오스테나이트, 및 적어도 30% 의 마텐자이트, 존재할 경우, 하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보체로 이루어지는 원하는 조직을 얻는데 적합한 ??칭 온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 고 있다. 일반적으로, ??칭 온도 (QT) 는 200℃ ~ 270℃ 이다. ??칭 온도 (QT) 가 200℃ 미만인 경우, 최종 조직에서 템퍼링된 (또는 파티셔닝된) 마텐자이트의 분율은 3% 초과의 충분한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기에 너무 높아서, ISO 표준 ISO 6892-1 에 따라 측정된 총 연신율이 12% 에 달하지 않는다. 또한, ??칭 온도 (QT) 가 270℃ 초과인 경우, 최종 조직에서 템퍼링된 마텐자이트의 분율은 원하는 인장 강도를 얻기에 너무 낮다. 바람직하게는, ??칭 온도 (QT) 는 200℃ ~ 250℃ 이다.
- 2s ~ 8s, 바람직하게는 3s ~ 7s 의 홀딩 시간 동안 ??칭 온도 (QT) 에서 ??칭된 시트를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단계.
- ??칭 온도로부터 400℃ ~ 480℃, 바람직하게는 440℃ ~ 470℃의 파티셔닝 온도 (PT) 로 시트를 재가열하는 단계. 재가열 속도는 재가열이 예를 들어 6 ~ 13℃/s 의 유도 가열에 의해 수행될 때에 높아질 수 있다. 파티셔닝 온도 (PT) 가 480℃ 초과 또는 400℃ 미만인 경우, 최종 생성물의 신장율은 만족스럽지 않다.
- 50s ~ 250s, 바람직하게는 50s ~ 200s 의 파티셔닝 시간 (Pt) 동안 파티셔닝 온도 (PT) 에서 시트를 유지시키는 단계. 이러한 파티셔닝 단계 동안, 탄소가 파티셔닝되고, 즉 마텐자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 확산되고, 따라서 풍부해진다.
- 시트를 용융 코팅하는 단계. 용융 코팅은 예를 들어 아연도금될 수 있다. 시트가 아연도금될 때에, 이는 일반 조건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 시트는 강이 Zn 욕 내에서 디핑된 후에 Fe 와의 내부 확산에 의한 합금화를 수행되도록 480℃ ~ 515℃, 예를 들어 480℃ ~ 500℃ 의 합금화 온도 (GAT) 에서 합금화 아연도금될 수 있다. 합금화 아연도금 온도가 515℃ 초과인 경우, ISO 6892-1 에 따른 총 연신율은 20% 미만으로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은 Zn 또는 Zn 합금, 예를 들어 아연-마그네슘 또는 아연-마그네슘-알루미늄으로 아연도금될 수 있다. 그러나, 강이 코팅되는 동안의 온도가 501℃ 미만으로 유지되면, 모든 금속 용융 코팅이 가능해진다.
- 이러한 유지 단계 직후에, 바람직하게는 10℃/s 초과, 예를 들어 10℃/s ~ 20℃/s 의 냉각 속도로 시트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이러한 열처리는 즉 파티셔닝 및 실온으로의 냉각 후에 최종 조직을 얻는 것을 허용하고, 최종 조직은 이하로 이루어진다:
- 3% ~ 15% 의 표면 분율을 갖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 적어도 30% 의 표면 분율을 갖는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표면 분율을 갖는 프레시 마텐자이트,
- 최대 35% 의 표면 분율을 갖는 베이나이트; 상기 베이나이트는 하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하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고,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은 55% ~ 92% 이고,
- 5% ~ 35% 의 페라이트. 페라이트 전체 조직에 대하여, 0% (포함) ~ 3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포함)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하여,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변태 페라이트의 합의 표면 분율은 5% ~ 35% 이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해, 0% ~ 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제외)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5% ~ 35% 의 페라이트의 표면 분율과 함께 적어도 3%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ISO 6892-1 에 따른 적어도 12% 의 총 연신율을 얻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이러한 처리는 적어도 0.9%,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적어도 1.0%, 및 최대 1.2% 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증가된 C 함량을 얻는 것을 허용한다.
마텐자이트는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템퍼링된 마텐자이트를 포함한다.
