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689B1 -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 Google Patents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689B1
KR102613689B1 KR1020210151392A KR20210151392A KR102613689B1 KR 102613689 B1 KR102613689 B1 KR 102613689B1 KR 1020210151392 A KR1020210151392 A KR 1020210151392A KR 20210151392 A KR20210151392 A KR 20210151392A KR 102613689 B1 KR102613689 B1 KR 10261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ulkhead
partition
partition wall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630A (ko
Inventor
강훈철
이찬우
김종현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5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6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02K9/193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with provision for replenishing the cooling medium;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1)는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서 좌측 연장 격벽(15), 우측 연장 격벽(16), 중간 연장 격벽(17) 및 구동기어 격벽(18)으로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을 형성하고, 상기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이 격벽 형상(15,16,17,18)으로 레비린스(Labyrinth)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의 기어 회전으로 비산된 오일이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서 차단되어 에어브리더 니플(24)로 누유 되지 않고, 특히 격벽(15,16,17,18)을 레비린스(Labyrinth) 구조로 형성하여 우측 연장 격벽(16)의 우 격벽 단부 길이(t)로 차단된 비산 오일이 자중방향 흐름(즉, 중력가속도 방향(g))으로 내려와 감속기 케이스로 재공급됨으로써 유증기 배출 수준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감속기 오일 유출 방지로 온도 과열에 의한 감속기 파손 방지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Partition Wall Flow Path type Drive Motor}
본 발명은 구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속기의 기어 회전으로 비산된 오일이 유증기와 함께 에어브리더로 누유 되지 않는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이륜차 구동 모터는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고, 모터 케이스와 감속기 케이스로 일체 구조를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모터는 토크를 발생하고, 상기 감속기는 구동기어와 1개의 피동기어로 1단 감속기로 구성되어 모터 토크를 증대 시켜 준다.
특히 상기 구동 모터는 감속기 케이스에 니플 조립체(Nipple Assembly)를 구비하고 상기 니플 조립체는 감속기에 대한 오일 공급을 위한 오일 주입구와 연결된 오일 니플 및 유증기 배출을 위한 에어 브리더와 연결된 에어브리더 니플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니플의 각각은 오일 호스, 에어 브리더 호스와 연결되며 호스의 끝단은 오일 주입구 및 마개, 에어 브리더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에어브리더 니플은 감속기 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유증기 압력 증가 시 감속기 케이스 내부의 유증기를 에어브리더 쪽으로 배출해 줌으로써 모터 구동 하에서 감속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 증가를 막아 줄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10-2091784 (2020년03월16일)
하지만, 상기 에어브리더 니플의 유증기 경로와 오일 니플의 오일 경로가 감속기 케이스 내부와 함께 연통된 구조(예, V형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 내부의 유증기 압력 상승은 유증기 경로를 통해 오일이 함께 에어브리더 니플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증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은 감속기 오일 유량의 감소를 가져옴으로써 감속기 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 방지를 위한 기어 윤활 오일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는 문제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감속기의 기어 회전으로 비산된 오일이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차단되어 에어브리더 니플로 누유 되지 않고, 특히 격벽을 레비린스(Labyrinth) 구조를 형성하는 격벽 단부로 차단된 비산 오일이 자중방향 흐름인 중력가속도 방향으로 내려와 감속기 케이스로 재공급됨으로써 유증기 배출 수준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감속기 오일 유출 방지로 온도 과열에 의한 감속기 파손 방지가 가능한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는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오일과 유증기의 유로를 구분하는 좌측 연장 격벽, 우측 연장 격벽 및 중간 연장 격벽이 포함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은 수직교차하며,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은 수직교차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 간 거리의 사이에 상기 오일의 비산을 차단하는 우 격벽 단부 길이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기어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 및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은 상기 구동기어 격벽과 함께 상기 유로를 복수 공간으로 구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 상기 우측 연장 격벽, 상기 중간 