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498B1 - 볼트 - Google Patents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98B1
KR102612498B1 KR1020210009381A KR20210009381A KR102612498B1 KR 102612498 B1 KR102612498 B1 KR 102612498B1 KR 1020210009381 A KR1020210009381 A KR 1020210009381A KR 20210009381 A KR20210009381 A KR 20210009381A KR 102612498 B1 KR102612498 B1 KR 10261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head
coupled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886A (ko
Inventor
이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to KR102021000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머리부의 하부쪽에 고정돌기부를 형성하여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후설치되는 마감부재의 하중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볼트에 관한 것으로, 볼트머리부와 볼트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부에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고정브라켓 및 연결철물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브라켓의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공정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에 볼트의 볼트머리부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볼트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천공관의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볼트{A Bolt}
본 발명은 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머리부의 하부쪽에 고정돌기부를 형성하여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후설치되는 마감부재의 하중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blot)란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헤드(head) 및 이로부터 수직 연장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져 너트(nut)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기계요소의 총칭으로, 주로 기계부품 등의 결합을 위해 우리 산업전반에 걸쳐 흔히 사용되는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볼트는 통상 헤드가 육각형인 육각볼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사용목적에 따라 사각형의 사각볼트, 접시형의 접시볼트 등 여러 가지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체결방식에 있어서도 연결하고자 하는 2개 부품에 구멍을 뚫어 나사축을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결합하는 관통볼트, 고정하고자 하는 부품에 암나사 구멍을 직접 깎은 다음 나사축을 끼워 결합하는 탭볼트, 헤드가 생략된 대신 나사축의 양끝에 각각 나사산을 깍은 스터드 볼트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건물의 외벽을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패널로 꾸며 한층 미려한 외관을 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건물 외벽에 기 설치된 앵커볼트에 소정의 브래킷을 고정한 다음, 상기 브래킷에 외장패널을 고정함으로써 사방 연속으로 배치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와 브래킷과 외장패널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볼트너트가 사용되는 데, 볼트 또는 너트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장패널이 볼트와 너트 사이에 끼워져 강하게 눌러지기 때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외장패널 고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재질인 볼트너트가 늘어나면서 조금씩 풀리게 되면 쉽게 풀림 방향으로 볼트너트를 돌려서 풀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장패널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39050호(2013.12.20. 공개)의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는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결합체에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나, 선행문헌은 요철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대상물의 장공에 볼트의 단턱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너트와 결합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은 방지할 수 있으나, 고정대상물이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39050호(2013.12.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볼트머리부의 하부쪽에 고정돌기부를 형성하여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후설치되는 마감부재의 하중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머리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부가 차후 설치되는 마감부재 및 연결철물에 형성되는 고정공요철부와 볼트결합공 각각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위치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트머리부와 볼트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볼트에 있어서, 볼트머리부에는 고정브라켓 및 연결철물에 형성된 볼트위치공의 고정공요철부와 결합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30)에는 볼트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돌기부는, 볼트나사부를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돌출되어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돌기부는, 볼트나사부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의 둘레를 따라 볼트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돌기부는, 볼트나사부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의 양측면에만 볼트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의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공정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에 볼트의 볼트머리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부가 결합되어 볼트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천공관의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돌기부의 외주연 또는 양측면에 볼트요철이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위치공정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므로 볼트요철의 결합이 용이한 것은 물론 볼트가 결합된 위치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천공관(400)의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의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볼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볼트와 고정브라켓 및 연결철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볼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볼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볼트는 볼트머리부에는 고정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머리부가 형성되어 고정브라켓 및 연결철물에 형성된 볼트위치공의 고정공요철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볼트를 첨도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트는 볼트머리부(110), 볼트나사부(120) 및 고정돌기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110)는 둥근머리 또는 접시머리 형상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의 상단에는 십자드라이버, 일자드라이버 또는 이들 모두가 결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트머리부(110)의 상단에는 원형링, 고리 형상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볼트나사부(120)는 볼트머리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끝단까지 나가사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중간위치에서 끝단부까지만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200) 및 연결철물(300)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 및 결합공요철부(31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나사부(120)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끝단이 서로 맞닿게 이루어져 전체 형상이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고정공요철부(231) 및 결합공요철부(311)에 볼트요철(131)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요철(131)은 고정공요철부(231) 및 결합공요철부(3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볼트(100)는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고정돌기부(130)가 인입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위치고정공(230)에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결합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30)가 결합되면, 고정공요철부(231)와 고정돌기부(130)의 결합에 의해 볼트(100)가 고정되어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인입된 볼트나사부(120)에는 너트(1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공요철부(231)와 고정돌기부(130)에 의해 위치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천공 등의 작업 수행 시 정확한 위치에 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천공시 천공관(40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천공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볼트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 및 4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트(100)는 볼트머리부(110), 볼트나사부(120) 및 고정돌기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110)는 둥근머리 또는 접시머리 형상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110)의 상단에는 십자드라이버, 일자드라이버 또는 이들 모두가 결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트머리부(110)의 상단에는 원형링, 고리 형상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볼트나사부(120)는 볼트머리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끝단까지 나가사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중간 위치에서 끝단부까지만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나사부(120)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 및 연결철물(30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결합공요철부(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둘레를 따라 볼트요철(13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요철(131)은 고정공요철부(23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인입된 볼트나사부(120)에는 너트(1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볼트(100)는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고정돌기부(130)가 인입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위치고정공(230)에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요철(131)이 결합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된 볼트요철(131)이 결합되면, 고정공요철부(231)와 고정돌기부(130)의 결합에 의해 볼트(100) 위치를 고정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인입된 볼트나사부(120)에는 너트(1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공요철부(231)과 볼트요철(131)에 의해 위치의 이동되지 않으므로 천공 등의 작업 수행 시 정확한 위치에 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천공시 천공관(40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천공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볼트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및 6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트(100)는 볼트머리부(110), 볼트나사부(120) 및 고정돌기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110)는 둥근머리 또는 접시머리 형상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머리부(110)의 상단에는 십자드라이버, 일자드라이버 또는 이들 모두가 결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트머리부(110)의 상단에는 원형링, 고리 형상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볼트나사부(120)는 볼트머리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끝단까지 나가사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중간 위치에서 끝단부까지만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나사부(120)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 및 연결철물(30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결합공요철부(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양측면에 볼트요철(13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요철(131)은 고정공요철부(23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인입된 볼트나사부(120)에는 너트(1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볼트(100)는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고정돌기부(130)가 인입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위치고정공(230)에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요철(131)이 결합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된 볼트요철(131)이 결합되면, 고정공요철부(231)와 고정돌기부(130)의 결합에 의해 볼트(100)의 위치가 고정되어 볼트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볼트위치고정공(230)으로 인입된 볼트나사부(120)에는 너트(140)가 결합되어 볼트(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공요철부(231)과 볼트요철(131)에 의해 위치의 이동되지 않으므로 천공 등의 작업 수행 시 정확한 위치에 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천공시 천공관(40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천공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에 볼트(100)의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30)가 결합되어 볼트(100)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는 천공관(400)의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돌기부(130)의 외주연 또는 양측면에 볼트요철(131)이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므로 볼트요철(131)의 결합이 용이한 것은 물론 볼트가 결합된 위치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는 천공관(400)의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볼트 110: 볼트머리부
120: 볼트나사부 130: 고정돌기부
131: 볼트요철 140: 너트
200: 고정브라켓 210: 수직패널
220: 수평패널 230: 볼트위치고정공
231: 고정공요철부 300: 연결철물
310: 볼트결합공 311: 결합공요철부
400: 천공관