파티셔닝된 마텐자이트인 템퍼링된 마텐자이는 최대 0.45% 의 C 함량을 가지고, 이러한 함령은 파티셔닝 단계 동안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텐자이트로의 탄소의 파티셔닝으로부터 초래된다. 파티셔닝 단계 후에 마텐자이트로의 풍부한 오스테나이트의 변태로부터 기인하는 프레시 마텐자이트는 적어도 0.9%, 및 일반적으로 최대 1.2% 의 C 함량을 갖는다. 조직에서 프레시 마텐자이트의 분율은 5% 이하이다. 실제로, 5% 초과의 프레시 마텐자이트의 분율은 ISO 16630:2009 에 따른 25% 미만의 구멍 확장비 (HER) 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열처리로, ISO 6892-1 에 따라, 항복 강도 (YS) 가 적어도 500 MPa 이고,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심지어 13% 초과이고,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심지어 16000 MPa% 초과이고,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심지어 적어도 30% 인 강 시트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표 1 에 따른 강 조성으로 만들어진 시트들이 제조되었고, 원소들은 중량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표에서, "res." 는 원소가 잔류물로서 오로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이러한 원소의 자발적인 첨가는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60812718-pct00001
시트들은 열간 압연된 후, 540℃ 또는 450℃ 에서 권취되었다. 시트들은 1.2 mm 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들을 얻기 위해 산세 및 냉간 압연되었고, 어닐링되었고, ??칭되었고, 파티셔닝되었고, 460℃ 에서 아연도금되었고, 실온으로 냉각되었다. 서냉은 실행되지 않았다. 산세 및 냉간 압연 전에, 일부 시트들은 배치 어닐링되었다.
처리 조건들은 표 2 에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표에서, Tcoil 은 권취 온도이고, THBA 는 배치 어닐링 온도이고, tHBA 는 배치 어닐링 시간이고, TA 는 어닐링 온도이고, tA 는 어닐링 시간이고, QT 는 ??칭 온도이고, PT 는 파티셔닝 온도이고, Pt 는 파티셔닝 시간이다. 변태 온도, 예컨대 Ac1 및 Ac3 는 또한 표 2 에 보고되어 있다. Ac1 및 Ac3 은 Thermocalc® 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기계적 특성은 압연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측정되었다. 본 기술 분야에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연성 레벨은 이러한 고강도 강에 대해 횡 방향보다는 압연 방향으로 약간 더 양호하다.
측정된 특성들은 표준 ISO 16630:2009 에 따라 측정된 구멍 확장비 (HER), 항복 강도 (YS), 인장 강도 (TS), 균일한 연신율 (UE) 및 총 연신율 (TE) 이다. 항복 강도 (YS), 인장 강도 (TS), 균일한 연신율 (UE) 및 총 연신율 (TE) 은 2009 년 10 월에 발표된 ISO 표준 ISO 6892-1 에 따라 측정되었다. 미세조직은 표 3 에 보고되어 있고, 기계적 특성들은 표 4 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112018060812718-pct00002
표 3 에서, TM 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의 표면 분율이고, FM 은 프레시 마텐자이트의 표면 분율이고, B 는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이고, IF 는 이상영역 페라이트의 표면 분율이고, F 는 페라이트 (이상영역 페라이트+변태 페라이트) 의 총 표면 분율이다.
Figure 112018060812718-pct00003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ISO 6892-1 에 따른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심지어 적어도 13% 인 강 시트가 얻어질 수 있고, 곱 (TS*TE) 은 14200 MPa% 을 초과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강 시트들은 또한 항복 강도가 적어도 500MPa 이고, 균일한 총 연신율은 적어도 8%, 일반적으로 9% 초과이고, 또한 ISO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심지어 종종 30% 초과이다.