연장 격벽 및 상기 구동기어 격벽의 각각은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레비린스(Labyrinth)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격벽 끝단의 위치를 달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의 호형상 구조 및 상기 구동 기어 격벽의 절곡형상 구조는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마름모꼴로 형성하고,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의 경사진 직선 형상 구조 및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의 꺾인 직선 형상 구조는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복수 공간으로 구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공간은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이 지나가는 오일 유로,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유증기 유로, 및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구동기어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과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연통 유로로 구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의 조합,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중간 연장 격벽의 조합, 및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의 조합 각각은 서로 마주하여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오일과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연결 유로로 작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오일 유로, 상기 우유증기 유로 및 상기 연통 유로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2단 감속기에 인접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은 상기 2단 감속기의 2차 피동 기어의 상부부위를 가려주며, 상기 구동기어 격벽은 상기 2단 감속기의 구동 기어와 1차 피동 기어의 상부부위를 가려주고, 상기 구동 기어는 모터로 회전되고, 상기 1차 피동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2차 피동 기어는 상기 1차 피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오일 니플과 에어브리더 니플로 연통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 니플로 주입되며, 상기 유증기는 상기 에어브리더 니플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감속기 기어 회전에 의한 오일 비산 또는 감속기 케이스 내부의 유증기 압력 상승하에서도 감속기의 기어 윤활 오일이 에어브리더를 통해 유증기와 함께 누유 되지 않음으로써 감속기 오일 유출 방지가 가능하다. 둘째, 레비린스(Labyrinth) 구조로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유증기와 함께 올라간 오일이 중력 작용으로 다시 감속기 케이스로 재공급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 내 기어 윤활 오일 부족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셋째, 감속기 케이스 내 기어 윤활 오일 유출 방지로 감속기 파손이 방지된다. 넷째, 유증기 배출은 기존과 동일한 경로로 배출됨으로써 오일 및 에어브리더 니플에 대한 구조 변경 또는 설게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섯째, 기어 윤활 오일을 항상 충분하게 유지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과열에 의한 감속기 파손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역류방지 격벽의 유로 작용을 통한 에어브리더의 감속기 오일 누유가 차단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1)는 모터(2), 2단 감속기(5) 및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구동 모터(1)는 오일역류방지 격벽(10)에 자중방향으로 하방향 경사 레이아웃을 적용함으로써 니플 조립체(20)의 에어브리더 니플(23)쪽으로 올라온 유증기에 혼합된 일부 오일이 자중방향 흐름(즉, 중력가속도 방향(g))으로 2단 감속기(5)의 2차 피동 기어(8)쪽으로 다시 복귀됨으로써 유증기 배출을 방해하지 않고서 오일 유출은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모터(1)는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1)로 특징된다.
일례로 상기 모터(2)는 토크를 발생하고, 상기 2단 감속기(5)는 모터(2)의 모터 케이스와 일체화된 감속기 케이스(3)에 내장되며, 상기 감속기 케이스(3)는 니플 조립체(20)가 조립되는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감속기 케이스(3)는 케이스 상부 구간에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 상부 구간은 2단 감속기(5)를 구성하는 구동 기어(6)와 1차 피동 기어(7) 및 2차 피동 기어(8)의 위쪽으로 형성된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으로, 이는 오일이 오일 니플(21)로 주입되어 2차 피동 기어(8)쪽으로 내려가는 자중방향 흐름(즉, 중력가속도 방향(g))이다.
일례로 상기 2단 감속기(5)는 모터 토크를 직접 받는 구동 기어(6), 상기 구동 기어(6)와 맞물려 회전하는 1차 피동 기어(7), 상기 1차 피동 기어(7)와 맞물려 회전하는 2차 피동 기어(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은 감속기 케이스(3)의 케이스 상부 구간에 위치되고, 니플 조립체(20)를 구성하는 오일 니플(21)과 에어브리더 니플(23)이 연통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은 3개의 유로(11,12,13) 및 4개의 격벽(15,16,17,18)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유로(11,12,13)는 오일 유로(11), 유증기 유로(12) 및 연통 유로(13)로 구분되어 3개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오일 유로(11)는 니플 조립체(20)의 오일 니플(21)과 연통되며, 상기 유증기 유로(12)는 니플 조립체(20)의 에어브리더 니플(23)과 연통되고, 상기 연통 유로(13)는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의 유로 공간이 2단 감속기(5)의 2차 피동 기어(8)를 향해서만 열린 구조이다.
