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557B1 -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557B1
KR102611557B1 KR1020187009113A KR20187009113A KR102611557B1 KR 102611557 B1 KR102611557 B1 KR 102611557B1 KR 1020187009113 A KR1020187009113 A KR 1020187009113A KR 20187009113 A KR20187009113 A KR 20187009113A KR 102611557 B1 KR102611557 B1 KR 10261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ube
holder
fill lev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20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귄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6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1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height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Electronic controllers
    • F15B2211/6303Electronic controllers using inpu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5Vessel or content identifications, e.g. lab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08Level of content in the vessel
    • F17C2250/0413Level of content in the vessel with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08Level of content in the vessel
    • F17C2250/0417Level of content in the vessel with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 상에서 연장되고 충전 레벨 지시기로서 사용되며 배출 튜브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튜브를 구비한 탱크에 관한 것이다. 충전 레벨 지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튜브 또는 그 상단부는 대략 위쪽을 향하도록 홀더 내에 고정된다. 배출 튜브로서 사용되는 경우, 튜브 또는 그 상단부는 홀더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Description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압 오일을 수용하는 탱크에서, 탱크의 외벽에 삽입되는 검사 유리창은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로서 알려져 있다.
콤팩트 어셈블리는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로부터 구동 유닛을 통해 압력 매체가 컨슈머 연결부로 송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인쇄된 데이터 시트 "Modular standard power units Type ABSKG", RE 51013호, 11.14판에는 탱크를 포함한 전기 유압식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검사 유리창이 삽입된다.
이러한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의 단점은 탱크의 내부 공간 내의 유압 오일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항상 대략 수직으로 검사 유리창을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시선으로부터도 충전 레벨이 인지될 수 있는,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응하는 콤팩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탱크와 관련해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그리고 콤팩트 어셈블리와 관련해서는 청구항 제 15 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된 탱크는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레벨 지시기는, 탱크의 내부 공간 외부에 배치되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투명 튜브를 포함한다. 제 1 단부는 탱크에 고정되고, 탱크의 하부 영역에 연결된다. 하부 영역은 내부 공간의 최소 충전 레벨 아래 배치된다. 제 2 단부는 지시 위치에서 홀더에 의해 제 1 단부의 비스듬한 위 또는 바람직하게는 바로 위에 최대 충전 레벨 이상으로 탱크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된다. 따라서, 튜브가 탱크의 외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거나 탱크의 외벽 밖으로 완전히 나오기 때문에, 다양한 시선으로부터 충전 레벨의 인지 가능성이 보장된다. 후자의 경우, 튜브는 탱크의 외벽에 닿거나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단부는 지시 위치에서 탱크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제 1 단부는 탱크의 바닥에 또는 외벽의 외부면에 고정된 하부 연결부를 통해 탱크의 내부 공간의 하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는 예를 들어, 튜브의 제 1 단부를 탱크의 내부 공간에 연결하며 제 1 단부를 바닥에 고정하는 부품이다.
튜브는 탱크의 바닥에 배치된 하부 연결부로부터 측면으로 나올 수 있다. 그 다음에, 튜브의 제 1 단부가 탱크의 접촉면 바로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최소 충전 레벨을 지시할 수 있다.
외벽의 외부면에 고정된 하부 연결부는 약 90 °만큼 상부로 꺽인 덕트를 포함하므로, 튜브의 제 1 단부는 항상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낮은 충전 레벨을 읽을 때 명확성이 향상된다. 탱크의 외벽이 수직이면, 튜브의 제 1 단부는 외벽에 대해 평행하다.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 홀더는 제 2 단부 또는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클리핑될 수 있는, 탱크의 외벽의 외부면 내의 홈이다. 홈은 하부 연결부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서, 홀더는 하부 연결부 위의, 튜브의 길이에 대략 상응하는 높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튜브의 제 2 단부는 홀더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된다.