실시예들 A 및 B 는, C 및 Mn 함량이 C+Mn/10 < 0.420% 이도록 되어 있을 때, 원하는 조직이 얻어지지 않으며, 얻어지는 인장 강도 및/또는 총 연신율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C 는, Mn+Cr < 2.25% 일 때에,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 분율의 합이 너무 낮아서, 적어도 1100 MPa 의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8060812718-pct00004
스폿 용접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들은 조성이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을 때에 낮은 LME 감도를 갖는다. 이러한 강으로, 저항 스폿 용접부 당 평균 균열 개수가 6 미만이고 10 개 미만의 균열들을 가질 확률은 98% 이도록 저항 스폿 용접부 내의 균열 개수가 되어 있는 저항 스폿 용접을 포함하는 구조체, 예컨대 차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적어도 두 개의 강 시트들의, 저항 스폿 용접부를 포함하는, 용접된 구조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있으며,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제 1 강 시트를 제공하고, 또한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인 조성을 가지는 제 2 강 시트를 제공하고, 또한 제 1 강 시트를 제 2 강 시트에 저항 스폿 용접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 2 강 시트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고, 또한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된다.
따라서, 낮은 LME 감도를 가지는 용접된 구조체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적어도 10 개의 저항 스폿 용접부를 포함하는 이러한 용접된 구조체에 대해, 저항 스폿 용접부 당 균열의 평균 개수는 6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스폿 용접에 의해 선택적으로 용접된 강 시트들은 이들이 제작 프로세스 동안 높은 성형성과 충돌 시에 높은 에너지 흡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터 차량 내의 구조 부품의 제조에 대해 이점을 갖고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스폿 용접부 또한 용접된 구역들에 위치된 균열들의 최종 개시 및 전파가 훨씬 감소되기 때문에 모터 차량 내의 구조 부품의 제조에 대해 이점을 갖고서 사용된다.

Claims (32)

  1. ISO 표준 6892-1:2009 에 따라 측정된 항복 강도가 적어도 500 MPa 이고,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이며, 상기 인장 강도와 상기 총 연신율의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이고,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 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중량 당으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부
    를 함유하는 화학적 조성을 갖는 강으로 제조된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65%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및 35% 이하의 이상영역 (intercritical)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얻기 위하여 어닐링 온도 (TA) 에서 상기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 상기 어닐링 온도 (TA) ~ 600℃ 의 온도로부터 200℃ ~ 270℃ 의 ??칭 온도 (QT) 로 20℃/s ~ 50℃/s 의 냉각 속도로 상기 강 시트를 ??칭하는 단계,
    - 400℃ ~ 480℃ 의 파티셔닝 (partitioning) 온도 (PT) 로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고, 상기 파티셔닝 온도 (PT) 에서 50s ~ 250s 의 파티셔닝 시간 (Pt) 동안 상기 강 시트를 유지하는 단계,
    - 상기 강 시트를 460℃ ~ 515℃ 의 온도에서 용융 코팅하는 단계,
    - 코팅된 상기 강 시트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코팅된 상기 강 시트는, 표면 분율에 있어서,
    - 3 % ~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 30% ~ 92%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프레시 (fresh) 마텐자이트,
    - 최대 35% 의 베이나이트,
    - 5% ~ 35% 의 페라이트
    로 이루어지는 미세조직을 가지고,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이 55% ~ 92% 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어닐링 단계와 ??칭 단계 사이에, 600℃ ~ 750℃ 의 온도로 10s ~ 40s 의 시간 동안 10℃/s 미만의 냉각 속도로 상기 강 시트를 서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변태 페라이트로 이루어지고, 전체 조직에 대한 표면 분율에 있어서, 0% ~ 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태 페라이트는 서냉 단계 동안 형성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시트는, 파티셔닝 온도 (PT) 로 가열하기 직전에, 표면 분율에 있어서, 5% ~ 35% 의 페라이트, 3% ~ 65% 의 오스테나이트, 30% ~ 92% 의 마텐자이트, 하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잔부로 이루어지는 조직을 가지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 상기 강으로 만들어진 시트를 열간 압연하여,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얻는 것,
    - 400℃ ~ 650℃ 의 온도 (Tc) 에서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권취하여,열간 압연되고 권취된 강 시트를 얻는 것,