일례로 상기 격벽(15,16,17,18)은 좌측 연장 격벽(15), 우측 연장 격벽(16), 중간 연장 격벽(17) 및 구동 기어 격벽(18)로 구분되어 4개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은 감속기 케이스(3)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호형상으로 연장되어 2차 피동 기어(8)의 위쪽 부위를 감싸주고, 상기 호형상의 격벽 끝단이 구동 기어 격벽(18)과 이격된 연통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오일이 오일 유로(11)에서 연통 유로(13)를 거쳐 2차 피동 기어(8)쪽으로 흘러가도록 작용한다.
반면 상기 구동 기어 격벽(18)은 감속기 케이스(3)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형상(즉, 역 ㄴ 형상)으로 연장되어 2차 피동 기어(8)의 위쪽 부위를 감싸주고, 상기 절곡형상 중 수평 경사 구간의 격벽 끝단이 좌측 연장 격벽(15)쪽으로 이어져 상기 연통 틈새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18)의 조합은 감속기 케이스(3)의 케이스 상부 구간에 오일 유로(11), 유증기 유로(12) 및 연통 유로(13)가 형성되는 공간을 대략 마름모꼴로 형성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은 구동 기어 격벽(18)의 절곡형상 중 수직 구간에서 수평 경사 형상(즉, 경사진 직선 형상 또는 하방향 직선 경사 형상)으로 좌측 연장 격벽(15)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수평 경사 형상이 유증기 유로(12)와 연통 유로(13)를 구획하면서 좌측 연장 격벽(15)과 연결 틈새를 형성한다.
반면 상기 중간 연장 격벽(17)은 감속기 케이스(3)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 꺾임 형상(즉, 꺾인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우측 연장 격벽(16)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오일 유로(11)와 유증기 유로(12)를 구획하고, 상기 수직 꺾임 형상의 격벽 끝단이 우측 연장 격벽(16)과 이격된 연결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유증기가 유증기 유로(12)로 유입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은 하방향 직선 경사 형상의 격벽 끝단을 우 격벽 단부 길이(t)로 형성하고, 상기 우 격벽 단부 길이(t)는 오일 유로(11)의 폭을 약 1/2로 좁혀준다.
그러므로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17)의 조합은 감속기 케이스(3)의 케이스 상부 구간에 형성된 대략 마름모꼴 내부를 좌측 상부의 오일 유로(11), 우측 상부의 유증기 유로(12) 및 하부의 연통 유로(13)로 구획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니플 조립체(20)는 오일 니플(21)과 에어브리더 니플(23)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오일 니플(21)과 상기 에어브리더 니플(23)은 연결 브래킷으로 일체 구조를 이루고, 볼트로 연결 브래킷을 감속기 케이스(3)에 체결하여 감속기 케이스(3)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오일 니플(21)은 호스 끝단부에 오일 주입구 및 마개를 구비한 오일 호스(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오일이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의 오일 유로(11)로 주입되는 통로로 작용한다. 상기 에어브리더 니플(23)은 에어 브리더 호스(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유증기가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의 유증기 유로(12)로 빠져나가는 통로로 작용한다.