홀더가 지시 위치에서 상단부 위에 연장되어 상단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면, 튜브 내로 오염물의 침투가 장치 기술적으로 간단히 방지될 수 있다.
홀더는 튜브의 제 2 단부가 지시 위치에서 수직으로 향하도록 탱크의 외벽의 외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탱크의 외벽이 수직이면, 튜브의 제 2 단부는 외벽에 대해 평행하다.
대안으로서, 홀더는 장치 기술적으로 간단히 홀일 수 있으며, 이 홀 내로 제 2 단부가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도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염된 주변 공기가 튜브 내로 들어갈 수 없고 및/또는 충전 레벨이 떨어질 때 튜브 내로 흡입될 수 없다.
장치 기술적으로 간단히, 튜브의 제 2 단부가 주변에 대해 개방될 수 있어서, 튜브 내의 충전 레벨이 탱크 내의 충전 레벨에 따라 올라가고 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홀더는 상부 연결부를 형성하며, 이 상부 연결부를 통해 제 2 단부가 지시 위치에서 최대 충전 레벨 이상에서 탱크의 내부 공간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오염된 주변 공기가 튜브 내로 들어갈 수 없거나 또는 충전 레벨이 떨어질 때 튜브 내로 흡입될 수 없다.
상부 연결부는 장치 기술적으로 간단히, 제 2 단부가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도입될 수 있는 홀일 수 있거나, 또는 상부 연결부는 부품이다. 후자의 경우, 상부 연결부는 약 90도만큼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덕트를 포함할 수 있어서, 튜브의 제 2 단부는 지시 위치에서 수직으로 향한다. 따라서, 높은 충전 레벨을 읽을 때 명확성이 향상된다. 탱크의 외벽이 수직이면, 튜브의 제 2 단부는 외벽에 대해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튜브는 또한 배출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외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단부가 현재의 충전 레벨 아래로 이동될 수 있어서, 탱크 내용물, 예컨대 유압 오일이 배출될 수 있다.
차단 장치, 특히 차단 밸브가 튜브의 제 2 단부에 제공되면, 제 2 단부가 수집 용기 위에 배치될 때야 배출 장치가 개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 장치는 제 2 단부가 홀더 내에 삽입되어 지시 위치에 있으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충전 레벨 지시기로서의 튜브의 작동 동안 차단 장치의 개방을 염두에 두지 않더라도, 튜브 내의 충전 레벨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다.
실행 가능성의 이유로, 홀더는 리세스(예컨대, 틈새)를 포함하고, 튜브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단부를 홀더부터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리세스를 통해 파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레벨을 더 잘 인지하기 위해, 튜브가 LED를 통해 조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 예에서, 탱크는 LED의 광원색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 레벨 센서를 포함한다. 충전 레벨 센서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배리어일 수 있고, 튜브는 그 지시 위치에서 상기 광 배리어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광 배리어는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센서 또는 그 응답 특성을 상이한 충전 레벨에 따라 조정하기 위해, 광 배리어의 위치가 (지시 위치에 있는) 튜브에 대해 평행하게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가 (그 지시 위치에서) 수직이면, 광 배리어의 위치는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어셈블리는 전기 모터 및 펌프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펌프를 통해 압력 매체가 전술한 탱크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선으로부터 콤팩트 어셈블리의 압력 매체의 충전 레벨 인지 가능성이 보장된다.
탱크의 외벽이 원통형인 경우, 전체 콤팩트 어셈블리의 형상이 원통형일 수 있으므로 콤팩트 어셈블리의 특히 콤팩트한 형상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여러 실시 예 및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 예가 도면들에 도시되어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콤팩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개략도.
