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427B1 -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427B1
KR102617427B1 KR1020210060332A KR20210060332A KR102617427B1 KR 102617427 B1 KR102617427 B1 KR 102617427B1 KR 1020210060332 A KR1020210060332 A KR 1020210060332A KR 20210060332 A KR20210060332 A KR 20210060332A KR 102617427 B1 KR102617427 B1 KR 10261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ermatitis
skin
weight
bar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865A (ko
Inventor
김유미
장기현
Original Assignee
(주) 바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노텍 filed Critical (주) 바이노텍
Priority to KR102021006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 양상의 조성물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나노 에토좀에 봉입함으로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낮은 침투율을 극복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염을 치료하고 피부를 진정시키며, 피부 홍반도를 낮추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Rigida pine bark extract with improved stability encapsulated nano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만성적이고 재발성인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건조하고 각질이 많은 비늘피부, 염증, 증가된 피부 투과성과 일반적이고 무해한 인자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증상을 보이며, 표면 감염에 취약하며, 심각한 발작과 가려움을 나타내는 염증성 피부염의 일종이다.
글로벌 아토피 피부염 환자수는 1.38억명이며 매년 높은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피부 염증성 질환은 발생원인이 매우 광범위할 뿐 아니라, 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 현재는, 피부 염증으로 인한 가려움증 및 피부 손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스테로이드 제제 이나 이는 피부를 얇게 하고 궁극적으로 증상을 더 악화시키는 부작용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리기다 소나무(Pinus rigida Mill.)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상록 교목으로서 1900년대부터 사방, 조림의 목적으로 수입되어 전국에 널리 재식되었다. 건조한 곳이나 습지에도 잘자라고 송충의 피해에도 강한 특징을 가진다. 리기다 소나무는 국내에서 원물의 수급이 용이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나 리기다 소나무 껍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는 않았다.
또한 천연물 소재는 빛이나 열에 대한 안정성이 낮고 피부 침투율이 낮아서 화장품 조성료로 많이 쓰이긴 하나 그 효능 효과를 담보하기는 어렵다. 천연물의 폴리페놀류나 다른 유효성분들은 지용성과 수용성 성분이 복합적으로 되어 있어 제형을 안정하게 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리포좀 전달체는 지용성과 수용성 성분들 동시에 봉입할 수 있어 천연물 물질을 봉입할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전달체이다. 리포좀은 인지질 내부 코어에는 수용성물질을 봉입가능하고 지용성 물질은 인지질로 이루어진 전달체 막 사이에 끼어들어가는 형태로 물질을 봉입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에토좀에 봉입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천연물 특유의 낮은 침투율을 극복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염을 치료하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음을 개발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일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을 봉입하는 에토좀(Ethosome)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피부 장벽 재생, 피부 간지러움, 피부 홍반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을 봉입하는 에토좀(Ethosome)을 포함하는 피부염(Dermatitis)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 및 인지질을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 및 정제수를 정제수와 교반하여 에토좀(Eth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진정, 피부 장벽 재생, 피부 간지러움, 피부 홍반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을 봉입하는 에토좀(Ethosome)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피부 장벽 재생, 피부 간지러움, 피부 홍반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을 봉입하는 에토좀(Ethosome)을 포함하는 피부염(Dermatitis)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리기다 소나무(Pinus rigida Bill.)”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상록교목의 일종으로서, Pitch pine 이라고 명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이란, 리기다 소나무 껍질 또는 수피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물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수피를 제거한 껍질에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피”는 수목의 형성층의 바깥쪽에 있는 모든 조직을 의미하며, 외수피 및 내수피로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100 중량%, 55 내지 100 중량%, 60 내지 100 중량 %, 65 내지 10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95 중량%, 55 내지 95 중량%, 60 내지 95 중량%, 65 내지 95 중량%, 7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0 중량%, 55 내지 90 중량%, 60 내지 90 중량%, 65 내지 90 중량%, 7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5 중량%, 55 내지 85 중량%, 60 내지 85 중량%, 65 내지 85 중량%, 65 내지 85 중량% 또는 65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건조 분말 형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 형태는,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농축하고 건조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리기다 소나무 추출 건조 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기 건조 분말을 0.01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 분말은 