    - 400℃ ~ 700℃ 의 온도 (THBA) 에서 열처리를 수행하고 120s ~ 15 h 의 시간 동안 상기 온도 (THBA) 에서 열간 압연되고 권취된 상기 강 시트를 유지시키는 단계,
    -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시트를 냉간 압연하여,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얻는 것
    을 포함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열간 압연되어 권취된 강 시트에 대해 수행된 배치 어닐링 (batch annealing) 이고, 상기 온도 (THBA) 는 550℃ ~ 700℃ 이고, 상기 열간 압연되고 권취된 시트는 5 ~ 15 h 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연속 어닐링이고, 상기 온도 (THBA) 는 600℃ ~ 700℃ 이고, 열간 압연되고 권취된 상기 강 시트는 상기 온도 (THBA) 에서 120s ~ 360s 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시트가 상기 ??칭 온도 (QT) 로 ??칭된 후에 그리고 상기 강 시트가 상기 파티셔닝 온도 (PT) 로 가열되기 전에, 상기 강 시트는 2s ~ 8s 의 홀딩 시간 동안 상기 ??칭 온도 (QT) 에서 홀딩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이하의 조건들,
    0.17 % ≤ C ≤ 0.23 %,
    0.15 % ≤ C ≤ 0.21 %,
    2.0 % ≤ Mn ≤ 2.5 %,
    0.010% ≤ Nb ≤ 0.035 %,
    0 ≤ Cr ≤ 0.05%, 및
    0.10 % ≤ Cr ≤ 0.40 %.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0.2% ≤ Si < 1.0% 및 0.4% ≤ Al ≤ 1.2% 이도록 되어 있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0.2% ≤ Si ≤ 0.8% 및 0.7% ≤ Al ≤ 1.2% 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코팅 단계는 아연도금 단계 또는 480℃ ~ 515℃ 의 합금화 온도 (GAT) 를 갖는 합금화 아연도금 단계인,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6. 두 개의 강 시트들의 저항 스폿 용접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 제 1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코팅된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상기 제조하는 단계,
    - 중량 당으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이때 C+Si/10 ≤ 0.30% 및 Al ≥ 6(C+Mn/10)-2.5%,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부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지는 강으로 제조된 제 2 강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코팅된 강 시트를 상기 제 2 강 시트에 저항 스폿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항 스폿 용접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17. 코팅된 강 시트로서,
    중량 당으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잔부
    를 함유하는 화학 조성을 갖는 강으로 제조되고,
    상기 코팅된 강 시트는, 표면 퍼센테이지에 있어서,
    - 3 % ~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 30% ~ 92%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 최대 5% 의 프레시 마텐자이트,
    - 최대 35% 의 베이나이트,
    - 5% ~ 35% 의 페라이트
    로 이루어지는 미세조직을 가지고,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프레시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표면 분율들의 합은 55% ~ 92% 이고,
    상기 코팅된 강 시트는, ISO 표준 6892-1:2009 에 따라 측정된 항복 강도가 적어도 500 MPa 이고, 인장 강도 (TS) 가 적어도 1100 MPa 이고, 총 연신율 (TE) 이 적어도 12% 이며, 상기 인장 강도와 상기 총 연신율의 곱 (TSxTE) 이 적어도 14200 MPa% 이고, ISO 표준 16630:2009 에 따른 구멍 확장비 (HER) 가 적어도 25 % 인, 코팅된 강 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변태 페라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표면 분율에서, 0% ~ 5% 의 이상영역 페라이트 및 0% ~ 35% 의 변태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코팅된 강 시트.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이상영역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코팅된 강 시트.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0.9% ~ 1.2% 의 C 함량을 갖는, 코팅된 강 시트.
  21. 제 17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이하의 조건들,
    0.17 % ≤ C ≤ 0.23 %,
    0.15 % ≤ C ≤ 0.21 %,
    2.0 % ≤ Mn ≤ 2.5 %,
    0.010% ≤ Nb ≤ 0.035 %,
    0 ≤ Cr ≤ 0.05%, 및
    0.10 % ≤ Cr ≤ 0.40 %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코팅된 강 시트.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C+Si/10 ≤ 0.30% 및 Al ≥ 6(C+Mn/10)-2.5% 이도록 되어 있는, 코팅된 강 시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은 0.2% ≤ Si < 1.0% 및 0.4% ≤ Al ≤ 1.2% 이도록 되어 있는, 코팅된 강 시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0.2% ≤ Si ≤ 0.8% 및 0.7% ≤ Al ≤ 1.2% 인, 코팅된 강 시트.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코팅된 강 시트.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강 시트는 0.7 ~ 3 mm 의 두께를 갖는, 코팅된 강 시트.