도 1은 탱크(T)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하며, 상기 탱크(T)의 내부 공간에는 유압 오일이 충전 레벨(5)로 수용되어 있다. 외벽(48)의 하부 영역에서 탱크(T)의 바닥(42) 가까이에 하부 연결부(3)가 부착된다. 상기 연결부는 각진 덕트를 통해 튜브(7)를, 더 정확히 말하면 튜브(7)의 제 1 단부(9)를 탱크(T)의 내부 공간과 연결한다. 튜브(7)는 외벽(48)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지시 위치에서, 튜브(7)는 수직관(riser)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튜브(7)는 탱크(T)의 외부면으로부터 약 180 도의 넓은 각도 범위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시각 레벨 지시기의 역할을 한다.
충전 레벨(5) 위에는 상부 연결부(11)가 탱크(T)의 외벽(48)에 부착된다. 튜브(7)의 지시 위치에서, 튜브(7)의 제 2 단부(13)는 상단부(13)가 상부 연결부(11)의 각진 덕트를 통해 탱크(T)의 상부 영역에 유체 연결되도록 상부 연결부(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주변 공기로부터 튜브(7) 내로, 그에 따라 유압 오일 내로 오염물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튜브(7)의 제 2 단부(13)가 상부 연결부(11)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튜브(7)의 배출 위치에서, 튜브(7)는 배출 튜브의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T)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하며, 제 1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튜브(7)의 제 2 단부(13)가 차단 밸브(15; 예컨대 볼 밸브)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7)가 배출 튜브로서 사용되는 경우, 튜브(7)는 그 제 2 단부 섹션(13)이 수집 용기(17) 위에 있을 때에야 개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2는 튜브(7) 또는 그 단부(13)의 배출 위치를 도시한다.
배출 기능과 함께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T)는 예컨대 공작 기계용 콤팩트 어셈블리에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콤팩트 어셈블리는 공작 기계의 기계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유압 오일의 교체 간격은 예를 들어, 약 4 개월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기능은 매우 편안하게 설계된다.
도 3은 탱크(T)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튜브(7)용 수직 홈(23)이 외벽(48)의 외부면 내로 통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상기 홈(23)은 튜브(7)가 그 탄성으로 인해 압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튜브(7)의 상부 제 2 단부(13)에는 끝 부분(29)이 장착되고, 상기 끝 부분은 탱크(T) 내로 클리핑될 때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차단 밸브(15)(도 2 참조)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콤팩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하는데, 여기서는 튜브(7)가 홈(23)으로부터 분리되어 홈(23)의 형상이 나타난다. 홈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끝 부분(29)이 탱크 측 홀더(33)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끝 부분(29)의 더 나은 파지를 위해 2개의 리세스(35) 사이의 홀더(33)가 나타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T)의 제 3 실시 예의 홈(23) 내로 삽입되는 튜브(7)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홈(23)은 활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홈(23)의 홈 바닥은 원호 형태이고 대략 튜브(7)의 직경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의 2개의 홈(23)에서, 튜브(7)는 홈(23) 내로 압입되거나 클리핑될 수 있고, 끝 부분(29)이 홀더(33)로부터 수동으로 분리되고 튜브(7)가 홈(23)으로부터 빠져나와 배출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유지된다.
도 6에 따르면, 튜브(7)는 충전 레벨 센서(24)의 신호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53)에 의해 제어되는 LED로 내부면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7)는 예컨대 "충전 레벨 ok"의 경우 녹색으로, "충전 레벨 경고"의 경우 노란색으로, "충전 레벨 너무 낮음"의 경우 빨간색으로 조명될 수 있다. LED는 더 나은 시각 충전 레벨 인지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T)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튜브(7)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 내에 다수의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3개의) 광 배리어를 통합함으로써 충진 레벨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광 배리어는 다이오드(37) 및 포토 다이오드(39)를 포함한다. 광 배리어는 튜브(7)를 비추며 각각의 캐리지(49) 상에 장착된다. 상기 캐리지(49)는 레일 가이드(51) 상에서 (지시 위치의) 튜브(7)에 대해 평행하게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므로, 외부로부터, 전자 제어 장치(53)에 의해 출력되는 "충전 레벨 너무 낮음" 또는 "충전 레벨 경고"와 같은 상기 충전 레벨 신호들(55)이 설정될 수 있다.
