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050A -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 Google Patents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050A
KR20130139050A KR1020120062746A KR20120062746A KR20130139050A KR 20130139050 A KR20130139050 A KR 20130139050A KR 1020120062746 A KR1020120062746 A KR 1020120062746A KR 20120062746 A KR20120062746 A KR 20120062746A KR 20130139050 A KR20130139050 A KR 2013013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head
present
nu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김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영 filed Critical 김근영
Priority to KR102012006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050A/ko
Publication of KR2013013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높여 볼트와 너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결합체에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bolt and nut for improving joint force}
본 발명은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높여 볼트와 너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볼트(blot)란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헤드(head) 및 이로부터 수직 연장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져 너트(nut)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기계요소의 총칭으로, 주로 기계부품 등의 결합을 위해 우리 산업 전반에 걸쳐 흔히 사용되는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볼트는 통상 헤드가 육각형인 육각볼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사용목적에 따라 사각형의 사각볼트, 접시형의 접시볼트 등 여러 가지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체결방식에 있어서도 연결하고자 하는 2개 부품에 구멍을 뚫어 나사축을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결합하는 관통볼트, 고정하고자 하는 부품에 암나사 구멍을 직접 깎은 다음 나사축을 끼워 결합하는 탭볼트, 헤드가 생략된 대신 나사축의 양끝에 각각 나사산을 깍은 스터드 볼트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건물의 외벽을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패널로 꾸며 한층 미려한 외관을 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건물 외벽에 기 설치된 앵커볼트에 소정의 브래킷을 고정한 다음, 상기 브래킷에 외장패널을 고정함으로써 사방 연속으로 배치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와 브래킷과 외장패널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볼트너트가 사용되는 데, 볼트 또는 너트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장패널이 볼트와 너트 사이에 끼워져 강하게 눌러지기 때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외장패널 고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재질인 볼트너트가 늘어나면서 조금씩 풀리게 되면 쉽게 풀림 방향으로 볼트너트를 돌려서 풀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장패널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너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유연하게 보트너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된 너트가 진동이나 그 밖의 외력에 의하여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에 따르면,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결합체에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너트의 돌기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길이는 상기 양측면 사이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의 몸체부는 상기 너트가 끼워지는 일측면에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에 따르면, 너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유연하게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려는 너트의 복원력에 의해 진동이나 그 밖의 외력에 의하여 볼트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이 완료된 후 너트가 조금 풀리거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너트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와 너트 사이의 긴밀함을 유지할 수 있어 풀림 방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가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와 고정 대상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와 고정 대상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가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와 고정 대상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너트 결합체와 고정 대상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는 머리부(110)와 나사산(121)이 형성된 몸통부(120)로 이루어진 볼트(100)와, 상기 볼트(100)에 체결되는 너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너트(200)는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10)와 마주하는 면(201)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210)를 형성한다.
먼저, 상기 볼트(100)는 머리부(110)와 상기 머리부(110)에 비해 직경이 작은 몸통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120)는 상기 너트(200)에 체결되는 나사산(121)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10)는 원형, 육각형, 사각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그 단면 또한 직사각형, 반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너트(200)는 중공(220)을 형성하되, 그 내주면에 상기 볼트(100)의 나사산(121)과 체결되는 나사산(22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220)의 형태는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10)와 마찬가지로 원형, 육각형, 사각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볼트(100)와 너트(200) 사이에는 브라켓 등과 같은 고정대상물(10)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100) 및 너트(200)는 대부분 금속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볼트(100)와 너트(200) 사이 고정대상물(10)을 끼우고 너트(200)를 조여 고정대상물(10)을 고정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볼트(100)와 너트(200)의 탄성에 의해 볼트(100)와 너트(200)의 체결력이 느슨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10)와 마주하는 너트(200)의 일측면(201)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210)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부(210)는 볼트(100)와 너트(200) 사이 고정대상물(10)을 끼우고 너트(200)를 조여 고정대상물(10)을 고정할 때, 탄성에 의해 그 형상이 일부 변형되면서 볼트(100)와 너트(200)의 체결력을 높여주고, 볼트(100)와 너트(2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체결력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너트(200)는 상기 돌기부(210)가 형성된 면에 직경은 확장되고 두께는 얇아진 플랜지부(20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200)와 고정대상물(10)의 접촉 면적을 높여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력이 확보되어 탄성에 따른 고정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100)는 상기 너트(200)와 마주하고, 몸통부(120)가 연장된 일측면에 상기 몸통부(120)의 직경보다 크고 머리부(1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단턱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40)는 상기 고정대상물(10)에 형성된 장공(11)의 폭(W2)과 대응하여 끼워지거나, 상기 너트(200)에 형성된 돌기부(210)와 마찬가지로, 볼트(100)의 머리부(110)와 고정대상물(10)사이에서 탄성에 의해 그 형상이 일부 변형되면서 볼트(100)와 너트(200)의 체결력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너트(200)의 돌기부(210)는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20)와 마주하는 면(201)의 테두리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0)는 요철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지만, 상기 너트(200)가 체결을 위해 볼트(100)에서 조여질 때, 그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20)와 마주하는 일측면(201)의 테두리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100)의 머리부(110)는 양측면(101,102)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101,102)의 길이(L1)는 상기 양측면(101,102) 사이 폭(W1)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100)의 머리부(110)의 폭(W1)이 길이(L1)에 비해 작게 설정되는 이유는 상기 볼트(100)가 장공 또는 슬릿에 고정될 때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기 고정대상물(10)에 장공(11)이 타공된 경우, 이때, 상기 장공(11)의 길이(D2)는 상기 머리부(110)의 길이(L1)보다 길거나 같고, 그 폭(W2)은 머리부(110)의 폭(W1)보다는 크고나 같고, 상기 머리부(110)의 길이(L1)보다는 작다. 상기 장공(11)에 머리부(110)를 끼우고, 볼트(100)를 90°가량 일측으로 회전시키고, 너트(200)를 체결하면, 장공(11)이 형성된 고정대상물(10)에 손쉽게 볼트(100), 너트(200)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100)의 몸체부(120)는 상기 너트(200)가 끼워지는 일측면에 일자형의 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일자홈(130)은 나사 등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과 같은 기능을 한다. 즉, 볼트(100)를 머리부(110)에서 회전하여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지만, 머리부(120)가 고정대상물(10)의 내부에 끼워져 회전이 불가한 경우, 상기 몸체부(120)에 형성된 일자홈(130)에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면에는 일자홈(130) 뿐만 아니라 십자 드라이버를 위한 십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에 따르면, 너트(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유연하게 볼트(100)와 너트(200)를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려는 너트(200)의 복원력에 의해 진동이나 그 밖의 외력에 의하여 볼트너트(100,2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이 완료된 후 너트(200)가 조금 풀리거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너트(200)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100)와 너트(200) 사이의 긴밀함을 유지할 수 있어 풀림 방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볼트
110 : 머리부
120 : 몸통부
121 : 나사산
130 : 홈
200 : 너트
210 : 돌기부
220 : 중공
221 : 나사산