Claims (4)

  1. 볼트머리부(110), 볼트나사부(120) 및 고정돌기부(130)로 이루어지는 볼트(100)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부(110)는 둥근머리 또는 접시머리 형상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십자드라이버, 일자드라이버 또는 이들 모두가 결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부(130)는 볼트머리부(110)에 형성되어 볼트나사부(120)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브라켓(200)의 수직패널(210)과 수평패널(220)에 각각 형성된 볼트위치고정공(23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공요철부(231) 및 연결철물(30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결합공요철부(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둘레를 따라 볼트요철(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9381A 2021-01-22 2021-01-22 볼트 KR10261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381A KR102612498B1 (ko) 2021-01-22 2021-01-22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381A KR102612498B1 (ko) 2021-01-22 2021-01-22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86A KR20220106886A (ko) 2022-08-01
KR102612498B1 true KR102612498B1 (ko) 2023-12-13

Family

ID=8284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381A KR102612498B1 (ko) 2021-01-22 2021-01-22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4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9050A (ko) 2012-06-12 2013-12-20 김근영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KR102055789B1 (ko) * 2018-02-06 2019-12-13 주식회사 솔라테크 프로파일의 볼트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86A (ko)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428A (en) Metallic structural element for connecting workpieces consisting of wood, woodworking material or plastic
JP2007054344A (ja) フレーム部材と接合具とそれらを用いた構造体
KR102612498B1 (ko) 볼트
KR200382746Y1 (ko) 가구용 직결볼트
US20200355210A1 (en) Frame for steel furniture and frame assembly
JP3867128B1 (ja) 接合装置
KR200308557Y1 (ko) 건축용 석재 고정구
JP4372208B2 (ja) 木材連結補強用継手金物
JP2009062775A (ja) 木造建築構造材の接合・固定方法
JP2001355287A (ja) 木造建造物の構造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3805641B2 (ja) 締結具
JPH10225794A (ja) 溶接母材変形防止治具
KR20220121364A (ko) 프레임 연결구와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방법
JP2004244941A (ja) 接合具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部材の仕口接合構造並びに構造部材の接合方法
JP2007077629A (ja) 接合金具及びこの接合金具の埋め込み方法
KR20170027218A (ko) 결합용 홈볼트
JP2006299543A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KR100663748B1 (ko) 파티션
JP7397546B1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
CN211039325U (zh) 一种自锁紧自攻丝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KR101041029B1 (ko)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KR102512667B1 (ko)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JP3233356U (ja) 建築木材用ネジ
JP6991612B1 (ja) ねじ込み式拡張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