탱크의 측벽에 연장되어 충전 레벨 지시기의 역할을 하고 배출 튜브의 역할도 할 수 있는 튜브를 구비한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충전 레벨 지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튜브 또는 그 상단부는 대략 위쪽을 향하도록 홀더에 고정된다. 배출 튜브로서 사용되는 경우, 튜브 또는 그 상단부는 홀더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3 하부 연결부
5 충전 레벨
7 튜브
9 제 1 단부
11 상부 연결부
13 제 2 단부
15 차단 밸브
17 수집 용기
23 홈
24 충전 레벨 센서
26 하우징
27 LED
29 끝 부분
33 홀더
35 리세스
37 다이오드
41 포토 다이오드
42 바닥
48 외벽
49 캐리지
51 레일 가이드
53 제어 장치
55 충전 레벨 신호
164 통풍 슬롯
T 탱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시각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지시기는 상기 탱크의 내부 공간 외부에 배치되되 제 1 단부(9) 및 제 2 단부(13)를 구비한 투명 튜브(7)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9)는 상기 탱크에 고정되며 상기 탱크의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부(13)는 지시 위치에서 홀더(11; 23; 33)에 의해 상기 제 1 단부 위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되고,
    상기 튜브(7)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튜브(7)의 상기 제 2 단부(13)에는 차단 장치(15)가 제공되며,
    상기 차단 장치(15)는 상기 제 2 단부(13)가 상기 홀더(11; 33) 내로 삽입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하부 연결부(3)를 통해 상기 탱크의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하부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3)는 상기 탱크의 바닥(42)에 또는 상기 탱크의 외벽(48)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 33)는 상기 하부 연결부(3) 위의, 상기 튜브(7)의 길이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홀더(11; 33)에는 상기 튜브(7)의 상기 제 2 단부(13)가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는 상기 탱크의 상기 외벽(48)의 상기 외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7)의 상기 제 2 단부(13)가 상기 지시 위치에서 수직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는 상부 연결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2 단부(13)가 상기 지시 위치에서 상기 탱크의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3)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5)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7)의 상기 제 2 단부(13)는 상기 제 2 단부(13)를 상기 홀더(3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35)를 통해 파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7)는 LED를 통해 조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LED의 광원색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 레벨 센서(24; 37, 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배리어(37, 39)를 구비한 충전 레벨 센서(37, 39)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7)는 그 지지 위치에서 상기 광 배리어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배리어(37, 39)는 지시 위치의 튜브(7)에 대해 평행하게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3. 전기 모터(M) 및 펌프(1)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한 콤팩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펌프(1)를 통해 압력 매체가 제 3 항에 따른 탱크(T)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콤팩트 어셈블리.