  27. 두 개의 강 시트들의 10 개의 저항 스폿 용접부들을 포함하는 용접된 구조체로서,
    상기 두 개의 강 시트들 중 제 1 강 시트는 제 25 항에 따른 코팅된 강 시트이고, 상기 두 개의 강 시트들 중 제 2 강 시트는 중량 당으로,
    0.15% ≤ C ≤ 0.23%,
    2.0 % ≤ Mn ≤ 2.7%,
    이때 C+Mn/10 ≥ 0.420%,
    0 ≤ Cr ≤ 0.40%,
    이때 Mn+Cr ≥ 2.25%,
    0.2% ≤ Si ≤ 1.6%
    0.02% ≤ Al ≤ 1.2%,
    이때 1.0 % ≤ Si+Al ≤ 2.2%,
    0 ≤ Nb ≤ 0.035 %,
    0 ≤ Mo ≤ 0.1%,
    이때 C+Si/10 ≤ 0.30% 및 Al ≥ 6(C+Mn/10)-2.5%,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잔부를 함유하는 조성을 갖는 강으로 제조되고, 상기 10 개의 저항 스폿 용접부들은 6 미만의 저항 스폿 용접부 당 평균 균열 개수를 갖는, 용접된 구조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강 시트는 Zn 또는 Zn 합금으로 코팅되는, 용접된 구조체.
  29.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되거나,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팅된 강 시트로서,
    상기 코팅된 강 시트는 모터 차량 구조 부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코팅된 강 시트.
  30. 제 16 항에 따른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저항 스폿 용접부로서,
    상기 저항 스폿 용접부는 모터 차량 구조 부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저항 스폿 용접부,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된 구조체는 모터 차량 구조 부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용접된 구조체.
  32. 삭제
KR1020187017596A 2015-12-21 2016-12-21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KR102618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5/059840 WO2017109541A1 (en) 2015-12-21 2015-12-21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ductility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coated steel sheet
IBPCT/IB2015/059840 2015-12-21
PCT/EP2016/082195 WO2017108959A1 (en) 2015-12-21 2016-12-21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ductility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coated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541A KR20180095541A (ko) 2018-08-27
KR102618090B1 true KR102618090B1 (ko) 2023-12-26

Family

ID=5527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96A KR102618090B1 (ko) 2015-12-21 2016-12-21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1827948B2 (ko)
EP (2) EP3394297B1 (ko)
JP (1) JP6946332B2 (ko)
KR (1) KR102618090B1 (ko)
CN (1) CN108431241B (ko)
BR (1) BR112018012538B1 (ko)
CA (1) CA3008069C (ko)
ES (2) ES2780927T3 (ko)
HU (2) HUE049748T4 (ko)
MA (2) MA49586B1 (ko)
MX (1) MX2018007649A (ko)
PL (2) PL3394297T3 (ko)
RU (1) RU2729671C2 (ko)
UA (1) UA123634C2 (ko)
WO (2) WO2017109541A1 (ko)
ZA (1) ZA201803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8566B2 (en) 2016-08-04 2022-05-03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0640854B2 (en) 2016-08-04 2020-05-05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339817B2 (en) 2016-08-04 2022-05-24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WO2019122964A1 (en) 2017-12-19 2019-06-27 Arcelormitt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toughness, ductility and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122961A1 (en) 2017-12-19 2019-06-27 Arcelormittal High strength and high formability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276741B1 (ko) * 2018-09-28 2021-07-13 주식회사 포스코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20067752A1 (ko)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포스코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6777262B2 (ja) * 2018-10-18 2020-10-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SE542893C2 (en) * 2018-11-30 2020-08-18 Voestalpine Stahl Gmbh A resistance spot welded joint comprising a zinc coated ahss steel sheet
MX2021005866A (es) * 2018-11-30 2021-07-16 Arcelormittal Hoja de acero recocido laminado en frio con una alta proporcion de expansion de agujero y proceso de fabricacion de la misma.