한편 도 2는 상기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의 오일 유입 경로 및 유증기 배출 경로 형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유입 경로는 오일 니플(21)에서 오일 유로(11)와 연통 유로(13)를 거쳐 오일 니플(21)의 오일이 중력가속도(g) 방향으로 흘러 2차 피동 기어(8) 쪽으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3)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반면 상기 유증기 배출 경로는 연통 유로(13)에서 오일 유로(11)와 유증기 유로(12)를 거쳐 2차 피동 기어(8)의 공간에서 나온 유증기가 에어브리더 니플(23)쪽으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3)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오일 유입 경로 및 상기 유증기 배출 경로에서 오일 유로(11), 유증기 유로(12) 및 연통 유로(13)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상기 오일 유로(11)는 2차 피동 기어(8)의 위쪽에서 연통 유로(13)와 이어짐으로써 오일 니플(21)로 주입된 오일이 자중방향 흐름(즉, 중력가속도 방향(g))으로 내려가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 유로(12)는 2차 피동 기어(8)의 위쪽에서 오일 유로(11)와 인접됨으로써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유증기가 연통 유로(13)를 거쳐 에어브리더 니플(23)로 빠져 나가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 연통 유로(13)는 2단 감속기(5)의 2차 피동 기어(8)를 향하는 일측 트임 구조로 오일 니플(21)로 주입된 오일이 2차 피동 기어(8)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2차 피동 기어(8)쪽에서 올라온 유증기가 에어브리더 니플(23)로 빠져 나가도록 작용한다.
더불어 상기 오일 유입 경로 및 상기 유증기 배출 경로에서 좌측 연장 격벽(15), 우측 연장 격벽(16), 중간 연장 격벽(17) 및 구동 기어 격벽(18)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18)은 2단 감속기(5)의 기어 회전 시 비산되는 오일을 차단하는 격벽으로 작용하며,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17)은 2단 감속기(5)의 내부공간으로 오일 주입 시 역류되는 오일을 차단하는 격벽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18)으로 형성된 연통 틈새는 오일과 유증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으로 형성된 수평 경사 형상의 연결 틈새는 오일과 유증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의 우 격벽 단부 길이(t)는 오일 유로(11)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오일 유로(11)에서 연통 유로(13)로 흐르도록 주입된 오일 중 일부의 역류 오일(예, 굵은 파선)과 함께 연통 유로(13)에서 오일 유로(11)로 역으로 흐르는 비산 오일(예, 굵은 파선)을 차단하는 격벽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격벽(15,16,17,18)은 격벽 끝단의 위치를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레비린스(Labyrinth)의 구조를 가지고, 그 조합을 통해 자중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2차 피동 기어(8)의 회전에 의한 비산으로 침투된 오일을 우측 연장 격벽(16)의 우 격벽 단부 길이(t)로 차단해 다시 감속기 케이스(3)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함으로써 오일 유출 방지로 감속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1)는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서 좌측 연장 격벽(15), 우측 연장 격벽(16), 중간 연장 격벽(17) 및 구동기어 격벽(18)으로 오일역류방지 격벽(10)을 형성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의 조합, 상기 우측 연장 격벽(16)과 중간 연장 격벽(17)의 조합, 및 상기 좌측 연장 격벽(15)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18)의 조합이 형성한 틈새로 오일 유로(11), 우유증기 유로(12) 및 연통 유로(13)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오일유입 경로 및 유증기 배출 경로의 유로가 구분된다.
그러므로 상기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1)는 감속기의 기어 회전으로 비산된 오일이 감속기 케이스(3)의 내부 공간에서 차단되어 에어브리더 니플(24)로 누유 되지 않고, 특히 격벽(15,16,17,18)을 레비린스(Labyrinth) 구조로 형성하여 우측 연장 격벽(16)의 우 격벽 단부 길이(t)로 차단된 비산 오일이 자중방향 흐름(즉, 중력가속도 방향(g))으로 내려와 감속기 케이스로 재공급됨으로써 유증기 배출 수준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감속기 오일 유출 방지로 온도 과열에 의한 감속기 파손 방지가 가능하다.