0.02 내지 0.09, 0.03 내지 0.08 또는 0.03 내지 0.07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정제수를 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수는 5 내지 18, 5 내지 15, 8 내지 15 또는 8 내지 13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 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효율적인 운반 및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카테킨(catehcin) 또는 퀘르시트린(quercitrin)을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에토좀(Ethosome)”은 인지질을 에탄올에 혼합하여 제조한 지질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 에토좀은, 지질, 에탄올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특히 일부 지질층을 포함하는 피부에 대한 생리활성물질 투과에 효율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인지질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토좀은 내부에 리기다 소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봉입되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전달 안정성을 높이고, 전달률을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 층은 이중층을 구성하며, 천연 인지질 또는 합성 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인지질은 콜레스테롤, 난황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대두 레시틴, 리조레시틴(Lysolecithin),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4,5-이인산,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및 플라즈마로겐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인지질은 디세틸포스페이트,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에토좀 총 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지질은 2.0 중량% 내지 4.5 중량%, 2.0 중량% 내지 4.0 중량%, 2.0 중량 내지 3.5 중량%, 2.5 내지 4.5 중량%, 2.5 중량% 내지 4.0 중량% 또는 2.5 중량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에토좀 총 중량 대비 에탄올을 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토좀은 1 내지 18, 1 내지 15, 5 내지 15 또는 8 내지 13 중량%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의 봉입률은 90% 이상 내지 10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입률은 90 내지 99, 90 내지 98 또는 90 내지 97%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80 중량%, 0.01 중량% 내지60 중량%, 0.01 중량% 내지40 중량%, 0.01 중량% 내지30 중량%, 0.01 중량% 내지20 중량%, 0.01 중량% 내지10 중량%, 0.01 중량% 내지5 중량%, 0.05 중량% 내지60 중량%, 0.05 중량% 내지40 중량%, 0.05 중량% 내지30 중량%, 0.05 중량% 내지20 중량%, 0.05 중량% 내지10 중량%, 0.05 중량% 내지5 중량%, 0.1 중량% 내지60 중량%, 0.1 중량% 내지40 중량%, 0.1 중량% 내지30 중량%, 0.1 중량% 내지20 중량%, 0.1 중량% 내지10 중량%, 또는0.1 중량% 내지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 피부 장벽 재생, 피부 간지러움, 피부 트러블의 개선, 또는 피부 홍반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염(Dermatitis)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의 증상은 피부 홍조, 피부 간지러움, 피부 손상, 피부 트러블, 피부 건조 및 피부 장벽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여 피부 장벽 손상을 치료 및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화폐상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아토피”, “아토피성 질환” 등과 혼용될 수 있고, 피부에 발생하는 만성 알레르기 염증성 질환으로, 피부 건조, 각질이 많은 비늘피부, 피부 염증, 증가된 피부 투과성, 피부 표면 감염에 대한 취약성, 발작 및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수분손실량 또는 피부 홍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피부 홍반을 가라앉히며,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질소 또는 염증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거나, 염증매개인자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가물등을 더 첨가하여 스킨, 스킨토너, 부스터,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마이스처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세럼, 팩, 마스크, 비누, 클렌징 폼, 콜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클렌져, 바디로션, 샴푸, 린스, 메이크업베이스등 기초 및 색조화장품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Mill.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 및 인지질을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 및 정제수를 교반하여 에토좀(Eth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진정, 피부 장벽 재생, 피부 간지러움, 피부 홍반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Mill.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 및 인지질을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 정제수와 교반하여 에토좀(Eth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염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에토좀, 피부염,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은, 리기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건조 분말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추출물 또는 분획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가온조건에서 인지질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인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에토좀 총 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지질은 2.0 중량% 내지 4.5 중량%, 2.0 중량% 내지 4.0 중량%, 2.0 중량 내지 3.5 중량%, 2.5 내지 4.5 중량%, 2.5 중량% 내지 4.0 중량% 또는 2.5 중량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에토좀 총 중량 대비 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탄올은 1 내지 18, 1 내지 15, 5 내지 15 또는 8 내지 