CN113366134B (zh) * 2019-01-30 2022-07-19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WO2020218575A1 (ja) * 2019-04-24 2020-10-29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
WO2020245627A1 (en) * 2019-06-03 2020-12-10 Arcelormittal Cold 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S2911656T3 (es) 2019-06-17 2022-05-20 Tata Steel Ijmuiden Bv Método de tratamiento térmico de un fleje de acero laminado en frío
ES2911662T3 (es) 2019-06-17 2022-05-20 Tata Steel Ijmuiden Bv Método de tratamiento térmico de un fleje de acero laminado en frío de alta resistencia
US20220349019A1 (en) * 2019-07-29 2022-11-03 Posco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006193A4 (en) * 2019-07-29 2022-09-07 Posco HIGH STRENGTH STEE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220013405A (ko) * 2019-07-30 2022-02-0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9534A (ko) * 2019-08-07 2022-04-21 유나이테드 스테이츠 스틸 코포레이션 고 연성의 아연-코팅된 강 시트 제품
CN110964969B (zh) * 2019-11-27 2021-09-21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热镀锌淬火配分钢及其生产方法
WO2021116741A1 (en) * 2019-12-13 2021-06-17 Arcelormittal Heat treated cold roll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7311808B2 (ja) * 2019-12-19 2023-07-20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123889A1 (en) * 2019-12-19 2021-06-24 Arcelormittal Hot rolled and heat-treat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978673A (zh) * 2019-12-31 2020-04-10 安徽科蓝特铝业有限公司 一种铝合金高空作业平台型材
CN111057973A (zh) * 2019-12-31 2020-04-24 安徽科蓝特铝业有限公司 一种超耐侯拉丝木纹庭院铝合金型材及其加工工艺
US11511375B2 (en) 2020-02-24 2022-11-29 Honda Motor Co., Ltd. Multi component solid solution high-entropy alloys
WO2021176249A1 (en) * 2020-03-02 2021-09-10 Arcelormittal High strength cold rolled and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111394661B (zh) * 2020-04-30 2021-07-27 西京学院 一种低合金高强韧性马贝复相钢的制备工艺
CN111996467B (zh) * 2020-09-28 2022-05-20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980MPa级镀锌高强钢及其制备方法
SE545210C2 (en) 2020-12-23 2023-05-23 Voestalpine Stahl Gmbh Coiling temperature influenced cold rolled strip or steel
US20240060163A1 (en) * 2020-12-23 2024-02-22 Voestalpine Stahl Gmbh A zinc or zinc-alloy coated strip or steel with improved zinc adhesion
CN114807737B (zh) * 2021-01-21 2023-06-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镀锌钢及其制造方法
KR20230128531A (ko) * 2021-03-25 2023-09-05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강판 및 용접 조인트
DE102021108448A1 (de) * 2021-04-01 2022-10-06 Salzgitter Flachstahl Gmbh Stahlband aus einem hochfesten Mehrphasenstah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Stahlbandes
SE545181C2 (en) * 2021-07-20 2023-05-02 Voestalpine Stahl Gmbh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trip sheet for automotive use having good withstandability to retained austentite decomposition
KR20230073569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강도 및 성형성을 갖는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E102022102418A1 (de) 2022-02-02 2023-08-03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festes schmelztauchbeschichtetes Stahlband mit durch Gefügeumwandlung bewirkter Plastizitä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7980A1 (en) * 2010-09-16 2013-07-0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zinc-coated steel sheet which have excellent ductility and stretch-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00765A1 (en) * 2011-03-28 2014-01-02 Takayuki Nozaki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15034326A (ja) * 2013-08-09 2015-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降伏比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4369A (en) * 1951-08-06 1953-12-29 United States Steel Corp Method of softening low-carbon medium-alloy steel
JP3750789B2 (ja) * 1999-11-19 2006-03-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延性に優れる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50671B1 (fr) 2003-02-05 2006-05-19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acier dual-phase a structure ferrito-martensitique, laminee a froid et bande obtenue
US8986468B2 (en) 2005-03-31 2015-03-24 Kobe Steel, Ltd.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ating adhesion, workability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and steel component for automobile
RU2430185C2 (ru) * 2007-04-11 2011-09-27 Ниппон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Высокопрочная листовая сталь с покрытием, полученным горячим погружением, имеющая высокую ударную вязкость при низких температурах,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штамповке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JP5402007B2 (ja) * 2008-02-08 2014-01-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85375B1 (ko) * 2008-05-20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고가공성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제조방법