1 : 구동 모터
2 : 모터
3 : 감속기 케이스 5 : 2단 감속기
6 : 구동 기어 7 : 1차 피동 기어
8 : 2차 피동 기어
10 : 오일역류방지 격벽
11 : 오일 유로 12 : 유증기 유로
13 : 연통 유로
15 : 좌측 연장 격벽 16 : 우측 연장 격벽
17 : 중간 연장 격벽 18 : 구동기어 격벽
20 : 니플 조립체
21 : 오일 니플 23 : 에어브리더 니플

Claims (10)

  1.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오일과 유증기의 유로를 구분하는 좌측 연장 격벽, 우측 연장 격벽 및 중간 연장 격벽이 포함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은 수직교차하며,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은 수직교차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간 거리의 사이에 상기 오일의 비산을 차단하는 우 격벽 단부 길이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기어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 및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은 상기 구동기어 격벽과 함께 상기 유로를 복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 상기 우측 연장 격벽, 상기 중간 연장 격벽 및 상기 구동기어 격벽의 각각은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레비린스(Labyrinth)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격벽 끝단의 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의 호형상 구조 및 상기 구동 기어 격벽의 절곡형상 구조는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마름모꼴로 형성하고,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의 경사진 직선 형상 구조 및 상기 중간 연장 격벽의 꺾인 직선 형상 구조는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복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공간은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이 지나가는 오일 유로,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중간 연장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유증기 유로, 및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상기 구동기어 격벽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과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연통 유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우측 연장 격벽의 조합, 상기 우측 연장 격벽과 중간 연장 격벽의 조합, 및 상기 좌측 연장 격벽과 상기 구동 기어 격벽의 조합 각각은 서로 마주하여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오일과 상기 유증기가 지나가는 연결 유로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오일 유로, 상기 유증기 유로 및 상기 연통 유로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2단 감속기에 인접되고,
    상기 좌측 연장 격벽은 상기 2단 감속기의 2차 피동 기어의 상부부위를 가려주며,
    상기 구동기어 격벽은 상기 2단 감속기의 구동 기어와 1차 피동 기어의 상부부위를 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모터로 회전되고,
    상기 1차 피동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2차 피동 기어는 상기 1차 피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오일 니플과 에어브리더 니플로 연통되고,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 니플로 주입되며, 상기 유증기는 상기 에어브리더 니플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터.
KR1020210151392A 2021-11-05 2021-11-05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KR10261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392A KR102613689B1 (ko) 2021-11-05 2021-11-05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392A KR102613689B1 (ko) 2021-11-05 2021-11-05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630A KR20230065630A (ko) 2023-05-12
KR102613689B1 true KR102613689B1 (ko) 2023-12-14

Family

ID=8638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392A KR102613689B1 (ko) 2021-11-05 2021-11-05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6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015B1 (ko) * 2002-02-04 2008-04-03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내장형 오일 분리기
KR20050017516A (ko) * 2003-08-14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
KR101960178B1 (ko) * 2017-07-27 2019-03-19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픈형 에어 브리더 및 이를 포함하는 ptu 하우징
KR102091784B1 (ko) 2018-10-15 2020-03-20 현대위아(주) 차량용 감속기의 통기장치
KR102329138B1 (ko) * 2019-12-18 2021-11-22 삼보모터스주식회사 냉각 및 윤활 유로를 구비한 전기차 구동모듈용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630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0177B2 (ja) 変速機
JP3701310B2 (ja) 変速機ハウジング
CN102099553B (zh) 变速器油室
CN101663510B (zh) 自动变速器的通气装置
CN101655092B (zh) 压缩机
KR102613689B1 (ko) 격벽 유로 타입 구동 모터
CN100585234C (zh) 热阀组件立管
JP4527086B2 (ja) 自動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JP4395723B2 (ja) 変速機のブリーザ装置
KR102079526B1 (ko) 오일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감속기
CN213511996U (zh) 主减速器壳体通气结构、主减速器和车辆
KR101618464B1 (ko) 감속 구동장치의 케이싱용 에어 브리더의 설치 구조
JP2018100636A (ja) 流量制御弁
CN111207003B (zh) 曲轴后油封座、发动机机油回油结构、发动机和车辆
JP2006070758A (ja) 内燃機関
KR101271337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버블생성 억제장치
US10030759B2 (en) Breather device
JP5974874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6069164B2 (ja) 変速機
JPH0663573B2 (ja) 歯車装置の軸受密封装置
JP6409615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CN216589864U (zh) 用于车辆的变速箱通气结构和具有其的车辆
JP4797909B2 (ja) 自動変速機のブリーザ構造
CN214787599U (zh) 一种装载机及其机油箱装置
JP4735710B2 (ja) 作動流体貯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