13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용액 및 인지질 용액을 가온조건에서 혼합하여 에토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과량의 정제수와 교반하여 분산 및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교반된 용액을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에토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토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80 중량%, 0.01 중량% 내지60 중량%, 0.01 중량% 내지40 중량%, 0.01 중량% 내지30 중량%, 0.01 중량% 내지20 중량%, 0.01 중량% 내지10 중량%, 0.01 중량% 내지5 중량%, 0.05 중량% 내지60 중량%, 0.05 중량% 내지40 중량%, 0.05 중량% 내지30 중량%, 0.05 중량% 내지20 중량%, 0.05 중량% 내지10 중량%, 0.05 중량% 내지5 중량%, 0.1 중량% 내지60 중량%, 0.1 중량% 내지40 중량%, 0.1 중량% 내지30 중량%, 0.1 중량% 내지20 중량%, 0.1 중량% 내지10 중량%, 또는0.1 중량% 내지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양상의 조성물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나노 에토좀에 봉입함으로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낮은 침투율을 극복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염을 치료하고 피부를 진정시키며, 피부 홍반도를 낮추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의 입자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에토좀의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평가한 도이다.
도 3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TNF-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프라츠 분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통해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피부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이 포함된 크림의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 제조
1.1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리기다 소나무(Pinus rigida Mill.)의 껍질 부분에서 외수피 부분을 제거한 후, 2 내지 3cm의 크기로 세절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손질한 리기다 소나무 껍질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서늘한 곳에서 건조한 후, 원물 중량의 9배의 70% 에탄올을 추가하여, 24시간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Filter paper, Whatman NO.2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 후, 추출 및 여과 과정을 총 3회 반복함으로써, 추출물을 완성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진공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40℃, 40hPa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모두 제거한 후 농축액을 회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농축액을 -80℃에서 동결한 후 동결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였다.
1.2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 분말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코어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해 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수용성 또는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š문에, 가온조건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때,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분말은 총 나노 에토좀 중량 대비 0.05중량%, 정제수는 10.0중량% 포함되었다.
인지질 용해액을 제조하기 위해, 이중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에탄올에 첨가하여 가온조건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 때 인지질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총 나노 에토좀 중량 대비 3.0중량% 포함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물 용액 및 상기 인지질 용해액을 혼합하여 10분이상 가온조건에서 교반함으로써, 추출물을 인지질 용해액에 수화시켜 수화액정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화액정상 용액에 정제수를 과량 첨가하여 가온조건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산 및 균질화를 진행하고, 이후 상온으로 서서히 냉각하며 추가 교반을 진행하였다.
교반이 완료된 나노 에토좀 용액은 호모믹서를 통해 3000RPM 이상으로 10분간 균질화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져로 1000bar, 3회 통과하여 추가적인 균질화를 진행함으로써, 리기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지질 첨가량을 2.0중량%로 한 나노 에토좀 제조
실시예 2은 실시예 1에서 이중막을 구성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의 함량을 2.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인지질 첨가량을 1.0중량%로 한 나노 에토좀 제조
실시예 3는 실시예 1에서 이중막을 구성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의 함량을 1.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0.1중량%로 한 나노 에토좀 제조
실시예 4는 실시예 1에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분말을 0.1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정제수와 에탄올을 5.0중량%로 한 나노 에토좀 제조
실시예 5는 실시예 1에서 정제수와 에탄올을 5.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는 실시예 1에서 나노 에토좀을 구성하는 성분을 모두 제외하고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분말만 정제수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1은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이중막 레시틴 3.0 2.0 1.0 3.0 3.0 - 3.0
에탄올 10.0 10.0 10.0 10.0 5.0 - 10.0
코어 리기다소나무껍질 추출물 0.05 0.05 0.05 0.1 0.05 0.05 -
정제수 10.0 10.0 10.0 10.0 5.0 - 10.0
분산 정제수 up to 100
[제조예]
제조예 1. 나노 에토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인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에토좀이 함유되어 있는 크림 제형의 화장품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함량과 같이 제조하였다.