JP5418047B2 (ja) * 2008-09-10 2014-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2182B2 (ja) * 2009-05-29 2014-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5287770B2 (ja) * 2010-03-09 2013-09-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04715B1 (en) 2010-08-12 2019-12-11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crashworthiness
JP5719545B2 (ja) * 2010-08-13 2015-05-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伸びとプレス成形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
ES2535420T3 (es) * 2011-03-07 2015-05-11 Tata Steel Nederland Technology B.V. Proceso para producir acero conformable de alta resistencia y acero conformable de alta resistencia producido con el mismo
JP5825119B2 (ja) 2011-04-25 2015-1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と材質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A112771C2 (uk) 2011-05-10 2016-10-25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ьон І Десароло Сл Сталевий лист з високою механічною міцністю, пластичністю і формованістю,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та застосування таких листів
JP5856002B2 (ja) * 2011-05-12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衝突エネルギー吸収能に優れた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112014007677B1 (pt) * 2011-09-30 2020-04-2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hapa de aço galvanizada por imersão a quente de alta resistência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KR101614230B1 (ko) 2011-09-30 2016-04-2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베이킹 경화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고강도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것들의 제조 방법
TWI468534B (zh) 2012-02-08 2015-01-1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高強度冷軋鋼板及其製造方法
EP2631333A1 (de) 2012-02-24 2013-08-28 Henkel AG & Co. KGaA Vorbehandlung von Zinkoberflächen vor einer Passivierung
JP5764549B2 (ja) * 2012-03-29 2015-08-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成形性および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S2746285T5 (es) * 2012-03-30 2022-12-19 Voestalpine Stahl Gmbh Lámin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laminada en frío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dicha lámina de acero
EP2881481B1 (en) * 2012-07-31 2019-04-03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shape fix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5088523A1 (en) 2013-12-11 2015-06-18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Cold rolled and annealed steel sheet
JP6306481B2 (ja) * 2014-03-17 2018-04-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延性及び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MX2017005168A (es) * 2014-10-24 2017-07-27 Jfe Steel Corp Parte prensada en caliente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WO2017109542A1 (en) 2015-12-21 2017-06-29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ductility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7980A1 (en) * 2010-09-16 2013-07-0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zinc-coated steel sheet which have excellent ductility and stretch-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00765A1 (en) * 2011-03-28 2014-01-02 Takayuki Nozaki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15034326A (ja) * 2013-08-09 2015-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降伏比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31241A (zh) 2018-08-21
BR112018012538A2 (pt) 2018-12-11
CA3008069A1 (en) 2017-06-29
CN108431241B (zh) 2019-12-27
RU2018122448A (ru) 2019-12-25
MX2018007649A (es) 2018-09-21
WO2017108959A1 (en) 2017-06-29
PL3653738T3 (pl) 2022-01-03
UA123634C2 (uk) 2021-05-05
HUE049748T2 (hu) 2020-10-28
JP2019505693A (ja) 2019-02-28
US20230193412A1 (en) 2023-06-22
BR112018012538B1 (pt) 2021-12-28
CA3008069C (en) 2023-09-12
EP3653738B1 (en) 2021-07-21
ZA201803919B (en) 2019-02-27
ES2885324T3 (es) 2021-12-13
JP6946332B2 (ja) 2021-10-06
RU2729671C2 (ru) 2020-08-11
RU2018122448A3 (ko) 2020-03-27
MA49586A (fr) 2021-03-24
WO2017109541A1 (en) 2017-06-29
US11827948B2 (en) 2023-11-28
US20200270713A1 (en) 2020-08-27
MA44136B1 (fr) 2020-04-30
ES2780927T3 (es) 2020-08-27
MA49586B1 (fr) 2021-10-29
PL3394297T3 (pl) 2020-07-27
EP3394297A1 (en) 2018-10-31
EP3394297B1 (en) 2020-02-12
EP3653738A1 (en) 2020-05-20
HUE056202T2 (hu) 2022-01-28
KR20180095541A (ko) 2018-08-27
HUE049748T4 (hu)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090B1 (ko)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KR102618088B1 (ko)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강 시트
KR102616942B1 (ko)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강 시트
US1171350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high ductility, formability and weldability, and obtained stee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