  14. 삭제
  15. 삭제
KR1020187009113A 2015-10-02 2016-09-20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KR102611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9080.3A DE102015219080A1 (de) 2015-10-02 2015-10-02 Tank mit Füllstandsanzeige und Kompaktaggregat mit einem derartigen Tank
DE102015219080.3 2015-10-02
PCT/EP2016/072230 WO2017055130A1 (de) 2015-10-02 2016-09-20 Tank mit füllstandsanzeige und kompaktaggregat mit einem derartigen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206A KR20180061206A (ko) 2018-06-07
KR102611557B1 true KR102611557B1 (ko) 2023-12-11

Family

ID=5704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113A KR102611557B1 (ko) 2015-10-02 2016-09-20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611557B1 (ko)
CN (1) CN108027102B (ko)
DE (1) DE102015219080A1 (ko)
TW (1) TWI717393B (ko)
WO (1) WO201705513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8482Y (zh) * 2000-12-31 2001-11-07 龚宝康 可内视液化气钢瓶
JP2008189381A (ja) * 2007-01-31 2008-08-21 Kazuo Yamada 残量減少検出器付きサイホン容器及びバブラー容器及び工業用密閉容器
JP2011047177A (ja) * 2009-08-26 2011-03-10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水槽
CN202994241U (zh) * 2012-11-01 2013-06-12 天津渤大硫酸工业有限公司 一种50%精制硫酸用液位计
CN203517295U (zh) * 2013-09-24 2014-04-02 无锡通明科技有限公司 一种led存量显示液化气罐
WO2015025169A2 (en) * 2013-08-21 2015-02-26 George Edwards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canister and measure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487B2 (ja) * 1986-05-26 1994-12-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高圧高磁場用液体ヘリウム液面計
US5607002A (en) * 1993-04-28 1997-03-04 Advanced Delivery & Chemical Systems, Inc. Chemical refill system for high purity chemicals
US5465874A (en) * 1993-11-17 1995-11-14 Basf Corporation Portable multi-compartment chemical storage and mixing tank
JP3960682B2 (ja) * 1998-04-14 2007-08-15 サンデン株式会社 液体燃料消費管理装置および液体燃料供給管理システム
DE102004040909B4 (de) * 2004-06-17 2007-07-05 Hydac Filtertechnik Gmbh Baueinhe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8482Y (zh) * 2000-12-31 2001-11-07 龚宝康 可内视液化气钢瓶
JP2008189381A (ja) * 2007-01-31 2008-08-21 Kazuo Yamada 残量減少検出器付きサイホン容器及びバブラー容器及び工業用密閉容器
JP2011047177A (ja) * 2009-08-26 2011-03-10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水槽
CN202994241U (zh) * 2012-11-01 2013-06-12 天津渤大硫酸工业有限公司 一种50%精制硫酸用液位计
WO2015025169A2 (en) * 2013-08-21 2015-02-26 George Edwards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canister and measurement method
CN203517295U (zh) * 2013-09-24 2014-04-02 无锡通明科技有限公司 一种led存量显示液化气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7102B (zh) 2020-12-08
CN108027102A (zh) 2018-05-11
KR20180061206A (ko) 2018-06-07
TWI717393B (zh) 2021-02-01
WO2017055130A1 (de) 2017-04-06
TW201719073A (zh) 2017-06-01
DE102015219080A1 (de)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4523A1 (en) Hydraulic fluid reservoir and hydraulic system
EP2868988A1 (en) Humidifier
CA1276605C (en) Hydraulic fluid replenishment device
US10132741B2 (en) Integrated device for sampling and detecting fecal samples
US20200109983A1 (en) Oil Sight Glass
KR102611557B1 (ko) 충전 레벨 지시기를 구비한 탱크 및 상기 탱크를 포함한 콤팩트 어셈블리
US8746410B1 (en) Outdrive gear oil monitor
ES2688923T3 (es) Máquina embutidora y procedimiento para vigilar el estado de suciedad en un sistema de vacío de una máquina embutidora
KR20170077867A (ko) 쓰레기 적재량 표시 장치
JP2014097828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007527B1 (ko) 수위감지장치
US20200240900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Identity and/or Quantity of a Fuel
JP5147288B2 (ja) O−リング切出装置
KR102209106B1 (ko)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US10612566B2 (en) Bleed valve arrangements; and methods
KR20090007993A (ko) 브레이크 오일 리저버
KR101223776B1 (ko) 오일레벨 센서
KR20150007085A (ko) 선박용 탱크의 레벨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탱크
KR20120000173U (ko) 의료용 흡인기의 수위 감지장치
JP2006003143A (ja) 光ファイバを用いた石油製品の検出装置
CA2641187C (en) Hydraulic fluid reservoir and hydraulic system
GB2294455A (en) Multi-part closure with decanting aperture
CN104807830A (zh) 一种基于可见光通信技术瓷器裂缝检测装置
KR100652337B1 (ko) 반도체 웨이퍼 증착장치
CN104296837A (zh) 一种液位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