표 2는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제조예 1
유상부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벤조에이트 2.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0
솔비탄올리베이트 1.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세테아릴스테아레이트 0.2
수상부 정제수 78.36
글리세린 4.5
부틸렌글라이콜 3.0
프로판다이올 5.0
헥산다이올 2.0
트레할로오스 0.2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4
잔탄검 0.4
알지닌 0.4
카보머 0.3
유효성분 실시예 1 5.0
[실험예]
실험예 1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나노 에토좀 입자 크기 및 안정성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나노 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나노입자 분석기(Nanophox, Sympatec, 독일)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나노 에토좀의 장기 보관 시 발생되는 응집, 침전, 변색 등의 불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장기 안정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장기 안정성 분석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에토좀 용액을 45℃ 항온 챔버에 배치하여 1일, 10일, 20일, 30일간 경과시점을 기준으로 육안관찰을 통한 형태 변화를 관찰하여 진행하였다.
도 1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의 입자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표 3은 나노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 및 일자별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2
평균 입자 크기
(nm)
202.56 182.14 137.42 287.61 290.45 104.25
안정성 1일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성 10일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성 20일차 안정 안정 안정 응집 응집 안정
안정성 30일차 안정 안정 응집 침전 침전 안정
그 결과, 도 1 및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300nm이하의 입자크기로 측정되었으며, 나노 에토좀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구성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크기가 커지고, 코어에 위치하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2의 경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봉입되지 않은 나노 에토좀으로서 약 100nm의 입자크기를 형성하고 있어,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봉입으로 인해 전체적인 나노 에토좀의 입자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나노 에토좀 봉입 효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나노 에토좀의 봉입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High Performance Chromatography, HPLC, Shimadzu, 일본)로 전체 함량과 미봉입된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봉입효율을 계산하였다.
[식 1]
Entrapment Efficiency(EE) = (WTotal-WFree)/WTotal x 100
상기 식 1에서 EE는 표준물질(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중 카테킨)의 봉입효율을 의미하고, WTotal는 전체 표준물질 농도를 의미하며, WFree는 미봉입된 표준물질 농도를 의미한다. 아래 표 4는 실험 결과로 나타난 봉입효율을 수치로 계산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2
봉입
효율 (%)
Catechin 99.3 99.0 93.3 37.3 60.5 -
Quercitrin 94.9 91.5 90.9 56.7 63.5 -
봉입효율 측정을 위한 지표물질은 Catechin과 Quercitrin으로 Quercitrin은 지용성 물질로 정제수에 매우 낮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으며, Catechin은 정제수에 상대적으로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지만, 수용성과 지용성 모두 봉입할 수 있는 나노 에토좀의 특성으로 인해 Catechin과 Quercitrin 모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90%이상의 높은 봉입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나노 에토좀 성분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안정성 분석을 위해 각 시료를 45℃ 항온 챔버에 배치하여 1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간 경과시점을 기준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통해 유효성분인 카테킨(Catechin)의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는 각 경과시점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5의 단위는 μg/mL이다.