Claims (4)

  1.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트너트 결합체에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돌기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길이는 상기 양측면 사이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몸체부는,
    상기 너트가 끼워지는 일측면에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조립체.
KR1020120062746A 2012-06-12 2012-06-12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KR20130139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46A KR20130139050A (ko) 2012-06-12 2012-06-12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46A KR20130139050A (ko) 2012-06-12 2012-06-12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50A true KR20130139050A (ko) 2013-12-20

Family

ID=499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46A KR20130139050A (ko) 2012-06-12 2012-06-12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0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46A (ko) * 2017-12-06 2019-06-14 대도테크 주식회사 일방향 작업용 볼트
KR20210002686A (ko) * 2018-06-01 2021-01-08 가부시키가이샤 덴조 기쥬츠 겐큐쇼 이중 나사 구성체와 그 체결체
KR20220106886A (ko) 2021-01-22 2022-08-01 주식회사 원진 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46A (ko) * 2017-12-06 2019-06-14 대도테크 주식회사 일방향 작업용 볼트
KR20210002686A (ko) * 2018-06-01 2021-01-08 가부시키가이샤 덴조 기쥬츠 겐큐쇼 이중 나사 구성체와 그 체결체
KR20220106886A (ko) 2021-01-22 2022-08-01 주식회사 원진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4503A (en) Opposite threaded stud
US20160160904A1 (e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CN106640914A (zh) 径向锁紧的防松止退螺母
KR20130139050A (ko)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JP6202448B2 (ja) インサートアンカーボルトの取付治具
JP2015078744A (ja) 緩み止めリング
JP2007303486A (ja) 締結装置
JP2019039555A (ja) 緩み止め締結構造
WO2017107923A1 (zh) 一种弹性垫片紧固件
KR101513433B1 (ko) 와셔부에 홈을 형성하고 자석을 매설한 고장력 마그네틱 볼트 조립체
CN206320157U (zh) 径向锁紧的防松止退螺母
WO2017020284A1 (zh) 一种止转套、紧固连接组件、紧固连接结构及安装方法
CN105041831A (zh) 一种防止松动的螺母
JP2017141853A (ja) ボルトとナットとからなる締結具の製造方法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CN109595245B (zh) 一种自锁唐氏螺栓
JP2018031440A (ja) 締結部材
JP5820104B2 (ja) ブラインドボルト
CN113915221A (zh) 一种防松螺钉组件及其使用方法
JP5089327B2 (ja) 締結用部材
CN210769783U (zh) 一种螺母防松复合垫圈
KR101675982B1 (ko) 풀림방지 너트
JP2014081062A (ja) 緩み止め付きボルトとナット
KR101416704B1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JP6282539B2 (ja) 既設折板屋根用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