1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실시예 1 12.72 12.56 12.48 12.29 12.23 11.67 10.72
비교예 1 12.31 12.99 11.47 10.85 10.79 9.68 6.62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30일 경과한 시점에서도 유효성분의 함량이 1일차 대비하여 16%만 감소하였지만, 비교예 1인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수용액의 경우 50%로 감소하여 실질적으로 나노에토좀의 유효성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나노 에토좀 세포 독성 시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비교예 2의 세포 독성 측정을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다.
macrophage Raw 264.7 cell을 96 웰 플레이트에 4 x 104 cells/mL로 분주한 후, Fetal bovine serum free DMEM 배지로 리기나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나노 에토좀 시료를 각각 6.25, 12.5, 25 ug/mL의 농도로 조제하여 20uL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배양 후 생존 세포에 MTT (5mg/mL)를 20uL씩 처치 후 4시간 뒤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 crystal 99% ethanol과 DMSO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200uL씩 처치한 뒤, 30분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은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에토좀의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평가한 도이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5μg/mL까지 80%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하기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세포 실험을 위해 12.5μg/mL 처리 농도로 세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5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나노 에토좀의 NO 생성량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염증매개인자(Inflammatory mediators)인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량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5 x 105 cells/mL로 분주하여 18 내지 24시간 배양한 뒤 Fetal bovine serum free DMEM 배지로 교체 후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였다. 이후, 조제한 시료를 300uL 첨가하여 배양한 다음, 18시간 후 96 웰 플레이트에 상층액과 그리스 리젠트(Griess regent)를 각각 100uL 처치 후, 15분 반응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12.5μg/mL의 농도에서 77.7%의 NO 생성량을 보여, 비교예 1은 72%, 비교예 2는 84.6%의 NO 생성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이 22.3%의 높은 NO 생성 저해율을 가짐으로써, 항염증 효과가 현저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6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나노 에토좀의 Cytokine 생성량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l (iNOS)와 cyclooxygenase-2 (COX-2)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5 x 105 cells/mL로 분주하여 24 시간동안 배양하고, LPS 1μg/mL와 시료 12.5μ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18 시간동안 재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배양액을 취하여 ELISA kit(BD Biosciences, San Diego, CA, USA)를 사용하고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각 검량곡선을 바탕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1β, TNF-α의 생성량을 산출하였다.
도 4는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TNF-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6는 실시예 1에서 23.9%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IL-1β는 14.6%, TNF-α는 29.6%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높은 사이토카인 생성 저해율을 가짐으로써, 항염증 효과가 현저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7 : Western blot을 통한 리기다 추출물 나노 에토좀의 iNOS, COX2 단백질 발현율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각 조성물에 의한 염증매개인자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1 (iNOS) 및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mL 의 농도로 2700 ㎕씩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한 뒤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여 18 시간 배양하였다. 각 군을 12.5 ㎍/mL의 농도로 처리한 뒤 2 시간 후에 LPS 1 ㎍/mL를 정상 실험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Sigma-Aldrich) 로 2회 세척한 뒤 스크레이퍼(scrap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확하여 세포에 용해 버퍼(lysis buffer, Sigma-Aldrich) 를 웰당 100 ㎕ 씩 첨가한 뒤 1 시간 동안 냉장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단백질은 브래드 포드 분석(bradford assay)으로 정량하고 10 ㎕의 단백질을 10%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해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 AmerchamTM, GE Healthcare Life Sciences)에 이동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단백질을 차단 용액(blocking solution, 5% skim milk in mixture of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TBST) buffer] 을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블락킹(blocking) 한 뒤, 1차 항체(antibody, anti-mouse iNOS, anti-mouse COX2, anti-mouse 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를 24 시간 반응시킨 후 겨자무과산화수소(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결합된 2차 항체(anti-mouse IgG; Santa Cruz Biotechnology)를 1:1000으로 희석하여 3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TBST로 3회 세척한 뒤 진보된 화학발광법(enhanced chemiluqnsescence: ECL) 키트(AmershamTM)를 사용하여, ECL 기질(AmershamTM)과 반응 후 Chemiluqnsescent Imaging System (LuqnsoGraph; ATTO, Japan)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도 7은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처리한 경우, 비교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염증매개인자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염증매개인자 단백질의 발현 저해율을 가짐으로써, 항염증 효과가 현저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8 :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에토좀의 피부 흡수율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흡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피부투과장치(Franz Diffusion Cell)에 고정되어있는 Micropig Franz 세포막에 각각 도포하여 피부 흡수율을 측정하여 누적투과량과 투과속도(Flux, μg/hr*cm2) 및 투과상수(Kp, Permeability coefficient, cm/hr*10-4)를 산출하였다.
표 6은 일 양상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누적투과량과 투과속도(Flux, μg/hr*cm2) 및 투과상수(Kp, Permeability coefficient, cm/hr*10-4)를 나타낸 것이다.
(μg/cm2) Flux
(μg/hr*cm2)
Kp
(cm/hr*10-4)
0h 1h 2h 4h 6h 8h 24h 48h
실시예 1 0 730.96 147.66 148.73 150.65 149.92 152.23 149.15 148.70
±286.178
7435.05
±14308.89
비교예 1 0 0 275.25 64.05 62.98 58.86 61.53 59.22 29.00
±53.515
1450.47
±2675.75
도 8은 프라츠 분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통해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의 피부 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시간대별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 에토좀이 도포된 실험군에서 높은 흡수율과 빠른 흡수 시간대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초 도포 후 1시간 경과시에는 비교예 1은 흡수가 되지 않았지만 실시예 1에서는 높은 피부 흡수율을 보였다.
특히, 상기 측정된 누적투과량으로 계산된 투과속도 값에 의하면,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보다 이를 봉입한 나노 에토좀의 투과속도가 약 5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투과상수값에 따른 기준도 매우 빠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보다 이를 봉입한 나노 에토좀이 피부 흡수율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9 :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나노 에토좀이 함유된 크림의 피부 가려움증 완화 및 경피수분손실량(TEWL) 개선효과 인체적용시험
상기 제조예 1의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의 가려움 완화 및 경피 수분 손실량 (TEWL)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30 내지 65세 사이의 남녀 피험자 21명을 대상으로 4주간 아침, 저녁 제조예 1을 적당량 덜어 피부 건조와 가려움을 느끼는 부위에 도포한 후 부드럽게 문질러 흡수시킨 후, 실험 진행 후 2주차 및 4주차에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는 Corneometer를 이용히여 피부 건조와 가려움을 느끼는 부위의 피부보습 측정값을 분석하였다. 또한, Tewameter를 이용한 피부 건조와 가려움을 느끼는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TEWL)측정값을 분석하였다.
표 7은 일 양상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의 피부보습 증가율 및 경피수분손실량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품 적용 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피부보습 증가율 (%) - 4.68 7.05
경피수분손실량 감소율 (%) - 5.40 7.48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피부보습 측정값은 제조예 1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2주 후 및 적용 4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각각 4.680%, 7.051%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경피수분손실률은 제조예 1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2주 후 및 적용 4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감소하였으며, 각각 5.400%, 7.48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경피수분손실을 감소시키고 및 피부보습효과가 높아 건조한 피부의 가려움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10 : 리가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나노 에토좀이 함유된 크림의 피부 진정 인체적용시험
상기 제조예 1의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20 내지 60세의 여성 피험자 22명을 대상으로 시험부위에 1% SLS(Sodium Lauryl Sulfate) 용액을 IQ chamber와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여 장벽 손상을 유도하였으며, 시험부위(제품 적용 부위 및 미적용 부위)는 연구 대상자의 손목으로부터 10 ~ 15cm 거리의 전완부 부위로 하고 크기는 1cm2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14일간 1일 아침, 저녁으로 제조예 1을 제품 적용 부위에 적당량 도포하여 흡수시켰다. 이후 1일, 2일, 6일 및 14일 간 제품 적용 전, 적용 후 모두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9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봉입한 나노 에토좀이 포함된 크림의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표 8은 일 양상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의 피부 홍반도 감소율 및 경피수분손실량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경피수분손실량 감소율
(%)
피부홍반도 감소율
(%)
제품 적용 부위 제품 미적용 부위 제품 적용 부위 제품 미적용 부위
적용 1일차 26.46 16.65 -2.28 -4.67
적용 2일차 50.26 39.33 1.36 -1.61
적용 6일차 81.06 73.33 10.58 6.23
적용 14일차 92.59 88.72 19.53 13.20
그 결과, 도 9 및 표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조예 1을 도포한 부위는 미적용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높은 경피수분손실량 개선율을 보였으며, 14일차에서 92.596%의 개선율을 나타냈다. 또한, M제조예 1을 도포한 부위는 미적용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낮은 피부 홍반도를 보였으며, 14일차에서 19.537%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Claims (11)

  1.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Pinus rigida bark extract) 또는 이의 분획물(Fraction)을 봉입하는 에토좀(Ethosome)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피부 장벽 재생용, 또는 피부 간지러움 또는 피부 홍반의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염(Dermatitis)의 증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화폐상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껍질은 외수피 부분을 제거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토좀은 에토좀 총 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토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정제수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세럼, 팩, 마스크, 클렌징 폼,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봉입하는 에토좀을 포함하는 피부염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화폐상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1)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정제수와 혼합하는 단계;
    (2) 인지질 및 에탄올을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 및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토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봉입된 에토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10060332A 2021-05-10 2021-05-10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32A KR102617427B1 (ko) 2021-05-10 2021-05-10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32A KR102617427B1 (ko) 2021-05-10 2021-05-10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65A KR20220152865A (ko) 2022-11-17
KR102617427B1 true KR102617427B1 (ko) 2023-12-27

Family

ID=8423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332A KR102617427B1 (ko) 2021-05-10 2021-05-10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13B1 (ko) * 2003-07-11 2005-12-08 네비온 주식회사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나노 액정 캐리어, 그제법 및 그를 함유한 조성물
KR101626437B1 (ko) * 2013-12-31 2016-06-01 주식회사 삼양사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7A (ko) * 2018-06-01 2019-12-11 애경산업(주)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임학회지, 제97권제3호(2008), 페이지 215-220(2008.06.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65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740B2 (en) Mahonia aquifolium extract, extraction proces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S2856480T3 (es) Utilizaciones cosméticas de la swertiamarina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20180131876A (ko)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 안정화된 세라마이드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1705A (ko)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83567A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TWI773676B (zh) 新穎之水飛薊(silybum marianum)瘦果萃取物以及其於皮膚科及皮膚化妝品的用途
KR20110082335A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2844B1 (ko) 국소 피부 전달용 항염증 지질 나노 전달체를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KR100475255B1 (ko) 캐비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좀의 유액 조성물 및 그를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7758B1 (ko) 폭쇄처리된 굴참나무 목재칩을 용매로 추출한 굴참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617427B1 (ko)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4370B1 (ko)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665946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луковый экстракт и липосомы
TR202008828A2 (tr) Kozmeti̇k formüllerde kullanmak üzere li̇pozomal teknoloji̇ i̇le enkapsüle edi̇lmi̇ş yabani̇ i̇ğde (hippophae rhamnoides) ekstresi̇ni̇n elde edi̇lme yöntemi̇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450812B1 (ko) 고형 지질 복합 나노 에토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5993B1 (ko) 포도과피 추출물, 까마귀쪽나무열매 추출물 및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056B1 (ko) 명월초 추출물 및 부아 메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9A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EP1877046A2 (de) Topische verwendung von radikalfangenden substanzen zur antipyretischen behand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